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공신학과 현대기독교교육의 과제 : 칼 바르트 신학(화해론)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= Public Theology as a Task of Modern Christian Education

김영호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공공신학과 현대기독교교육의 과제 : 칼 바르트 신학(화해론)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= Public Theology as a Task of Modern Christian Education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종교
  • 공공신학
  • 기독교교육
  • 칼 바르트
  • 화해론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62 0

0.0%

' 공공신학과 현대기독교교육의 과제 : 칼 바르트 신학(화해론)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= Public Theology as a Task of Modern Christian Education' 의 참고문헌

  • 하나님나라와 기독교교육
    박화경 서울:한국장로교출판사 [2006]
  • 칼 바르트의 화해론에서의 죄의 문제
    최 영 「신학연구」제41집 [2000]
  • 칼 바르트 말씀의 신학 해설
    정승훈 서울:새물결 플러스 [2017]
  • 조직신학의 이해
    오영석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1992]
  • 민중교육의 형성과 전개
    한숭희 서울: 교육과학사 [2001]
  • 기독교교육사상
    강희천 서울: 연세대출판부 [1991]
  • 교회의 민주시민교육- 공교회와 공적 신앙의 관점에서-,
    장신근 「기독교교육논총」21 [2009]
  • 공적실천신학과 세계화시대의 기독교교육
    장신근 서울: 장로회 신학대학교출판부 [2007]
  • 공적신학이란 무엇인가?
    장신근 이형기 외. 『공적 신학과 공적 교회』. 용인: 킹덤북스 [2010]
  • 공적신학
    윤철호 서울:새물결플러스 [2019]
  • 공공신학과 한국사회
    성석환 서울: 새물결플러스 [2019]
  • 『회중 형성과 변형을 위한 교육목회 커리큘럼』
    Harris, Maria 고영수 서울: 한국장로교출판사 [1997]
  • 『한반도 통일과 기독교』
    한기양 서울:열린출판사 [2011]
  • 『포스트 모던 시대의 기독교교육』.
    고용수 서울:장로회신학 대학교기독교교육연구원 [2006]
  • 『코로나19와 한국교회의 사회인식』
   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21]
  • 『칼바르트의 교회교의학 읽기』
    최종호 서울:세창미디어 [2013]
  • 『칼 바르트의 화해론 연구』
    최 영 서울: 한빛 [1996]
  • 『칼 바르트의 정치신학』
    울리희 단네만 이신건 서울: 한국신학 연구소 [1991]
  • 『칼 바르트의 신학과 실천』
    신현복 서울:아침영성지도연구원 [2011]
  • 『칼 바르트의 신학』
    김몀용 서울:이레서원 [2007]
  • 『칼 바르트의 신학 이해』
    최 영 서울: 민들레책방 [2005]
  • 『칼 바르트와 삼위일체 해설』
    정승훈 서울: 동연 [2020]
  • 『칼 바르트와 동시대성의 신학』
    정승훈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06]
  • 『칼 바르트』
    윤성범 서울:대한기독교서회 [1968]
  • 『종교 커뮤니케이션의 새시대』
    Pierre Babin 유영난 왜관: 분도출판사 [1993]
  • 『인간해방과 기독교교육』
    문동환 서울: 한신대학출판부 [1991]
  • 『역사와 계급의식: 맑스주의의 변증법 연구』
  • 『아우슈비츠와 이스라엘의 하나님』
    마르크바르트, 프리드리히 빌헬름 정승훈 서울: 한국장로교출판사 [2004]
  • 『아리랑 고개의 교육』
    문동환 서울: 한국신학연구소 [1987]
  • 『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』
    Sartre, Jean-Paul. 전정수 서울: 세종 출판공사, 1975 [1946]
  • 『신학적 교회론』
    은준관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, [2000]
  • 『분단 현실과 기독교 민중교육』
    김성재 서울:한국신학연구소 [1988]
  • 『바르트 교회교의학 개관』
    신옥수 제플브로미리 경기도: 크리스챤다이제스트 [2005]
  • 『디지털 시대의 종교』
    Pierre Babin 이영숙 서울: 한경PC라인 [2000]
  • 『기독교학교의 공공성』
    박상진 서울: 예영커뮤니케이션 [2014]
  • 『기독교적 종교교육(Christian Religious Education)』.
    그룸, 토마스 이기문 서울: 대한 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[1983]
  • 『기독교교육학의 선구자들』
    박종석 서울: 만남과 나눔 출판사
  • 『기독교교육의 재개념화』
    손원영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02]
  • 『기독교교육사』
    오인탁 서울: 한들출판사 [2007]
  • 『기독교교육 개설』
    정웅섭 서울: 대한기독교교육협회 [1996]
  • 『교회의 신앙교육』
    Westerhoff III, John H 정웅섭 서울: 대한 기독교교육협회 [1983]
  • 『교회의 교육적 사명』
    스마트, 제임스 디 장윤철 서울: 대한기독교 교육협회 [1983]
  • 『교회의 교육적 사명』
    장윤철 제임스 스마트 서울: 대한기독교 교육협회 [1983]
  • 『교회 교의학 IV/3.2』
    바르트, 칼 황정욱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19]
  • 『교회 교의학 IV/2』
    바르트, 칼 최종호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12]
  • 『교회 교의학 IV/1』
    김재진 바르트, 칼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17]
  • 『교회 교의학 III/4』
    바르트, 칼 황덕형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17]
  • 『교회 교의학 II/1』
    바르트, 칼 황정욱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10]
  • 『교사 열정이 주일학교를 살린다』
    최윤식 서울: 규장 [2001]
  • 『공공신학으로 가는 길』
    최경환 경기도: 도서출판100 [2019]
  • 『공공신학과 학제적 소통이론』
    정승훈 서울: 동연 [2021]
  • 『가르침과 종교적 상상력』
    Westerhoff III, John H 김도일 서울:장로교출판사 [2003]
  • “칼바르트의 화해론 연구.”
    최종호 「신학사상」1234호, 가을) [2006]
  • “칼 바르트의 보편 구원론 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”
    김영한 「신학정론」11(2) , 11): 539-568 [1993]
  • “칼 바르트의 만유화화론의 신학적 함의 ”
    박성규 「한국조직신학논총」제30집 :167-198 [2011]
  • “칼 바르트의 그리스도론 연구(화해론(CDIV1-3)을 중심으로
    허 준 ” 서울신대신대원 석사학위 논문 [1995]
  • “제1장 :공공신학이란 무엇인가?”
    장신근 『21세기 한국사회와 공공신학』, 서울: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[2017]
  • “스택하우스 신학의 공공성에 관한 에큐메니칼 신학적 해석”
    박도웅 「신학과 세계」87 [2016]
  • “세계화의 도전과 공적 실천신학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의 과제”
    장신근 「장신논단」20 [2003]
  • “바르트의 화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”
    김영한 「조직신학연구」3:15-33 [2003]
  • “기독교학교의 공공성에 대한 신학적 논의”
    장신근 박상진 외 『기독교학교의 공공성』. 서울: 예영커뮤니케이션 [1992]
  • “기독교학교의 공공성에 대한 신학적 논의:공공신학적 관점과의 대화”
    장신근 박상진 외.『기독교학교의 공공성』. 서울: 예영 [1992]
  • “글로벌 시민의식을 위한 심미적 기독교교육.”
    김동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“글로벌 상황하에서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적 신앙과 기독교교육.”
    양정환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“근대실천신학의 신학 백과사전 패러다임에 관한 역사적, 비판적 고찰”
    장신근 『21세기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: 고용수 총장 회갑 기념논문집』. 서울:예영커뮤니케이션 [2002]
  • “공적 신학의 주요 초점과 과제,”
    윤철호 「한국조직신학논총」46 [2000]
  • “공공신학에 관한 한국 개신교의 두 흐름”
    김경재 『공공철학』 시리즈 제16권 [2006]
  • “갈등의 현실과 화해의 신학.”
    심광섭 「신학과 세계」55 ,3):234-271 [2006]
  • “Thomas Groome”
    고용수 「기독교교육」통권296호 [1993]
  • “4차 산업혁명과 COVID 상황에서 새로운 대학 패러다임”
    김성재 서울:한신대 특강 미간행물 [2019]
  • 21세기 한국사회와 공공신학
    임성빈 서울: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[2017]
  • /하미라 역.『나눔의 교육과 목회(Sharing Faith)』
    고용수 서울: 기독교 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[199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