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보호지역의 지정 및 관리를 통한 접경지역의 역량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= The Empower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Border region through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ternational Protected Areas

유미연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국제보호지역의 지정 및 관리를 통한 접경지역의 역량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= The Empower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Border region through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ternational Protected Area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국제보호지역
  • 역량강화
  • 접경지역
  • 지속가능한 발전
  • 지역사회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018 0

0.0%

' 국제보호지역의 지정 및 관리를 통한 접경지역의 역량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= The Empower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Border region through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ternational Protected Areas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농촌사회의 장기비전과 발전전략: 내발적 발전전략과 농촌사회 의 통합적 발전
    박진도 『농촌사회』. 20(1) [2010]
  • 한국 보호지역 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연구
    김보현 박사학위논 문. 서울시립대학교 [2012]
  • 한국 MAB (인간과 생물권 프로그램) 전략과 행 동계획 2016-2025
  • 중복 지정된 보호지역을 고려하기 위한 IUCN 카테고리 적용
    구미현 길승호 김호걸 모용원 성현찬 이관규 이동근 『환경영향평가』. 23(2). http://dx.doi.org/10.14249/eia.2014.23.2.157 [2014]
  • 인제군대암산용늪 홈페이지
    https://sum.inje.go.kr/br/reserve/sub03_02 [2021]
  •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신청을 위한 국가 기준 과 절차 가이드라인
  • 우리나라 국토 및 환경 분야 중장기 국가계획의 보호지역 관련 내용 고찰. “생물다양성협약 2011∼2020 전략목표” 및 “보호지역 결정문” 내용을 중심으로
    허학영 『환경정책연구』. 11(4) [2012]
  •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 영지침(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, 2019)(김세연 역)
  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문화재청 세계유산팀. Web site:http://www.cha.go.kr/cop/bbs/selectBoardArticle.do?nttId=78619&bbsI d=BBSMSTR_1021&mn=NS_03_08_01(원서출판 2019). [2020]
  •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기준의 객관화 연구
  •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
    이수상 서울 : 논형 [2012]
  • 남북회담본부 홈페이지
    https://dialogue.unikorea.go.kr/ukd/c/ca/usrtalkmanage/View.do [2021]
  • 남북정상회담 홈페이지
    https://www.koreasummit.kr/Summit2018/2018History [2021]
  • 남북이산가족찾기 이산가족정보종합시스템
    https://reunion.unikorea.go.kr/reuni/home/museum/Yearbook.do?mid=SM0 0000261&gubn=K#top [2021]
  • 국가지질공원 홈페이지
    https://www.koreageoparks.kr/bbs/content.php?co_id=institution_03_00(20 21.05.28.)
  • 거버넌스별 통 계
    한국보호지역 통합DB관리 시스템(KDPA) 홈페이지. http://www.kdpa.kr/(2021.04.20.). [2018]
  • 諸富徹. 2003. 『環境』. 東京: 岩波書店.
  • 統一선물 ‘독일판 DMZ’는 울창한 국립공원 되고…
    박경일 『문화일 보』. http://www.munhwa.com/news/view.html?no=2018051601033012048001. [2018]
  • 『현대 사회학(김미숙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정성호 역)』
    앤서니 기든스 서울 : 을유문화사(원서출판 2009) [2012]
  • 『해외발간보고서 요약분석: 그린 인프라와 기 후변화 적응』
  • 『포커스 그룹 연구 방 법론 이론과 실제(역: 강종구, 김영표, 정광조, 최종근)』
    David, W. Stewart Prem. N. Shamdasani 서울 : 학지사 (원서출판 2015) [2015]
  • 『평화의 숲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기본구상과 국민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』
    김재현 산림청 [2020]
  • 『탐욕의 시대(양영란 역)』
    장 지글러 서울 : 갈라파고스(원서출 판 2007) [2011]
  • 『타임머신을 탄 연천 이야기』
    송추향 연천군청 [2014]
  • 『지속가능한 남북한 자연재난관리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: 동 서독 사례를 중심으로』
    장동준 박사학위논문. 건국대학교 [2020]
  • 『제4차 지구생물다양성전망』
    생물다양성협약사무국 몬트리올 : 생물다양성협약사무국 [2014]
  • 『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(2019~2023년)』
  • 『제3차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』
    환경부 [2015]
  • 『정태인의 협동의 경제학』
    이수연 정태인 서울 : 레디앙 [2013]
  • 『정의의 아이디어(이규원 역)』
    아마티아 센 서울 : (사)한국방송 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(원서출판 2009) [2019]
  • 『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–한반도 중심의 생태 평화벨 트 육성』
  • 『접경지역 개론』
    신광식 고양 : 도서출판 범한 [2019]
  • 『육상 생태 보호지역 확대 추진 방안 연구』
    이수재 이현우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[2015]
  • 『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운영 지침(안)(STATUES OF TH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GEOPARKS PROGRAMME (국가지질공원사무국 역)』
    UNESCO (원서출판 2015) [2017]
  • 『영국의 지속가능한 지역만들기(김상용 역)』
    나카지마 에리 파주 : 도서출판 한올(원서출판 2005) [2009]
  • 『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기본계획 수립 용역 보 고서』
    김재현 연천군청 [2020]
  • 『연천 DMZ일원 주민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역 교육자원 및 여건조사 보고서』
    김재현 경기연구원 [2014]
  • 『연천 DMZ일원 자원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주민교 육사업 보고서』
    김재현 연천군청 [2016]
  • 『순환과 공생의 지역만들기 』
    박진도 서울 : 교우사 [2011]
  • 『세계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규약(THE STATUTORY FRAMEWORK OF THE WORLD NETWORK OF BIOSPHERE RESERVES)』
    UNESCO [1996]
  • 『선진외국의 보호지역 관리기법 연구』
  • 『생태관광 상품개발 시범사업(DMZ, 우포늪) 최종보고서』
  • 『생물권보전지역 지속가능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연구 보 고서』
    김재현 MAB한국위원회 [2016]
  • 『생명의 편지(권기호 역)』
    에드워드 윌슨 서울 : 사이언스북스 (원서출판 2006) [2007]
  • 『산림보호구역 정비사업(4차) 연구용역』
    한국산지보전협회 산림 청 [2019]
  • 『사회 경제공간으로서 접경지역 –소외성과 낙후성의 형성과 변화』
    박삼옥 서울 : 서울대학교출판부 [2005]
  • 『북한강 상류지역의 UNESCO 접경생물권보전지역 지 정방안』
    통일연구원 국무조정실 [2011]
  • 『멈춰라, 생각하라-지금 여기, 내용 없는 민주주의 실패한 자본주의(주성우 역)』
    슬라보예 지젝. 서울 : 미래엔 와이즈베리 [2012]
  • 『농어촌형 사회적기업』
    유정규 광주: 광주대학교 출판부 [2012]
  • 『남북협력을 통한 임진강유 역의 평화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』
  • 『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: 그린인프라 의 방재효과 및 적용방안』
    강정은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[2011]
  • 『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한국형 그린인프라 구축방안 연구 -도시 물 순환체계 중심으로』
    윤주환 환경부 [2009]
  • 『글로벌 그린 뉴딜(안진환 역)』
    제레미 리프킨 서울 : 민음사(원 서출판 2019) [2020]
  • 『근거이론의 구성 질적 분석의 실천 지침(박현 선 이상균 이채원 공역)』
    Kathy Charmaz 서울 : 학지사(원서출판 2006) [2013]
  • 『근거이론 분석의 기초(김인숙 장혜경 공역)』
    Barney G.Glaser 서울 : 학지사(원서출판 1992) [2014]
  • 『국제환경정치론』
    박재영 파주 : 법문사 [2016]
  • 『국제보호지역-세계유산, 생물권보전지역, 세계지질공 원, 람사르습지』
    김은영 서울 : 유네스코한국위원회 [2019]
  • 『국립공원 이해와 관리』
    신용석 서울 : 자연과생태 [2016]
  • 『국내 보호지역의 UN SDGs 이행전략 수립 연구-국립 공원 생물권보전지역 사례를 중심으로』
    허학영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 원 [2017]
  • 『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(K-SDGs) 세부목표 및 지표 』
    환경부 [2019]
  • 『국가적색목록 생물종의 보호를 위한 관리정책 연구』
    이현우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[2011]
  • 『국가생물다양성 전략 및 이행계획』
  • 『공간의 생산(양영란 역)』
    앙리 르페브르 서울 : 에코리브르(원 서출판 1974) [2011]
  • 『Yeoncheom Imjin River Biosphere Reserve Application』
  • 『GDP는 틀렸다(박 형준 역)』
    아마티아 센 장 폴 피투시 조지프 스티글리츠 파주 : 도서출판동녘(원서출판 2009) [2011]
  • 『DMZ일원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추진사업 보고서』
    이준우 연천 군청 [2016]
  • 『DMZ생태 문화자원 개발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』
    박덕규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[2013]
  • 『DMZ가 말을 걸다』
    박은진 고양 : 위즈덤하우스 [2013]
  • 『DMZ, 비밀의 숲』
    국립수목원 서울 : 도서출판 애드밴 [2018]
  • 『DMZ 일원의 생물다양성 종합보고서』
    국립생태원 환경부 [2013]
  • 『DMZ 일원 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수립』
    권경익 환경부 [2011]
  • 『DMZ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 연구 (경기권)』
    박은진 경기연구원 [2012]
  • 『DMZ 생태 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기본 계획 수립 연구』
  • 『2020 경기도 규제지도』
    경기도 경기도 [2020]
  • 『2019년 제4회 연천군 사회조사 보고서』
    연천군 [2019]
  • 『2017년 제2회 연천군 사회조사 보고서』
    연천군 [2017]
  • 『2017 DMZ 일원 생태계조사(민통선이북지역 서부평 야권역)』
    국립생태원 환경부 [2017]
  • 『2016년 제1회 연천군 사회조사 보고서』
    연천군 [2016]
  • 「환경국가의 발전과정과 녹색전환」
    김수진 『공간과 사회』. 71 [2020]
  • 「해제: 글레이저의 근거이론 방법」
    김인숙 『근거이론 분석의 기 초(김인숙 장혜경 공역)』. 서울 : 학지사(원서출판 1992) [2014]
  • 「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DMZ 경제적 활용 방안」
    홍순직 『통 일경제』. 2012(2) [2012]
  • 「한반도 DMZ 접경지역의 시 공간적 변화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」
    정해용 박사학위논문. 강원대학교 [2017]
  • 「한국 접경지역의 접경지역정책의 변화방향: 경기도 북부지 역을 중심으로」
    허훈 『현대사회와 행정』. 17(3) [2007]
  • 「평화산림이니셔티브 브리핑 세션」개최 보도자료
    외교부 http://www.mofa.go.kr/www/brd/m_4080/view.do?seq=369406 [2019]
  • 「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경제 활성화」
    김재현 『지역과 발 전』. (2).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[2010]
  • 「지자체 생물다양성 관리전략 구축」
    공석준 김근한 김민경 송지윤 이명진 전성우 『환경정책연구』. 13(2) [2013]
  • 「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지역만들기」
    유미연 『생태사 회를 위한 통합적인 접근(건국대학교 생태기반사회연구소 엮)』. 서울 : 소명출판. pp.249-270 [2020]
  • 「지역불균형 실태와 새로운 균형발전전략」
    박양호 『세계화와 지역발전』. 서울: 도서출판 한울. pp.127-147 [2001]
  • 「지역발전과 민관협력형 지역거버넌스 구축」
    박우서 『세계화와 지역발전』. 서울: 도서출판 한울. pp.431-474 [2001]
  • 「지역 살림살이와 사회적 경제」
    오미일 『지역에서 행복을 찾 다』. 서울 : 소명출판. pp.201-223 [2013]
  • 「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토지이용」
    이정전 『세계화와 지 역발전』. 서울 : 도서출판 한울. pp.364-388 [2001]
  • 「접경지역지원법의 실효성 확보방안-경기북부지역을 중심 으로-」
    소성규 『법과 정책연구』. 2(1) [2002]
  • 「접경지역의 지오투어리즘(Geotourism)과 지오빌리 지네트워크(Geo-Villages Network)에 관한 연구」
    김창환 정해용 『한국사진지리학회 지』. 26(1) [2016]
  • 「접경지역에서의 국제적 협력 사례연구 –유네스코 접경생 물권보전지역을 중심으로-」
    김재한 『21세기정치학회보』. 19(3) [2009]
  • 「접경지역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에 관한 연구: 경기도의 접경지역과 비접경지역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」
    김성민 백재환 『접경지역통 일연구』. 2(2) [2018]
  • 「접경지역 시장 군수 공동발전 위해 손 잡는다」
    최성록 『뉴시스』. https://news.naver.com/main/read.nhn?mode=LSD&mid=sec&sid1=102&oid=003&a id=0000670211 [2007]
  • 「접경지역 관련 「군사시설보호법」의 이해와 토지이용 방 안」
    강한구 『접경지역통일연구』. 1(1) [2017]
  • 「접경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병영체험 및 안보관 광개발-관광정책-안보인식 경합모델」
    김태헌 박숙진 『동북아관광연구』. 10(3) [2014]
  • 「잠재 보호지역 발굴을 통한 국가 보호지역 확대 방안-보호지역 부합성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-」
    심규원 심윤진 유윤진 조동길 허학영 홍진표 『한국환경생태학회지』. 31(6). https://doi.org/10.13047/KJEE.2017.31.6.586 [2017]
  • 「인류세를 위한 녹색전환」
    최병두 『공간과 사회』. 71 [2020]
  • 「우리나라 접경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 구」
    김영봉 박사학위논문. 한양대학교 [2009]
  • 「우리나라 보호지역에 IUCN 카테고리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」
    김성일 김현 이영주 『한국정책연구』. 6(2) [2007]
  • 「우리나라 국립공원에 세계자연보전연맹(IUCN) 보호지역 관 리 범주 적용에 관한 연구 」
    김현 석사학위논문. 서울대학교 [2008]
  • 「여의도 26.6배 면적 군사보호구역 풀린다... DMZ 인근 14개 지역」
    김동호 『연합뉴스』. 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00109029453001?section=popup/print [2020]
  • 「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 11에 기초한 국가 보호지 역의 통합 평가 체계 개발」
    심윤진 홍진표 『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』. 21(1). https://doi.org/10.13087/kosert.2018.21.1.83 [2018]
  • 「아름다운숲전국대회가 지닌 사회관계자본으로서의 잠재능 력에 관한 연구 」
    유미연 석사학위논문. 건국대학교 [2016]
  • 「세계자연보전연맹(IUCN)과 한국 보호지역관리 선진화」
    정혁진 『자연보존』. 144 [2008]
  • 「세계보호지역데이터베이스 에 등록된 한국 보호지역 자료 검토 연구」
    강희진 김보현 제종길 최종관 허학영 『국립공원연구지』. 3(2). https://doi.org/10.13047/KJEE.2017.31.6.586 [2012]
  • 「생물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보호지역의 관리개선방안에 관 한 연구」
    이용광 석사학위논문. 공주대학교 [2010]
  • 「생물다양성협약 이행을 위 한 보호지역 추출 방안: 육상보호지역을 기준으로」
    공석준 김근한 김오석 손승우 이은정 『한국지리학회지』. 6(3). http://dx.doi.org/10.25202/JAKG.6.3.8 [2017]
  • 「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민간참여」
    유미연 『우리의 지속가능한 생물다양성』. 서울 : 유네스코한국위원회. pp.99-125 [2018]
  • 「산림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」
    유광수 박사 학위논문. 충남대학교 [2012]
  • 「비무장지대의 지속가능한 보전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」
    원종설 박사학위논문. 단국대학교 [2015]
  • 「비무장지대(DMZ)의 평화적 이용방안 고찰-노무현 정부 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」
    김인영 『통일문제연구』. 20(1) [2008]
  • 「비무장지대(DMZ)의 생태적 가치와 국제자연보호지역」
    조도순 『문화재』. 52(1) [2019]
  • 「분단 대립 접경지역의 해외 사례와 한반도 DMZ의 시사점」
    박은진 심숙경 이상대 최용환 황금 『이슈&진단』. 44 [2012]
  • 「백두대간보호지역의 IUCN 관리 카테고리 적용 연 구」
    강미희 김성일 『한국임학회지』. 100(3) [2011]
  • 「마르티네스의 상호작용 모델을 활용한 접경지역의 평화적 활용 방안」
    김형수 이필구 『평화학연구』. 18(3) [2017]
  • 「독일 접경지역 지원 정책의 시사점」
    소성규 『법과 정책연구』. 7(2) [2007]
  • 「데이터 과학시대 텍스트 데이터 분석기법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제도화를 위한 제언 :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차원축소 기 법을 중심으로」
    박미사 백영민 『사회과학논집』. 49(1) [2018]
  • 「대인지뢰 제거와 피해보상 특별법 제정해야」
    박신용철 『오마이뉴스』. https://news.naver.com/main/read.nhn?mode=LSD&mid=sec&sid1=102&oid=047&aid=0 000032683 [2003]
  • 「농촌분야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 한 한 일 정책비교 연구」
    김재현 황수철 『농어촌관광연구』. 19(1) [2012]
  • 「그뤼네스 반트(Gr nes Band), 냉전의 경계선을 생명과 평화의 공간으로 : 독일 통일 후 그뤼네스 반트의 발전 과정과 정책 현 황」
    한상민 『한독사회과학논총』. 29(4) [2019]
  • 「광주 장록습지 강원 철원 용양보습지, 습지보호지역 신규 지정」
    김은경 『연합뉴스』. 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01206012600530?input=1195m [2020]
  • 「공생의 조건과 지역의 현실」
    장세용 『지역에서 행복을 찾다』. 서울 : 소명출판. pp.65-88 [2013]
  • 「경제의 세계화와 지역경쟁력 강화」. 『세계화와 지역발 전』
    박승 서울: 도서출판 한울. pp.13-21 [2001]
  • 「‘지역재생잠재력지수’의 의의와 시 사점」
    서형주 성주인 송미령 심재헌 『KREI 농정포커스』. 197 [2021]
  • 「‘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’ 민관협의체 꾸린다」
    황신섭 『인 천일보. http://www.incheonilbo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094265 [2021]
  • 「MAB와 생물권보전지역의 역사와 철학」
    조도순 『유네스코 [2011]
  • 「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국제법적 쟁점 및 과제」
    박병도 『일감법학』. 32(0) [2015]
  • 「DMZ의 미래와 인문학: 시각과 과제」
    김진환 『통일문제연 구』. 24(1) [2012]
  • 「DMZ세계평화공원과 접경지역의 미래」
    박은진 『이슈&진단』. 104 [2013]
  • 「DMZ 생물권 보전지 지정 반대 확산」
    진교원 『강원도민 일보』. http://www.kado.net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94297 [2012]
  • 「Aichi Target 11과 멸종위기종 보호, 두 가지 목표를 달 성할 수 있는 보전 우선순위 지역 탐색」
    모용원 『국립공원연구지』. 9(3) [2018]
  • “남북관계 60년, 남북 대화 60년”
    남궁곤 조영주 『남북관계사 –갈 등과 화해의 60년- (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엮)』. 서울 : 이화여자 대학교출판부 [2009]
  • MAB 40주년 기념: MAB의 성과와 미래』
    서울 : 유네스코한국위원회. pp.10-18
  • Do it! 쉽게 배우는 R 데이터 분석
    김영우 서울 : 이지스퍼블 리싱(주) [2017]
  • . 『평화와 생명의 DMZ』
    국립수목원 녹색연합 서울 : 작은 것이 아름답다 [2018]
  • . 『자유로서의 발전(김원기 역)』
    아마티아 센 서울 : 갈라파고스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