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기시나위의 역사적 전개와 음악적 특징 :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= Historical Tradition Transmiss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Sinawi

김재영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경기시나위의 역사적 전개와 음악적 특징 :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= Historical Tradition Transmiss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Sinawi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경기도당굿
  • 경기시나위
  • 경토리
  • 농음
  • 무속음악
  • 시김새
  • 시나위
  • 육자배기토리
  • 제2 꺾는 음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06 0

0.0%

' 경기시나위의 역사적 전개와 음악적 특징 :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= Historical Tradition Transmiss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Sinawi' 의 참고문헌

  • 「한국무의식의 음악」 『한국무속의 종합적 고찰』
    김인회 고려대학교 민 족문화연구원 [1982]
  • 「지영희 무속장단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」 한국무속학 제36권
    목진호 한 국무속학회 [2018]
  • 「인간문화재 이충선의 음악세계」 한국음악사학보 제22집
    윤명원 한국음 악사학회 [1998]
  • 「이충선류 대금산조 연구:진양조를 중심으로」 한국전통음악학 제 6호
    이상규 한국전통음악학회 [2005]
  • 「이충선 대금산조 연구」
    정소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악사 이충선의 활동상과 예술세계」
    이아령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[2017]
  • 「시나위의 새로운 정의 시론」 한국음악사학보 제27집
    이진원 서울:한국 음악사학회 [2001]
  • 「시나위의 명칭 배경과 음악적 조건」
    최태현 한국음악사학보 제35권. 한 국음악사학회 [2005]
  • 「시나위권의 무속음악」 문화인류학 제4집
    이보형 서울:한국문화인류학 회 [1971]
  • 「시나위 청」 한국음악연구 제8․9집
    이보형 한국국악학회 [1979]
  • 「시나위 및 남도무악의 보편성과 특수성」 상반기 국악학전국 대회, 한국국악학회
    이보형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, 2003 [2003]
  • 「경기시나위의 선율법에 관한 연구」
    최인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[1980]
  • 「경기시나위와 남도시나위의 비교연구」
    박신영 최태현 『음악과 문화』 제22 호. 세계음악학회 [2010]
  • 「경기시나위에 관한 연구:방돌근의 피리선율을 중심으로」
    조광희 수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1]
  • 「경기 도당굿의 지역성 고찰」 로컬리티 인문학10
    목진호 부산대학교 한 국민족문화연구소 [2013]
  • 「경기 대풍류 삼현도드리에 관한 연구: 이충선 해금 가락 중심으로 」
    임관하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韓國巫儀式의 音樂」, 韓國巫俗의 綜合的 考察 제4권
    이보형 고려대학 교 민족문화연구소 [1982]
  • 「1930년대 한성준의 음악활동 재조명」, 근대 한국춤의 전통과 신 무용의 창조적 계승
    송방송 서울: 민속원 [2009]
  • 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: 경기도 도당굿 19
    김헌선 서울: 국립문화재연구 소 [1999]
  • 시나위: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85호
    유기룡 이보형 서울: 문화재관리 국 [1971]
  • 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21호: 安城巫俗(경기시나위춤)
    심우성 이보형 문화재관리국 [1976]
  • 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186호: 경기도 도당굿
    이두현 이보형 정병호 문화재관리국 [1990]
  • 경기음악 2
    노동은 평택: 경기도문화원연합회 [2013]
  • 경기음악 1
    노동은 서울: 민속원 [2012]
  • 池瑛熙民俗音樂硏究資料集
    성금연 서울:民俗苑 [2000]
  • ‘시나위’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95호
    이보형 서울: 문화재관 리국 [1971]
  • 허용업(피리: 허용업), 2011년 6월5일 공연실황
    한국문화의집, 코우스
  • 한성준의 음악활동 연구
    김유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한성준(피리: 한성준), 1932년 11월 4일 일본 콜럼비아 음반회사가 제작한 피리 시나위 유성기음반 Columbia 40393-B(21661)의 자료
    복사 본 녹음으로 국악음반박물관에 소장.(유성기음반(SP) 관리번호 MISP-1220).
  • 최경만(피리: 최경만), 경기시나위 한국음악선집 제32집. 2009년 11월 녹음 피리: 최경만, 대금: 이철주, 해금: 김영재, 장구: 박영진, 징: 강형 수).
  • 지영희류 해금산조 경기시나위가락과 경드름가락에 관한 음악형 태 연구
    이태은 세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지영희(피리: 지영희), 지영희 희귀 민속음악 음반. 2014년 평택시에서 발 행. 국악음반박물관 기획으로 제작된 지영희 명인 고음원 복각 음 반이다.
    (발행번호 TOPCD-160). [2014]
  • 장영근(피리: 장영근), 경기도당굿 피리시나위, 2014년 10월 수원시 인계동 보존회 사무실에서 녹음(장영근 제공)
    [2014]
  • 이충선(피리: 이충선),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<소장음원 자료시리즈 01> 이충선 기악곡집3에 수록된 도살푸리 음원.
  • 시사신문
    http://www.ptsisa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047 [2019]
  • 시나위와 '사뇌(詞腦)'에 대(對)한 고찰(考察)
    이혜구 국어국문학 제8 호 [1953]
  • 방돌근(피리: 방돌근). 2000년 5월 수원시 매교동 오수복 자택에서 녹화된 피리 시나위 음원(장영근 제공)
    [2000]
  • 기획특집 : 평택의 전통예인-15
    박성복 『평택시사신문』, (평택: 평택
  •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<소장음원자료 시리즈 25>
    경기시나위 합주 (피리: 이일선, 대금: 김광식, 해금: 이달선. 장구: 지갑 성)
  • 경기시나위 도살풀이춤의 원형성과 예술성 연구
    정선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詞腦歌의 性格 및 起源에 대한 고찰:페르시아系 시가의 영향에 대 한 탐색을 중심으로 하여
    성오경 진단학보 제104호 진단학회 [2007]
  • 『화성의 얼 Ⅳ 화성군의 무속』
    하주성 화성: 화성문화사 [1999]
  • 『한국의 전통무용』
    정병호 서울: 집문당 [1999]
  • 『한국의 굿 20: 서울 진오기굿』
    이보형 조흥윤 서울: 열화당 [1993]
  • 『한국음악교육론』
    노동은 한국음악연구소 [2008]
  • 『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』
    유동식 서울: 연세대학교 출판부 [1975]
  • 『한국근대음악사 1』
    노동은 파주: 한길사 [1995]
  • 『우리 고대의 무속사상과 가요』
    허영순 서울: 세종출판사 [2007]
  • 『경기도의 굿』
    하주성 수원: 경기문화재단 [2000]
  • 『경기도도당굿 전수교재 기초편』
    김헌선 경기도도당굿보존회 [2008]
  • 『경기도 도당굿 무가』
    하주성 수원: 경기문화재단 [1999]
  • 『개정 국악의 이해』
    주영위 대구: 정문사 [2007]
  • 「한성준 피리시나위 선율구조에 관한 연구」
    윤형욱 한국예술종합학교 전 통예술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한국민속신앙사전」
    김헌선 도당무제, 『한국민속대백과사전』, 국립민속박 물관 [2009]
  • 「한국 음악미의 연구」
    한명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지영희류 해금산조 경기시나위 선율과 리듬 비교 연구:중중모리와 도살풀이를 중심으로」
    김서하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지영희, 임선문 해금경기시나위 비교분석: 도살풀이, 도살풀이모리 장단을 중심으로」
    최태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임선문 해금연주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:심방곡, 시나위, 산조 를 중심으로」
    이자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월명사의 신분과 향가작품의 관계」
    나경수 『한국언어문학』 제33집, 미래 기획 [1994]
  • 「어학적으로 고찰한 우리 시가 원리」
    이 탁 『국어학논고』. 정음사 [1958]
  • 「신라가요연구 논고」
    조지훈 『향가여요연구』, 이우출판사 [1985]
  • 「시나위의 성격과 전개양상」
    김문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시나위 청의 개념과 활용:전라도 굿 음악을 중심으로」
    김미영 『예술논집』 제12호,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[2012]
  • 「시나위 선율에 관한 연구: 대금과 아쟁의 선율을 중심으로」
    금용웅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성금연 가야금시나위 연구:<봉장취 도살풀이>를 중심으로」
    이선민 한국 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살푸리와 도살푸리와 동살푸리의 비교」
    이보형 『민족음악학』 제2집, 서울 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[1978]
  • 「산조 발생론 검토:시나위 발생론ㆍ봉장취 발생론ㆍ판소리 기악화 론 재론」
    권도희 『한국음악연구』, 한국국악학회 [2018]
  • 「근대 서울삼현육각의 전개와 서울새남굿의 삼현육각」
    임혜정 『한국음악연 구』 제59호, 한국국악학회 [2016]
  • 「경기지역 피리시나위 연구」
    민경아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경기시나위의 음악어법 연구:지영희 해금독주 시나위가락을 중심 으로」
    김 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경기시나위와 남도시나위 비교분석 연구」
    강주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경기도당굿 오씨 무계의 활동상과 예술세계」
    이효녕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경기도 동막도당굿의 총체적 연구」
    김헌선 『한국무속학』 제28집, 한국무 속학회 [2014]
  • 「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 연구」
    김헌선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[1992]
  • 「경기 도당굿의 ‘화랭이’연구」
    목진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合奏 神房曲 신아위 선율분석」
    이정석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 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20세기 후반기 시나위의 현장 조사와 음악이론의 성립」
    최선아 『공연문 화 연구』 Vol.34. 한국공연문화학회 [2017]
  • 20세기 시나위 피리가락에 관한 소고(小考)-경기․충청지역 삼현육 각 연주자를 중심으로
    진윤경 국악원논문집」 제35집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