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 후기 여성 ‘효(孝)·열(烈) 서사’ 연구 : 18·19세기 작품의 탈이념적 양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Women’s Filial Piety and Chastity Narrative in the late Chosun Dynasty : Focusing on the post-ideological aspect and meaning of the 18th,19th century literature

임이랑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조선 후기 여성 ‘효(孝)·열(烈) 서사’ 연구 : 18·19세기 작품의 탈이념적 양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Women’s Filial Piety and Chastity Narrative in the late Chosun Dynasty : Focusing on the post-ideological aspect and meaning of the 18th,19th century literature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filialpietyandchastity
  • folk tale
  • jeon
  • post-ideological aspect
  • women’s narrative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18 0

0.0%

' 조선 후기 여성 ‘효(孝)·열(烈) 서사’ 연구 : 18·19세기 작품의 탈이념적 양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Women’s Filial Piety and Chastity Narrative in the late Chosun Dynasty : Focusing on the post-ideological aspect and meaning of the 18th,19th century literature' 의 참고문헌

  • 「여성 영웅 소설의 서사와 이념 연구」
    최지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[2015]
  • 한국사DB(조선왕조실록/비변사등록/삼국사기/고려사)
  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, 한어대사전, 중국역대인명사전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DB
  • 한국고전종합DB(한국고전번역원
  • 이수칙(李守則)」
  • 열녀의 탄생
    강명관 돌베개 [2009]
  • 譯, 『사기열전(1)』
    김원중 사마천 민음사 [2019]
  • 『한국의 열녀전』
    김경미 월인 [2002]
  • 『한국의 역사상』
    이우성 창작과비평사 [1982]
  • 『한국구전설화(1)~(10)』
    임석재 평민사, ~1993 [1987]
  • 『한국 고전 인물전 연구』
    박희병 한길사 [1993]
  • 『학포헌집(學圃軒集)』
    서경창(徐慶昌) 「영남효열부전(嶺南孝烈婦 傳)」
  • 『파수록(罷睡錄)』
    작자미상 「효부감호(孝婦感虎)」
  • 『초사담헌(草榭談獻)』
    성해응(成海應) 「경운궁 궁인(慶運宮宮人),
  • 『청구야담(靑邱野談)』
    시귀선 이월영 한국문화사 [1995]
  • 『조선후기 전(傳) 문학 연구』
    이동근 태학사 [1991]
  • 『조선의 마지막 문장』
    송희준 글항아리 [2011]
  • 『조선시대의 열녀담론』
  • 『조선 평민 열전』
    허경진 알마 [2014]
  • 『전(傳), 불후로 남다』
    안세현 한국고전번역원 [2018]
  • 『자오록초(自娛錄抄)』
    임상정(林象鼎) 「박효랑전(朴孝娘傳)」
  • 『이향견문록』
  • 『이옥전집(1)~(4)』
   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휴머니스트 [2009]
  • 『위항쇄문(委巷鎖聞)』
    신광현(神光縣) 「안협효부(安峽孝婦)」
  • 『연암집(燕巖集)』
    박지원(朴趾源) 「열녀함양박씨전(烈女咸陽朴氏 傳)」
  • 『연암소설연구』
    이가원 을유문화사 [1965]
  • 『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』
    손혜리 이성민 사람의무늬 [2015]
  • 『여유당전서(與猶堂全書)』
    정약용(丁若鏞) 「열부론(烈婦論)」
  • 『삽교집(霅橋集)』
    안석경(安錫儆) 「박효랑전(朴孝娘傳)」
  • 『삽교만록(霅橋漫錄)』
    안석경(安錫儆) 「검녀(劍女)」
  • 『삼국유사(三國遺事)』
    이재호 [1997]
  • 『명미당집(明美堂集)』
    이건창(李建昌) 「이수칙전(李守則傳)」
  • 『동아시아 고대의 여성 사상』
    이숙인 여이연 [2006]
  • 『도곡집(陶谷集)』
    이의현(李宜顯) 「도협총설(陶峽叢說)」
  • 『담정총서(藫庭叢書)』
    이옥(李鈺) 「반촌사정려기(頖村四㫌閭記)」, 「협효부전(峽孝婦傳)」, 「합천효부(陜川孝婦)」, 「상랑전(尙娘傳)」, 「열녀이씨전(烈女李氏傳)」, 「수칙전(守則傳)」. 「생열녀전(生烈女傳)」
  • 『뇌연집(䨓淵集)』
    남유용(南有容) 「효자박씨전(孝子朴氏傳)」
  • 『계서야담(溪西野談)』
    유화수 이은숙 국학자료원 [2003]
  • 「효자전에 나타난 사대부의 효와 그 심리적 특성」
    정운채 『인문과 학논총』34,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[2000]
  • 「효열설화(孝烈說話)의 양상(樣相)과 현대적 의미」
    김광형 『여성문 제연구』13,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[1984]
  • 「호랑이담에 나타난 여성의 욕망」
    김수연 『동악어문학』53, 동악어 문학회 [2009]
  • 「한중 고전문학 속의 여성 이미지 비교」,
    남은경 『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』10.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05]
  • 「한문단편에 나타난 여성형상: 「검녀」,「길녀」를 중심으 로」
    이명학 『한국한문학연구』8, 한국한문학회 [1985]
  • 「한문단편 ‘검녀’에 대하여」
    전용문 『어문연구』14, 충남대학교 어 문연구회 [1985]
  • 「한말 도학파의 여성담론-간재(艮齋) 전우(田愚)를 중심으로」
    황수연 『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』28,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14]
  • 「한글본 「박효랑전」연구(上)」
    김혈조 『인문논총』13,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[1992]
  • 「한국전설에 나타난 효(孝)의 문화정신 의학적(醫學的) 고찰」
    차준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78]
  • 「한국 효자전 목록 작성 및 정량 분석」
    김현우 『효학연구』27, 한 국효학회 [2018]
  • 「한국 한문학에 있어 전(傳)과 소설의 관계양상」
    박희병 『한국한문 학연구』12, 한국한문학회 [1989]
  • 「한국 고전 여성인물전 연구」
    이승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한국 고대의 복수관과 그 변화」
    김창석 『역사와현실』88, 한국역 사연구회 [2013]
  • 「조선후기 한문소설 ‘검녀’를 통해 본 한중 여협의 세계」
    이경미 『석당논총』40, 동아대학교부설 석당전통문화연구원 [2008]
  • 「조선후기 한문 검협서사」
    송정우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「조선후기 제문-여성 대상 제문을 중심으로」
    황인숙 『대동한문학』 25, 대동한문학회 [2006]
  • 「조선후기 전에 나타난 여성상의 변모」
    임유경 『어문학』75, 한국 어문학회 [2002]
  • 「조선후기 열녀전 연구」
    홍인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[2000]
  • 「조선후기 여협서사 연구-한문단편 「여협」,「검녀」를 중심 으로」
    최은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조선후기 여성 인물전 연구」
    이주미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조선후기 ‘열녀담론’ 연구-「열녀전」을 중심으로」
    박선희 강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조선조 후기 이념 안의 법률과 이념 주체의 여성 -"박효낭(朴 孝娘) 사건"의 독법」
    진재교 『민족문학사연구』59, 민족문학사학회・민족문학 연구소 [2015]
  • 「조선조 열녀전의 구성방식과 문학사적 의의」
    강영숙 『정신문화연 구』30, 한국학중앙연구원 [2007]
  • 「조선조 열녀전 연구」
    이혜순 『성곡논총』30, 성곡학술문화재단 [1999]
  • 「조선전기 열녀전 연구」
    이대형 『연세어문학』26, 연세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[1994]
  • 「조선의 여협, 검녀」
    조혜란 『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』12, 한국고전 여성문학회 [2006]
  • 「조선시대의 성담론과 성」
    강명관 『한국한문학연구』42, 한국한문 학회 [2008]
  • 「조선 후기의 문체 및 문체반정에 대한 연구」
    허남욱 『한국고전연 구』5, 한국한문고전학회 [1995]
  • 「조선 후기 열녀의 순절의 의미화 방식 연구」
    김정경 『국제어문』 53, 국제어문학회 [2011]
  • 「조선 후기 산문에 나타난 ‘협(俠)’의 의미」
    정순희 『한국문학이론 과 비평』30,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[2006]
  • 「조선 후기 ‘박효랑 서사’의 변전 양상과 의미 –임상정, 남유 용, 안석경의 비교를 통해」
    임이랑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91,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[2021]
  • 「조선 초기 유학의 여성인식-여성 범주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-」
    이숙인 『정신문화연구』31, 한국학중앙연구원 [2008]
  • 「조선 초기 복수사건 연구」
    손균익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조선 열녀전 연구」
    강영숙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자결을 통해 본 욕망의 문제-「열녀홍씨전」을 중심으로-」
    황수연 『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』16,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08]
  • 「임상정 「박효랑전」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」
    문미애 『건지인문 학』18,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[2017]
  • 「이옥의 전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」
    이성휘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[2002]
  • 「이옥의 전(傳)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」
    엄경섭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2008]
  • 「이옥의 전(傳) 연구」
    임유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80]
  • 「이옥의 인간학-전(傳)을 대상으로-」
    정환국 『한국한문학연구』52 [2013]
  • 「이옥의 열녀전 서술방식과 열(烈) 관념」
    임유경 『어문학』56, 한국 어문학회 [1995]
  • 「이옥의 문학에서 ‘남녀 진정’과 ‘열절’의 문제」
    이지양 『한국한문학 연구』29, 한국한문학회 [2002]
  • 「이옥의 문학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」
    조영신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3]
  • 「이옥의 「이언(俚諺)」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」
    성화민 계명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이옥의 ‘전(傳)’ 연구: 열녀전 모형과 일사전을 모형중심으 로」
    민경대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1]
  • 「이옥에게 있어서 ‘여성」
    정환국 『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』27, 한국 고전여성문학회 [2013]
  • 「이옥 전의 작가의식 연구」
    장민경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이옥 전(傳) 작품의 양식적 특성 연구」
    임정현 연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[2000]
  • 「이옥 소품에 나타난 기층민의 삶과 의식 연구」
    이종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이옥 소품 연구」
    이현우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2]
  • 「이옥 문학에 나타난 작가 의식: ‘전’ 문학을 중심으로」
    김성아 국민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이옥 ‘전(傳)’ 연구: 작가의식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」
    손민서 서울 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유혹하는 몸과 정절의 경계-김은애」
    유승희 『여/성이론』20, 여성 문화이론연구소 [2009]
  • 「우암 송시열의 여성인식 재고-비지문,제문,행장 등을 중심으 로-」
    윤경희 『한문교육연구』39, 한국한문교육학회 [2012]
  • 「와사옥안 역해」
    김재환 『동의어문논집』10, 동의어문학회 [1997]
  • 「영조 구술 어제지문 사도세자 묘지의 존재와 서지 검토」
    이병철 『한국사상과문화』93, 한국사상과문화학회 [2018]
  • 「열녀전의 경계와 균열」
    김수연 『한국어문학연구』55, 한국어문학 회 [2010]
  • 「열녀전승의 역사적 전개를 통해 본 여성적 대응양상과 그 의 미」
    강진옥 『여성학논집』12, 이화여대한국여성연구소 [1995]
  • 「열녀전 서술 방식 일고」
    김유미 『한국고전연구』34, 한국고전연구 학회 [2016]
  • 「연암의 「열녀함양박씨전」재고-새로운 자료 소개를 겸하 여」
    김혈조 『대동한문학』24, 대동한문학회 [2006]
  • 「여협서사의 생산과 중국 무협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」
    우강식 『중국소설논총』38, 한국중국소설학회 [2012]
  • 「야담집 소재 여성담 연구 –반 여성이데올로기 여성담을 중 심으로-」
    이월영 『한국언어문학』39, 한국언어문학회 [1997]
  • 「실학의 여성관—이익(李瀷) 정약용(丁若鏞)을 중심으로」,
    조성을 『한국사상사학』20. 한국사상사학회 [2003]
  • 「송사소설의 갈래적 근거」
    이헌홍 『국어국문학』33, 국어국문학회 [1996]
  • 「성해응의 열녀전에 대하여-열녀인식과 그 형상화를 중심으 로」
    손혜리 『한국한문학연구』35, 한국한문학회 [2005]
  • 「새로 밝혀진 실화고대소설 박효랑전 경위」
    이훈종 『겨레어문학』 50, 겨레어문학회 [1969]
  • 「삽교 안석경의 산문 연구」
    강혜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삽교 안석경의 ‘검녀’ 연구-여협 서사 전통의 계승과 변용」
    강혜규 『한국한문학연구41』, 한국한문학회 [2004]
  • 「삼국의 여성을 읽는 두 ‘남성’의 시각-‘삼국사기’와 ‘삼국유사’ 를 중심으로」
    정출헌 『동양한문학연구』19, 동양한문학회 [2004]
  • 「봉건시대 여성의 이념과 행동: 「박효랑전」과 「김부인열행 록」의 경우」
    서인석 『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』6,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03]
  • 「봉건 가부장제의 여성 재현-조선후기 열녀전」
    홍인숙 『여성문학연 구』5, 한국여성문학학회 [2001]
  • 「박효랑 사건의 서사화 양상과 그 의미」
    류준경 『고전문학연구』 25, 한국고전문학회 [2004]
  • 「박효랑 사건과 그 문학적 연변」
    김혈조 『인문연구』10, 영남대학 교 인문과학연구소 [1989]
  • 「박지원의 비지류 산문에 나타난 ‘효(孝)’의 형상과 의미-‘증사 헌부지평예군묘갈명’과 ‘효자증사헌부지평윤군묘갈명’을 중심으로」
    정순희 『한 국언어문학』90, 한국언어문학회 [2014]
  • 「박지원과 이옥의 전에 나타난 열녀상 연구」
    박인숙 울산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본 성해응의 복수론」
    손혜리 『진단학보』 115, 진단학회 [2012]
  • 「동아시아 문화담론과 성-효녀 서사를 중심으로」
    정재서 『중국어문 논총』23, 중국어문연구회 [2002]
  • 「동북아시아의 성모 유화(柳花):만주, 한반도에서의 유화산 숭 배」
    이종주 『구비문학연구』4, 한국구비문학회 [1997]
  • 「동국여지승람」의 효행 기록과 효 인식」
    이재두 경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[2005]
  • 「근대계몽기 여성용 교과서, 근대적 ‘여성’의 기원과 형성」
    박선영 『한국문예비평연구』47, 한국문예비평학회 [2015]
  • 「고전소설 자객요소의 창작경로-「구운몽」,「창선감의록」의 중국 협의 자객담 수용을 중심으로」
    김도환 『고소설연구』42, 한국고소설학회 [2016]
  • 「개화기 열녀전 연구」
    김경미 『국어국문학』132, 국어국문학회 [2002]
  • 「개인문집 소재 효자전의 유교적 효윤리」
    신태수 『한민족어문학』 72, 한민족어문학회 [2016]
  • 「강상효녀담의 창작방식과 소설로의 수용」
    이병직 『고소설연구』 33, 한국고소설학회 [2012]
  • 「『열녀함양박씨전』의 구조와 글쓰기 방식」
    박수밀 『한국한문학연 구』53, 한국한문학회 [2014]
  • 「『삼강행실도』의 폭력성 재고, -열녀편을 중심으로-」
    이경하 『고전 문학연구』35, 한국고전문학회 [2009]
  • 「「창선감의록」의 교화적 성격과 작가의식」
    박길희 순천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「이향견문록」을 통해 본 조선후기 중인(中人) 문화 연구」
    문경호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「영남효열부전」연구」
    임완혁 『한문교육연구』16, 한국한문교육 학회 [2001]
  • 「「영남효열부전」과 「협효부전」비교 연구-인물 관계와 대 화 양상을 중심으로」
    정인혁 『기호학연구』34, 한국기호학회 [2013]
  • 「「열녀함양박씨전」재론」
    강명관 『동양한문학연구』32, 동양한문 학회 [2011]
  • 「「열녀함양박씨전」연구」
    최지녀 『국문학연구』16, 한국국문학회 [2007]
  • 「‘이향견문록’ 소재 여성전의 성격」
    임유경 『한국고전여성문학연 구』7,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03]
  • 「‘박효랑 사건’의 전말과 소송상의 문제점」
    전경목 『법사학연구』 31, 한국법사학회 [2005]
  • 「‘권력’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 ‘박효랑 사건’의 전개-정치 권 력의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」,
    정하정 『고전과해석』26.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 회 [2018]
  • 「<호랑이가 도운 효부(孝婦)>의 서사적 교섭 양상 –구비설화 와 ‘전(傳)’ 갈래의 비교를 중심으로-」
    임이랑 『구비문학연구』61, 한국구비문 학회 [2021]
  • 「<열녀함양박씨전> 연구 –문학적 전략을 중심으로-」
    이월영 『한 국고전여성문학연구』24,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12]
  • 「19세기 조선 사대부의 열녀 인식: 기문(奇文)으로 재구성된 열녀전 「삼한습유」를 중심으로」
    김보람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19세기 여성 효열(孝烈) 담론 일고찰」
    강성숙 『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』26,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13]
  • 「19세기 말 20세기 초 여성 교훈서의 ‘복수 일화’와 그 의미」
    김기림 『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』40,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20]
  • 「18세기 열녀전 연구」
    이대행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4]
  • 「18세기 야담의 유사 요소 교착 및 변개 양상」
    이채경 『대동한문학 회』40, 대동한문학 [2014]
  • 「18세기 서사양식의 교섭양상에 대하여-“강상효녀(江上孝女)” 를 대상으로 한 작품 중심으로-」
    손혜리 『한국한문학연구』40, 한국한문학회 [2007]
  • 「17세기 열녀전 연구」
    홍인숙 『한국고전연구』7, 한국고전연구학회 [200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