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카르트 철학에 나타난 전인교육론 연구 = A Study on the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in Descartes’ Philosophy

안수진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데카르트 철학에 나타난 전인교육론 연구 = A Study on the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in Descartes’ Philosophy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데카르트
  • 이성과 감성
  • 인간의 발달
  • 인간의 본성
  • 자아
  • 전인교육
  • 정념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33 0

0.0%

' 데카르트 철학에 나타난 전인교육론 연구 = A Study on the Theory of Whole Person Education in Descartes’ Philosophy' 의 참고문헌

  • 홀리스틱교육과 행복한 교육 - 홀리스틱 교육의 본질과 도전을 중심으로
    오인탁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, 5(2). 1-10 [2001]
  • 홀리스틱 교육철학의 방향과 과제
    최관경 교육사상연구, 20. 219-241 [2006]
  • 홀리스틱 교육관점에서의 슈타이너 ‘교육예술’
    김성숙 홀리스틱융합교육 연구. 5(1). 53-67 [2001]
  • 헤겔의 교육이론
    고영준 서울: 교육과학사 [2011]
  •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(competency)의 의미와 교 육과정적 함의
    소경희 교육과정연구, 25(3). 1-21 [2007]
  • 초․중등학교 교육과정: 총론
    교육부 교육부고시 제2015-74호[별책1] [2015]
  • 철학사전
    임석진 서울: 중원문화 [2012]
  • 지식 기원론의 형이상학적 측면: 선험적 지식의 의미를 중심으 로
    노철현 한국초등교육, 27(1). 41-65 [2016]
  • 정념의 근원
    박인철 탈경계 인문학, 3(3). 121-156 [2010]
  • 전인교육론
    이홍우 도덕교육연구 [1996]
  • 인성의 의미와 인성교육의 과제
    최은순 도덕교육연구, 29(3). 29-54 [2017]
  • 인성교육진흥법의 발상과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
    김녕 생명연구, 39. 55-102 [2016]
  •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: 역량의 특성과 차원
    김민성 박민정 윤순경 윤정일 교육학연구, 45(3). 233-260 [2007]
  • 이근세(역) 데카르트. 이성과 의심의 계보
    Delbos, V. 서울: 은행나무 [2017]
  •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
    김상환 서울: 민음사 [2012]
  • 역량중심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: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
    손민호 교육 실천연구, 10(1). 101-121 [2011]
  •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 선 행연구의 이론적 논의 분석 및 쟁점 탐색
    김기철 이주연 장경숙 한혜정 교육과정평가연구, 21(3). 1-24 [2018]
  • 여가와 교과 교육
    조영태 도덕교육연구, 29(2). 1-31 [2017]
  •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의 분류와 그 의의
    손윤락 서양고대사연구, 46. 69-94 [2016]
  • 심신이원론에서 선험적 신체일원론으로: 멘느 드 비랑에서 메를 로-퐁티까지
    장문정 대동철학, 35. 171-215 [2006]
  • 실천적 개념으로서의 역량
    고영준 교육철학연구, 45. 1-26 [2009]
  • 스콜라주의 교육목적론
    김승호 서울: 성경재 [2004]
  • 슈타이너의 인식론과 발도르프학교의 감성교육
    정윤경 교육철학연구, 3 5(4). 191-215 [2013]
  • 서양근대철학의 열 가지 쟁점
    서양근대철학회 파주: 창비 [2004]
  • 서양근대미학
    서양근대철학회 파주: 창비 [2018]
  • 박종현 역주 플라톤의 국가
    Plato 서울: 서광사 [2005]
  • 모차르트의 현악사중주《불협화》(Dissonance)를 분석하는 19세 기와 20세기의 시각
    이미진 서양음악학, 10(1). 217-250 [2007]
  • 모차르트의 현악4중주 K. 465, ≪불협화≫에 나타난 표면적 불 협화와 거시적 불협화
    송무경 서양음악학, 10(1). 179-195 [2007]
  • 루소의 「에밀」에 나타난 자연과 자연적 지식의 의미
    고영준 도덕교육연 구, 31(4). 31-59 [2019]
  •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 예술론 연구
    전일균 교육철학연구, 20. 201-2 15 [1998]
  •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그 이후
    김상환 기호학 연구, 28. 9-50 [2010]
  • 데카르트의 윤리학 연구: 덕과 정념을 중심으로
    이재환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데카르트와 음악의 문제 – 음악의 대상을 중심으로
    김상봉 대동철학, 81. 1-25 [2017]
  • 데카르트에서 영혼과 몸의 결합과 그 현상으로서의 정념: 지각, 감정, 동요
    김선영 철학연구, 45. 167-197 [2012]
  • 데카르트, 인지주의 감정이론의 기원과 한계
    김원철 철학, 114. 1-25 [2013]
  • 데카르트 철학체계에서 ‘정념’의 지위
    김선영 인문과학 연구, 22. 243-264 [2009]
  • 데카르트 철학에서 ‘관대함(g n rosit )’에 대하여
    이재환 범한철학, 79. 259-287 [2015]
  •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행복과 최고선의 문제-인간의 완전성과 행 복-
    이재훈 철학, 132. 31-56 [2017]
  • 근대적 세계관의 형성: 데카르트와 헤겔
    김상환 서울: 에피파니 [2018]
  • 국가교육과정정책에 나타난 인성교육의 의미와 방법: 비판적 고 찰
    노철현 인격교육, 15(1). 87-100 [2021]
  • 교육의 목적과 난점
    이홍우 서울: 교육과학사 [2014]
  • 교육목적으로서 “아레테”(arete)의 개념 연구
    홍윤경 교육철학연구, 44. 173-190 [2009]
  • 교사의 미덕으로서의 여가
    김안중 교육이론, 7-8(1). 45-71 [1994]
  • 교과의 근본이념으로서의 ‘여가’
    김승호 교육학연구, 35(1). 361-380 [1997]
  • 개방형 자율학교 시범 운영 추진 관련 전인교육 Inventory 개발 연구. 교육인적자원부 정책 연구과제
  • 강경이(역) 데카르트의 사라진 유골
    Shorto, R. 경기도: 옥당 [2013]
  • 감성의 홀로주체성
    김상봉 기호학연구, 14. 9-52 [2003]
  • 감성담론과 그의 교육철학적 함의
    노상우 교육철학연구, 34. 71-97 [2012]
  • 감성 소통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
    신헌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8(2). 251-273 [2008]
  • ‘이성’과 ‘마음의 발달’의 관계: ‘고대적 이성’과 ‘근대적 이성’의 구분을 중심으로
    홍윤경 교육사상연구, 30(3). 199-216 [2016]
  • ‘무시케(Mousike) 교육’과 ‘이성의 계발’의 관계: 칸트의 ‘취미판 단’을 중심으로
    홍윤경 교육철학연구, 35(1). 161-179 [2013]
  • ‘Flow’ 개념의 교육학적 해석: ‘Schole’ 개념을 중심으로
    김승호 교육과 정 연구, 35(2). 21-41 [2017]
  • Zur Kritik der instrumentellen Vernunft. 박구용 (역)(2006). 도구적 이성 비판
    Horkheimer, M. 서울: 문예출판사 [1947]
  • The Theory of Education in Plato’s Republic. 김 안중 역(1989). 플라톤의 교육론
    Nettleship, R. L. 서울: 서광사 [1966]
  •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. 김영건 외 역(2006). 서양철학사
    Kenny, A. 서울: 이제이북스 [1994]
  •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. 이홍우 역(2008). 서양 교육사
    Boyd, W. 서울: 교육과학사 [1921]
  • Problems of mind: Descartes to Wittgenstein. New York: Harper & Row. 류의근(역)(1987). 마음의 문제-데카르트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-
    Malcom, N. 파주: 서광사 [1971]
  • Klassiker der Philosophie, 2 Bde., Bd.2, Von Immanuel Kant bis Jean-Paul Sartre. 이강인 역(2001). 철학의 거장들 2
    H ffe, O. 서 울: 한길사 [1994]
  • Geschichte der P dagogik : von Platon bis zur Gegenwart. 김영래, 김상무, 김철, 정창호(역)(2017). 서양 교육 이념 의 역사
    Böhm, W 서울: 교육과학사 [2004]
  • Finding Flow. 이희재 역(2018). 몰입의 즐거움
    Csikszentmihalyi, M. 서울: 해냄 [1997]
  • Experience and the Growth of Understanding. 이홍 우 외(역)(1990). 경험과 이해의 성장
    Hamlyn, D. W. 서울: 교육과학사 [1978]
  • Disputationen zwischen Antike und Moderne : die Geschichte der abendl ndischen Philosophie nach Themen. 이상인(편 역) 고대와 근대의 논쟁들
    Schmitt, A. 서울: 길 [2017]
  • Creative Intuition in Art and Poetry. Washington: National Gallery of Art. 김태관(역)(1982). 시와 미와 창조적 직관
    Maritain, J. 서울: 성바오로출판사 [1953]
  • 21세기 인성교육의 방 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연구
  • 2015 문・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(2014
    교육부 09. 24.) [2014]
  • . 김재홍 역 정치학
    Aristotle 서울: 길 [2017]
  • . 강상진 역 니코마코스 윤리학
    Aristotle 서울: 길 [2016]
  • (역) 진리를 찾기 위한 방법서설 성찰 데까르뜨 연구
    최명관 서울: 훈복 문화사 [2005]
  • (역) 성찰② - <성찰>에 대한 학자들의 반론과 데카르트의 답 변
    원석영 파주: 나남 [2016]
  • (역) 성찰① - <성찰>에 대한 학자들의 반론과 데카르트의 답변
    원석영 파주: 나남 [2016]
  • (역) Principia philosophiae(1644). 철학의 원리
    원석영 서울: 아카넷 [2014]
  • (역) 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(1641), La recherche de la v rit par la lumi re naturelle, Notae in Programma. 성찰, 자연의 빛에 의한 진리탐구, 프로그램에 대한 주석
    이현복 서울: 문예출판사 [2015]
  • (역) Les passions de l' me(1649). 정념론
    김선영 서울: 문예출판사 [2013]
  • (역) Discours de la m thodec(1628), Regulae ad directionem ingenii(1637). 방법서설,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
    이현복 서울: 문예출판사 [2016]
  • (1790), Kritik der Urteilskraft, 백종현 역, 『판단력비판』
    Kant, I. 서울: 아카넷 [200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