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의식적 반복에 드러나는 색채의 조형성 연구 :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Formativness of the Colors Revealed in the Unconscious Repetitions : Focused on Researcher’s Works

김창희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무의식적 반복에 드러나는 색채의 조형성 연구 :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Formativness of the Colors Revealed in the Unconscious Repetitions : Focused on Researcher’s Work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금속세공술
  • 색채
  • 조형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93 0

0.0%

' 무의식적 반복에 드러나는 색채의 조형성 연구 :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Formativness of the Colors Revealed in the Unconscious Repetitions : Focused on Researcher’s Works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미술사전
    안연희 미진사 [1999]
  • 최승자 역, 『침묵의 세계』
    Max Picard 까치글방 [1993]
  • 차봉희 역, 『점․선․면:회화적인 요소의 분석을 위하여』
    Wassily Kandinsky 열화당 [2004]
  • 정여주 역, 『종교․사회․예술 심리치료에서 본 색의 신비』
    Ingrid Riedel 학지사 [2004]
  • 자크 라캉
    김용수 살림 [2008]
  • 이희숙 역, 『미술과 상징』
    Aniela Jaff 열화당 [1995]
  • 이재만 역, 『색의 힘』
    하랄드 브램 일진사 [2010]
  • 이윤기 역, 『인간과 상징』
    Carl G.Jung 열린책들 [2007]
  • 이영희 역, 『색의 유혹 1』
    Eva Heller 위즈덤하우스 [2002]
  • 이석우 역, 『20세기 미술사』
    Lambert, Rosemary 열화당 [1986]
  • 이상섭 역, 『예술창조의 과정』
    Brewster Ghiselin 연세대학교 출판부 [1964]
  • 이부영 역, 『인간과 상징』
    Carl G.Jung 집문당 [1983]
  • 이경자 역, 『미로, 추상과 기호의 장인』
    Joan Punyet-Miro 시공사 [1999]
  • 융의 심리학과 종교
    김성민 동명사 [1998]
  • 윤희기 역, 『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』
    Sigmund Freud 열린책들 [2004]
  • 유기룡 역, 『콤플렉스·원형·상징』
    Carl G.Jung 경북대학교 출판부 [1986]
  • 오병남 역, 『現象學과 藝術』
    Merleau Ponty 서광사 [1983]
  • 신지영 역, 『도형, 그림의 심리학』
    Riedel, Ingrid 파피에 [2013]
  • 송영진 역, 『철학의 단계적 이해』
    Gourinat, Michel 서광사 [1989]
  • 손효주 역, 『미술사의 이해, 새로운 지평선』
    David Piper 시공사 [1995]
  • 세계미술용어사전
    월간미술 [1999]
  • 설영환 역, 『C. G. 융 무의식 분석』
    Carl G.Jung 선영사 [2014]
  • 분석심리학: C. G. Jung의 인간심성론
    이부영 일조각 [2011]
  • 백상창 역, 『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』
    Rollo May 문예출판사 [2010]
  • 박찬부 역, 『쾌락원칙을 넘어서』
    Sigmund Freud 열린책들 [1997]
  • 박상미 역, 『앤디 워홀 손안에 넣기』
    Richard Polsky 마음산책 [2006]
  • 미술치료의 이해
    정여주 학지사 [2014]
  • 미술치료사가 들려주는 미술의 힘
    박승숙 들녘 [2001]
  • 김춘일 역, 『美術과 視知覺』
    Rudolf Arnheim 미진사 [1995]
  • 김진한 역, 『색채의 영향』
    Faber Biren 시공사 [2003]
  • 김진욱 역, 『미술의 역사』
    Herbert Read 범조사 [1981]
  • 김종주 역, 『라깡의 정신분석 사전』
    Dylan Evans 인간사랑 [2004]
  • 김재은 역, 『예술심리학』
    Rudolf Arnheim 이화여대 출판부 [1995]
  • 김수석 역, 『색채의 예술』
    Johannes Itten 지구문화사 [2008]
  • 김세나 역, 『4색 인간』
    Max Luscher 오르비스 [2020]
  • 김상환 역,차이와 반복
    Gilles Deleuze 민음사 [2004]
  • 김덕영 외 1명 역, 『짐멜의 모더니티 읽기』
    Georg Simmel 새물결 [2005]
  • 권영필 역, 『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』
    Wassily Kandinsky 열화당 [2000]
  • 고해경, 이정규 역, 『내면작업』
    Robert A.Johnson 동연 [2011]
  • 『현대미술의 동향 2』
  • 『한 눈에 읽는 현대철학』
    남경태 황소걸음 [2010]
  • 『추상 미술』
    Bonfand, Alain 김은정 한길사 [2000]
  • 『최신 분노치료』
    류창현 교육과학사 [2009]
  • 『초현실주의』
    신현숙 동아출판사 [1992]
  • 『전환기의 미술』
    오광수 열화당 [1978]
  • 『입체조형, 이론과 실재』
    한석우 미진사 [2001]
  • 『융 심리학 해설』
    설영환 선영사 [2007]
  • 『예술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』
    김진숙 중앙적성출판사 [1996]
  • 『쉽게 쓴 정신분석이론,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』
    최영민 학지사 [2010]
  • 『숭고의 미학』
    안성찬 유로서적 [2004]
  • 『세계미술대사전』
    방근택 아트파크 [1996]
  • 『색채심리학, 몸과 마을을 치유하는 컬러 』
    김선현 이담북스 [2013]
  • 『무의식은 반복이다』
    Juan-David Nasio NUN [2015]
  • 『메를로 뽕띠의 현상학』
    송석랑 문경출판사 [2001]
  • 『만다라를 통한 미술치료』
  • 『디자인의 개념과 응용』
    Cheatham, Frank R 오병권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[1994]
  • 『들뢰즈, 유동의 철학』
    宇野邦一 김동선 그린비 [2008]
  • 『동양미술사학』
    최병식 예서원 [1998]
  • 『독일 표현주의 미술』
    정미희 일지사 [1990]
  • 『20세기 시각 예술』
  • 「현대회화의 장식성에 관한 조형분석과 심리학적 연구」,
    이나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현대 회화에서 성찰의 과정과 실존에 관한 연구」
    김윤경 홍익대학교 대학원, 박사학 위논문 [2019]
  • 「풍선의 遊戱的 이미지를 主題로 한 陶磁造形 硏究」
    이주현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,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「통합세계로서의 초현실주의 회화 연구」
    김은영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, 석사학위논 문 [2002]
  • 「추상미술에서 자아의 消去와 痕迹 연구」
    홍승희 홍익대학교 대학원,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초현실주의 창작과정과 작품에 나타나는 미술치료 요인고찰」
    이은주 원광대학교 대학원, 석사학위논문 [2004]
  • 「창조 활동에 있어서 무의식적인 요소의 관여에 대한연구」
    최경희 부산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[1987]
  • 「준 카네코(Jun Kaneko) 도자색채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- ‘MA(In-between, 間)’ 사상을 중심으로-」
    방창현 한국기초조형학회, 기초조형학연구 제14권 5호 [2013]
  • 「자기치유의 관점에서 본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 세계」
    정현경 미술치료연구 제13 권 제3호
  • 「일상의 미학적 탐구: 예술적 치유의 몸짓들」
    손나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석사학 위논문 [2009]
  • 「에니쉬 카푸어(Anish Kapoor)작품 연구: 재료와 형태 분석을 중심으로」
    최연우 홍익 대학교 대학원,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신화의 형성과 해석에 관한 분석심리학적 연구」
    이유경 홍익대학교 대학원, 박사학 위논문 [2003]
  • 「색면추상과 옵티컬 아트적 요소를 응용한 작품제작 연구」
    유정민 홍익대학교 대학 원,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분석심리학적 관점으로 고찰한 창조신화 - ‘알’의 상징성을 중심으로」
    김진숙 심성연 구 27권1호, 한국분석심리학회 [2012]
  • 「반복행위를 통한 도자 조형 표현 연구」
    심혜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, 석사학위논 문 [2019]
  • 「반복적 행위에 의한 회화적 평면고찰」,
    이주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[1990]
  • 「메타포적 표현을 통한 현대인의 존재성 연구」
    김세진 전남대학교 대학원, 박사학위 논문 [2019]
  • 「Carl Gustav Jung의 개성화 과정을 통해 본 회화 연구」
    백자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Langer, 이승훈 역, 『예술이란 무엇인가』
    Susanne K. 고려원 [199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