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령화 사회를 위한 치유환경으로서의 미술관 연구 : 인천·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museum of art as a healing environment for an aging society : Focusing on private museum in Incheon and Gyeonggi-do

유미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고령화 사회를 위한 치유환경으로서의 미술관 연구 : 인천·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museum of art as a healing environment for an aging society : Focusing on private museum in Incheon and Gyeonggi-do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healing environment
  • an aging society
  • local private museums
  • the aged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7 0

0.0%

' 고령화 사회를 위한 치유환경으로서의 미술관 연구 : 인천·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museum of art as a healing environment for an aging society : Focusing on private museum in Incheon and Gyeonggi-do' 의 참고문헌

  • 회상기법 집단상담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
    배강대 이현림 <상담학연구>, 5(2), 409-421 [2004]
  • 환자중심적 측면에서 본 국내 종합병원 외래 대 기공간의 치유환경 선호도에 관한 연구
    박민수 최상훈 , 제14권 4호, 114-121 [2005]
  • 환경, 치유 그리고 공간.한 국정신사회재활협회 춘계학 술대회 자료집
    채철균 55-73 [2015]
  • 환경 스트레스 관점의 치유환경 디자인요소의 치 유효과 연구 <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>
    박혜경 오지영 37권 5호, 215-226 [2019]
  • 현대 사회에서의 미술관 : 교육기능을 중심으로
    박영미 <조형 연구>, Vol.- No.9. 151-172 [2003]
  • 해양자원을 활용한 의미중심, 마음챙김기반의 집단스 트레스중재프로그램이 중증장애환자 간병가족의 정서, 수면, 삶의 질 및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: 예비연구
    유정아 <정신신체의학>, ol.27, no.2, 191-201 [2019]
  • 한나 아렌트의 공공성 개념과 미술관 공공성 문제 에 대한 비판적 고찰.
    박일호 주명진 <한국기초조형학회>, 13권 6호. 통권 54 호, 415-428 [2012]
  • 한국의 고령화와 박물관⋅미술관 노인교육: 노인 대상 프로그램 및 노인주제 전시 사례 연구
    권지연 박민진 <박물관학보>. 36권, 43-66 [2019]
  • 한국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 연구
    한형수 서울: 청목 [2011]
  • 한국 노인의 사회적 배제 유형
    이석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한국 노인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: 일반노인과 의학적 진 단노인을 기준으로
    송은경 원희랑 <임상미술심리연구>, 87-110 [2018]
  • 평생학습으로서 노인 연극 활동의 의미
    이재민 임지혜 <교육문화 연구>, 23권 6(B)호, 625-643 [2017]
  • 평생교육의 자발적 근력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여성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개선효과
    박석 박재호 채진석 한경숙 <한국 체육과학회지 자연과학편>, 28권 4호, 1239-1249 [2019]
  • 평생교육시스템과 문화예술교육의 연계 방안
    양병찬 (모드니예 술>. Vol.2. No.-.279-296 [2009]
  •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경제력과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: 서울특별시 동작구를 중심으로
    채수일 극동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팝아트 이후, 현대미술의 소통가능성-아도르노와 보드리 야르의 시각에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중 심으로
    유현주 <현대미술학 논문집>, 15(1), 175-210 [2011]
  • 트라우마 치유공간에 관한 연구.
    강철희 원연 <한국실내디자인학 회학술대회논문집>. 통권 제 55호, 45-48 [2016]
  • 치유환경으로서의 어린이병원 계획에 관한 연구
    이병준 홍익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치유환경요소를 이용한 치매노인요양시설 평가 연 구
    이효원 조주영 <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>, 16권 1호, 25-34 [2010]
  • 치유환경발전을 위한 건축계의 역할.
    Antje Monz 한국의료복지 시설학회 국제심포 지엄. 치료환경의 세계적 추이, 58-87 [2002]
  • 치매안심센터 일반 조기검진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 제. <국회입법조사처보>
    원시연 통권 43호, 40-41 [2019]
  • 지역경제조사연구.경기지역 인구 추이 및 시사점
    최보리 한국 은행 경기본부 [2019]
  • 조선회화를 활용한 치유적 미술관 활동의 가능성 탐색: 단원미술관 檀園雅會-200년만의 외출 展에서 김홍도 작품을 중 심으로
    김은진 <한국조형교육학회>, vol.,no.73, 73-102 [2020]
  • 정기간행물실(524호)호 27-52
  •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정책. <한국사회조사연구 소사회연구>
    김경호 통권 7 [2004]
  • 자연환경을 통한 긍정심리학의 구현
    이승훈 <한국심리학회>, 33 권(1호), 51-79 [2014]
  • 의료계에서 본 치유환경의 중요성, 치료환경의 세계적 추 이
    이정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국제심포지엄, 87-89 [2002]
  • 유럽의 고령화 현황과 노년교육의 시사점
    김형수 나항진 <한독 사회과학논총>, 22권 1호, 3-32 [2012]
  • 우리나라 치매노인에 관한 고찰 고령화사회에서 치매발 병 노인의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저출산 고령사회<국가기록 원>
    한숙원 2018년 1월호(통권 113호) [1999]
  • 외국의 고령 사회 대책 추진체계 및 노 인복지 정책 분석
    보건복지부 정책보고서 [2005]
  • 예술이란 무엇인가?.
    Leo Tolstoy 이철(역). (2019) 서울; 범우 [1898]
  • 예술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본 지역문화의 가치향상 을 위한 미술관의 발전전략
    이명아 이소연 <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>, 12, 195-207 [2013]
  • 연구동향 Ⅶ : New Museology-서구 박물관학계의 최근 동향
    양지연 <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>, 제12집, 147 [1999]
  • 실버 세대를 위한 미술관 프로그램 제안
    김수지 박재연 <한국과 학예술융합학회>. 19권, 145-155 [2015]
  • 신박물관학 이후, 박물관과 사회의 관계론
    박소현 <현대미술사 연구>, 제29집 [2011]
  • 스트레스 측정에 의한 치유환경요소로서의 환경색채 연구
    오지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[2019]
  • 숲의 치유기능을 활용한 미술관의 복합 경영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
    유영미 동양예술학회 Vol.49, 177-205 [2020]
  • 소규모 미술관의 전시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
    김영조 김지인 김지혜 <조형미술논문집>, Vol.7 No.1, 35-41 [2007]
  • 소규모 미술관 실내공간의 공간체험 요소에 관 한 연구
    김문덕 최진석 <기초조형학연구>. 제13권 제4호 327-338 [2012]
  • 상호교류와 공존의 미학-90년대 현대 미술을 중심으로
    김성원 .13(2).111-121 [2015]
  • 사회학사전
    고영복 서울: 사회문화연구소 [2000]
  •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미술관에 관한 사회학적 시론
    김동일 <미 학 예술학 연구>, 25권, 361-386 [2007]
  • 사회적 배제 경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
    강현정 김윤정 <한국 가족관계학회지>, 14권 4호, 333-358 [2010]
  •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미술관 : 다변화시대의 교육적 역 할을 중심으로
    강보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사립미술관협회의 미술관진흥을 위한노력과 전망에 관한 토론
    양현미 제21회 박물관학회. Vol.- No.16, pp180-181 [2009]
  • 사립미술관의 현실과 과제
    박선주 <한국박물관학회博物館學 報>, 25권 [2013]
  • 사립미술관의 공적 문화가치와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- 천 안리각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
    이정만 <문화경제연구>, 15권 1호, 95-114 [2012]
  • 병원사 특집 “병원의 기원과 공간변화”를 발간하 며
    의사회편집부 26권 1호, 1-2 [2017]
  • 변화하는 문화환경과 미술관의 공공성 문제: 전시기획을 중심으로
    조선령 <현대미술사연구>, 22권, 199-232 [2007]
  •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정책 우선순위 분석
    최숙희 <한양고령사 회포럼> 1(): 21-59 [2011]
  • 박물관과 미술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
    양지연 <예술경영연구>, 40집, 238-239 [2016]
  • 박물관 .3.0: 예술소비에서 생산의 기지로 ‘창작자로서의 관람객 연구
    권민영 [2016]
  • 미술치료의 이해
    정여주 서울:학지사 [2003]
  • 미술관의 공간역할과 의사소통행위의 타당성에 관 한연구. <한국공간디자인학회>, 14권 7호
    박상일 이근우 통권 61호, 233-244 [2019]
  • 미술관교육을 통한 미술관의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공공성 실천에 대한 연구 :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
    조장은 <박물 관교육>, Vol.1 No [2017]
  • 미술관과 고령화 사회 : 환기미술관의 치매노인교육 사례 연구.<한국문화교육학회>
    김예진 학술대회 자료집. 21-32 [2015]
  • 미술관 미술치료: 융합과 협업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미술 치료연구. <Korean Journal of Art Therapy>
    임성윤 23권 2호 (통권 83호), 429-445 [2016]
  • 미술관 관람객연구의 성과와 과제; 20세기 이후 미국의 연구를 중심으로 <예술경영연구>
    양지연 제3집 한국예술경영학회, 33 [2001]
  •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
    박휘락 서울: 시공사 [2003]
  • 뮤지엄과 대중참여: 크라우드소싱 기반 전시기획의 실천과 전 망
    양지연 문화예술교육연구 Vol.13 No.4, 75-92 [2018]
  • 문화센터 평생교육 참여 여성노인의 대인관계가 주 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
    신민주 주용국 <인문학논총>. 제43집, 285-300 [2017]
  • 도시민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연기반 치유회복환경의 회 복경험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– 주의회복이 론을 중심으로 -
    김진옥 <관광학연구>, 42(7): 51-70 [2018]
  • 도서관 공간의 치유적 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<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>. vol.10,no.5
    김윤정 노영희 통권 36호, 1373-1388 [2019]
  • 노인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-서울 시립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
    송효주 최상헌 <한국의료복지 건축학회>, 15권3호, 31-39 [2019]
  • 노인의 평생교육활동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
    문재우 안화순 <한국콘텐츠학회>. Vol.18 No.5, pp.592-599 [2018]
  •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의 조절효과
    장경미 조아랑 현영섭 <한국노년학>, 39권 4호, 679 [2019]
  •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영향
    김귀봉 박주영 <국민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논집>, 19권, 3-39 [2000]
  •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를 통한 맞춤형 노인복 지정책 추진방안: 도농복합 아산시를 중심으로
    전병관 <한국사회복지학 회>, 4호, 230-232 [2006]
  •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이에 따른 케어복지적 함 의
    김은이 노병일 <대한케어복지학회>, 7권, 5-19 [2007]
  • 노인의 사회 참여 확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구- 공 익을 넘어 공존으로
    손희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노인복지론
    권중돈  서울:학지사 [2012]
  • 노인복지론
  • 노인교육이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: 대전지 역 유성구 중심으로
    김인자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[2012]
  • 노년사회학
    김수영 오선희 원영희 최희경 서 울 : 학 지 사 [2009]
  • 노년기 사회적 배제
    강현정 한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국내 사립미술관 운형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 구
    최명식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공공성의 유형화
    임의영 <한국행정학보>. 44권 2호 2010, 2-3 [2010]
  • 공감각적 색채 체험을 통한 색채 감수성 신장 방 안
    류재만 이예진 <미술교육연구논총>, Vol.63, 205-233 [2020]
  • 고령화시대의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: 프랑스, 독일, 영국 의 노년 교육정책 및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
    성연옥 <경영컨설팅리 뷰>, 3권 2호 [2012]
  • 고령화시대에 있어 신경과학적 요소와 치유환경구축
    노지화 <인문사회과학연구>, vol.19, no.2, 113-136 [2018]
  • 고령화시대에 대응하는 서울형 지역사회전략 정책 토론회 서울노인의 동네생활 들여다보기
  • 고령화사회 노인의 사회참여활성화방안 저출산 및 인구고령화 대응 연구 일 가족 양립 정책의 활성화 방 안 연구
  • 고령화사 회를 고려한 중장기 산업구조 전망.
    김바우 김재진 민성환 이용호 이진면 정윤선 한정민 <한국보건사회연구원>. 정기간행물실(524호)호, 27-52 [2012]
  • 고령화 관련 국제행동계획과 노인을 위한 유엔 원 칙
  • 『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』
    김욱동 서울: 문학과 지성사 [1990]
  • “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”
    이혜경 <노인복지연구>, 46권, 315-336 [2009]
  • Topophilia :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, attitudes, and values.
    Yi-Fu Tuan 이옥진 (역). (2011) <토포필 리아: 환경 지각, 태도, 가치의 연구>. 서울; 에코리브로 [1990]
  • The handbook for museums.
    David, D. Gary, E , (이보아 (역). (2001), < 21세기 박물관 경영>. 서울: 시공사 [1996]
  •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.
    Freud, S 박성수 (역). (1997). <정신분석 운동>. 서울: 열린책 들 [1925]
  • Parcitipatory Museum.
    Simon. N. 이홍관, 안대웅 (역). (2015). <참여적 박물관>. 서울; 연암서가 [2010]
  • Museum strategy and marketing.
    N. Kotler P. Kotler 한종훈 외(역) (2005). <박물관 미술관학>. 서울: 전영사 [1998]
  • Medicine a history of healing.
    Poter, R 여인석(역). (2009). <의 학. 놀라운 치유의 역사: 고대의학에서 현대의학까지 동양의학에 서 서양의학까지 놀라운 치유의 역사> [2009]
  • Loving with the brain in mind :neurobiology and couple therapy.
    Fishbane, M 박수룡 외(역). (2019). <커플상담과 신경생물 학>. 서울; 학지사 [2013]
  • Languages of Art.
    Goodman, N 김혜숙 외 (역). (2002). <예술 의 언어들>. 서울: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[1968]
  • La Distinction : Critique sociale du jugement.. 최종철(역). (1995), <구별짓기:문화와 취향의 사회학>
    Bourdieu, P. 서울; 새물결 [1978]
  •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, 세계박물관협회 엮음, 하태환 옮김
    <박물관과 미술관의 새로운 경영> [2001]
  • Education through art. 황향숙 외 4인 (역). (2007). <예술을 통한 교육>
    Read, H. 서울: 학지사 [1958]
  • Counter clock wise.
    Ellen, L , 변용란 (역). (2011), <마음의 시 계>. 서울: 사이언스북스 [2009]
  • Color & Human Reponse .
    Birren, F 김진환(역).(1996). <색채 의 영향>. 서울: 시공사 [1978]
  • Briefe uber die a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.
    Schiller. F. 안인희 (역). (2012) <미학편지- 인간의 미적 교육 에 관한 실러의 미학이론>. 서울: 휴머니스트 [1793]
  • <老人노인-오랜 경험 깊은 지혜>
    국립민속박물관 서울:국립민속박물관 [2016]
  • <황혼의 반란>
    EBS 황혼의 반란 제작진 서울;비타박스 [2014]
  • <환경심리학>.
    Paul Bell 이진환 외(역). 서울: 시그마프레스 [2004]
  • <환경심리․행태>」
    임승빈 서울: 보성문화사 [2001]
  • <현대의 박물관 거니축에 관한 계획학적 연구>
    서상우 홍익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1988]
  • <현대사회와 문화예술- 그 아름다운 공진화>
    이홍재 서울: 푸른길 [2012]
  • <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>
    권택영 서울:문예출판사 [1991]
  • <포스트모더니즘 철학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>
    윤평중 서울: 서광사 [1992]
  • <치유환경의 숲 체험시설과 전원교회의 연계 계획 연 구>
    이형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<치유환경 평가를 통한 여성전문 병원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>
    박승환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7]
  • <치유환경 기반 공공디자인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- 평가 요소를 통한 체크리스트를 중심으로>
    임종훈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[2016]
  • <치매노인요양시설의 치유환경에 평가도구개발에 관한 연구>
    조주영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<초고령화사회를 대비한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연구>
    박정현 대 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<지역경제조사연구, 인천지역 인구유출입 변동의 특성과 시사점>
    지민웅 한국은행 [2018]
  • <전시 A to Z>
    강희수 김용주 서울: 문음사 [2017]
  • <인구인구고령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>
    원유경 부산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
  • <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미래 문화수요 분석 및 대응 방안>
    류정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[2007]
  • <의미치료 기반 노인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: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을 중심으로>
    도지화 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[2019]
  • <아무것도 하지 않는 행복 휴>
    오원식 서울; 인물과 사상사 [2014]
  • <실버산업을 잡아라>
    유기상 서울: 글사랑 [1997]
  • <신의 정원> 나의 천국」
    고정희 고양: 나무도시 [2001]
  • <습식 수채화를 활용한 색채 감수성 지도방안 연구>
    홍미랑 한 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<수용미학 관점의 명화감상을 통한 우울증 청소년의 상 담 및 심리치료 가능성 탐색 : Ren Magritte의 작품을 중심 으로>
    박정선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<소진을 보고하는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>
    김은진 서울여자대 학교 특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<소규모 미술관의 공간구성 계획에 관한 연구>
    소병근 전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[2006]
  • <사회적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병동부 공용공간의 건축 계획 연구>
    손지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<사립미술관 재원 조성 활성화 방안 연구>
    남윤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<박물관의 문화 복지서비스>
    윤병화 서울: 예문사 [2014]
  • <미술교육, 사회와 만나다>
    김형숙 경기: 교육과학사 [2010]
  • <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탐색>
    김은진 한국콘텐츠학 회.vol. 0,No.73 56-65 [2015]
  • <미술관의 시니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>
    권은용 성균관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<미술관에서 미술감상이 성인의 스트레스와 회복 탄력성 에 미치는 영향>
    이수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<미술관과 소통>
    김형숙 서울:예경 [2001]
  • <미술관 전시공간의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 상관성 분 석>
    이규황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<미술관 설립 및 활동의 역사에 대한 연구>
    최태만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1990]
  • <미술관 미술치료의 정서 함양 효과 연구>
    고신영 이화여자대학 교 디자인대학원 석사사학위논문 [2014]
  • <미술관 기능의 확장을 통한 놀이체험 공간에 관한 연 구>
    김보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<문화예술경영 이론과 실제>
    박신의 서울: 생각의 나무 [2002]
  • <문화마케팅의 부상과 성공전>」
    심상민 삼성경제연구소 [2002]
  • <몸과 인문학>
    고미숙 서울: 북드라망 [2013]
  • <노인의 주거환경 만족이 자원봉사활동참여동기에미치는 영향 :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>
    이승권 연세대학교 행정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<노인의 신체 심리 사회 건강변화를 한 실버스트칭 프 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>
    임란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논문 [2007]
  • <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공원 및 보행 환경 개선방안>
    박영은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<노인연구>
    서병숙 서울: 교문사 [1994]
  • <노인문화예술프로그램 방안연구. 정책 과제>
   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서울: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. 49-50 [2006]
  • <노인 복지론>
    권육상 서울: 유풍출판사 [2009]
  • <근거중심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미술치료에 대한 메타 분석 >
    임영아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<그림 없는 미술관>
    심상용 서울: 이룸 [2000]
  • <그림 속에 있는 미술치료>
    전영신 서울: 21세기사 [2003]
  • <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연구: 한국 프랑스 영국 미국 독일 호주 일본>
  • <공간구문론적 해석에 의한 미술관 공간구성 유형에 관 한 연구>
    이성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08]
  • <공간 체험 요소와 공간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한 소규모 미술관의 실내공간 활성화 방안>
    최진석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<고령화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및 발전 방안 연구 지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>
    정다영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<건축제법규>
    장동찬 서울: 기문당 [2010]
  • <개인과 지역사회의 웰빙(wellbeing)을 위한 예술. 플로리 다예술과 웰빙지표 프로젝트 보고서 분석>
    연수현 예술경영웹진. 458호 [2020]
  • <USA사립미술공간연대의지향점>,미술세계 2005
    양지연 9월호 [2005]
  • <Art therapy>.
    캐시A. Machiodi 김진연 최재영 역. 서울:조형교 육 [2021]
  • 4일간의 미술관 치유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
    최명신 <미술교 육연구총론>, Vol. 52, 353-378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