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서토론을 통한 소설의 공감적 이해 연구 = A study on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of novels through reading debate

최기재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독서토론을 통한 소설의 공감적 이해 연구 = A study on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of novels through reading debate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공감적 이해
  • 독서 토론
  • 역할놀이
  • 지평확대
  • 판단중지
  • 해석학적 순환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81 0

0.0%

' 독서토론을 통한 소설의 공감적 이해 연구 = A study on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of novels through reading debate' 의 참고문헌

  • 편, 박기석, 「운영전」, 『한국고전소설작품론』
    김진세 집문당 [1990]
  • 편, 『바흐친과 대화주의』
    김욱동 나남 [1990]
  • 차이와 타자
    서동욱 문학과지성사 [2000]
  • 저, 『대화적 상상력』
    김욱동 문학과지성사 [1988]
  • 윤리적 가치 중심의 소설 읽기 연구
    정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옮김, 『그리스인 조르바』
    이윤기 열린책들 [2008]
  • 엮음,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, 「문학적 의사 소통의 대화론적 이 해」, 『바흐친과 문학 이론』
    여홍상 문학과지성사 [1997]
  • 엮음, 『우리 고전 다시 읽기 21 : 운영전』
    구인환 신원문화사 [2003]
  • 아담 스미스의 공감의 교육적 의미
    강진영 『교육철학』제 26집 [2001]
  • 소설 읽기에서의 타자 이해 교육 연구
    엄진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. 에모리대학 전국토론연구소, 허경호 옮김(2005), 『정책토론의 방법』, 커뮤니케이 션북스 [2020]
  • 소설 교육에서 해석소통의 구조와 실천에 대한 연구
    이인화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문학능력 증진을 위한 문학토론의 방법
    김상욱 『한국초등국어교육』41 [2009]
  • 리쾨르 서사해석학의 도덕교육적 함의
    이재호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[2008]
  • 독서공동체, 자기정체성 확립을 위한 인성교육 실천의 장-폴 리쾨르 철학을 중심으로
    전종윤 『대동철학』제 72 집 [2015]
  • 내러티브란 무엇인가
    박민정 『아시아교육연구』7(4), 서울대학교교육 연구소 [2006]
  • 내러티브 기반 문학교육 연구
    성은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김명인, 「문학교육의 악순환과 선순환」, 『문학의 교육, 문학을 위한 교육』
    윤영천 문학과지성사 [2009]
  • 교과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의미와 가치
    강현석 역사교육 논집 46권 [2011]
  • 가치경험을 위한 소설교육내용 연구
    황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[2006]
  • 『화씨 451』
    Bradbury, Ray 박상준 황금가지 [2009]
  • 『화법교육론』
    이창덕 역락 [2010]
  • 『호모 루덴스』
    Huizinga, Johan 이종인 연암서가 [2018]
  • 『현대해석학의 지평』
  • 『현대 소설 교육론』
    문영진 창비 [2019]
  • 『해석학이란 무엇인가』,
    Palmer, Richard 이한우 옮김 문예출판사 [2011]
  • 『해석의 한계』
    Eco, Umberto 김광현 열린책들 [2009]
  • 『해석의 새로운 비평』
  • 『해석에 반대한다』
  • 『한국현대소설비판』
    김윤식 일지사 [1981]
  • 『한국문학사』
    김현 민음사 [1984]
  • 『한국고전문학전집 017 : 사씨남정기』
    김만중 문학동네 [2014]
  • 『한국 근현대문학사』
    장석주 학교도서관저널 [2017]
  • 『학교 토론수업의 이해와 실천』
    구정화 교육과학사 [2009]
  • 『페다고지』
    Freire, Paulo 남경태 그린비 [2009]
  • 『토의식 교수법 토론식 학습법』
    전명남 계명대학교출판부 [2006]
  • 『토의⋅토론 수업방법』
    정문성 교육과학사 [2008]
  • 『토론의 힘』
    강치원 느낌이있는책 [2013]
  • 『토론의 전략』
    이정옥 문학과지성사 [2008]
  • 『토론의 방법』
    강태완 커뮤니케이션북스 [2002]
  • 『토론의 방법』
    강태완 이상철 허경호 커뮤니케이션북스 [2001]
  • 『토론의 기술』
    이연택 21 세기북스 [2003]
  • 『토론을 잘 하는 법』
    전영우 거름 [2003]
  • 『토론』
    백미숙 커뮤니케이션북스 [2014]
  • 『토론-비판적 사고를 활용한 토론 분석과 그 응용』
    한상철 커뮤티케이션 북스 [2006]
  • 『텍스트의 즐거움』
    Barthes, Roland, 김희영 동문선 [2002]
  • 『탁류』
    채만식 홍신문화사 [2005]
  • 『최인훈 전집 01 : 광장/구운몽』
   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[2008]
  • 『최고의 교사는 어떻게 르치는가』
  • 『체험⋅이해⋅표현』
    Dilthey, Wilhelm 이한우 책세상 [2002]
  • 『철학적 해석학 입문』
  • 『채만식전집 2 : 탁류』
    채만식 창비 [1987]
  • 『채만식과 항일문학』
    최유찬 서정시학 [2013]
  • 『채만식 소설의 언어미학』
    우한용 제이앤씨 [2009]
  • 『창의성의 즐거움』
  • 『진리와 방법 2』
    Gadamer, Hans-Georg 임홍배 문학동네 [2012]
  • 『진리와 방법 1』
    Gadamer, Hans-Georg 이길우 문학동네 [2012]
  • 『존재와 시간』
    Heidegger, Martin 전양범 동서문화사 [2016]
  • 『정신․자아․사회』
  • 『전환기의 근대문학』
    나병철 두레시대 [1995]
  • 『자유론』
  • 『자기와 타자』
    강병화 옮김 Zahavi, Dan, 글항아리 [2019]
  • 『읽는다는 것의 역사』
    Chartier, Roger 이종삼 한국출판마케팅 연구 [2006]
  • 『읽기의 역사』
  • 『인문학의 미래』
  • 『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』
    Husserl, Edmund 이종훈 한길사 [2019]
  • 『오독』
  • 『예루살렘의 아이히만』
  • 『어떻게 천천히 읽을 것인가』
  • 『시적 정의』
  • 『시간과 타자』
    Levinas, Emmanuel 강영안 문예출판사 [1996]
  • 『수업모형』
    윤기영 동문사 [2009]
  • 『수사학/시학』
  • 『소설의 현대 시학』
  • 『소설의 이해』
    나병철 문예출판사 [1998]
  • 『소설의 이론』
    Lukacs, Gyorgy 김경식 문예출판사 [2007]
  • 『서사학 강의』
    Abbott, H.Porter 우찬제 외 옮김 문학과지성사 [2010]
  • 『생각하지 않는 사람들』
    Carr, Nicholas G 최지향 청림출판 [2011]
  • 『생각의 충돌』
    김병원 자유지성사 [2000]
  • 『사회신경과학으로 보는 공감』
  • 『비극의 탄생/즐거운 지식』
  • 『민주주의와 교육』
    Dewey, John 이홍우 교육과학사 [2007]
  • 『미학의 핵심』
    Eaton, M. M. 유호전 동문선 [1998]
  • 『미국 최고의 교수들은 어떻게 가르치는 가』
  • 『문학해석학이란 무엇인가』
  • 『문학이론입론』
    Eagleton, Terry 김현수 인간사랑 [2000]
  • 『문학이론』
  • 『문학의 모험』
    최유찬 역락 [2006]
  • 『문학을 읽는다는 것은』
    Eagleton, Terry 이미애 책읽는수요일 [2016]
  • 『문학비평용어사전』
    이상섭 민음사 [2001]
  • 『문학교육원론』
    김대행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[2000]
  • 『문학교육론』
    구인환 삼지원 [2012]
  • 『문학교육론』
    Gribble, James 나병철 문예출판사 [1987]
  • 『말의 미학』
  • 『마인드 인 소사이어티』
  • 『레프 비고츠키』
    박동섭 커뮤니케이션북스 [2016]
  • 『레프 비고츠키』
    Rene van 배희철 솔빛길 [2013]
  • 『동시대의 삶과 서사 교육』
    문영진 한국문학사 [2007]
  • 『동감의 본질과 형태들』
  • 『독일 미학 전통』
  • 『도덕감정론』
  • 『대한민국을 바꾼다 Debate』
    캐빈 리 한겨레에듀 [2011]
  • 『단단한 독서』
  • 『놀이하는 인간의 철학』
    정낙림 책세상 [2017]
  • 『그리스인 조르바』
    유재원 옮김 카잔차키스, N 문학과지성사 [2018]
  • 『국어교육학사전』
  • 『국어과 교육과정』
   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2015-74호[별책 5]. (국가교육 과정정보센터(http://ncic.re.kr/)) [2015]
  • 『공감학』
    박성희 학지사 [2004]
  • 『공감하는 능력』
    Krznaric, Roman 김병화 더퀘스트 [2014]
  • 『공감의 시대』
    De Waal, Frans 최재천 김영사 [2017]
  • 『고교생들의 “그리스인 조르바” 읽기』
    최기재 부크크 [2017]
  • 『경험으로서의 예술』
    Dewey, John 이재언 책세상 [2013]
  • 『감정사회학』
    이성식 전신현 한울아카데미 [1995]
  • 『≪광장≫을 읽는 일곱 가지 방법』
    김욱동 문학과지성사 [1996]
  • 『2012 년 봄호 국어과 교육실천자 료, 교사가 지치지 않는 독서교육』
    전국교직원노동조합・전국국어교사모임 (사)전국국어교사모임 [2012]
  • 「혐오의 시대, 문학교육에서 타자 이해의 방향 탐색」
    이근영 『청람어문 교육』제 80 호 [2021]
  • 「현상학적 판단중지와 가능세계」
    박승억 『현상학과 현대철학』, 43 [2009]
  • 「현대소설 해석교육 연구 : 독자군별 해석텍스트의 분석을 중심으 로」
    우신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현대문학 교육과 삶의 질-부분 읽기에서 전체 읽기로」
    정호웅 『국어교 육』113 [2004]
  • 「현대공감이론을 통한 공맹철학의 재조명」
    이영재 『정신문화연구』제 35권 제 2호 [2012]
  • 「해석학적 순환에 대하여」
    이기언 『불어불문학연구』74집 2008년 여 름호 [2008]
  • 「해석학에서의 자기이해의 문제」
    이재호 『윤리철학교육』제 9집 [2008]
  • 「해석공동체의 텍스트 구체화 활동이 문학 감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」
    박희숙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해석공동체의 개념 탐구-읽기 교육을 중심으로-」
    김도남 『국어교육학 연구』제 26 집 [2006]
  • 「해석 텍스트쓰기의 서사교육 방법 연구」
    양정실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학습자 참여 중심 수업을 위한 토의⋅토론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」
    김은주 『교육연구논총』39권 2 호 [2018]
  • 「학습자 질문 중심의 문학 토론 수업 방안 연구」
    송창순 고려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학습자 질문 중심의 문학 감상 수업 연구」
    송지언 『문학교육학』제43호 [2014]
  • 「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토론 논제 선정 연구 -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논제 분석을 중심으로-」
    박현주 『언어학 연구』54 [2020]
  • 「표현의 자유를 향한 슐라이어마허의 ‘보다 나은 이해’」
    김승철 『해석학 연구』제 35 집 [2014]
  • 「폴 리쾨르의 이야기 해석학」
    김한식 『국어국문학』146 [2007]
  • 「폴 리쾨르 철학에 있어서의 대화주의」
    전종윤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[2015]
  • 「토론활성화를 위한 토론모형 검토-숙명토론모형을 중심으로-」
    이정옥 『교양교육과 시민』제 2 호 [2020]
  • 「토론의 본질과 토론 지도」
    임칠성 『화법연구』18 [2011]
  • 「토론연구논문의 변화와 전망: 1974 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」
    김연종 『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』 2015 년 제 17호 [2015]
  • 「토론식 학습법을 원용한 소설 텍스트의 읽기 교육 방안 연구 - <벙어리 삼룡이>를 예로」
    김경애 『새국어교육』84 호 [2010]
  • 「토론 교육의 수업 모형 개발 연구」
    최복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토론 교육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고찰 –소크라테스와 포퍼의 논의를 바탕으로」
    이선영 『국어교육』150 [2015]
  • 「토론 교육의 내용 설정 방향」
    박종훈 『국어교육연구』52 [2013]
  • 「토론 교육을 위한 논제 선정에 대한 소고-국내⋅외 토론 대회 논제 분석을 중심으로-」
    이선영 『청람어문교육』41 [2010]
  • 「텍스트 해석에 있어서 타당성의 조건에 관한 연구」
    김미혜 국어국문학 제 135권 [2003]
  • 「텍스트 중심 문학교육의 이론적 기반과 읽기 방법」
    고정희 『문학교육 학』제 40 권 [2013]
  • 「타자 이해를 위한 ‘공감의 플롯’ 읽기」
    류동규 국어교육연구 71 [2019]
  • 「초⋅중⋅고등학교 교사의 토론 학습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실태 연구」
    서영진 『중등교육연구』 [2016]
  • 「철학실천과 공감: 몰입과 거리두기」
    한상연 『해석학연구』제 33 집 [2013]
  • 「채만식의 ≪탁류≫에 나타난 여성 재현 양상 연구」
    이형진 『어문연 구』제 39 권 제 2호 [2011]
  • 「채만식 소설 ≪탁류≫에 나타난 식민지적 근대성」
    이대규 『한국사상과 문화』제 21 집 [2002]
  • 「중등학교 국어 교과서 토론 단원에 제시된 정책 논제의 적합성 분석」
    박재현 『새국어교육』제 96호 [2012]
  • 「조선시대 독서론과 한문교과 활용방안 연구」
    김은경 한국교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자연성으로서 놀이와 아곤」
    정낙림 『대동철학』89 권 [2019]
  • 「자기이해를 위한 읽기 교육 방법 연구-리쾨르 해석학을 중심으 로」
    여수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자기성찰을 위한 소설 교육 연구-고등학교 ≪문학≫을 중심으로 -」
    김수연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인지적 공감을 촉진하는 교육토론의 기제」
    박재현 『새국어교육』제 121호 [2019]
  • 「이태준 소설 텍스트의 교과서 수록 양상 분석과 아이러니 교육 방안 연구」
    송혜정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이목구심서」2, 『청장관전서』제 49권
    이덕무 한국고전종합 DB [1795]
  • 「의미구성 및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내러티브」
    방선욱 커뮤니케이션학 연구』제 12권 3 호 [2004]
  • 「융복합식 문학토론의 교육적 경험과 의의-초등학교 6학년 대상 의 적용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-」
    한명숙 『청람어문교육』제 61 호 [2017]
  • 「유일하게 옳은 해석은 있는가? 해석의 기준에 관하여」
    김창래 『해석학 연구』22 [2008]
  • 「운영전」
    편역 『사랑의 죽음』, 돌베개 [2007]
  • 「우리는 어떻게 공감하는가?: 메를리 퐁티의 대답」
    강미라 『해석학연 구』제 36 집 [2015]
  • 「역할놀이를 활용한 소설교육의 실제-윤흥길의 <장마>와 <눈 길>을 중심으로」
    이주연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애국계몽기 연설과 토론의 수용 과정」
    이정옥 『현대문학이론연구』43권 [2010]
  • 「스미스의 보편주의와 문화 상대주의: 공정한 관망자를 중심으 로」
    변영진 『윤리교육연구』50 [2018]
  • 「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에 대한 분석적 연구」
    김은수 『조직신학연구』29 [2018]
  • 「소설읽기 교육의 ‘전유’ 방법 연구-문학 교과서 ‘활동’을 중심으 로-」
    정래필 『새국어교육』제 103 호 [2015]
  • 「소설교육에서 해석의 다양성 문제 재론」
    김성진 『우리말글』42 [2008]
  • 「세태의 재현 혹은 교환 구조의 안과 밖-채만식의 ≪탁류≫를 중 심으로」
    류경동 『열린정신 인문학 연구』21 [2020]
  • 「서사텍스트 문학 토론 논제 구성 방안」
    최기재 『청람어문학』78권 [2020]
  • 「서사의 교육적 작용」
    박인기 『내러티브와 교육연구』8권 1 호 [2020]
  • 「서사수용에서 공감의 조정 교육 연구」
    우신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서사능력의 구조와 기능, 그리고 그 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구」
    우한용 『문학교육학』제 13호 [2004]
  • 「서사교육의 목표 설정」
    임경순 『선청어문』제 26호 [1998]
  • 「서사 교실 활성화를 위해 수용 계기에 주목하기」
    문영진 『국어교육』123 [2007]
  • 「상호 이해를 위한 공감적 대화-그 의미와 조건」
    김영진 『철학과 현상 학 연구』제 68 집 [2016]
  • 「상징의 수사와 공감형성의 상관성 연구」
    김혜영 『현대소설연구』12 [2000]
  • 「삼자토론을 활용한 문학 수업모형: 고등학생의 토론 효능감을 중 심으로」
    유진선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사평역」
    임철우 『20 세기 한국소설 41』, 창비 [2006]
  • 「비평문 쓰기를 위한 문학 토론 지도 방안 연구」
    문하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비평 분류 방식의 변모와 서사교육적 가능성-에이브럼즈 비평 분류 도식의 교육적 활용을 중심으로-」
    문영진 『국어교육연구』제 19 집 [2007]
  • 「비극성과 통속성, 그 심리적 거리-≪탁류≫의 대중문학적 성격을 중심으로」
    안낙일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제 14 권 [2002]
  • 「복덕방」
    이태준 『이태준 전집 2 돌다리 외』, 소명출판 [2015]
  • 「복덕방」
    이태준 『20 세기 한국소설 06 : 이태준 박태원』, 창비 [2005]
  • 「배심원모의재판토론 수업운영 방안: 의사소통교육과 민주시민 법 교육을 위한 대학교양과정」
    이상철 『수사학』22 [2015]
  • 「배심원 토론 모형에 기반을 둔 대학 토론 교육 방안」
    김현정 『우리말 교육현장연구』제 10집 1 호(통권 제 18 호) [2016]
  • 「바람직한 토론문화를 위한 토론대회의 패러다임 전환 제안」
    박기철 『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』10 [2010]
  • 「민주주의와 토론문화」
    김광수 『철학과현실』 [1991]
  • 「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토론대회 토론모형의 구성 방안 : 심 의민주주의를 중심으로」
    박현희 『사고와 표현』11(2) [2018]
  • 「미적 향유를 위한 소설 교육-감정이입과 미적 공체험을 중심으 로」
    조현일 『새국어교육』제 96 호 [2013]
  • 「미적 동일시의 유형과 소설교육」
    조현일 『우리어문연구』제 47집 [2013]
  • 「미래 사회의 요구와 서사교육의 과제」
    선주원 『새국어교육』제 104호 [2015]
  • 「문학적 사고력과 토론의 중요성」
    김상욱 『한국초등국어교육』제 24집 [2004]
  • 「문학수용에서의 공감 교육 연구」
    김효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문학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위한 기반 검토」
    우한용 『선청어문』32 [2004]
  • 「문학능력 증진을 위한 문학토론 실행 연구」
    최은경 춘천교육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문학능력 신장을 위한 토론 수업 모형과 실제 연구」
    정신영 한국외국어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문학교육과 문학에 대한 관점의 전환」
    우한용 『국어교육연구』제 40집 [2006]
  • 「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서설(序說)」
    박윤희 『국어교육연구』, 66 [2018]
  • 「문학교육 평가론의 자기 성찰」
    김창원 『국어교육학연구』제 47집 [2013]
  • 「문학교육 패러다임에 따른 교육방법 변천 양상」
    이상구 『문학교육학』 제 41 호 [2013]
  • 「문학교과서에 나오는 문학 이론 및 개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(2): ‘감정이입’과 ‘공감’ 개념을 중심으로」
    정재림 『한국학연구』40 [2012]
  • 「문학과 독서에 대한 예술론적 해석」
    정은해 『하이데거 연구』제 11 집 [2004]
  • 「문학 평가의 방법 연구-문학 경험 평가를 위한 시론」
    김창원 『국어교 육』130 [2009]
  • 「문학 토론 수업의 교육적 토대 규칙을 위한 기초 연구」
    심영택 『학교 와 수업 연구』, vol.2, no.1 [2017]
  • 「문학 토론 수업」
    김보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문학 교육과정에서 ‘즐거움’의 구체화를 위한 예비적 고찰」
    민재원 『새 국어교육』, 제98호 [2014]
  • 「문학 교과서의 타자 이해 단원 연구 –2012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-」
    박수현 『현대문학이론연구』제67집 [2016]
  • 「문학 경험의 구조와 기제 탐구 서설」
    최홍원 『문학교육학』제 45호 [2014]
  • 「몰입과 거리두기」
    전동진 『하이데거 연구』제 19집 [2009]
  • 「멘토링을 통한 대학생 글쓰기 지도 사례연구」
    신희선 『작문연구』, 제 11집 [2010]
  • 「막스 셸러의 공감이론」
    백광균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마이크로 토론을 활용한 CEDA 방식 토론 교육」
    김평원 『국어교육학 연구』제 39 집 [2010]
  • 「리쾨르의 서사이론과 서사 교육」
    조현일 『국어교육학연구』22 [2005]
  • 「레비나스 철학에서 주체성과 타자」
    강영안 『현상학과 현대철학』4 [1990]
  • 「레비나스 : 타자성의 철학」
    강영안 『철학과 현실』제 25호 [1995]
  • 「듀이의 경험 이론에 기초한 감성과 지성이 통합된 수업 구성」
    장경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「독서토론중심 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」
    김재봉 고려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독서토론이 고등학생의 작품 이해에 미치는 영향」
    김주환 이순영 『화 법연구』27 [2015]
  • 「독서토론수업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」
    황정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20]
  • 「독서토론 유형이 독서태도 및 독서능력에 미치는 영향」
    조숙이 고려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독서 토론 수행 평가 방안에 대한 현직 국어교사의 인식 연구」
    최숙기 『청람어문학』64권 [2017]
  • 「대화 중심의 현대시 교수⋅학습 방법」
    최미숙 『국어교육학연구』26집 [2006]
  • 「대학생의 소설 텍스트 해석의 타당성과 소설교육」
    선주원 『문학교육 학』제 25 호 [2008]
  • 「대학 토론교육의 문제와 해결방안 시론: 토론교육의 목 적을 중심으로」
    김정화 『어문학』104 [2010]
  • 「다양한 토론 방식을 적용한 <독서와 토론> 수업 모형의 토론 자기 효능감 연구」
    이재성 『새국어교육』제 85호 [2010]
  • 「다양성, 동감, 연대성」
    이승훈 『동양사회사상』제 25 집 [2012]
  • 「다시 읽는 ≪광장≫」, 『광장』
    김병익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[1996]
  • 「다문화공동체의 타자 윤리」
    이성희 『인문사회 21』, 제 12 권 1호 [2021]
  • 「니체와 아곤의 교육」
    이상엽 『철학논총』73 [2013]
  • 「놀이의 실천철학적 의미-니체 철학을 중심으로-」
    정낙림 『철학연구』 제 122집 [2012]
  • 「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 개발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」
    이보라 『한국문헌정보학회지』제 48 권 [2014]
  • 「논쟁의 교수⋅학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연구」
    유동엽 『국어교육학연 구』제 19 집 [2004]
  • 「내러티브의 이해와 국어 교육적 의미」
    이병승 한국초등국어교육 34집 [2007]
  • 「내러티브와 교육학의 만남」
    박민정 『내러티브와 교육연구』1권 1 호 [2013]
  • 「내러티브 탐구(Narrative Inquiry) : 그 방법과 적용」
    염지숙 『질적연 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』Vol.2001 No.2 [2001]
  • 「내러티브 중심 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탐색」
    박윤희 『내러티브와 교육 연구』7권 1 호 [2019]
  • 「내러티브 사고양식의 교육적 의미」
    한승희 『교육과정연구』제 15 권 제 1 호 [1997]
  • 「나은 이해 또는 다른 이해? -하나의 해석학을 위하여-」
    김창래 범한철 학 제 51 집 [2008]
  • 「국어과에서 내러티브적 접근의 적용에 대한 연구」
    제갈현소 국어교육 학연구』제 49집 [2011]
  • 「국어과 토론 지도 방안 연구-논제⋅논증을 중심으로-」
    김혜진 제주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국어 교사의 토론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양상」
    서영진 『국어교육학 연구』제 50 집 제 3 호 [2015]
  • 「구성주의 관점의 문학교육」
    류덕제 『한국초등국어교육』제 18집 [2001]
  • 「교육용 토론 용어의 사용 양상과 정립 방안」
    김수란 부산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[2012]
  • 「교실 독서토론 모형에 관한 연구」
    이형래 『한국초등국어교육』39 [2009]
  • 「관념에 갇힌 현실과 죽음의 의미 : 최인훈의 ≪광장≫ 연구」
    장현 『성 심어문논집』24 [2002]
  • 「공감적 자기화를 통한 문학교육연구」
    서유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2]
  • 「공감적 대화와 문학치료를 활용한 소설교육 방법」
    전점이 『문학교육 학』22호 [2007]
  • 「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」
    김가희 대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[2016]
  • 「공감의 인지적 요소로서 서사적 사고와 공감 교육의 방향」
    김태호 『학 습자중심교과연구』, 제 19 권 제 3호 [2019]
  • 「공감을 통한 서사문학 읽기 교육 연구」
    정효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공감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」
    임인화 『한국언어문화』 제 68 집 [2019]
  • 「공감과 소통의 토론 교육과 연구 과제」
    고원 『사고와 표현』제4집 1호 [2011]
  • 「공감과 성찰로서의 문학적 상상력과 인문학」
    강연호 『인문학연구』 16(2) 통권 24 호 [2015]
  • 「경험철학을 반영한 역할 토론수업에서 학생들의 사고 과 정과 감정의 관계」
    김미숙 『교육사회학연구』제 29권 제 2 호 [2019]
  • 「개방형 논제 제시 독서토론 모형 연구-교보⋅숙명 독서토론 방 식을 중심으로」
    이황직 『독서연구』17 [2007]
  • 「가치 논제 토론의 입론 형식 유형 연구」
    이민형 『국어교육학연구』제 50집 제 3호 [2015]
  • 「가치 논제 토론 수업을 위한 설계 기반 연구」
    이민형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2016]
  • 「《탁류》: ‘약’의 향연’」
    이병훈 『현대소설연구』53 [2013]
  • 「≪광장≫의 개작에 나타난 작가 의식」
    지덕상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82]
  • 「“서사적 대화”를 활용한 문학 토의 수업 연구」
    최인자 『국어교육학연 구』29권 [2007]
  • 「‘판단중지’를 적용한 시 읽기 과정과 특성 연구」
    함성윤 『우리말교육현 장연구』9(1) [2015]
  • 「‘찬반대립형 독서토론’ 모형연구-교보⋅숙명 전국독서토론대회모 형을 중심으로」
    서정혁 『독서연구』21 [2009]
  • 「‘역할 토론’을 활용한 토론 지도 방법」
    김혜련 『돈암어문학』제 25 집 [2012]
  • 「‘서울형 토론모형’을 활용한 사회참여적 미술 프로그램 지도 방 안 연구-중학교 1 학년을 중심으로-」
    장찬영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‘문학의 본질’ 교육에 관한 재고-이장욱의 「고백의 제왕」과 한 강의 「채식주의자」를 활용하여-」
    박수현 『우리어문연구』67집 [2020]
  • 「‘동감’의 조건과 그 구성: 한국사회에 대한 비판적 고찰」
    이승훈 『공공 사회연구』5-1 [2015]
  • 「‘독자 역할가장놀이’ 구조를 통한 서사적 심미체험 내용분석」
    김지영 한 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‘교육 토론’의 모형과 의의」
    임칠성 『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』제 5집 [2002]
  • 「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선택과목 ‘문학’의 변화와 개선 방안」
    김정우 문학교육학 55 [2017]
  • “문학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연구.”
    박치범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Platon
    천병희 『국가』, 숲 [2013]
  • Dantzig, Charles, 임명주 옮김, 『왜 책을 읽는가–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독서를 위하여』
  • , 『해석이론』