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·중 친족 어휘 대조 연구 = A Comparative Study on the Kinship Terminology in Korean and Chinese

태향화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한·중 친족 어휘 대조 연구 = A Comparative Study on the Kinship Terminology in Korean and Chinese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대조
  • 의미 확장
  • 지칭어
  • 친족어휘
  • 호칭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41 0

0.0%

' 한·중 친족 어휘 대조 연구 = A Comparative Study on the Kinship Terminology in Korean and Chinese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어기초사전
    https://krdict.korean.go.kr/mainAction
  • 한국어 화용론
    박영순 박이정출판사 [2007]
  • 한국어 호칭어 체계
    박정운 『사회언어학』5, 한국사회언어학회, pp.207-527 [1997]
  • 한국어 의미론
    임지룡 한국문화사 [2018]
  • 중한사전
  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서울: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.
  •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교육 연구 : 상호문화 적 관점에서
    지즈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친족어휘 교육방안 연구: 학문 목적 학습 자를 중심으로
    김회령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인지의미론
    임지룡 탑출판사 [1997]
  • 연세 현대 한국어사전
    https://ilis.yonsei.ac.kr/dic/
  • 국립국어원 표준
    https://stdict.korean.go.kr/main/main.do
  • 공공 상황에서의 한국어 호칭 연구.
    이선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고려대 한국어사전
    https://dic.daum.net/index.do?dic=kor
  • 齊曉峰(2004), “漢韓親屬稱謂對比研究”, 中央民族大學, 碩士學位論文.
  • 馮漢驥(1989),『中國親屬稱謂指南』, 徐志誠譯, 上海文藝出版社.
  • 韓省之(1991),『稱謂大詞典』, 新世界出版社.
  • 陸瑛(1989),『簡明稱謂詞典』, 廣西人民出版社.
  • 陳松岑(1989),『禮貌語言初探』, 商務印書館.
  • 陳寶勤(2011),『漢語詞彙的生成與演化』, 商務印書館.
  • 金炫兌(2001), “漢語社會交際稱謂語研究:兼及中韓稱謂語比較”, 上海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.
  • 趙鍾淑(2008), “中韓現代親屬稱謂語研究”, 山東大學博士學位論文.
  • 許餘龍(2010),『對比語言學(第2版)』, 上海外語教育出版社.
  • 許愼原著, 湯可敬撰, 周秉釣審訂(1997),『說文解字今釋』, 長沙, 麓書社.
  • 袁庭棟(1994),『文史知識文庫古人稱謂漫談』, 中華書局.
  • 蔣紹愚(2015),『漢語曆史詞彙學概要』, 商務印書館.
  • 蔣紹愚(1989),『古漢語詞彙綱要』, 北京大學出版社.
  • 蔡希芹(1994),『中國稱謂詞典』, 北京語言學院出版社.
  • 葛本儀(2014),『現代漢語詞彙學(第3版)』, 商務印書館.
  • 胡士雲(2007),『漢語親屬稱謂研究』, 商務印書館.
  • 胡士雲(2001), “漢語親屬稱謂研究”, 暨南大學博士學位論文.
  • 符淮青(1996),『漢語詞彙學史』, 安徽教育出版社.
  • 石綿敏雄 高田誠저, 오미영 역,『대조언어학』
    제이앤씨 [2007]
  • 王薇(2011), “從親屬稱謂泛化看‘哥/姐’由親屬稱謂向社會稱謂轉移的動因與機制”, 暨南大學碩士學位論文.
  • 王琪(2008),『上古漢語稱謂研究』, 中華書局.
  • 王希傑(2018),『漢語詞彙學』, 商務印書館.
  • 漢韓擬親屬稱謂語類型學對比研究
    李淑娟 胡曉淸 『中國人文科學』37. 중국인문학회, pp.255-271 [2007]
  • 沈家煊(1999),『不對稱和標記論』, 江西教育出版社.
  • 林美容(1990),『漢語親屬稱謂的結構分析』, 稻鄉出版社.
  • 李丹丹(2012), “漢語親屬稱謂研究”, 黑龍江大學, 碩士學位論文.
  • 張孝忠(1988),『古今稱謂語詞典』, 中國國際廣播出版社.
  • 廣雅
  • 崔奉春(1989),『朝漢語語彙對比』, 延邊大學出版社.
  • 孫常敘(2017),『漢語詞彙』, 上海古籍出版社.
  • 周薦(2016),『現代漢語詞彙學教程』, 北京大學出版社.
  • 周湧華(2006), “現代漢語從他親屬稱謂研究”, 湘潭大學碩士學位論文.
  • 吳海林(1991),『中國古今稱謂全書』, 黑龍江教育出版社.
  • 劉琳(2012), “現代漢語親屬稱謂的泛化問題研究”, 青海民族大學, 碩士學位論文.
  • 劉叔新(2005),『漢語描寫詞彙學』, 商務印書館.
  • 伍鐵平(2011),『比較詞源研究』, 上海外語教育出版社.
  • 中國社會科學院語言研究所詞典編輯室(2016), 『現代漢語詞典(第7版)』, 中國, 商務印書館.
  • 『호칭과 지칭 예절』
    류재봉 예영커뮤니케이션 [1997]
  • 『현대국어 의미론 연구』
    김진식 박이정출판사 [2007]
  • 『현대 국어 의미론의 이해』
    나찬연 경진 [2019]
  • 『한국어 형태론』
    최형용 역락 [2016]
  • 『한국어 경어법, 힘과 거리의 미학』
    이정복 소통 [2011]
  • 『표준 언어 예절-가정에서의 호칭, 지칭』
  • 『일반사회언어학』
    장흥권 한국문화사 [2000]
  • 『인지 의미론적 언어사용의 보편성』
    오예옥 역락 [2015]
  • 『어휘사 연구』
    유창돈 선명문화사 [1971]
  • 『사회언어학』
    이익섭 민음사 [2000]
  • 『사회언어학 관점에서의 국어 호칭어 사적 전개 양상 연구』
    양영희 역락 [2015]
  • 『대조언어학』
    김선정 허용 소통 [2014]
  • 『대비 언어학』
    김건환 청록 [1994]
  • 『국어의미론』
    조항범 와이제이학사고시방송교육본부 [1994]
  • 『국어 친족어휘의 통시적 연구』
    조항범 태학사 [1996]
  • 『국어 어휘론 개설』
    심재기 지식과교양 [2011]
  • 『국어 어원론 (개정판)』
    조항범 충북대학교출판부 [2014]
  • 『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관계』
    임지룡 형설출판사 [1989]
  • 『爾雅』
  • 『國語語源硏究叢說(I)』
    조항범 태학사 [1994]
  • 『(民衆) 엣센스 中國語辭典, 第2版』,
    編著 이용묵 서울, 民衆書林. [1999]
  • 「한국어와 중국어 파생접사의 대조 연구 - 명사 파생의 의미 범주를 중심으로」
    단방령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한국어 첩어의 언어 유형론적 연구」
    虞 挺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19]
  • “호칭어 지칭어의 ‘표준 화법’ 실태와 개선 방안”
    전은주 『화법연구』 15, 한국화법학회, pp.65-98 [2009]
  • “호칭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”
    강희숙 『사회언어학』10-1, 한국사회언어학회, pp.1-24 [2002]
  • “현대중국어 호칭어휘 변화 고찰”
    진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[2017]
  • “현대중국어 친족호칭어의 의미 확대와 사용상의 결함 고찰”
    김현태 『중국어문학논집』31, 중국어문학연구회, pp.187-210 [2005]
  • “현대 한일 친족어의 대조 연구”
    다카노마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“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호칭어 대조연구”
    고륙양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5]
  • “현대 한 중 친족호칭어의 대조 연구”
    楊超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[2014]
  • “한중일 친족호칭 비교 연구”
    박경 안병곤 『日本語敎育』40, 한국일본 어교육학회, pp.193-220 [2007]
  • “한일어 호칭어 대조연구”
    강병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“한일양국호칭의 사회언어학적 고찰”
    홍민표 『日語日文學硏究』30, 한 국일어일문학회, pp.481-505 [1997]
  • “한국어의 호칭어 지칭어 교수:학습 방안 연구 중국어권 학습자 를 대상으로”
    최경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한국어의 친족호칭 어휘 연구(1)”
    최규일 『국어교육』55, 한국국어교 육연구회, pp.51-85 [1986]
  • “한국어의 친족 호칭어와 지칭어에 관한 연구”
    정달영 『한민족문화연 구』5(단일호), 한민족문화학회, pp.99-127 [1999]
  • “한국어와 중국어의 호칭어, 친족 호징어를 중심으로”
    김춘연 건국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“한국어와 중국어의 친족 호칭 대조 연구”
    주홍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[2005]
  • “한국어와 중국어의 어휘높임법 비교 연구”
    류가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“한국어와 중국어의 비친족 관계 호칭어 비교 연구”
    수혜교 경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“한국어와 중국어의 두루 높임 호칭어 비교 연구”
    한정우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“한국어 호칭어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”
    리우린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“한국어 호칭어. 지칭어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”
    이민 고려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“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”
    이윤진 『한국어 교육』17, 국제한국어 교육학회, pp.287-306 [2006]
  • “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”
    김은경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17]
  • “한국어 호칭 교육 방안 연구”
    박상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[2004]
  • “한국어 학습자의 친족 호칭어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”
    박은정 경희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한국어 친족어의 의미연구”
    김광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“한국어 친족 호칭 ‘언니/누나’, ‘오빠/형’의 의미 연구”
    김승화 한국외국 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“한국어 교육에서 청자 대우법 연구: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”
    이언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“한국 친족호칭체계의 의미기술”
    왕한석 『韓國文化人類學』24, 한국문 화인류학회, pp.139-193 [1992]
  • “한국 친족체계 변화에 관한 연구”
    홍성대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[2007]
  • “한 중친족호칭어확대 사용에 대한 대조연구”
    무효휘 신라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“한 중의 호칭어의 대한 대조 연구: 특히 친척 호칭어를 중심으 로”
    왕혜방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“한 중 현대 친족 호칭어 대비연구”
    장설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[2018]
  • “한 중 친척 관계 호칭어 지칭어의 동형이의어 비교 연구”
    고려혜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한 중 친족호칭어의 확대 사용 대조 연구”
    장평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[2016]
  • “한 중 친족호칭어 대조 연구”
    유양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한 중 친족 호칭어의 비교 연구”
    왕정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[2012]
  • “한 중 친족 지칭어에 대한 대조연구”
    이천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[2014]
  • “한 중 사회 호칭어 대비 연구”
    강력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[2019]
  • “한 중 대비 호칭어 사용에 관한 연구”
    이재승 『대학원논총』14(2), 경 남대학교 대학원, pp.105-120 [1999]
  • “학부 유학생의 호칭어 사용 연구 : 언니, 누나, 오빠, 형, 선배 를 중심으로”
    서진숙 『이중언어학』40, 이중언어학회, pp.109-125 [2009]
  • “친척의 계보와 호칭”
    이응백 『국어생활』19, 국어연구소, pp.44-60 [1989]
  • “친족어의 은유 연구”
    정종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1999]
  • “친족어 어휘 교육에 관한 연구”
    조지연 『문법교육』10, 한국문법교육 학회, pp.313-346 [2009]
  • “친족어 관용 표현의 개념화 양상”
    김정아 송현주 『언어과학연구』64, 언어과학회, pp.71-90 [2013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9):아주버니, 아주머니, 족하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8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8):할아버지, 할머니, 손자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7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7):언니, 아우, 오래비, 누이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3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6):언니, 아우, 오래비, 누이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2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5):언니, 아우, 오래비, 누이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1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4):남편, 안해, 마누라, 마마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5.31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3):남편, 안해, 마누라, 마마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5.30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2):아버지, 어머니, 어버이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5.29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13):촌수, 어붓, 수양, 사돈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15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12):형제수, 시숙, 동서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14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11):외삼촌, 이모, 고모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12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10):외삼촌, 이모, 고모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6.9 [1934]
  • “친족명칭의 연구(1):아버지, 어머니, 어버이”
    홍기문 조선일보 1934.5.27 [1934]
  • “중세국어의 가족호칭에 대하여”
    이숭녕 『동양문화』6 7, 동양문화연구 소, pp.229-246 [1968]
  • “중국인 학습자의 친족호칭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”
    유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“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”
    왕운 인하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3]
  • “중국어의 호칭 연구”
    박윤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“중국어와 한국어의 존대 표현에 대한 비교 연구:호칭어와 지칭 어를 중심으로”
    양오진 『사회언어학』3, 한국사회언어학회, pp.1-15 [1995]
  • “종자명제, 지역명제, 직위명제: 보조 친족 명칭과 개인의 인식 법”
    김성철 『韓國文化人類學』27, 한국문화인류학회, pp.215-239 [1995]
  • “조선어와 중국어 호칭의 사회언어학적 대비 고찰”
    최건 『이중언어 학』7, 이중언어학회, pp.397-408 [1990]
  • “접미사 ‘-님/이’에 대하여”
    이광호 『수련어문논집』25, 수련어문학회, pp.1-20 [1999]
  • “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호칭어와 지칭어 교육 방안 연구 여성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”
    이명화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“외국인 위한 한국어 호칭어 교육”
    강영 『비교한국학』14-2, 국제비교 한국학회, pp.31-58 [2006]
  • “영어와 한국어 친족어의 비유적 의미분석”
    곽은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“연변 지역어의 친척어 연구”
    김선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7]
  • “연변 조선어의 친족어 연구”
    남명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“여성어의 역사적 고찰”
    유창돈 『아세아여성연구』5, pp.37-72 [1966]
  • “여성 호칭어 ‘아주머니’ 계열 어휘의 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”
    조남민 『배달말』45, 배달말학회, pp.497-534 [2009]
  • “언어 변이의 사회언어학적 요인에 관한 고찰: 대학가의 사용 용어 ‘형/오빠’를 중심으로”
    김성헌 『사회언어학』5, 한국사회언어학회, pp.689-704 [1997]
  • “언간에 나타나는 친족 관련 한자어 접두사성 형태소의 출현양 상”
    이현주 『한국학』40(3), 한국학중앙연구원, pp.141-163 [2017]
  • “상행위에서의 호칭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”
    엄기정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0]
  • “국어의 고유어 접두사 선정에 관한 고찰”
    이상호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20]
  • “국어 호칭어 체계 수립을 위한 사적 고찰”
    양영희 『한국언어문학』68, 한국언어문학회, pp.31-56 [2009]
  • “국어 친족 호칭의 의미 화용적 특성에 대한 연구”
    김재선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국어 어휘론연구사”
    조항범 『국어학』19, 국어학회, pp.67-201 [1989]
  • “국어 경어법에서의 호칭어와 지칭어(1)”
    김창식 『안동어문학』10, 안 동어문학회, pp.1-21 [2005]
  • “국어 ‘친족호칭’의 원형성 연구”
    손남익 『우리어문연구』30, 우리어문 학회, pp.351-381 [2008]
  • “가족 간의 언어 예절: 호칭을 중심으로”
    채완 『새국어생활』28(1), 국 립국어원, pp.9-26. [2018]
  • “韓國語에 있어 男女同位呼稱의 對立關係硏究社會言語學的측 면을 중심으로”
    최명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1987]
  • “韓國親族呼稱의 意味構造와 社會的使用에 關한 硏究: 安東地 方의 한 村落의 事例를 中心으로”
    정종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1990]
  • “韓ㆍ日兩言語親族語에 관한 對照硏究”
    강수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1996]
  • “韓 日呼稱에 관한 社會言語學的硏究”
    한영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[2006]
  • “韓 日 中親族呼稱比較考察”
    박경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[2006]
  • “親族의 槪念및 範圍에 관한 硏究”
    이성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[1987]
  • “親族呼稱을 통해 본 韓日兩言語의 相對的特性考察”
    박지희 경상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“現代韓國語와 中國語의 呼稱語對照硏究”
    유예화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4]
  • “現代漢語社會稱謂系統研究”
    유소단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“汉韩亲属称谓语‘哥(오빠/형)’的泛化对比及跨文化研究”, 
    朴興洙 闫慧娟 『중 국문화연구』36. 중국문화연구학회, pp.77-100 [2017]
  • “族親稱號의 語源的考察”
    유창돈 『思想界』2-2, 思想界社, pp.77-99 [1954]
  • “國語親族語의 通時的考察(Ⅲ-2): [伯 叔父] [伯 叔母] 呼稱語 를 中心으로”
    조항범 『冠嶽語文硏究』12,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[1987]
  • “國語親族語의 通時的考察(Ⅲ-1): [伯 叔父] [伯 叔母] 呼稱語 를 中心으로”
    조항범 『제산 최세화박사 회갑기념논문집』, pp.229-254 [1987]
  • “國語親族語의 通時的考察(Ⅱ): [父 母呼稱語]를 中心으로”
    조항범 『同德語文論集』5, 國語國文學會, pp.27-75 [1987]
  • “國語親族語의 通時的考察(Ⅰ): [親戚]을 뜻하는 단어를 중심으 로”
    조항범 『東泉趙鍵相先生古稀紀念論叢』, pp.323-339 [1986]
  • “國語親族語의 語彙意味論的硏究”
    정미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[1989]
  • “國語親族語의 硏究”
    김규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1987]
  • “國語親族語의 意味硏究”
    최병부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1985]
  • “國語親族語彙의 通時的硏究”
    조항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[1992]
  • “國語親族語彙硏究: 造語面과 指稱機能을 중심으로”
    문무영 인하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1989]
  • “國語親族呼稱語의 通時的考察(IV): [祖父],[祖母]呼稱語를 中 心으로”
    조항범 『개신어문연구』5 6, 개신어문학회 [1988]
  • “國語呼稱의 實狀과 對策”
    박갑수 『국어생활』19, 국어연구소, pp.10-32 [1989]
  • “呼稱을 통해 본 韓ㆍ中言語의 相對的特性考察”
    조선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“‘언니’ 어원고”,
    이토다카요시 『국어학회』93. 국어학, pp.199-226 [2020]
  • “‘아자비’와 ‘아자미’”
    이기문 『국어학』12, 국어학회, pp.3-12 [1983]
  • “Korean Kinship Terminology:A Semantic Analysis”
    김한곤 『어학연 구』3-1, pp.70-81 [1967]
  • “14~16세기 韓國의 親族用語와 日常親族關係”
    이종서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3]
  • ), “‘아줌마’, ‘아가씨’, ‘언니’의 사회언어학적 연구: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의 적용”
    한윤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