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설계원리 개발 = Developing Study o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Based on the Social Studies Blend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

류규태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설계원리 개발 = Developing Study o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Based on the Social Studies Blend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블렌디드 러닝 수업
  • 사회과
  • 설계원리
  • 특수교육 대상자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89 0

0.0%

'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설계원리 개발 = Developing Study o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Based on the Social Studies Blend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' 의 참고문헌

  • 효과적인 블렌디드러닝을 위한 교사의 자질
    유수연 독일언어문학, 87, 91-110 [2020]
  • 혼합형 실시간 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원리 개발 연구.
    Zhang, S. 박사학위논 문. 서울대학교 대학원 [2019]
  • 혼합 학습-수업과 배움이 즐거워지는 아이디어. 연구보고 CR
    이경순 서울: 한국교육학술정보원 [2007]
  •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탐구
    오은주 사고개발, 5(2), 107-134 [2009]
  • 학습 설계를 지원하는 이 러닝 플랫폼 프로토타입 탐색 연구
    Yunus Emre Ozturk 임철일 정다은 한형종 홍정현 교육공학연구, 33(4), 799-837 [2017]
  • 학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표적집단 중재 실행연구. 박사학위논문
    김예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[2017]
  •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
    강신천 김창석 이희숙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, 18(2), 47-57 [2015]
  •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중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실태
    강은영 박성희 학습장애연구, 15(2), 1-37 [2018]
  • 특수학교 진로 직업교육 담당교사의 직무연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.
    강소영 박 사학위논문. 대구대학교 대학원 [2019]
  • 특수아동을 위한 교과교육의 원리와 요소
    이대식 특수교육학연구, 41(2), 95-119 [2006]
  •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분석 : 설문 및 면담 연구를 중심으로
    강은영 박윤정 서효정 지적장애연구, 21(3), 183-210 [2019]
  • 특수교육실태조사예비조사
  • 특수교육실태조사
  • 특수교육공학
    김남진 김용욱 서울: 학지사 [2016]
  •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에서의 시민성 교육 -2015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를 중심으로-
    박남수 특수교육 저널: 이론과 실천, 19(2), 209-233 [2018]
  • 특수교육 교수설계모형 개발연구
    박경옥 박남수 서선진 오영석 아산: 국립 특수교육원 [2012]
  • 특수교사의 수업설계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
    박경옥 박남수 서선진 오영석 특수교육연구, 19(2), 104-129 [2012]
  • 특수교사의 수업설계 실태에 근거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연구
    박경옥 서선진 특수교육학연구, 48(4), 337-357 [2014]
  • 통합학급교사의 개별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과제
    류규태 박경옥 통합교육 연구, 11(1), 1-20 [2016]
  •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과 수업참여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 와 적용 방안
    박남수 사회과교육연구, 20(2), 45-69 [2013]
  • 통합상황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수업행동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. 박사학위논문
    최미점 공주대학교 대학원 [2015]
  • 토익집중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블렌디드러닝 효과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
    길인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8(22), 581-599 [2018]
  •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질적 고찰
    정한호 교육공학연구, 25(3), 157-191 [2009]
  •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선거 관련 기술에서 본 시민성 교육의 변천
    박남수 한 국사회교과교육학회 학술대회지, 323-339 [2016]
  • 초등 사회 및 과학과 교수적 수정 적용 연구 분석
    박윤정 한경근 특수교육 저널: 이론과 실천, 15(2), 85-107 [2014]
  • 초 중 고 특수학교 원격수업 운영기준
    교육부 서울: 교육부 [2020]
  •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e교과서 설계원리 개발. 박사학위논문
    이국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[2013]
  •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러닝 지원시스템 설계원리 개발연구 : CPS 모형을 중심으로. 박사학위논문
    홍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[2012]
  •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
    이상수 이유나 교육공학연 구, 23(2), 135-159 [2007]
  • 질적연구방법의 이해
    김영석 김한별 유기웅 정종원 서울: 박영스토리 [2018]
  • 질적연구방법론 Ⅰ: Bricoleur(제2판)
    김영천 파주: 아카데미프레스 [2012]
  • 질적연구로서의 포커스그룹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
    김정남 김후자 계명간호과 학, 5(1), 1-21 [2001]
  •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사회과 교수 학습방법 분석: 기본 교육과 정과 공통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
    송만호 한경근 지적장애연구, 14(1), 1-22 [2012]
  •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과 교육의 실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 과 인식 : Focus Group Interview를 활용하여
    고은영 김우리 지적장애연구, 17(2), 299-321 [2015]
  • 증강현실 기반 수업설계 원리 개발 연구. 박사학위논문
    한송이 서울대학교 대 학원 [2019]
  • 중도 중복장애 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실행과정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
    류규태 박경옥 통합교육연구, 11(2), 25-52 [2016]
  • 정보사회에 있어서 장애공감문화 및 통합교육 활성화 방안
    박상희 한국컴퓨터 정보학회논문지, 25(1), 167-175 [2020]
  •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
    강은영 박남수 박윤정 특수교육 학연구, 47(2), 357-384 [2012]
  •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과 교수-학습 방법
    김형일 교원교육, 22(2), 63-74 [2006]
  • 임상판달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 적용이 임종간호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. 박사학위논문
    정경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[2015]
  • 읽기곤란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읽기이해 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. 박사학위논문
    김동규 대구대학교 대학원 [2019]
  • 이러닝(Blended e-learning)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내재동기, 이러닝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
    한지영 한국간호교육학회지, 19(1), 16-23 [2013]
  • 이러닝 환경에서의 감성적 어포던스 설계원리 개발. 박사학위논문
    박태정 서울 대학교 대학원 [2015]
  • 이러닝 콘텐츠 개발에서 교수설계자와 내용전문가의 협력적 교수설계 모형 개발연구. 박사학위논문
    김윤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[2019]
  • 온라인 수업 설계 운영 시 특수교사의 역할과 고려사항에 대한 요구 분석
    박경옥 오정숙 지체 중복 건강장애연구, 64(2), 13-165 [2021]
  • 어머니 코칭을 통한 긍정적행동지원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자녀 의 이식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효능감에 미치는 변화
    신윤희 조정연 정서ㆍ행동장 애연구, 35(3), 367-386 [2019]
  • 액션러닝 교수설계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의 학 습성과
    김남영 박현영 장금성 간호행정학회지, 20(5), 587-598 [2014]
  •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 응급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. 박사학 위논문
    유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[2013]
  • 스마트 학습 기반 블렌디드 수업 적용 연구
    한선관 황준호 정보교육학회논문 지, 21(2), 183-190 [2017]
  • 숙련된 교사의 수업설계 활동에 토대한 수업설계모형 개발
    박기용 교육공학 연구, 26(3), 21-52 [2010]
  • 수업목표 기반의 Blended learning 모형 및 교수-학습 설계의 실제
    조규태 역 량개발학습연구, 1(3), 55-74 [2006]
  • 성품교육을 기반으로 한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공격 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
    이혜숙 황선숙 통합교육연구, 11(1), 67-88 [2016]
  •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전 략
  •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을 위한 사회과 수업 모형의 개발
    김혜숙 이경규 사 회과교육, 53(3), 51-67 [2014]
  • 사회정서학습 기반 초등학교 메이커교육 수업모형 개발. 박사학위논문
    이호동 부산대학교 대학원 [2020]
  • 사회적 기술, 따돌림 피해경험, 내면화 문제행동 간의 인과적 모형 탐색
    김동일 최수미 상담학연구, 13(1), 135-148 [2012]
  • 사회과교육의 본질에 관한 사회과 현직 교사의 인식 유형
    강운선 김종혜 사회 과수업연구, 4(2), 25-37 [2016]
  • 사회과 Blended Jigsaw모형 개발. 박사학위논문
    이인자 부산대학교 대학원 [2008]
  • 사이버대학 예체능계열 블렌디드 러닝 활성화를 위한 만족도 조사 연구 - H 사이버대학 중심으로 -
    김현주 조형교육, 32, 37-72 [2008]
  • 사례기반학습을 위한 사례 설계원리 개발연구. 박사학위논문
    연은경 서울대 학교 대학원 [2013]
  •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학원 관련 제도정비 및 온 오 프 블렌디드 학습 지원 방안 연구
    박재윤 안선희 유상덕 서울: 교육과학기술부 [2008]
  • 블렌디드러닝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측정영역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
    김종렬 변찬석 초등특수교육연구, 13(1), 1-23 [2011]
  • 블렌디드러닝을 통한 대학생들의 토익수업 효과
    이명관 영어어문교육, 21(4), 257-281 [2015]
  • 블렌디드러닝과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육연구의 효과 비교를 위한 메타분석
    김정렬 김혜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9(21), 241-258 [2019]
  •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학 습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
    강정찬 초등교육연구, 23(3), 239-265 [2010]
  • 블렌디드 러닝이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수학 학업성취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
    김현주 신진숙 발달장애연구, 17(2), 27-47 [2013]
  •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쓰기교수가 쓰기장애학생의 쓰기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영향
    강옥려 이서현 학습장애연구, 7(1), 1-25 [2010]
  • 블렌디드 러닝에서 효과적 온/오프라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: 대학 강좌를 중심으로
    박성익 송지은 이상은 열린교육연구, 15(1), 17-45 [2007]
  • 블렌디드 러닝에서 특수교육 교사의 역량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
    오정숙 특수 교육 저널: 이론과 실천, 11(1), 25-46 [2010]
  • 블렌디드 러닝에서 요구되는 교사 역량에 대한 예비특수교 사의 인식: 중요도와 준비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
    오정숙 특수교육 저널: 이론과 실천, 14(3), 1-19 [2013]
  • 블렌디드 러닝(Blended Learning)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역량 도출 및 진단도구개발. 박사학위논문
    홍효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[2016]
  • 블렌디드 러닝 기반 사전 학습 활동이 한국 대학교 영어학습자 의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
    강한나 한종임 Multimedia-Assisted Language Learning, 21(3), 175-205 [2018]
  • 블렌디드 러닝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<독어텍스트번역> 수업의 질적 제고
    최균호 외국어로서의 독일어, 40, 129-154 [2017]
  • 블랜디드 러닝의 협력적 지식창출 절차적 모형 개발 연구. 박사학위논 문
    박선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[2011]
  • 블랜디드 러닝(Blended Learning)활용방안 -NHK「NEWS WEB EASY」를 중심으로-
    유미선 한국융합학회논문지, 10(5), 119-124 [2019]
  • 보편적 학습설계의 오해와 이해
    김용욱 이학준 특수교육저널: 이론과 실천, 21(1), 21-32 [2020]
  •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한 읽기교수가 학습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–학업성취, 학업기대, 수업태도를 중심으로-.
    황리리 박사학위논문. 단국대학교 대학원 [2015]
  •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 들에게 미치는 영향: 사회학습 흥미도, 장애학생 수용태도, 사회적 지위를 중심 으로
    이숙향 이정아 초등교육연구, 32(3), 297-326 [2019]
  •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
    한경근 특수아동교육, 16(4), 83-102 [2014]
  • 보편적 설계 원리의 교수-학습에의 적용: 보편적 학습 설계(UDL)
    노석준 제 11회 이화특수교육 학습대회 자료집, 15-27 [2006]
  • 모바일 탐구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. 박 사학위논문
    김성욱 서울 대학교 대학원 [2016]
  •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학습팀 구성방식이 간호대학생의 팀-구성원 교환 관계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
    김남영 한국자료분석학회, 17(6), 3407-3420 [2015]
  •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포럼연극 수업설계 모형 개발. 박사학위논문
    김선희 서 울대학교 대학원 [2014]
  •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 발
    박수홍 최창환 홍광표 사고개발, 9(2), 249-277 [2013]
  •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적용과 효과. 박사학 위논문
    신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[2011]
  • 다문화 읽기곤란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음운인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.
    신은선 박사학위논문. 대구대학교 대학원 [2020]
  • 내러티브 사고와 표현 중심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. 박사학위논문
    안정민 건 국대학교 대학원 [2018]
  • 고등교육에서의 e-러닝 콘텐츠 실태와 시사점
    이준 임병노 교육정보미디어연 구, 13(2), 277-307 [2007]
  • 경영학과 교육공학(경영환경변화속의 경영과 교육의 접목)
    송영수 교육공학 연구, 16(3), 183-199 [2000]
  • 가상교육의 핵심성공 요인
    김선희 김현수 최형림 교육공학연구, 15(1), 241-264 [1999]
  • “사회과 교육과정”
    교육부 서울: 교육부 [2015]
  • “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.”
    권회림 문은경 박인우 교육정보 미디어연구, 21(3), 333-359 [2015]
  • ‘삶’중심의 사회과 융합 교육과정 설계의 논리와 과제: 2015 특 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
    박기범 한경근 사회과교육, 55(3), 105-114 [2016]
  • e-러닝 콘텐츠의 정보제시방식이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 취도에 미치는 효과
    김경희 김진하 이성주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, 22(3), 79-87 [2019]
  •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.
    Hall, T. Meyer, A. Rose, D.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. 김남진, 김용욱 공역 (2018). 서울: 학지사 [2012]
  • SNS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러닝 모형 개발 연구
    곽한영 최윤주 교사교 육연구, 54(2), 273-286 [2015]
  •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: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(2rd Ed.).
    Creswell, J. W. 질적 연구방법론: 다섯 가지 접근. 조흥식, 정선욱, 김진숙, 권지성 공역(2009). 서울: 학지사 [2007]
  •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: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( 3rd ed. )
    Creswell , J. W. 질적 연구방법론: 다섯 가지 접근. 조흥식, 정선욱, 김진숙, 권지성 공역(2015). 서울: 학지사 [2013]
  •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: Methods, strategies and issues.
    Klein, J. D. Richey, R. C. 교육공학 연구를 위한 설계. 정현미, 김광수 공역(2012). 서울: 학지사 [2007]
  • CW-PBS 적용이 초등학교 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.
    이선아 박 사학위논문. 대구대학교 대학원 [2014]
  • 2015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 해설자료1
    교육부 서울: 교육부 [2015]
  • 2015개정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
    최승숙 한경근 2015 한국사회과교육 연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, 135-140 [2015]
  • 1학기 원격수업 운영 현황 분석 및 블렌디드 러닝의 이해
    대구교육청 대구: 대구교육청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