松堂 朴英의 道學的 特徵과 松堂學派에 관한 硏究 =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ohak in Songdang Park Yeong and Songdang School

박장원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松堂 朴英의 道學的 特徵과 松堂學派에 관한 硏究 =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ohak in Songdang Park Yeong and Songdang School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기묘명현
  • 도통
  • 도학자
  • 명궁
  • 문무겸전
  • 박영
  • 백록동규해
  • 상무충렬
  • 선산
  • 송당학파
  • 실학
  • 융합
  • 자득
  • 정붕
  • 활인신방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054 0

0.0%

' 松堂 朴英의 道學的 特徵과 松堂學派에 관한 硏究 =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ohak in Songdang Park Yeong and Songdang School' 의 참고문헌

  • 論語
  •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
  •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
    김용헌 『국학연구』19 [2011]
  • 조선 전기 수양론
    정원재 『철학사상』별책3권 제5호, 서울대학교 철 학사상연구소 [2004]
  • 두산백과사전
  • 네이버 지식백과
  • 馮友蘭『中國哲學史』/ 정인재 譯
    형설출판사 [1989]
  • 朝鮮王朝實錄
  • 張志淵,『朝鮮儒敎淵源』
    솔출판사 [1998]
  • 孟子
  • 大學
  • 『현대사회와 철학』
    조수동 대광출판사 [2017]
  • 『한유에서주희까지』/ 김용섭, 장윤수 옮김
    張君勱 형설출판사 [1991]
  • 『한국의 유교』
    류승국 세종대왕기념사업회 [1976]
  • 『한국의 性理學과 실학』
    윤사순 열음사 [1984]
  • 『한국유학사상사(Ⅱ)』
    최영성 아세아문화사 [1995]
  • 『한국유학 사상론』
    윤사순 열음사 [1992]
  • 『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』
    [1995]
  • 『참모로 산다는 것』
    신병주 매경출판사 [2019]
  • 『중국역대인명사전』
    [2010]
  • 『종교학대사전』
    [1998]
  • 『조선초기 관학파의 유학사상』
    김홍경 (한국사상사 6), 한길사 [1996]
  • 『조선중기 사림파의 사회정치사상』
    권인호 한길사 [1995]
  • 『조선유학사』
    현상윤 현암사 [1982]
  • 『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』
    고영진 풀빛 [1999]
  • 『조선성리학, 지식권력의 탄생』
    김용헌 프로네시스 [2010]
  • 『조선 예의 사상에서 법의 통치까지』
    이재룡 예문서원 [1995]
  • 『조선 성리학의 의미와 양상』
    권오영 일지사 [2011]
  • 『이것이 儒敎經典이다』
    이완재 이문출판사 [1996]
  • 『유학사상과 유교문화』
    금장태 전통문화연구회 [1995]
  • 『송당 박영, 문무겸비의 도학자』
    장윤수 예문서원 [2017]
  • 『성학십도(聖學十圖)와 퇴계철학의 구조』
    금장태 서울대학교출판사 [2001]
  • 『디지털 구미문화대전』
  • 『동양사상과 한국사상』
    윤사순 을유문화사 [1984]
  • 『동양고전이 뭐길래?』
    신정근 동아시아 [2012]
  • 『김천시사』
  • 『군인 대신 학자로, 장횡거』청소년을 위한 동양철학사
    강성률 반석 [2009]
  • 『국역 칠곡지』
    (칠곡문화원) [2002]
  • 『국역 경산지』
    (성주문화원) [2000]
  • 『격몽요결』/ 이민수 옮김
    이 이 을유문화사 [2003]
  • 『龜山文集』(楊時).
  • 『龍巖先生文集』, 衛生方序(朴雲).
  • 『鶴林玉露』(羅大經).
  • 『高峯全書』(奇大升).
  • 『頤生錄』(鄭惟仁).
  • 『韓國儒學의 哲學的展開』
    배종호 연세대출판부 [1974]
  • 『韓國儒學思想硏究』
    최근덕 철학과 연실사 [1992]
  • 『逍遙堂逸稿』(朴河淡).
  • 『退溪先生文集』(李滉).
  • 『記言』(許穆).
  • 『訒齋先生文集』(崔晛).
  • 『葛庵集』(李玄逸).
  • 『莊子』,「德充符」.
  • 『竹溪志』(周世鵬).
  • 『秋江集』(南孝溫).
  • 『禮記』,「玉藻」.
  • 『石潭日記』(李珥).
  • 『白鹿洞規』(朱熹).
  • 『白湖全書』(尹鑴).
  • 『琴生異聞錄』(崔晛).
  • 『燃藜室記述』(李肯翊).
  • 『漢書』,「列傳」.
  • 『武陵雜稿』(周世鵬).
  • 『桃灘先生集』(邊士貞).
  • 『栗谷先生全書』(李珥).
  • 『林白湖集』(林悌).
  • 『松堂先生文集』(朴英).
  • 『東醫寶鑑』,「雜病篇」,「內景篇」(許浚).
  • 『東儒師友錄』(朴世采).
  • 『東儒師友錄』
  • 『朝鮮의 弓術』
    이중화 경성, 조선궁술연구회 [1929]
  • 『朝鮮朝儒學思想의 探究』
    권정언 여강출판사 [1988]
  • 『朝鮮人名辭典』.
  • 『景賢錄』(金宏弼).
  • 『明齋遺稿』(尹拯).
  • 『旅軒先生文集』(張顯光).
  • 『新堂鄭鵬의 案上圖와 道學』
    이완재 국토 [2020]
  • 『新堂先生實錄』(鄭鵬).
  • 『敬菴集』(盧景任).
  • 『擊蒙要訣』(李珥).
  • 『承政院日記』
  • 『性理學의 本鄕龜尾의 歷史와 人物』
    김교성 구미문화원 [2006]
  • 『思齋集』(金正國).
  • 『思辨錄』(朴世堂).
  • 『己卯錄補遺』(安璐).
  • 『嵩善誌』(盧景任).
  • 『小山先生文集』(李光靖).
  • 『密陽朴氏贊成公派譜』.
  • 『密陽朴氏宗史寶鑑』.
  • 『宣武原從功臣錄』(申欽).
  • 『宋子大全』(宋時烈).
  • 『守直相遞日記』(安義).
  • 『孤臺日錄』(鄭慶雲).
  • 『大谷先生集』(成運).
  • 『大東野乘』,「秋江冷話」(南孝溫).
  • 『大東野乘』,「寄齋雜記」(朴東亮).
  • 『國譯松堂先生立朝實錄』. 1990. (密陽朴氏贊成公派宗親會).
  • 『國譯松堂先生文集』. 1990. (密陽朴氏贊成公派宗親會).
  • 『國譯久庵先生文集』(金就文).
  • 『國朝人物考』.
  • 『喚醒堂逸稿』,「先考龍巖先生師友淵源錄」(朴演).
  • 『周易』,「說卦傳」.
  • 『周易』,「文言傳」.
  • 『史記』,「李斯列傳」.
  • 『南門倡義錄』(金麟淳).
  • 『南冥先生集』(曺植).
  • 『兩賢淵源錄』(鄭鵬, 朴英).
  • 『元史』,「許衡傳」.
  • 『儒敎經典의 理解』
    이종호 중화당 [1994]
  • 『儒學原論』
    안병주 成均館大出版部 [1992]
  • 『來庵集』(鄭仁弘).
  • 『乙巳傳聞錄』
  • 『中庸章句』
  • 『中國哲學散稿I』
    김충렬 범학도서 [1977]
  • 『三國史記』,「新羅本紀」(金富軾).
  • 『一齋先生遺集』(李恒).
  • 『一善志』(崔晛).
  • 『(新刊京本)活人心法』(安玹).
  • 「활인심방의 역사성과 문화적 의의」
    손홍열 『퇴계활인심방의 연구논문집』 [2000]
  • 「한훤당 김굉필의 문인록에 대한 검토」
    김훈식 『역사와 경계』96 [2015]
  • 「한훤당 김굉필의 도학과 도통의 수립」
    설석규 『조선사연구』13집 [2004]
  • 「조선조 己卯士林의 정치적 위상에 관한 연구」
    박창진 『韓國政治學會 報』32輯2號, 경북대학교 [1998]
  • 「조선전기 훈구사림세력 연구의 재검토」,
    김 범 『한국사학보』15. 고려 사학회 [2003]
  • 「조선전기 사화의 양상과 그 성격」
    오항녕 『한국사학보』24, 고려사학회 [2006]
  • 「조선의 궁술에 관한 연구」
    김이수 『한국체육사학회지』제16권 제2호 [2011]
  • 「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 (4)-박세채의 왕양명학변 을 중심으로」
    김민재 김용재 전수연 『충남대학교 유학연구』 51권 [2020]
  • 「일재 이항의 학문적 위상 확립 과정과 남고 서원」
    이선아 『지방사와 지 방문화』17권. 역사문화학회 [2014]
  • 「일재 이항의 생애와 학문」
    오항녕 『남명학연구』3권, 경상대학교 남명 학연구소 [1993]
  • 「여헌장현광 연구」
    김학수 『조선후기 유학자의 삶과 학문-여헌장현광연 구』, 한국학중앙연구원 [2006]
  • 「여말선초 영남사림의 ‘도통’과 ‘학통’」
    홍원식 『한국학논집』45, 계명대학 교한국학연구원 [2011]
  • 「신당 정붕의 생애와 정치·사상적 역할」
    車長燮 『국학연구』23, 한국국 학진흥원 [2013]
  • 「신당 정붕의 도학의 형성과 전개」
    권상우 『한국학논집』65, 계명대학 교한국학연구원 [2016]
  • 「송당학파의 도학 정신에 내재된 사상적 특성」
    황지원 『동아인문학』45 [2018]
  • 「송당 박영의 도학적 학풍과 성리학적 사유」
    장윤수 『한국학논집』66 집 [2017]
  • 「송당 박영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」
    이구의 .『韓國思想과 文化』33집. 한 국사상문화협회 [2006]
  • 「선산과 조선전기 성리학 및 사림파」
    한충희 『한국학논집』24, 계명대학 교한국학연구원 [1997]
  • 「도학의 형성,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」
    김용헌 『한국 학논집』제45집 [2011]
  • 「道東刊本『경현록』의 편찬과 내용」
    김훈식 『지역과 역사』 [2013]
  • 「親筆稿本」
    (박운)
  • 「新堂鄭鵬의 漢詩小考」
    홍우흠 『新堂鄭鵬의 案上圖와 道學』, 해주정 씨신당공파종중, 국토 [2020]
  • 「成運의 학문과 교유관계」
    신병주 『충북학』제4집, 충북연구원 [2002]
  • 「寒暄堂이 鄭新堂에게 傳受한 道統」
    홍우흠 『新堂鄭鵬의 案上圖와 道 學』, 해주정씨신당공파종중, 국토 [2020]
  • 「南溪朴世采의 도통의식과 異端群비판」
    김종수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『한국학연구』V39 [2011]
  • 「南冥思想의 후대에 끼친 影響」
    박홍식 『남명학연구』第四輯, 경상대 학교 남명학연구소 [1994]
  • 「17세기 嶺南學派연구」
    金鶴洙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[2007]
  • 「16세기 지방의 醫書편찬과 患難相恤의 實踐知」
    김 호 『조선시대사학 보』, 89 [2019]
  • 「15세기 중 후반-16세기 道學運動의 전개와 松堂學派의 활동」
    김성우 『역사학보』202, 역사학회 [2009]
  • 「15,16세기 사족층의 고향인식과 거주지 선택 전략–경상도 善山을 중심으로」
    김성우 『역사학보』198, 역사학회 [2008]
  • 16세기 善山지역 서원 건립에 나타나는 道統意識
    임근실 퇴계학보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