의료분야의 인공지능 도입과 생명의료윤리 정립 연구 =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edical field and establishment of biomedical ethics

김진동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의료분야의 인공지능 도입과 생명의료윤리 정립 연구 =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edical field and establishment of biomedical ethic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경제, 직업윤리
  • 생명윤리
  • 생명의료윤리
  • 인공지능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,023 0

0.0%

' 의료분야의 인공지능 도입과 생명의료윤리 정립 연구 =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edical field and establishment of biomedical ethics' 의 참고문헌

  • 「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」
    국가법령정보센터 법률 제13744호에서 일부 발췌 [2016]
  • 한국의 인공지능과 로봇에 관한 법제정비방안 연구
    심민석 『경희법학』, 제55권 [2020]
  • 한국 공무원의 윤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
    임도빈 행정총론, 제41권, 제2호 [2003]
  • 지능형 로봇 금융지원제도 개선방안: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을중심으로
    고영미 『선진상사법률연구』, 제86호 [2019]
  • 인공지능의 윤리학
    이중원 파주: 한울아카데미 [2019]
  • 인공지능은 자율적 도덕행위자일 수 있는가?
    신상규 『철학』, 제132권 [2017]
  • 인공지능과 내과 의사의 미래」
    박동균 『Korean Journal of Medicine (구 대한내과학 회지)』, 제92권, 제3호 [2017]
  • 인공지능 전문가 윤리의 역할과 윤리 기준의 지향점
    권헌영 김미리 윤상필 『법학논 총』, 제32권, 제3호 [2020]
  • 인공지능 윤리하다
    변순용 이연희 서울: 어문학사 [2020]
  • 인공지능 윤리와 거버넌스
    한국인공지능법학회 서울: 박영사 [2021]
  • 이성과 공감: 포스트모던 칸트와 공감윤리
    맹주만 서울: 어문학사 [2020]
  • 『헬스케어 인공지능과 머신러닝』
    고석범 아르준 파네사 서울: 에이콘출판 [2020]
  • 『특이점이 온다』
    김명남 레이 커즈와일 서울: 김영사 [2020]
  • 『인공지능의 존재론』
    이중원 파주: 한울아카데미 [2018]
  • 『인공지능의 시대, 인간을 다시 묻다』
    김재인 서울: 동아시아 [2017]
  • 『인공지능을 넘어서는 인간의 강점』
    김희은 나라 쥰 부천: 프리렉 [2018]
  • 『인공지능윤리 다원적 접근』
    인공지능과 가치 연구회 서울: 박영사 [2021]
  • 『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머니즘』
    이중원 서울: 이학사 [2020]
  • 『인공지능과 인간』
    마쓰오 유타카 송주명 과천: 진인진 [2019]
  • 『인공지능과 미래인문학』
    이종관 고양: 산과글 [2018]
  • 『인공지능 AI로봇 프로젝트』
    변순용 서울: 어문학사 [2019]
  • 『의료 인공지능』
    최윤섭 서울: 클라우드나인 [2018]
  • 『왜 로봇의 도덕인가』
    노태복 웬델 월러치 콜린 알렌 서울: 메디치미디어 [2014]
  • 『슈퍼 인텔리젼스(Superintelligence)』
    닉 보스트롬 조성진 서울: 까치 [2021]
  • 『생명윤리학』
    Marianne Talbot 서울: 학지사 [2016]
  • 『기적의 인공지능 일자리혁명』
    박병윤 서울: 행복에너지 [2017]
  • 『4차 산업혁명, 미래를 바꿀 인공지능 로봇』
    이세철 서울: 정보문화사 [2017]
  • 『2020년, 인공지능이 내 곁으로 다가왔다』
    EY 어드바이저리 부윤아 서울: 매경출 판 [2016]
  • 「회계담당자의 윤리관이 이익조정인식에 미치는 영향」
    문영배 이상봉 『산경논집』 [2011]
  • 「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: 비췀과 췰드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」
    목광수 『철학연구』, 제105권 [2014]
  • 「한국 의료윤리의 역사적 고찰: 의사윤리강령-1997)의 분석을 중심으로」
    신동원 『의사학』, 제9권, 제2호, 2000 [1955]
  • 「지능형 의료장비 산업과 의료서비스 개선 동향」
    송도선 정동규 『한국정보기술학회 지』, 제15권, 제2호 [2017]
  • 「전공의를 위한 의료윤리 교육목표의 개발」
    정유석 『한국의료윤리학회지』, 제11권, 제2호 [2008]
  • 「전공의 윤리 교육」
    전재범 『대한내과학회지』, 제94권, 제1호 [2019]
  • 「일본 총부성, 인공지능 연구개발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」,
    금융보안원 『보안연구부』 일부 참조 [2018]
  • 「인공지능을 이용한 법률전문가 시스템의 동향 및 구상」
    양종모 『법학연구』, 제19권, 제2호 [2016]
  • 「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우려와 업계의 대응」
    조원영 『월간SW중심사회 9월호』, , 일부 참조.(https://spri.kr/posts/view/22615?code=industry_trend) [2019]
  • 「인공지능로봇의료의 도덕형이상학적 모색: 의료적 전자인간의 책임가능성」
    정창록 『한 국의료윤리학회지』, 제21권, 제2호 [2018]
  • 「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」
    장운혁 정창록 『한국의료윤리학회지』, 제20권, 제4호 [2017]
  • 「인공지능과 로봇의사윤리」
    맹주만 『철학탐구』, 제52권 [2018]
  • 「인공지능 기술 전망과 혁신정책 방향 (2차년도)-안전하고 윤리 적인 인공지능 R&D 및 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」
    김단비 양희태 이제영 『정책연구』 [2019]
  • 「인공지능 기술 동향」
    박승규 『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, 기획시리즈-인공지능』 [2018]
  • 「인공지능 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」
    조영임 『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』, 제 1733권 [2016]
  • 「인공지능 (AI: Artificial Intelligence) 시대, 보건의료 미래 전망」
    김형수 『의료정 책포럼』, 제15권, 제1호 [2017]
  • 「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: 목적, 규범, 행위지침」
    목광수 『철학사 상』, 제69호 [2018]
  • 「의료인-제약산업 관계의 이해상충과 윤리적 원칙」
    구영모 이일학 『한국의료윤리학 회』, 제14권 [2011]
  • 「의료윤리교육을 위한 동료 의료인 간 갈등에 대한 연구」
    최규진 『생명윤리』, 제9 권, 제2호 [2008]
  • 「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」
    송선영 『인간 환경 미 래』 [2017]
  • 「의료 인공지능 현황 및 과제」
    김진희 김현철 이관용 『한국보건산업진흥원, 보건산업 브리프』 [2016]
  • 「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」
    권복규 『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』, 제9 권, 제1호 [2006]
  • 「수술 로봇의 윤리적 쟁점」
    변순용 송선영 『윤리연구』, 제106권 [2016]
  • 「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」
    김진경 『한국시민윤리학회보』, 제17권 [2004]
  • 「생명의료윤리의 역사와 철학: 치과의사의 윤리를 중심으로」
    강신익 『의사학』, 제11권, 제2호 [2002]
  • 「생명윤리교육이 간호보건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」
    김인순 『생명윤리』, 제14권, 제1호 [2013]
  • 「생명공학의 도전과 윤리적 대응」
    송상용 『제14회 한국철학자대회보』, 제권, 제14 호, 2001 [2001]
  • 「상황 제시를 이용한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전공의의 인식 조사」
    이영미 『Med Educ』, 제20권 [2008]
  • 「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 적 고찰」
    목광수 『철학』, 제119권 [2014]
  • 「보건의료분야에서의 인공지능기술 (AI) 사용 의도와 태도에 관한 연구」
    김장묵 『융합 정보논문지 (구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)』, 제7권, 제4호 [2017]
  • 「보건의료계열 종사자와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기술에 대한 인식」
    김진동 『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』, 제19권, 제12호 [2019]
  • 「보건의료 종사자와 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,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 인식의 상관관계 연구」
    김진동 김홍수 『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』, 제20권 [2020]
  • 「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윤리적 활용을 위한 방안모색: 동의가 아닌 합의 모델로 의 전환」
    목광수 『한국의료윤리학회지』, 제22권, 제1호 [2019]
  • 「미셸 푸코, 도덕적 주체와 삶의 기술」
    조수경 『한국윤리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』 [2019]
  • 「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」
    송선영 『윤리연구』, 115호 [2017]
  • 「대한의사협회의 의사윤리지침 및 강령 개정」
    김국기 박석건 『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』, 제60권, 제1호 [2017]
  • 「내과전공의 의료윤리 사례집」
    대한내과학회 윤리위원회 『대한내과학회』 [2015]
  • 「기독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관한 연구」
    백성희 『신앙과 학문』, 제19권, 제2호 [2014]
  • 「국내 인공지능 인식 현황 연구」
    문형돈 이정원 『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』 [2018]
  • 「과학기술기반 미래연구사업 Ⅹ」
    최병삼 『조사연구』 [2018]
  • 「개인 맞춤형 의료 AI 적용과 당면과제」
    박종현 『기술정책연구본부, 국가지능화 특집』 [2019]
  • 「간호윤리 교육과 연구의 동향」
    이원희 『간호학탐구』, 제13권, 제1호 [2005]
  • 「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, 도덕적 민감성 및 도덕 판단력에 관한 간호윤리교육의 효과」
    손기철 유명숙 『생명윤리』, 제12권, 제2호 [2012]
  • 「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」
    김명숙 『한국간호교육학회지』, 제21권, 제3호 [2015]
  • 「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: 대구. 경북지 역을 중심으로」
    권선주 계명대학교 대학원, 석사학위논문 [2003]
  • 「간호대학생과 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」
    전현숙 『기본간호학회지』, 제18권, 제3호 [2011]
  • 「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도 비교」
    한성숙 『한국의료윤리학회지』, 제10 권, 제2호 [2007]
  • 「‘의료인’의 의무윤리와 덕윤리의 상보적 이해-펠레그리노 (E. Pellegrino) 의 논의를 중심으로」
    최우석 『한국의료윤리학회지』, 제23권, 제1호 [2020]
  • 「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」
    김상희 김수경 이경화 『한국의료윤리학회지』, 제21권, 제4호 [2018]
  • “헌재, ‘낙태죄 처벌 조항’ 헌법불합치 결정…66년 만에 법 개정”
    아시아투데이. https://www.asiatoday.co.kr/view.php?key=20190411010008387 [2019]
  • “죽음의 길 안내하는 내비게이션은 저승사자”
    서울신문. http://nownews.seoul.co.kr/news/newsView.php?id=20101005 [2010]
  • “존엄사 논란” 뇌종양 투병 뉴욕 한인여성 사망
    동아일보. https://www.donga.com/news/Inter/article/all/20130214 [2013]
  • “인공지능 로봇 소피아, 한복 입고 한국 첫선”
    SBS 뉴스. https://news.sbs.co.kr/news/endPage.do?news_id=N1004598739&plink [2018]
  • “실비로 도수치료 하는 척 성형은 공짜…보험사기 원장 구속”
    메디칼 투데이. http://www.mdtoday.co.kr/mdtoday/index.html?no=339773 [2018]
  • “식약처, 미국 IBM '왓슨 포 온콜로지' 의료기기 아니다...건강보험 적용 불가”
    파이낸셜 뉴스. https://www.fnnews.com/news/20171123 [2017]
  • “내시경 하제 투약 후 환자 사망사건 의사 법정 구속…의 협, 강력 반발”
    Medical World News. http://medicalworldnews.co.kr/news/view.php?idx=1510937610 [2020]
  • “길병원 의사들이 느낀 왓슨의 장단점은?”
    메디포 뉴스. https://blog.naver.com/ceoofpaik/221776560498(2021.06.20 접속) [2020]
  • “금융위, 보험 판매에 AI 음성봇 도입 허용...”
    조선비즈. https://biz.chosun.com/stock/finance/2021/05/16 [2021]
  • ‘테슬라 자율주행차 첫 사망사고...안전성 논란 증폭’
    연합뉴스. 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160701134800009(2021.07 [2016]
  • ‘대량생산 앞둔 인공지능 로봇 소피아’
    MBC뉴스. https://imnews.imbc.com/replay/2021/nwtoday/article/6071300(2021.06 [2021]
  • High-Level Expert Group on Artificial Intelligence, 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I.
    https://digital-strategy.ec.europa.eu/en/library/ethics-guidelines-trustwo rthy-ai(2021.04.01. 접속)
  • Artificial intelligence: The very idea
    Haugeland, J. MIT press [1989]
  • 4차 산업혁명 주요 테마 분석 -관련 산업을 중심으로-
    박승빈 『통계청』, 제10권, 제 2호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