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방정부의 지역공동체 활용 역량이 재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: 재난 회복탄력성 지수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

김창진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지방정부의 지역공동체 활용 역량이 재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: 재난 회복탄력성 지수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인과지도 분석
  • 재난 취약성
  • 재난 회복탄력성
  • 재난관리
  • 지역공동체 활용 역량
  • 패널회귀분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69 0

0.0%

' 지방정부의 지역공동체 활용 역량이 재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: 재난 회복탄력성 지수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환경재난으로부터 사회재난으로: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사회적 대응분석
    박재묵 「환경사회학연구 ECO」, 12(1): 7-42 [2008]
  •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영향연구
    이시재 「환경사회학연구 ECO」, 12(1): 109-144 [2008]
  •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: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 출사고가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
    권선중 김교헌 「환경사회학연구 ECO」, 12(1): 83-107 [2008]
  •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자원봉사자 분석
    박재묵 이정림 「환경사 회학연구 ECO」, 13(1): 173-216 [2009]
  • 행정학분야의 실증적 사례연구에 관한 분석과 평가
    김승현 「정부학연 구」, 14(4): 293-320 [2008]
  • 행정안전부
    https://www.mois.go.kr/index.jsp
  • 한국철학: 최한기(崔漢綺)의 이상 사회론에 대한 고찰 - [대학(大 學)] 팔조목(八條目) 중 수신(修身), 제가(齊家), 치국(治國), 평천하(平天下)를 중심으로
    백준철 「한국철학논집」, 40(0): 127-150 [2014]
  • 한국철학: 율곡향약의 현대적 조명-공동체주의와 관련하여
    최문형 「동양 철학연구」, 30(0): 27-52 [2002]
  • 학교와 지역사회 간 교육공동체 구축에 관한 인과지도 분석
    홍지오 「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」, 19(3): 95-120 [2018]
  •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정부역할과 시민문화.
    김정인 박광국 「한국행정학 보」, 54(3): 1-30 [2020]
  • 패널 토빗모형을 이용한 청년채용비율 결정요 인 분석
    김종환 류장수 박성익 조장식 「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」, 28(4): 853-862 [2017]
  • 코로나19의 제약을 견디는 사람들: 공동체의식, 사회적 책임의식 및 자기오락화 역량을 중심으로
    고동우 「한국심리학회지: 소비자 광고」, 21(3): 399-424 [2020]
  • 코로나19대응 실천사례집.
    강남종합사회복지관 [2020]
  • 코로나 19 위기 극복과 사회경제적 회복력 (Resilience) 의 측면에서 본 신뢰 문제
    전대욱 최인수 「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」. 2020: 1-15 [2020]
  • 최대유사체계분석기법을 통한 OECD 주요 선진국과의 규제관 리체계 비교연구
    김신 최진식 「한국공공관리학보」, 27(1): 55-88 [2013]
  • 질병관리청 홈페이지
    http://kdca.go.kr/index.es?sid=a2
  • 지역시민사회의 역량과 지방정부의 정책혁신
    김혜정 이승종 「한국행정학 보」, 40(4): 101-126 [2006]
  • 지역사회의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재난저지공동체 접근과 지 역자율방재단의 위상
    권태호 오금호 「한국정책과학학회보」, 10(1): 151-169 [2006]
  •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
    이재열 「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 집」, 2006: 23-49 [2006]
  • 지역발전과 지역공동체: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모형 및 기본 정책 방향을 중심으로
    박병춘 「지역사회연구」, 20(2): 1-26 [2012]
  •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: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
    문경주 「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」, 2014: 397-411 [2014]
  • 지역공동체 위기에 대응한 공동체주도발전전략(Community-Driven Development)에 관한 연구
    김학실 「한국위기관리논집」, 10(5): 179-201 [2014]
  • 지역 특성이 자연재난회복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
    박소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지역 사회 재난 리질리언스 (Community Disaster Resilience) 연구의 비판적 고찰 과 행정학적 제언
    김종범 이석환 전대욱 조경호 최진식 하현상 「지 역발전연구」, 23(2): 409-464 [2014]
  •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회복력 진단과 활용방안 연구
    남기찬 민성희 박종순 전성제 하수정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[2014]
  •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윤리 – 공동체기반 재난위험감소는 공동체주 도인가? -
    김수진 「Crisisonomy」, 14(6): 51-64 [2018]
  • 지방정부 재난관리조직의 개선방안: 통합 형 재난관리 조직설계
    강창민 양기근 정원희 「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」, 2006: 1-20 [2006]
  • 지방정부 재난관리 예산과정의 지대추구 분석 –기대-성과불 일치 연구방법의 적용을 중심으로
    이주호 「한국정책학회보」, 21(1): 191-217 [2012]
  • 지방재정365
    https://lofin.mois.go.kr/portal/main.do
  •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체계와 사회적 경제조직의 역할 - 일본 재해대책 기본법 개정과 스기나미 구(杉並區) 사례를 중심으로 -
    네모토 마사쯔구 「한 국위기관리논집」, 11(2): 49-69 [2015]
  • 주민참여 영향요인이 도시발전 수준에 미치는 인과관계 분석 -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의 적용
    장지현 최영출 「한국지방행정학보」, 14(1): 125-152 [2017]
  • 주민자치 개념화를 통한 모형 설계와 제도화 방향
    곽현근 「한국행정학 보」, 49(3): 279-302 [2015]
  • 주관적 빈곤인식의 측정과 영향요인: 기초수급대상자를 중심 으로
    송건섭 정미용 「지방정부연구」, 15(1): 7-28 [2011]
  • 정부조직의 지식관리 성공을 위한 CoP 발전방향: 민간부문과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
    김구 「한국공공관리학보」, 22(4): 329-355 [2008]
  • 정부역량이 시민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: 사회복지 정부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한병훈 「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」, 2015(0): 109-134 [2015]
  • 정부역량에 대한 국민인식이 정부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: 정부의 내 외부역량을 중심으로
    황창호 「지방정부연구」, 23(4): 167-189 [2020]
  • 정부역량 측정을 위한 지표체계 구성에 관한 연 구: 전문 윤리 협치역량을 중심으로
    김윤희 박정원 심우현 윤건 「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」, 29(3): 143-158 [2018]
  • 정부역량 모형과 현행 평가지표 분석-네트워크역량 提高를 제언하며
    이정호 최상옥 「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」, 2016(0): 1482-1498 [2016]
  • 재해구호품 전달체계의 개선 방안 연 구: 재해지역 주민과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,
    김도훈 김태연 이은애 홍영교 「한국정책학회보」, 18(4): 375-400 [2009]
  • 재난취약계층이 재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– 기초자치 단체 재난관리예산을 중심으로 –
    김창진 양기근 「Crisisonomy」, 16(3): 19-44 [2020]
  • 재난취약계층 재난안전교육 개선방안: 다문화 가족을 중심으로
    이주호 「Crisisonomy」, 12(11): 37-50 [2016]
  • 재난정책분야의 회복탄력성(Resilience) 결정요인 분석: 재난유형 가운데 자연재난을 중심으로.
    권기헌 이대웅 「한국정책학회보」, 26(2): 475-510 [2017]
  • 재난의 인적환경 취약성이 사회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: 재 난안전 국민인식 옴니버스 조사결과를 중심으로
    민연경 이동규 「한국정책학회보」, 25(1): 33-60 [2016]
  • 재난에 강한 지역공동체 형성 전략: 허베이스피리트호 기 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
    양기근 「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」, 9(5): 249-256 [2009]
  • 재난약자의 안전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
    장한나 「국정관리연구」, 11(2): 1-24 [2016]
  • 재난안전 취약계층의 재난취약성과 재난복원력 연구: 재난안전취 약계층의 복원력 지원체계 비교분석
    서민경 양기근 「한국융합과학회지」, 8(2): 220-239 [2019]
  • 재난관리행정주체로서의 지방자치단체의 법적 지위: 재난 및 안전관 리기본법상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그 강화방안을 중심으로
    김봉철 「지방자치법연 구」, 14(4): 129-157 [2014]
  • 재난과 공동체: 2010년 칠레 광산 붕괴사고를 중심으로
    최명호 「중남미연 구」, 36(1): 67-103 [2017]
  • 재난 취약성 극복과 복원력 향상 방안 :재난 취약성과 복원력의 개념적 통합을 중심으로
    양기근 「Crisisonomy」, 12(9): 143-155 [2016]
  • 재난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재해 리질리언스의 평가
    김성욱 김진만 유순영 「한국방재학회지」, 14(3): 76-83 [2014]
  • 재난 대응 시스템의 다이내믹스; 주민과 공무원의 인식차를 중심으로
    김도훈 홍영교 「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춘계발표자료」. 2009: 1-19 [2009]
  • 장애인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생활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: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김미정 백혜영 염동문 「장애와 고용」, 23(1): 303-325 [2013]
  • 자연재난에 의한 재난취약계층의 재난안전복지 개선 방향: 전라북도 임실군의 노인계층을 중심으로
    김명구 양기근 정기성 「Crisisonomy」, 10(9): 113-135 [2014]
  • 일상적 삶터로서의 지역공동체: 관계와 연대를 형성하는 장으로서의 도시사회
    김정오 「사회조사연구」, 18(0): 95-132 [2003]
  • 의정부시청 홈페이지
    https://www.ui4u.go.kr/main.do
  • 의정부시의회 회의록(제302회 자치행정위원회 회의)
  • 의정부시의회 홈페이지
    https://www.ujbcl.go.kr/
  • 유학(儒學)에서의 공공성 논의: 행정학 맥락에서 이해하기
    김도영 배수호 「한국행정학보」, 48(3): 75-98 [2014]
  •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공동체 의식이 웹사이트 충성 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
    박성연 유승현 「경영학연구」, 32(6): 1695-1713 [2003]
  • 오늘날 우리가 말할 수 있는 ‘공동체성’이란 대체 어떤 것인가?: 노 인친화적 (신)공동체성 논의를 위한 이론적 배경
    천선영 「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」, 1-14 [2013]
  • 연령집단 별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간 관 계
    김수영 장수지 코바야시 에리카 「한국사회학회지: 사회 및 성격」, 28(2): 1-24 [2014]
  • 안전신문고 홈페이지
    https://www.safetyreport.go.kr/#main
  • 신정치문화(NPC)와 단체장의 신정치문화(NPC)적 성향분석
    이승종 홍진이 「서울도시연구」, 6(3): 111-126 [2005]
  • 시스템의 회복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의 적 용
    전대욱 「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」, 14(2): 5-30 [2013]
  • 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을 적용한 주민참여 유인 분석
    정윤수 추병주 「지방행정연구」, 20(1): 131-164 [2006]
  •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도시동태성 분석과 정책지 렛대 탐색: 인과순환구조와 시스템 행태 분석을 중심으로
    최남희 「한국행정학보」, 37(4): 329-358 [2003]
  • 시스템 사고를 이용한 커뮤니티 리질리언스 구성 요소간 인과구 조 탐색
    강지원 주필주 「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」. 22(1): 59-79 [2021]
  • 시스템 다이내믹스와 정책평론
    김동환 「정부학연구」, 7(2): 66-90 [2001]
  • 순자철학과 공동체주의
    유희성 「양명학」, 11(0): 153-181 [2004]
  • 새로운 지역개발전략으로서의 회복탄력성의 요소와 인과순환적 원 형구조에 관한 연구
    최남희 「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」, 16(4): 155-178 [2015]
  •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
    소진광 「한국지역개발학회지」, 16(1): 89-117 [2004]
  •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딜레마: 인구 집단의 리스크와 개인의 복지 간 대립에 대한 도덕 이론들과 그 한계
    구영모 이경도 「철학」, 146(0): 221-253 [2021]
  • 사회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: 한 중 지방도시의 비교
    김병록 「지 역사회연구」, 19(1): 1-19 [2011]
  • 사회자본론의 시각에서 본 시민참여와 호혜성의 관계
    류태건 「지방정부연 구」, 18(1): 465-495 [2014]
  •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공공성 위기 고찰: 정당성 위기를 중심으로
    김준현 「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」, 24(4): 187-208 [2014]
  • 사회 연대와 사회적 돌봄을 잇는 대안 공동체 탐색: 2 개의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
    김영례 「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」, 10(3): 153-182 [2016]
  • 비교정치연구의 분석전략과 디자인
    김웅진 「비교문화연구」, (2): 89-116 [1995]
  •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
    https://www.law.go.kr/
  • 미래 자원환경지질 분야로서 국가기반시설 리질리언스 연구 동향 분석
    유순영 「자원환경지질」, 44(6): 533-539 [2011]
  • 묵자 겸애설의 의의와 한계
    이경무 「철학연구」, 124(0): 219-241 [2012]
  • 마을실천계획을 통한 지역사회 역량형성에 관한 연구-철암동 지역 재활성화 과정을 사례로
    심재만 「도시연구」, 9(0): 162-193 [2004]
  • 마을공동체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: 중앙정부지원 사업 을 중심으로
    이기태 하현상 「한국행정학보」, 51(2): 421-459 [2017]
  •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주민역량강화 효과성 분석: 푸른 경기 21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
    김진경 황기원 「도시설계」, 12(5): 5-18 [2011]
  • 도서주민의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
    오승환 「한국지역사회복 지학」, 28(0): 1-20 [2009]
  • 대도시지역 노인과 농촌마을 노인의 공동체의식 형성요인 비교연구
    이형하 「노인복지연구」, 28(0): 231-254 [2005]
  • 대도시 아파트 주거단지의 사회자본
    천현숙 「한국사회학」, 38(4): 215-247 [2004]
  • 담헌(湛軒)과 혜강(惠岡)의 유교 대동론(大同論)과 공동체 정신
    신현승 「유학연구」, 32(0): 135-162 [2015]
  • 다층분석에 의한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
    김수영 문경주 장수지 「지역사회연구」, 23(1): 115-142 [2015]
  •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 집단주의 성향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: 중국 일본, 필리핀, 베트남, 캄보디아 출신국 중심
    양순미 「한국가족관계학회 지」, 17(1): 329-345 [2012]
  • 낙동강 유역의 홍수위험지수 산정
    김상단 박무종 송재하 최현일 「한국수자 원학회논문집」, 46(1): 35-45 [2013]
  • 기후변화를 고려한 대설재난 피해액 예측
    강정은 하지혜 「국토연구」, 171-189 [2020]
  • 기초자치단체 상수도 요금 현실화율의 영향요인: 정 치적 요인의 탐색
    김창진 배수호 이영규 「지방행정연구」, 33(3): 179-208 [2019]
  • 기업 재직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
    문성애 이영민 「인적자원관리연구」, 16(2): 55-67 [2009]
  • 국내 거주 외국인의 재난안전 취약성에 관한 연구: 정보요구 사항에 대한 심층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
    김윤희 류현숙 「Crisisonomy」, 11(3): 151-176 [2015]
  • 국가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: 행정, 사법, 정 치역량을 중심으로
    최선미 「한국행정학보」, 52(3): 253-289 [2018]
  •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
    정문기 최문형 「한국행정학보」, 49(2): 273-306 [2015]
  • 공동체의 형성이 주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
    이종수 「한국지방자치학회 보」, 30(2): 201-219 [2018]
  • 공동체의 위기와 복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: 향촌공동체와 마을공동 체를 중심으로
    이명호 「사회사상과 문화」, 19(1): 87-116 [2016]
  • 공동체요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: 충청남 도 마을기업 참여자를 중심으로
    전지훈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공공가치가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: 정의, 민주성, 공동체 성을 중심으로
    김이수 「한국거버넌스학회보」, 25(1): 153-181 [2018]
  • 공간의 생산. 양영란 역
    Lefebvre, H. 서울: 에코리브르 [2011]
  • 강남종합사회복지관 홈페이지
    http://kangnamwelfare.co.kr/
  • 강남구청 홈페이지
    https://www.gangnam.go.kr/main.do
  • 강남구의회 회의록(제284회, 제288회, 제290회, 제291회 행정재경위원회 회의)
  • 강남구의회 홈페이지
    https://gncouncil.go.kr/kr/
  • 강남구 마을을 담다 홈페이지
    http://gangnammaeul.kr/
  • 감염병 재난 거버넌스 비교연구: 사스와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
    고대유 박재희 「한국정책학회보」, 27(1): 43-280 [2018]
  • 감염병 대응에서 개인정보 처리 이슈와 과제
    조성은 정보통신정책연구 원 [2020]
  • 감염병 대응 영향 요인 분석 : 사스(2003)와 메르스(2015)를 중심으로
    이규명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가리왕산 스키장 건설을 둘러싼 논쟁과 생태관광의 회복력 (resilience)에 대한 시스템 사고
    전대욱 전진형 「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」, 15(3): 61-79 [2014]
  • 松本康(1990). “都市コミュニティの文化形成とライフスタイル”, 都市問題, 81(2): 61-75.
  • 「현대적 지역공동체 모델 정립 및 활성화 방안 연 구」
  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서울: 안전행정부 [2013]
  • 「행정학 연구의 대안적 방법으로서의 방법론적 다각화 (Triangulation):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의 결합」
    심준섭 「한국행정연구」, 17(2): 3-31 [2008]
  • 「한국의 지역응급의료 조직간 대응체계 분석 – 재난관리공동체와 파트너십 이론을 중심으로 -」
    김유호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한국의 재난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: 재난관리체제의 구조적 속성을 중심으로」
    고창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한국 지방정부의 재난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– 재난 회복탄력 성의 영향요인 비교분석으로 -」
    이대웅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[2019]
  • 「지역시민사회의 역량이 지방정부의 정책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」
    김혜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지역공동체 복원 및 형성에 관한 연구」
   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행정자치 부 연구보고서 [2007]
  • 「지역공동체 기반 사회적 경제 유형 별 모델 발굴을 위한 기초연구」
    김을식 남승연 박주희 이소연 최석현 경기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. 1-78 [2014]
  • 「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」
    하수정 한국지 역정책학회 2015년도 제4차 지역정책 포럼. 27-45 [2015]
  • 「지방정부와 군의 협력적 재난관리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」
    조극래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「지방자치단체의 재난 회복력에 관한 연구: 지표개발과 영향요인을 중심으로」
    허아랑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재난위기 극복을 위한 시민사회 역할과 민관협력방 안」
  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연구보고서 [2020]
  • 「재난약자 방재대책 실태조사」
    박상현 심기오 정성희 국립방재연구소 [2010]
  • 「재난관리론」
    이재은 서울: 대영출판사 [2006]
  • 「은평구의 재난관리 역량강화 등을 위한 재난안전에 대한 선진화 방안 연구」
  • 「아리스토텔레스와 공 맹에 있어서 가족과 공동체 – 공동체주의 담론의 맥락에서 –」
    김우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시스템다이내믹스」
    김도훈 김동환 문태훈 서울: 대영문화사 [2001]
  • 「시민사회의 변화와 사회적 자본, 그리고 시민역량」
    이재혁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[2007]
  • 「스마트폰을 활용한 재난 취약성 관리 서비스디자인 연구」
    박상길 성균 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「사회적 약자가 겪는 코로나19와 극복을 위한 제도마 련 시급」
  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 정책브리프 [2020]
  • 「사회적 네트워크가 개인 및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: 다수준 접근법을 중심으로」
    김은실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사회 네트워크가 직무유효성 및 경력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」
    전수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부여읍 주민혁신역량강화 추진 방안」
    박철희 유학열 조봉운 한상욱 충남 발전연구원 현안과제 [2008]
  • 「도시 방재력 진단을 위한 지표 및 체크리 스트 개발」
  • 「대형 재난지역의 갈등관리에 관한 실증연구 – 2007 허베이 스피 리트호 유류오염사고 사례를 중심으로-」
    박상규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13]
  • 「기후변화에 따른 풍수해 대응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연구개 발」
    국민안전처 서울: 국민안전처 [2017]
  • 「공동체 주도 지역발전 사례 연구: 홍천군 열목어마을」
    이영규 성균관대 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20]
  • 「경기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」
    고재경 김희선 경기연구원 정책연 구. 1-1 [2009]
  • 「K-방역의 사회적 가치 도출, 사회 문화적 성공요인 분석 과 향후 과제」
    정책기획위원회 정책기획위원회 연구보고서 [2020]
  • “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초기대응과 재난관리의 한계.”
    노진철 「환경사회학연구 ECO」, 12(1): 43-82 [2008]
  • “한국 대규모 진단검사 이렇게 가능했다”
    시사IN [2020]
  • “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 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”
    박희경 신상민 「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」, 8(2): 11-20 [2015]
  • “지역 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 는 영향 연구 : 지역 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비교 분석을 중심으로.”
    신예철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을 이용한 정책파급효과분석: 성매매특별법을 중심으로”
    정석환 주영종 「한국행정학보」, 39(1): 219-236 [2005]
  • “마을공동체 형성의 인과구조 분석”
    김수영 류지선 문경주 오찬옥 「한국지역 사회복지학」, 49: 337-381 [2014]
  • “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 : 공동체의식 측정항목 도출 및 형성요인 분석을 중심으로.”
    신영선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."
    이라영 전남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“[속보] 정부, 신종코로나→‘코로나19’ 명칭 변경”
    한국경제 TV [2020]
  • “WHO 총장, 이례적 한글 트윗 “한국이 팬데믹 효과적 통 제…감사””
    경향신문 [2020]
  • ‘삶의 질’과 소득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- ‘경기도민 의 삶의 질’ 조사를 활용하여-
    김창진 허훈 「GRI논총」, 20(4): 227-264 [2018]
  • ‘공동체를 넘어선 공동체’로서의 마을공동체: 레비나스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
    심상우 「현대유럽철학연구」, 53(0): 364-397 [2019]
  • STATA 패널데이터 분석
    민인식 최필선 서울: 한국 STATA [2012]
  • SD모형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시장 동태성 연구
    김상욱 박상현 연승준 「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」, 2(2): 41-62 [2001]
  • De Re Pubilca,
    Cicero 김창성 역. 파주: 한길사 [2007]
  • CASE STUDY RESEARCH: Design and Methods (5th ed.), 신경 식 서아영 송민채 역
    Yin, R. 서울: 한경사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