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인의 성인기 부모상실 경험에 대한 심상개입의 효과: 심상재각본을 중심으로 = Imagery treatment effects on Parental Bereavement experienced in Adulthood: by Imagery Rescripting

박순조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한국인의 성인기 부모상실 경험에 대한 심상개입의 효과: 심상재각본을 중심으로 = Imagery treatment effects on Parental Bereavement experienced in Adulthood: by Imagery Rescripting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복합비탄정서
  • 성인기 부모상실
  • 실험 연구
  • 심상재각본
  • 인지적 정서조절전략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80 0

0.0%

' 한국인의 성인기 부모상실 경험에 대한 심상개입의 효과: 심상재각본을 중심으로 = Imagery treatment effects on Parental Bereavement experienced in Adulthood: by Imagery Rescripting' 의 참고문헌

  •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-가족적, 사회적 요인 을 중심으로
    김오남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, 43(1), 129-144 [2005]
  • 한국판 지속비애 척도의 타당화 연구
    강현숙 이동훈 한국심리학 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9(4), 1027-1052 [2017]
  •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
    김은정 이민규 이현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, 22(4), 935-946 [2003]
  •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(K-CERQ)의 타당 화
    안현의 이나빈 주혜선 상담학연구, 14(3), 1773-1794 [2013]
  •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: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
    김의철 박영신 서울: 교육과학사 [2004]
  • 한국의 부모 자녀관계와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과 과제
    현정환 한 국보육학회지, 7(1), 95-110 [2007]
  • 한국과 독일 성인의 애착유형에 대한 비교연구
    임정선 한국심리 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19(2), 239-254 [2007]
  • 한국 청소년과 미국 청소년의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 비 교
    주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, 28(6), 125-142 [2010]
  • 편모가족의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가족자원 및 심리적 적응
    서동인 정현숙 아동학회지, 18(2), 163-176 [1997]
  • 치료적 관계 안에서의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
    김영근 인간 환경 미래, (17), 111-142 [2016]
  • 청소년기에 어머니와 사별한 한국성인 여성의 애도과정 과 심리적 성장경험에 관한 질적연구
    이혜지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집단 부모-자녀 상호작용 치료 프로그램 효과: 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 대상
    백지은 한국놀이치료학회지: 놀이치료연구, 15(1), 93-110 [2012]
  • 중년 여성의 극복력, 희망, 부부친밀감 및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
    구본진 정신간호학회지, 17(4), 421-430 [2008]
  • 정서중심 심리상담에서 정서 이면욕구 확인의 치료적 효과
    이화실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정서억제와 주관적 안녕감: 문화 비교 연구
    서은국 이은경 한국 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 23(1), 131-146 [2009]
  • 자살유가족지원 현황과 과제
    박혜선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, 159-173 [2015]
  • 인지행동치료에서 심상의 활용
    권정혜 성기혜 손영미 조영은 인지행동치료, 16(4), 423-444 [2016]
  • 인지적정서조절전략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의 심리 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: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
    이자영 대구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유족의 사별애도 상담과 치료
    J. William.Worden (이범수 역, 2007).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. 서울: 도서출판 해조 음 [2002]
  • 유사외상 상황에서 양측성 안구운동, 심상노출 및 심상재 각본이 침습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
    최윤경 인지행동치료, 14(2), 165-190 [2014]
  • 요양시설에서 부모를 사별한 베이비붐 세대 자녀들의 체 험 연구
    강영미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치료적 개입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
    김혜리 하늘 현명호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5(2), 417-441 [2020]
  •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자녀양육방법
    조성연 한국생활과 학회지, 12(5), 579-593 [2003]
  • 애도 회피에 따른 침투적 반추가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 및 자기노출의 역할
    강영신 조선화 한국심리학회 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7(3), 641-663 [2015]
  • 심상재구성 훈련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
    김형백 조현주 청소 년학연구. 25(2), 277-306 [2018]
  • 심상재각본 집단프로그램이 사건충격과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
    엄재승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심상재각본 집단 프로그램이 우울증상 감소에 미치 는 영향: 자존감, 자기평가불일치, 자기자비 변화를 중심으로
    박재우 서안 한국 심리치료학회지, 11, 15-32 [2019]
  • 심상 초점 해석 편향 수정이 우울 및 긍정적 사고에 미 치는 영향
    박하승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실존주의 상담에서의 죽음의 의미와 상담교육적 기능 에 관한 연구
    김대동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4]
  •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언어 및 심상 처리과정이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
    신예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3]
  • 수용개작을 활용한 간호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 검증
    박경희 건 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성폭력과 가족: 가족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개입-해바라 기센터 사례를 중심으로
    박혜영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, 2019(2), 59-85 [2019]
  • 성인자녀의 부모 사별 경험에 대한 연구
    공수연 양성은 한국생 활과학회지, 20(5), 885-896 [2011]
  • 성인 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 부적응 연구
    박인아 연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[2007]
  •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
    안현의 상담학연구, 14(1), 323-341 [2013]
  • 상담학의 연구 동향 분석:[상담학 연구]학회지 게재논문(창간년도~2009)
    장선철 조남정 최은미 최희진 상담학연구, 11(2), 507-524 [2010]
  •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이 자기수용, 관계맺음동기 및 부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: 모의상담 상황에서
    고유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상담심리학 연구: 주제론과 방법론
    김계현 서울: 학지사 [2000]
  • 상담과정에서 정서의 활성화 및 반복적 수용의 역할
    김영근 서 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노출 및 비디오 피드백과 이미지 재구성법의 효과 비교 예비 연구
    권정혜 안정광 인지행동치료, 19(1), 59-87 [2019]
  • 사회불안을 위한 이미지 재구성 치료가 부정적인 자기심상, 암묵적 자기존중감,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
    권정혜 박성혁 최윤영 인지행동치료, 17(3), 393-417 [2017]
  • 사회불안 성향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심상재구성의 효 과
    오송인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3]
  • 사회불안 성향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단일 회 기 심상재구성의 치료효과: 인지재구성과 심상재구성이 결합된 집 단과 심상재구성 단독 집단 비교
    김은정 오송인 인지행동치료, 18(3), 335-354 [2018]
  • 사별자 치유를 위한 목회 신학적 연구 : 애도상담을 중심 으로
    최병찬 한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사별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
    이윤주 이현지 조계화 상담학 연구, 8(3), 839-857 [2007]
  • 사별 애도를 위한 영적 돌봄과 의미 만들기 이론 - 자 녀를 잃은 부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-
    윤득형 신학과 실천, 53, 411-438 [2017]
  • 비행청소년의 부모상실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 구
    김영근 황종인 청소년상담연구, 26(2), 317-339 [2018]
  •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의 매개효과
    서수균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23(4), 901-919 [2011]
  • 부자유친성정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연구
    이장주 최상진 한국심 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 17(3), 87-104 [2003]
  • 부모상실의 트라우마에 대한 트라우마가족치료 사례연구
    최광현 가족과 가족치료, 17, 23-41 [2009]
  • 부모를 자살로 상실한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
    서청희 이성규 한국청소년연구, 30(4), 97-129 [2019]
  • 부모 사별에 따른 대학생의 상실경험 연구
    양성은 한국가정관리 학회지, 26(5), 39-49 [2008]
  • 복합 PTSD 위험군의 외상 기억 처리과정에서 지시적 심상화의 자가치료 효과.
    이정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전문성 인식에 따른 영 아의 애착안정성 연구
    김상희 윤혜영 실천유아교육, 15, 83-103 [2010]
  • 변량분석과 회귀분석
    박광배 서울: 학지사 [2003]
  • 미래에 대한 심상적 처리가 즐거움 경험과 무쾌감성 우 울에 미치는 영향
    민혜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문학과 영화에서의 예술성과 표현양식의 상관성
    오세정 프랑스 어문교육, 27, 395-416 [2008]
  • 모든 상실에 대한 치유, 애도(최혜란 역, 1970)
    Switzer, D. K. 서울: 학지사 [2011]
  • 대상관계이론의 핵심개념
    김창대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 집, 2002(1), 125-131 [2002]
  •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
    최영민 서울: 학지사 [2010]
  •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
    김은경 한국가정관리학회지, 20(4), 27-36 [2002]
  • 내외과 중환자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중재 프로토콜 개발
    윤혜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무과부하와 직무소진의 관계: 일-가 정 상호관계의 매개효과와 일-가정 자원의 조절효과 분석
    김은주 충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기본 정서를 유도하는 영상의 선정과 정서의 체 계적 이해를 위한 탐구
    이승조 최남도 한국방송학보, 23(3), 205-246 [2009]
  • 긍정정서경험에 대한 정서처리방식 효과 비교 ; 언어분석 집단과 심상회상집단
    성진영 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긍정 및 부정 심상화 능력과 우울의 관계: 심상 개입의 효과
    임형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고려대학교얼굴표정모음집(KUFEC)과 의 미미분법을 통한 정서차원평정
    김민우 조양석 최준식 한국심리학회지 : 일반, 30(4), 1189-1211 [2011]
  • 경제용어사전. 한국경제신문/한경닷컴, 접속일
    한경 21년 1월 12 일 [2016]
  • 간호 인수인계 표준화 프로토콜의 개발 및 평가
    형진주 서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간이정신진단검사
   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서울: 중앙적성연구소 [1984]
  •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부양만족도와 부양부담 도
    김태현 한은주 한국노년학, 95-116 [1994]
  • 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
    김상돈 김혜영 박선애 서울:여성정책연구원 [2012]
  • 가족 사별 후의 슬픔 경험, 가족의 강인성 및 관리자원과 의 관계
    전미영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, 30(6), 1569-1579 [2000]
  • 『한국인의 심리학』
    최상진 서울: 학지사 [2011]
  • SPSS22매뉴얼
    이학식 임지훈 서울: 집현재 [2015]
  • AMOS 18. 구조방정식모형 분석
    김계수 서울: 한나래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