퇴계 이황의 스포츠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Sports Personality Education of Toegye Yi Hwang

김남희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퇴계 이황의 스포츠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Sports Personality Education of Toegye Yi Hwang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수업구조
  • 스포츠 인성교육
  • 활인지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36 0

0.0%

' 퇴계 이황의 스포츠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Sports Personality Education of Toegye Yi Hwang' 의 참고문헌

  • 李退溪의 敎育理念論考
    박익환 사학연구, 79, 81-124 [2005]
  • 李滉의 修養論
    이해영 안동대학교 퇴계학 연구소 퇴계학, 7, 49-65 [1995]
  • 李滉 理發設의 意味論的 考察
    이해영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80(1), 137-155 [1993]
  • 활인심방의 체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
    이병식 광주보건전문대학 논문집, 21, 3-21 [1996]
  • 활인심방活人心方-퇴계선생의 마음으로 하는 몸공부
    이 황 이윤희 서울:예문서원 [2006]
  • 현대인을 위한 3리 건강운동법 연구
    이동건 움직임의 철학 :한국체육 철학회지, 12(1), 71-89 [2004]
  •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뇌 과학 이론의 현 상학적 상통성과 의학적 함의 – 퇴계 심학(心學)을 중심으로 儒學硏究 -
  • 한국체육사상에 관한 연구
    이동건 한국체육학회지, 42(6), 91-92 [2003]
  • 한국체육․스포츠철학의 오늘과 내일(2):체육사상연구의 동향
    이학준 한국체육학회지, 39(4), 61-68.137 [2000]
  • 한국의 전통사상과 체육
    임영무 교수논총, 7(2), 243-279 [1991]
  • 한국의 전통교육과 체육
    임영무 한국체육학회지, 37(3) ,468-481 [1998]
  • 학교폭력예방과 관련한 인성교육의 핵심 역량 탐색
    김광수 장사형 교육철학, 63, 49-78 [2017]
  • 학교체육을 통한 인성교육 : 학교문화와 스포 츠의 역할
    김성일 박해우 서재복 한국스포츠학회지, 17(4), 521-530 [2019]
  • 학교체육에서 인성교육 연구의 경향과 발전과제
    이정택 한국초등체 육학회지, 21(2), 69-83 [2015]
  •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스포츠인성 수준의 변화와 변화기제 탐색
    김대진 이대중 장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8, 666-682 [2018]
  • 학교문법론
    이관규 서울:월인 [2004]
  • 퇴계학파는 퇴계의 성리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계승했는가?
    이동희 대 한철학회 논문집「철학연구」,89, 319-339 [2004]
  • 퇴계학의 계승양상과 그 연구 과제
    안병걸 안동대학교 퇴계학 연구소 퇴계학, 13, 1-27. 134 [2002]
  • 퇴계학문의 방법론
    배종호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39, 6-23 [1983]
  • 퇴계철학의 養生思想에 관한 硏究
    이진수 한양대학교 체육과학연구 소체육과학, 11, 101-115 [1991]
  • 퇴계철학에서의 체육사상연구
    이진수 한국체육학회지, 31(2), 45-5 [1992]
  • 퇴계철학에서 투호가 갖는 의의
    이진수 한국체육학회지, 34(1), 72-87 [1995]
  • 퇴계철학에서 투호(投壺)가 갖는 의의
    이진수 한국체육학회지, 34(1),7 2-87 [1995]
  • 퇴계철학 연구현황과 비판적 검토
    김종석 경북대 퇴계 연구소 한국 의 철학, 23, 121-125 [1995]
  • 퇴계의 활인심방에 나타난 양생사상과 수련방법.
    이현수 미간행 박사 학위논문. 명지대학교 대학원. 서울 [2007]
  • 퇴계의 체육철학에 관한 고찰
    이병식 광주보건전문대학 논문집, 22, 3-22 [1997]
  • 퇴계의 체육교육사상에 관한 연구
    김한진 이동건 스포츠과학연구논 문집 26, 33-44 [2008]
  • 퇴계의 철학세계
    유명종 부산:세종 [2000]
  • 퇴계의 천개념과 천인관계론
    금장태 석당논총, 16, 301-312 [1990]
  • 퇴계의 진리관
    윤사순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25, 72 [1980]
  • 퇴계의 인성교육론(2)
    이동기 퇴계학논집 19, 198-225 [2016]
  • 퇴계의 인성교육론
    이동기 퇴계학논집, 14(14), 217-239 [2014]
  • 퇴계의 인성관 –참자아의 각성과 실현을 주제로-
    김기현 퇴계학논집, 19,9-47 [2016]
  • 퇴계의 인격교육론
    박균섭 한국 교육, 30(1), 33-54 [2003]
  • 퇴계의 위기지학적 삶의 교육적 함의
    김병희 김태오 체육철학, 24, 21-40 [2003]
  • 퇴계의 세계관 –윤리적 이원론-
    한명수 『한국의 철학』, 5, 63-91 [1997]
  • 퇴계의 생애와 학문
    이상은 서울:예문사원 [2001]
  • 퇴계의 삶에서 본 교사상
    김태오 교육철학, 22, 31-79 [2002]
  • 퇴계의 사상과 체육.
    이세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. 성균관대학교 대학 원. 수원. 136 [1993]
  • 퇴계의 도덕론에 관한 고찰
    최성묵 퇴계학과 유교문화, 3, 123-156 [1975]
  • 퇴계의 교육철학
    정순목 서울:지식산업사 [1999]
  • 퇴계의 경의 교육방법론
    정낙찬 체육철학, 17, 251-271. 138 [1999]
  • 퇴계의 경사상과 『활인심방』에서의 마음치유
    엄찬호 인문과학연구, 53, 237-259 [2007]
  • 퇴계의 경(敬)사상이 지닌 체육철학적 함의
    이동건 이정란 한국체육 학회지, 52(5), 57-65 [2013]
  • 퇴계의 敬에 관한 연구
    조영숙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연구, 47, 120-132 [1978]
  • 퇴계의 『활인심방』소고
    박상주 영남대학교 학교교육연구소 학교 교육연구, 3(2), 21-34 [2000]
  • 퇴계의 『성학십도(聖學十圖)』에 함의된 도덕교육론
    강봉수 도덕윤 리과교육, (19), 25-54 [2004]
  • 퇴계의 《성학십도》로 본 인성교육의 의미와 원리
    황금중 퇴계학논집, 19, 83-126 [2016]
  • 퇴계와 지눌의 인성론에 관한 연구.
    이시온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한 국교원대학교 대학원. 청주 [1999]
  • 퇴계와 율곡의 신체관과 체육사상연구
    정재환 한국체육학회지, 40(2), 87-97 [2001]
  • 퇴계와 다산
    심경호 경북대학교 퇴계 연구소 한국의 철학, 33, 91-114 [2003]
  • 퇴계선생의 활인심방 소고-도인법을 중심으로
    김복희 박명서 안동과 학대학논문집, 22, 426-439 [2000]
  • 퇴계선생 건강법 활인심방
    이동한 서울: 교육과학사 [2001]
  • 퇴계교학사상연구(하)
    정순목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18, 237-355 [1978]
  • 퇴계교학사상연구(중)
    정순목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17, 185-235 [1978]
  • 퇴계교학사상연구(상)
    정순목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16, 91-183 [1977]
  • 퇴계․율곡의 한국 체육사상에 관한 연구.
    정재환 미간행 박사학위 논 문. 동아대학교 대학원. 부산 [1996]
  • 퇴계 존양성찰의 체육 교육적 함의
    이정란 석당논총, 72, 323-347 [2018]
  • 퇴계 인성론의 토대로서 리발(理發)에 관한 일고찰
    김성실 퇴계학논 집, 21, 129-153 [2017]
  • 퇴계 이황의 체육사상에 관한 연구.
    김한진 미간행박사학위논문, 동아 대학교 대학원. 부산 [2009]
  • 퇴계 이황의 인간형성이론;거경궁리를 중심으로
    정덕희 교육철학, 19, 57-74 [1998]
  • 퇴계 이황의 양생법 소고
    김규환 배정하 정삼현 동아대학교 부설 스포츠과학 연구논문집, 15, 3-12 [1997]
  • 퇴계 이황의 심신건강법 연구
    이동건 석당 논총, 32, 123-146 [2002]
  • 퇴계 이황의 신체사상 연구.
    정찬모 미간행 석사학위논문.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. 광주. 139 [2004]
  • 퇴계 이황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
    이광호 단국대학교 퇴계학 연구소, 13․14․15, 47-50 [2001]
  • 퇴계 이황의 사상
    성태용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 현실, 24, 144-160 [1995]
  •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
    배영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학술논총, 12, 305-320 [1998]
  • 퇴계 이황의 건강기공연구
    이동건 움직임의 철학 :한국체육철학회지, 16(1), 141-154 [2008]
  • 퇴계 이황의 居敬窮理 사상에서 본 靜坐修練의 위상
    손병욱 퇴계학 논총, 22, 7-38 [2013]
  • 퇴계 이황의 保健 體育 思想硏究-心身相關論을 中心 으로
    배정하 정삼현 동아대학교 부설 스포츠과학 연구논문집, 12, 3-12 [1994]
  • 퇴계 이황의 <陶山十二曲> 지도론
    추교정 동국대학교 교육논총, 3, 51-78 [1983]
  • 퇴계 이황의 6자결 기공연구
    이동건 움직임의 철학 :한국체육철학회지, 16(4), 255-272 [2008]
  • 퇴계 이황- 예 잇고 뒤를 열어 고금을 꿰뚫으셨소- 어느 서양 철학자의 퇴계 연구 30년
    신귀현 서울:예문서원 [2002]
  • 퇴계 이황 철학사상의 생태론적 특성
    김세정 퇴계학논집, 21, 211-244 [2017]
  • 퇴계 이기론에 관한 연구.
    김시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동아대학교대 학원. 부산 [1991]
  • 퇴계 심성론이 지닌 체육철학적 함의
    이정란 한국체육학회지, 53(4), 53-64 [2014]
  • 퇴계 성리학에서 敬의 의미와 실천법
    황금중 퇴계학보 144, 49-94 [2018]
  • 퇴계 선집
    윤사순 이 황 서울:현암사 [1999]
  • 퇴계 선생 일대기
    권오봉 서울:교육과학사 [2001]
  • 퇴계 서찰의 의의와 현실. 퇴계학논집, 25, 75-112. (2014). 동양의 마음의 탄생
    문석윤 경기:글항아리 [2019]
  • 퇴계 사상과 체육 교육의 함축성.
    박호준 미간행 석사학위논문.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. 청주 [2009]
  • 퇴계 사단칠정이 지니는 스포츠 윤리적 의미
    이정란 한국스포츠학회지, 18(2), 1115-1122 [2020]
  • 퇴계 공부론을 통해 본 체육에서의 인성 의미
    이정란 한국체육학회지, 57(1), 11-21 [2018]
  • 퇴계 경사상의 교육적 의의
    이광진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 연구소 중등교육연구, 53(2), 71-90 [2005]
  • 퇴계 『성학십도』의 성학(聖學)과 자기혁신(自己革新)의 방법
    이동건 동북아문화연구, 20, 31-48 [2009]
  • 토마스 하나의 소마이론
    김정명 무용역사기록학, 36, 127~149 [2015]
  • 코로나 사피엔스
  • 초·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(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-14호)
  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새로운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[2012]
  •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(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-41호)
  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[2009]
  • 체육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동양철학적 접근
    권오륜 한국체육학회지, 38(2), 57-67 [1999]
  • 체육학의 동양철학적 접근의 과제-氣이론을 중심 으로-
    권오륜 남중웅 황미숙 움직임의 철학, 10(1), 241-256 [2002]
  • 체육철학
    김대식 김영한 신현군 서울:나남출판사 [1993]
  • 체육의 목적론 연구
    이동건 한국체육학회지, 42(4), 105-114 [2003]
  • 체육의 공부론
    이학준 한국체육학회지, 42(4), 125-132 [2003]
  • 체육원리
    이동건 부산:동아대학교 출판부 [2018]
  • 체육사
    나영일 노희덕 조명렬 서울:형설출판사 [1997]
  • 체육교육에서 인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?
    고문수 교육논총, 33(1), 93-111 [2013]
  • 체육교육실기 수업구조 변화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 경험과 의미
    임명재 한국초등체육학회지, 23(2), 65-78 [2017]
  • 체육교사교육에서의 인성교육 탐색.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, 14(4), 1-23
    최의창 코로나 사피엔스(2020) [2007]
  • 체육과 교육과정, 교육부, 국회, 인성교육진흥법, (법률 제 13004호, 2015.1.20.제정, 2015.7.21
    교육부 시행) [2015]
  • 체육과 교육과정(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-361호)
  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[2011]
  • 체육 교과 인성교육의 시민성 접근 제언
    김방출 서재철 한국스포츠교 육학회지, 26(1), 55-75 [2019]
  • 주희의 ‘경 지 행’공부
    조현규 동양학연구원, 33. 271-292 [2003]
  • 좋은 초등체육수업의 명암 드러내기
    엄우섭 이영국 한국체육학회지, 54(2), 159-175 [2015]
  • 인성함양을 위한 스포츠 경쟁 메커니즘의 반성적 고찰
    박정준 교유 과정연구, 31(3), 281-297 [2013]
  • 인성중심 미래교육 디자인 과 제와 전망
    김동일 라영안 심성용 이재진 최선주 아시아교육연구 17(1), 25-45 [2016]
  • 인성교육진흥법의 문제점과 보완방안
    김길순 한국사상과 문화, 78, 460-488 [2015]
  •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
    권선향 김누리 김유리 김현철 박진옥 한국교육문제연구, 34(4), 1-20 [2016]
  • 인성교육 비전수립 및 실천방안 연구
  • 인문적 체육과 하나로 수업
    최의창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, 8(2), 45–64 [2001]
  • 인격형성으로서 체육공부
    이학준 한국체육학회지, 45(5), 41-47 [2006]
  • 이황철학에 기저한 체육철학 연구의 방법론적 담론
    김용규 한국스포 츠리서치, 16(6), 735-740 [2005]
  • 이황의 정치사상의 현대적 역할
    김수녕 대구수성카톨릭대학교 연구 논문집, 51, 183-198 [1995]
  • 이황의 양생법 연구
    이동건 청촌장학재단 청촌논집, 5 [2004]
  • 이황과 이이의 우주론과 인성론 비교 정리
    류태건 21세기 정치학회 21세기 정치학회보, 12(1), 105-127 [2002]
  • 이황(李滉)철학에 기저한 체육철학 연구의 방법론적 담론
    김대성 김용규 한국스포츠리서치, 16(6), 735-740 [2005]
  • 이황(李滉)성리학의 도덕교육론적 고찰
    조현규 한국교육철학회 교육 철학, 22, 159-177 [2002]
  • 이황 학맥의 호남 전파와 유학사적 의의
    고영진 경북대학교 퇴계연 구소 한국의 철학, 32, 71-93 [2003]
  • 이퇴계의 보건․체육사상에 관한 연구.
    배정하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동 아대학교 대학원. 부산 [1995]
  • 이퇴계의 교육이론연구
    박재문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70, 49-86. 133 [1991]
  • 이기철학과 이퇴계의 세계관
    한명수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14, 331-342 [1977]
  • 이기론(理氣論)에 기저한 퇴계의 체육론
    노희선 한국스포츠리서치, 10(2), 27-34 [1999]
  • 유학의 본성과 탈현대 교육
    이현지 정재걸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, 44, 407-432 [2014]
  •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
    김누리 서울: 해냄출판사 [2020]
  • 왕양명과 이퇴계
    이동희 東洋哲學硏究會, 9, 59-90 [1988]
  • 아리스토텔레스의 체육사상에 관한 연구.
    황정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. 동아대학교 대학원. 부산 [2005]
  • 스포츠활동 참여와 개인의 창의성 및 인성에 관한 연 구
    김경아 이승범 홀리스틱교육연구, 19(4),159-172 [2015]
  • 스포츠윤리학
    김정효 서울:레인보우 [2020]
  • 스포츠윤리의 실천적 원리로서의 유학
    권오륜 김정효 김희섭 한동일 움직임의 철학:한국체육철학회지, 26(3). 39-50 [2018]
  • 스포츠는 인성을 길러줄 수 있는가? 스포츠 인성교육의 이론적, 경험적 근거와 과제
    박정준 교육과정연구, 29(3), 173-202 [2011]
  • 스포츠 인성에 대한 조망: 성취목표 성 향과 조절 초점의 역할
    권지연 장창용 전병관 황진 한국체육학회지, 52(6), 121-132 [2013]
  • 스포츠 인성교육에 있어 퇴계사상의 적용 가능성 탐구: 성학 십도를 중심으로
    이정란 한국여성체육학회지, 34(2), 89-106 [2020]
  • 스포츠 교육을 통한 인성발달
    문익수 문창일 박중길 코칭능력개발지, 8(4), 101-112 [2006]
  • 세계이성과 이황철학
    윤사순 퇴계학보, 89(1), 63-92 [1996]
  • 세계 속 한국인의 행복과 번영.
    구재선 서은국 연구보고서. 연세대학교. 서울 [2011]
  • 성학십도
    이광호 서울:홍익 [2021]
  • 성리학에서 마음과 리 개념의 결합
    손영식 퇴계학보, 144, 243-287 [2018]
  • 사제관계에서 본 사도와 제자도
    안경식 부산대학교 초등교육연구, 17, 23-43 [2002]
  • 사단칠정논쟁, 퇴계와 고봉의 학술적 교류와 도덕적 탐색
    김기주 국학 연구, 29, 113-146 [2016]
  • 사단칠정 논쟁의 인성교육적 함의와 의의
    김기주 동아인문학, 39, 221-254 [2017]
  • 무용수업개선을 위한 개별화수업 사례연구
    조남용 한국체육학회지, 44(5), 343-352 [2005]
  • 리황의 철학사상에 대하여
    변정암 퇴계학과 한국문화, 35, 43-53 [2004]
  • 동․서양의 체육사상에 관한 연구-퇴계 이황과 플라톤의 신체사 상을 중심으로
    정종훈 한국체육학회지, 35(3), 32-40 [1996]
  • 동․서양의 신체관에 관한 비교 연구.
    심승섭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동아 대학교 대학원. 부산 [1991]
  • 독서와 정좌-서원의 교육방법
    정재걸 한국교육신문사 새교육, 553, 74-82 [2000]
  • 도덕성 발달을 위한 체육교육의 수업모형
    강신복 서울대학교 사대논총, 52, 107-127 [1996]
  • 덕에 기반한 학교 스포츠윤리 교육의 의미와 원리
    이정택 장용규 한 국초등체육학회지, 23(2), 15-34 [2017]
  • 덕 윤리, 유교 윤리 그리고 도덕 교육
    장동익 도덕윤리과교육연구, 51, 59-79 [2016]
  • 뉴스포츠(New Sports)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
    류태호 이병준 한국스 포츠교육학회지, 13(1), 67-81 [2006]
  • 뇌성마비인을 위한 활인심방(活人心方)을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.
    함정은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동아대학교 대학원. 부산 [2003]
  • 내향적인 사람은 어떻게 하면 더 행 복해질까? 관계 중심적 행복관의 중요성
    김정기 서은국 신지은 임낭연 한국심리학회, 31(1), 41-60 [2017]
  • 기법과 심법
    최의창 한국체육학보, (75), 28-33 [1999]
  •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바라본 인성중심 수업 강화를 위한 체육과 수업전개 구조
    고문수 교육논총, 36(3), 77-93 [2016]
  • 국역 퇴계집Ⅱ
    민족문화추진위원회 이 황 고전국역총서 [1968]
  • 국역 퇴계집Ⅰ
    민족문화추진위원회 이 황 고전국역총서 [1968]
  • 공부론의 관점에서 본 퇴계 성리학과 양명학의 차이성
    김기현 退溪 學論叢, 15, 219-245 [2009]
  • 고통의 재해석: 고통을 넘어 깨달음으로
    이학준 한국체육학회지, 58(6), 43-51 [2019]
  • 경(敬), 통합적 도덕교육의 실마리
    김철호 교육연구, 48, 79-109 [2010]
  • 體育史新論
    이동건 정삼현 부산:동아대학교 출판부 [1998]
  • 韓國體育의 起源과 發展에 관한 硏究
    이동건 體育史學會誌, 6, 87-105 [2000]
  • 韓國體育史硏究
    나현성 서울:교학연구사 [1981]
  • 韓國人의 健康慣行에 對한 民俗科學的 接近.
    김귀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.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. 서울 [1991]
  • 退溪의『中庸』解釋과 그 특징
    엄연석 퇴계학과 한국문화, 36, 161-202 [2005]
  • 退溪의 理槪念에 對하여
    이완재 퇴계학 연구원 퇴계학보, 44, 41-52 [1984]
  • 退溪의 철학사상과 活人心方에 나타난 건강의 의미
    김정완 차건수 한국체육학회지, 39(4), 69-77 [2000]
  • 退溪의 體育觀 硏究.
    노희선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전남대학교 대학원. 전남 [1998]
  • 退溪의 體育敎育思想에 關한 硏究.
    한성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. 상지 대학교 교육대학원. 원주 [2000]
  • 退溪의 體育思想에 관한 硏究 :Wellness的 立場에서의 照明.
    김흥수 미간행 박사학위논문, 성균관대학교 대학원. 수원 [1993]
  • 退溪의 養生思想과 修行 方法論 硏究.
    이명숙 미간행 석사학위논문.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. 서울 [2005]
  • 退溪의 身體思想에 관한 연구
    배정하 이동갑 정삼현 스포츠과학 연구 논문집, 17, 3-8 [1999]
  • 退溪의 誠敬思想 硏究
    김승현 범한철학회 범한철학, 16(1), 29-58 [1998]
  • 退溪의 行政思想
    김춘식 단국대학교 퇴계학 연구소 퇴계학 연구, 6, 55-76 [1992]
  • 退溪의 綜合敎育思想硏究
    이해명 단국대학교 퇴계학 연구소 퇴계학 연구, 4, 41-64 [1990]
  • 退溪의 敎育 思想과 實踐.
    이원열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경북대학교대 학원. 경북 [2005]
  • 退溪와 栗谷의 工夫論 比較 硏究
    황금중 한국교육사학, 25(1), 203-233 [2003]
  • 退溪集
    이 황 장기근 서울:명문당 [2003]
  • 退溪學과 『孟子』그리고 孟子
    홍원식 퇴계학과 한국문화, 36, 253-275 [2005]
  • 退溪學脈 主理論에 관한 硏究.
    김승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한남대학교 대학원. 대전 [2002]
  • 退溪學派의 四書註說考
    안병걸 안동문화, 8, 5-28 [1987]
  • 退溪哲學의 理에 관한 考察
    황의동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 과학논집, 6, 255-275 [1987]
  • 退溪 理發說의 易學的 理解
    송인창 새한철학회논문집 철학논총, 26(4), 33-54 [2001]
  • 退溪 李滉의 德으로서의 신체운동
    이진수 한국체육학회지, 45(1), 45-54 [2006]
  • 退溪 李滉의 德으로서의 身體運動
    송일훈 이진수 이황규 한국체육학 회지, 45(1), 45-54 [2006]
  • 退溪 李滉의 審美意識에 關한 硏究.
    이재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한남 대학교 대학원. 대전 [2005]
  • 退溪 李滉의 去病延壽六字訣硏究
    배정하 이동갑 한국체육학회지, 35(4), 39-45 [1996]
  • 退溪 李滉의 人間尊重的 思考
    주승택 안동대학교 퇴계학 연구소 퇴 계학, 12(1), 33-48 [2001]
  • 退溪 心學의 實證的 硏究方法 摸索
    한덕웅 안동대학교 퇴계학 연구 소 퇴계학, 7(1), 179-191. 140 [1995]
  • 退溪 先生(卷四)
    이완재 대구:국제이황학회대구․경북지부 [2001]
  • 程,朱로부터 본 退,栗의 理氣論
    이홍군 율곡학회 율곡사상연구, 5, 423-448 [2002]
  • 現代人의 健康과 《活人心方》
    김호언 단국대학교 퇴계학 연구소 퇴 계학 연구, 3, 157-176 [1989]
  • 朝鮮時代 선비의 養生觀과 退溪 『活人心方』
    손홍열 백산학보, 70. 607-636 [2004]
  • 投壺禮의 人性敎育思想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.
    김회숙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.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. 수원 [2005]
  • 增補 退溪全書 一
    이 황 成均館 大學校 大同文化硏究院 [1971]
  • 『한국사신론』
    이기백 서울:일조각 [1999]
  • 『인성이 실력이다』
    조벽 서울 : 해냄출판사 [2016]
  • 『성학십도』
    김희숙 에 내재된 인성교육 연구. 한국윤리교육학회. 43, 139-157 [2017]
  • 『논어』와 탈근대교육의 설계
    정재걸 . 사회사상과 문화, 14, 59-82 [2006]
  • 『공자혁명』
    정재걸 홍승표 경기 : 글항아리 [2015]
  • 『聖學十圖』와 퇴계철학의 구조
    금장태 서울: 서울대학교출판부 [2001]
  • 「聖學十圖」에 나타난 退溪의 心學世界
    김종석 영남철학회 哲學論叢, 12(1), 445-468 [1996]
  • 〈도산십이곡(陶山十二曲)의‘마음’과 현대적 수용의 문제
    신연우 退溪學論集, 24. 7-27 [2019]
  • ‘인성교육진흥법’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‘ -행복담론을 중심으로-
    장승희 윤리교육연구, 37, 75-104 [2015]
  • ‘세계화’ 시대 ‘동양철학’ 담론과 연구 의미
    이철승 동서철학연구, 25, 217-236 [2002]
  • ‘교육과정 분류화’에 따른 2015 체육과 교육과정 분석
    정현우 한 국스포츠교육학회지, 26(4), 1-23 [2019]
  •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중심의 이미와 초등체육의 지향
    이정택 장용규 한국초등체육학회지, 22(1), 77-91 [2016]
  • 16世紀 朝鮮性理學 特徵에 관한 硏究.
    전호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. 성균관대학교 대학원. 수원 [1996]
  • (퇴계선생 건강법) 활인심방
    이 황 이동한 서울:교육과학사 [200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