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창동 감독의 영화에 나타난 고통의 양상 = The Aspect of Pain in Lee Chang-dong’s films

초명양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이창동 감독의 영화에 나타난 고통의 양상 = The Aspect of Pain in Lee Chang-dong’s film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Pain
  • Polarization
  • Trauma
  • Unreasonable
  • leechang-dong
  • marginalized
  • schopenhauer
  • 고통
  • 부조리함
  • 소외계층
  • 쇼펜하우어
  • 양극화
  • 이창동
  • 트라우마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262 0

0.0%

' 이창동 감독의 영화에 나타난 고통의 양상 = The Aspect of Pain in Lee Chang-dong’s films' 의 참고문헌

  • , 「농어촌정소년의 정보소외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 구」
    김경준 최창욱 『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』 [2005]
  • 현대미학 특강
    이주영 미술문화 [2018]
  • 현대미술에 나타난 5·18광주민주화운동과 트라우마의 치유
    김명지 『한국예술연구』, 한국예술연구소 [2017]
  • 타인의 얼굴-레비나스의 철학.
    강영안 문학과 지성사 [2005]
  • 철학사전
    정영도 도서출판 [2012]
  •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적 기록-<박하사탕>을 중심으 로
    이다운 『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』. 한국문예비평연구소 [2019]
  • 불교학개론
    김동화 보연각 [1984]
  • 고통의 철학과 심리학
    석봉래 『인간!환경!미래』, 인제대학교, 인간 환경미래연구원 [2015]
  • 马克思恩格斯文集,『马克思恩格斯文集』, 中国人民出版社,2009.
  • 革命이데올로기와 葛藤
    金永俊 서울:亞細亞文化社 [1982]
  • 金炳河
    金忠男, 『現代共產主義의 分析』, 서울: 法文社 [1981]
  • 聂清,「叔本华与佛教」,『中华读书报』,新闻出版署,1999.
  • 王志敏, 『电影美学分析原理』,中国电影出版社
    학술집 [1993]
  • 王亚丁, 『浅谈佛教关于苦的认识』, 德宏师范高高等专科学院, 2016.
  • 李在烈,张海东, 『金融危机对韩国社会的影响』, 上海大学出版, 2009.
  • 周建国,「现代社会悖论:合理性中的不合理性」, 『社会科学』, 上海社 会科学院, 2001.
  • 叔本华,『叔本华论生存与苦痛』,上海人民出版社,2015.
  • 傅味琴, 『人生八苦』, 开化县文殊院, 2011
  • 『효과적인 기도』
    이상준 , 서울:네비게이토 출판사, [1997]
  • 『현대문화와 소외』
    김주연 대한기독교서회 [2004]
  • 『현대 한국영화의 작가적 경향에 대하여:장르의 변용성을 중심으 로』
    김영진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『한국의 사회문제 한국의 사회문제』
    김근홍 양지 [2002]
  • 『통일교의학연구』
    김항제 선문대하교 출판부 [2006]
  • 『촛불의 미학』
    가스통 바슐라르 이가림 문예출판사 [2001]
  • 『인간의 이해2』
  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가톨릭대학교출판부 [2017]
  • 『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』
  • 『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外』
    김중기 쇼펜하우어 集文 堂, [1991]
  • 『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: 그리스도교 신학의 근거 와 비판으로서의 예수의 십자가』
    김균진 몰트만 대한기독교서회 [2017]
  • 『쇼펜하우어, 돌이별이 되는 철학』
    이동용 도서출판 동녘 [2015]
  • 『소외론 연구』
    정문길 문학과 지성사 [1994]
  • 『소외 계층과 미디어 정책』
    유승관 커뮤니케이선북스 [2015]
  • 『소득양극화의 황과 원인』
    민승규 삼성경제연구소 [2006]
  • 『보이지 않는 태양, 당신은 누구시기에』
    정혁현 뉴스엔조이 [2007]
  • 『미술과 상징』
  • 『나쁜 그리스도인』
  • 『기도와 현대 목회』
    서창원 서울:감리교신학대학교 출판부 [1996]
  • 『구조에서 감성으로 - 그레마스의 기호학 밎 일반 의미론의 연 구』
    김성도 고려대학교, 출판부 [2002]
  • 『고통받는 인간』
    손봉호 서울대학교출판부 [1995]
  • 『경계인의 정체성을 주제로 한 도자조형 연구』
    김생화 홍익대학교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한국사회의 계급의식 유형화 과정에 관한 연구 : IMF 이후 계 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의 궤적을 중심으로」
    이왕원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[2017]
  • 「한국 현대사회에 대한 성찰적 기획으로서 이창동의 영화들」
    주진숙 『영상예술연구』, 영상예술학회 [2007]
  • 「프랑켄슈타인과 타자성 : 페미니즘, 정신분석, 마르크스주의 비 평」
    조미정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포스트모던시대에 있어서 신학운동의 가치」
    최종호 『인문학논총』, 동일인문학 [2012]
  • 「평범한 세계 연작을 중심으로」
    여림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재일조선인의 역사적 트라우마가 지닌 사후적 의미작용의 양 상」
    김종곤 『통일인문학』, 건국대학교, 인문학 [2015]
  • 「인간적 소외론의 철학적 기초」
    김종형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[2005]
  • 「이청준 소설의 영화화 연구 : 원작소설과 영화의 스토리텔링 중심으로」
    김수북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이창동 작품의 서사학적 연구 – 소설과 영화의 관계를 중심으 로」
    최지호 『도솔어문』, 단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, [2001]
  • 「이창동 작론 – 이창동 소셜과 영화의 연관성을 중심으로」
    박유희 『현대영화연구소』, 한양대학교, 현대연화연국소 [2017]
  • 「이창동 영화의 타자성과 윤리적 재현방식 연구」
    박우성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이창동 영화의 문화적 의미 - <오아시스>와 롤랑 바르트의 신화 론, <밀양>과자크 데리다의 죽음의 선물」
    이만식 『比較文學』, 韩国比較文 學, [2008]
  • 「이창동 영화의 등장인물 연구: 주체성과 사유체계의 탈근대적 전 이를 중심으로」
    김태상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이창동 영화 탐구:<초록물고기>, <박하사탕>, <오아시스>를 중심 으로 」
    서인숙 『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』, 한국콘텐츠학회 [2013]
  • 「이창동 감독 영화에 나타난 서사전략」
    정병숙 호서대하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용서: 이창동 <밀양>에서 기독교 윤리의 사회적 함의」
    마월초 청주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21]
  • 「영화의 영상 재현을 통한 역사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: 영화 <꽃 잎>, <박하사탕>, <화려한 휴가>를 중심으로」
    강승묵 서강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영화로 제작된 이청준 소설 연구 :죽음 애도 이데올로기를 중 심으로」
    김창윤 강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영화공간의 내재적 의미에 관한 연구-초록물고기를 중심으 로」
    최병근 『영화교육연구』2집, 한국영화교육학회 [2000]
  • 「영화 <밀양>이 제기하는 인간학적 성찰」
    민순의 『종교와 문화』 ,서 울대종교문제 연구소 [2007]
  • 「역사적 트라우마 개념의 재구성」
    김종곤 『시대와 철학』, 한국철학 사상연구회 [2013]
  • 「실존주의: 이창동 감독 <버닝>의 스타일 연구」
    유령곤 청주대학교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[2021]
  • 「쇼펜하우어의 도덕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」
    심용만 고려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소득불평등도와 양극화 : 오해와 실태」
    유경준 『한국개발연구원』 [2007]
  • 「세계화 시대의 한국 계급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.」
    구해근 『경제와 사희』 [2007]
  • 「사회를 위한 디자인 이슈와 소외계층에 대한 디저인 감성의 방 향」
    천저임 국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사실주의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의 특성 - 영화 〈밀양〉과 〈북촌 방향〉을 중심으로」
    손보욱 『씨네포럼』, 선문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[2012]
  • 「부조리한 고통에 관한 철학적 성찰」
    김선희 『철학』, 한국철학회 [2018]
  • 「몰트만의 그리스도론의 구조와 특징」
    김동건 『신학사상』, 신학사상 연구소 [2015]
  • 「도시빈민 주거지의 공간적 재편과 함의」
    남원석 『문화과학』, 문화 과학사 [2004]
  • 「교육양극화의 교육행정학적 접근」
    신현석 『敎育行政學硏究』, 한국 교육행정학회 [2006]
  • 「고통에 대해 어떻게 말할 것인가?」
    김선희 『인간!환경!미래』, 인제 대학교, 인간환경미래연구원 [2014]
  • 「고통에 대한 감수성의 윤리학-레비나스의 철학적 관점에서 본 <밀양>과 <시>」
    황혜진 『씨네포럼』,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[2012]
  • 「고통 속에서 발견하는 희망에 대한 신학적 성찰: 욥기와 몰트 만 신학을 중심으로」
    임민균 『한국콘텐츠학회노문지』, 한국콘텐츠학회 [2020]
  • 「고통 받는 인간의 해방교육에 관한 통일신학적 연구」
    조광봉 선문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韓國의 社會兩極化 硏究: 分配의 不等 分析을 中心으로」
    안치섭 충북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韓國의 社會兩極化 硏究 分配의 不平等 分析」
    安致燮 忠北大學校大 學院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‘욕망(欲望)'의 표상을 통한 자화적(自化的) 표현 연구 : 연구자 의 작품을 중심으로」
    유영미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<박하사탕>과 <비정성시>의 영상미학 비교를 통한 시대성 연 구」
    진호주 청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<연꽃과 십자가>
    정희수 예수살기 [1996]
  • 1997년 동아시아금융위기와 2008년 세계금융위기의 진단과 처 방에 관한 비교연구
    왕자자 인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