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일시나리오 분석과 북한지역 주택정책 연구 = An Analysis of the Unification Scenario and a Study on Housing Policies in North Korea

이종석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통일시나리오 분석과 북한지역 주택정책 연구 = An Analysis of the Unification Scenario and a Study on Housing Policies in North Korea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공업화 건축
  • 남북경협
  • 대북 건축정책
  • 대북 주택정책
  • 모듈러
  • 북한 주거환경
  • 인구 이동
  • 임시주택
  • 통일시나리오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15 0

0.0%

' 통일시나리오 분석과 북한지역 주택정책 연구 = An Analysis of the Unification Scenario and a Study on Housing Policies in North Korea' 의 참고문헌

  • 유엔 안보리 '북핵·미사일 제재결의' 일지
    『연합뉴스』(온라 인) [2017]
  •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
    정진위 서울: 법문사 [1998]
  • 북한주택 현황조사 분석 연구
    최상희 대전: 토지주택연구원 [2015]
  • 『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이론적 기초와 정책방향』
    통일부 [1990]
  • 『통일한국을 대비한 국가정보화 비전 및 전략연구』
    김현곤 서울: 한국정보화진흥원 [2010]
  • 『통일비용 편익 종합연구』
    김규륜 서울: 통일연구원 [2013]
  • 『통일백서』
    통일부 [2002]
  • 『통일대비 북한 건축산업 인프라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기획』
    대한건축학회 안양: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[2016]
  • 『통일대비 북한 SOC 현황정보 조사 및 시나리 오 기반 주거공급 인프라 조성 기본계획 수립』
    안병욱 이종석 안양: 국토교통 과학기술진흥원 [2019]
  • 『통일 후 북한지역 주택공급에 관한 연구』
    서우석 대전: 대한주택 공사 주택도시연구원 [2000]
  • 『체제전환 비용 편익사례연구』
    조한범 서울: 통일연구원 [2011]
  • 『중국의 대북정책』
    문대근 늘품플러스 [2013]
  • 『우리는 어떤 미래를 원하는가』
    박성원 서울 : 도서출판이새 [2017]
  • 『예멘 통합 사례연구』
    김국신 민족통일연구원 [1993]
  • 『연례 정세전망 보고서: 년도 정세 평가와 2018년도 전 망』
    김인태 서울: 국가안보전략연구원, 2017 [2017]
  • 『역사상의 분열과 재통일』
    김기태 서울: 일조각
  • 『북한학보』
    권오국 제36집 2호, 서울:북한연구소 [2011]
  • 『북한의 주택 및 건축기술 실태조사와 계획 방향 제시 연 구』
    서우석 대전: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[2001]
  • 『북한신년사』
  • 『북한 주택사업 중장기 전략 연구』
    최상희 대전: 토지주택연구원 [2018]
  • 『북한 인구와 인구센서스 분석』
    통계청 [2011]
  • 『북한 이해』
    국립통일교육원 서울: 통일부 통일교육원, 2017 [2017]
  • 『북한 이해』
    국립통일교육원 서울:국립통일교육원 [2018]
  • 『러시아와 동북아: 1990년대 초 이후 러시아의 대 중 일 한 북 외교』
    최태강 서울: 오름 [2004]
  • 『독일 통일 20년』
    이기식 서울: 고려대학교 출판부 [2011]
  • 『독일 1990년 10월 3일』
    정용길 서울: 동국대학교출판부 [2009]
  • 『구 동독지역 재건 특임관 분야 관련 정책문서』
    통일부 [2013]
  • 『2017년 북한 건설 개발 동향』
    김미숙 대전: 토지주택연구원 [2018]
  • “향후 5년 남북관계 주요 환경과 전개 시나리오”, 『KINU 정책연구시리즈』, 08-02
    박형중 통일연구원 [2015]
  • “한반도 평화시대, 북한 인프라 개발사업의 재원조달 방안,”
    빈재익 『건설이슈포커스』, -3, 한국건설산업연구원, 2018 [2018]
  • “한반도 통일 후 남한 유입 북한 주민을 위한 임시 주거 입지선 정에 관한 연구”
    송용준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“한국 평화통일 전략의 허실과 새로운 지평,”
    정영태 『전략연구』, 제 57호 [2012]
  • “특집: 북한의 정치변동 어떻게 볼 것인가?”
    정용길 『북한』 [2009]
  • “통일전 동.서독간 경제교류에 관한 연구,”
    정진상 『한 독사회과학논 총』, 제16권, 제1호 [2006]
  • “통일 이후 동독지역의 인구이동 요인에 관한 연구,”
    이상준 국토계획, 제35권 5호 [2000]
  • “통일 대비 북한의 인구이동 대응방안 연구: 주거와 인 프라 공급을 중심으로,”
    이종석 한승대 『인문사회21』, 제9권 5호 [2018]
  • “탈냉전시대 국제정치 패러다임의 변화와 신세계질서 형성”
    박광섭 『사회과학연구』제25집, 호서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[2006]
  • “탈냉전기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 변화 이동형
    이동형 한국동북아논총, 32집 [2004]
  • “탈냉전 시대 한국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,”
    박영호 『세계지역 연구논총』제23집 1호, 한국세계지역학회 [2005]
  • “최근 통일사례가 한반도 통일방안에 주는 함의: 독일, 베트남, 예멘 통일사례를 중심으로,”
    최장옥 『한국군사학논총』, 제7집 제1권 [2018]
  • “정전협정과 종전선언 그리고 평화협정,”
    김재한 『통일전략』, 제18권 3 호 [2018]
  • “재해재난을 대비한 임시 주거 단지의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”
    김성수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“재해재난 지역을 위한 임시 주거용 해운 컨테이너의 활용 특 성에 관한 연구,”
    강승모 Archives of Design Research, 28(3) [2015]
  • “재난민을 위한 임시주거의 계획에 관한 연구,”
    임우용 국민대학교 건축 학과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“일본의 대북한 정책에 관한 연구: 국교 정상화 교섭을 중심으 로”
    정영순 고려대학교 일본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“예멘 내전의 사적 재조명과 한반도 통일에 부는 함의
    이동식 조상현 『군사연구』, 제132집 [2011]
  • “영국의 난민 정책: 시리아 난민 사례를 중심으로”
    김성진 정치 정보연 구, 제9권 2권 [2016]
  • “시진핑 시기 중국의 한반도 전략 패러다임 분석”
    리단 평화학연구, 제 16권 3호 [2015]
  • “시나리오기반 북한 주거공급방안,”
    신두식 『건설관리』, 제19권 4호, 한 국건설관리학회 [2018]
  • “서독의 대 동독 화해 협력과 통일,”
    이태영 『전북사학』, 제21.22집 [1999]
  • “분단국의 통일효과와 통치체제에 관한 연구: 독일 베트남 예멘 의 사례를 중심으로”
    김형철 경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 위논문 [2016]
  • “분단국가의 통일 사례연구,”
    차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[1997]
  • “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소고,”
    손기웅 『접경지역 통일연구』, 제2권 제1호, 통권 제5호 [2019]
  • “북한체제의 지탱요인 분석,”
    최완규 『현대북한연구』9권 2호, 북한대 학원대학교 [2006]
  • “북한의 통일전략은 변하고 있는가,”
    고병철 계간 사상, 봄호 [1991]
  • “북한의 공세적 대외정책과 경제확장전략”
    이정철 사회과학논총, 제18 집 [2016]
  • “북한의 경제 국방 병진노선과 체제위기 극복효과: 김일성 김정 일시대 병진노선의 유형별 비교분석,”
    하상섭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박사 학위논문 [2017]
  • “북한은 핵실험 이후 더 공격적인가?: 현상타파 대외전략과 현상 유지 대외정책의 결합,”
    황지환 『북한연구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』 [2018]
  • “북한경제 구조변화에 관한 실증 연구: 구조변화 요인분석과 전 망,”
    홍순직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“북한개발지원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,”
    장형수 『경제 인문사회연구 회협동연구총서』,19-15-04, 서울:통일연구원 [2009]
  • “북한(김정은)체제의 안정성 평가: 북한체제의 특수성과 사회주 의 체제의 보편성 시각으로,”
    한헌동 『세계북한학 학술대회 자료 집』, 북한연구학회, 2014 [2014]
  • “북한 핵문제에 대한 푸틴 러시아의 역할과 제약,”
    이동형 한국동북아논 총, 32집 [2004]
  • “북한 급변사태 시 인구이동에 대비한 효율적 주거시스템 공급 방안”
    이종석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“북한 개발재원에 있어 국제 민간자본 활용 방안 연구”
    문경련 『의 정논총』, 제15권 2호 [2020]
  • “북한 ‘수령권력’체제의 생성과 메커니즘,”
    최경희 『한국과 국제정치』 제32권 4호,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[2016]
  • “북중관계 변화의 동인과 시진핑시대의 대북정책”
    박동훈 이성환 『국 제정치연구』, 제18집 1호 [2015]
  • “미국의 대북제재와 김정은 정권의 외교적 고립,”
    이영진 『월간 북 한』, 6월호 [2017]
  • “로동신문을 통해 살펴본 북한의 전후복구 과정: ~1958년,”
    박영실 『통일문제연구』, 25권 1호, 2013 [1953]
  • “동서독 교류 협력실태(2): 정치 경제 사회분야,”
    김영윤 『북한』, 제7월 호 [1999]
  • “동서독 교류 협력과 대동독 대가지급,”
    김영윤 『통일정책연구』, 제10권 제2호 [2001]
  • “동북아 국제질서 변화의 기본시각 정립과 설명모형 구축”, 『동북 아 국제질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전략』
    이석 세종: 한국개발연구원 [2017]
  • “독일과 영국의 난민보호정책 비교 연구: 난민인 정 중심으로”
    알리야 바쓰타우바에바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[2016]
  • “독일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인구이동 및 인구변화와 한반도 통 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”
    김창권 『경상논총』, 제28권 1호, 한독경상 학회 [2010]
  • “남북회담을 한반도 안정화의 출발점으로,”
    김용현 『매일경제』 [2018]
  • “남북한지역간 갈등 최소화와 공영을 지향하는 통일비용 지출,”
    이상근 통일연구, 제15권 2호 [2011]
  • “남북한 통합시 인구이동 전망과 대응과제,”
   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 구원 연구보고서, 제7권 1호 [2012]
  • “남북한 통일전략과 통일방안의 접점: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 방제,”
    고유환 『북한조사연구』, 제5권 1호 [2001]
  • “남북한 통일의 유형별 시나리오," 『남북한 정치갈등과 동 일』
    문정인 서울: 오름 [2002]
  • “남북한 정책 선택과 통일 시나리오 분석,”
    고경민 『한국동북아논총』, 제74권 [2015]
  • “남북한 경제통합 연구: 북한경제의 한시적 분리 운영방안”
    전홍택 『KDI 연구보고서-10』, 세종:한국개발연구원, 2012 [2012]
  • “남북한 경제통합 연구: 북한경제의 개혁 및 이행 전략”,『KDI 연 구보고서 -13』
    이석 세종:한국개발연구원, 2012 [2012]
  • “남북관계 단절 이후 새로운 북핵 해법 모색,”
    고유환 통일경제, 제1호 [2016]
  • “김정일 시대(1994∼2004)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와 전망,”
    박순성 북한 연구학회 편, 『북한의 경제』, 서울: 경인문화사 [2006]
  • “김정일 시대 이후 북한의 대외정책”
    김경수 한국정치외교사논총, 제25 권 2호, 한국정치외교사학회 [2004]
  • “김정은 체제 외교정책변화의 결정요인 분석: 대 북제재와 국내정치 동학,”
    김용호 정기원 조현용 『국방연구』, 제62권 4호, 안보문제연 구소 [2019]
  • “김정은 정권의 외교정책: 권위추구형 핵 경제병진노선을 중심으 로”
    김영재 『한국정치외교사논총』, 제38집 2호 [2017]
  • “기초자료로 본 독일통일 20년”
    임홍배 『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 서』12권, 서울대학원대학교 출판문화원 [2011]
  • “국내외 모듈러건축 기술현황 및 사례,”
    조봉호 『프리팹 건축구조 연구 실 발표자료』, 아주대학교 [2017]
  • UNHCR, The Convention and Its 1967 Protocol: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, p. 3,
    in http://www.unhcr.org/4ec262df9.html”, 검색일: 2016년 2월 1일 Washington Post. December 24, 2017. [1951]
  • Horst Brezinski, “통일한국에서의 대량실업 및 인구이동 대응방안,”『동북아경제연구』
    김창권 이종원 함정호 서울:동북아경제학회 [2001]
  • 2019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
  • "한반도 통일이 미국에 미칠 편익비용 분석,“
    마커스 놀랜드 『중장기통 상전략연구14-01』. 세종: 대외경제정책연구원 [2014]
  • "북한의 주거정책과 주택매매 양상,"
    강은주 『북한』, 북한연구소,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, 2017-2018년 한반도리포트 한반도 정세: 2017년 평가 및 2018년 전망, 2017 [2017]
  • "남북한 경제통합의 효과,"
    성한경 『중장기통상전략연구 14-05』, 세종: 대외경제정책연구원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