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Spread of Hangul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

강유주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Spread of Hangul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교육대상
  • 교재 종류
  • 문해교육
  • 조선전기
  • 학습 방식
  • 한글 교재
  • 한글 문헌
  • 훈민정음[한글]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95 0

0.0%

' 조선전기 한글 보급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Spread of Hangul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셉테드학회편찬위원회 역 , 『셉테드: 범죄예방설계』
  • 편, 『한글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사람들의 삶』
    이상규 경진출판 [2014]
  • 편, 『불교와 한글, 한국어』
    서상규 한국문화사 [2017]
  • 주해, 방종현(1947), 『훈민정음통사』
    이상규 올재 [2015]
  • 조선왕조실록
    (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(http://sillok.history.go.kr))
  • 조선 전기의 사림과 소학
    윤인숙 역사비평사 [2016]
  • 임상원 역, 『구텐베르크은하계』
    마샬 맥루한 커뮤니케이션 북스 [2001]
  • 이기우, 임명진 역, 『구술문화와 문자문화』
    윌터 옹 문예출 판사 [1995]
  • 이건상 역, 『일본교육의 역사』
    가타기리 요시오 논형. [2011]
  •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편, 『실용서로 읽는 조선』
    글항아리 [2013]
  • 국사편찬위원회 편, 『유교적 사유와 삶의 변천』
    두산동아 [2009]
  • 교육사학회 역, 『와타나베의 한국교육사』
    와타나베 마나부 문음사 [2010]
  • 『훈민정음종합연구』
    박종국 세종학연구원 [2007]
  • 『훈민정음의 창제와 실용』
    사재동 역락 [2014]
  • 『훈민정음연구』
    안병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[2007]
  • 『훈민정음과 세종악보』
    최종민 역락 [2013]
  • 『훈민정음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03]
  • 『훈민정음 해례본 입체강독본』
    김슬옹 박이정 [2019]
  • 『훈민정음 창제와 연구사』
    강신항 경진 [2010]
  • 『훈민정음 그리고 불경언해』
    김무봉 역락 [2015]
  • 『훈몽자회연구』
    강신항 서울대학교 출판부 [1973]
  • 『훈몽자회연구』
    이기문 서울대학교 출판부 [1971]
  • 『훈몽자회』
    (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[2003]
  • 『효경언해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4]
  • 『홍무정운역훈』
    (고려대학교 [1973]
  • 『홍무정운역훈』
    김무림 신구문화사 [2006]
  • 『한글이야기 1』
    홍윤표 태학사 [2013]
  • 『한글문헌학』
    백두현 태학사 [2015]
  • 『한글과 과학문명』
    시정곤 최경봉 들녘 [2018]
  • 『한글고문서연구』
    이상규 경진 [2011]
  • 『한글』
    홍윤표 세창출판사 [2016]
  • 『한글 고목과 배자』
    강이경 이상규 경진 [2013]
  • 『한국의 운서』
    강신항 태학사 [2000]
  • 『한국교육사연구』
    손인수 문음사 [1998]
  • 『한국 운서의 이해』
    정경일 아카넷 [2002]
  • 『최세진의 사성통해 연구』
    한가준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[2018]
  • 『최세진연구』
    안병희 국어학회 [2007]
  • 『직서기언』
    이상규 경진출판 [2018]
  • 『중국어란 무엇인가』
    최영애 통나무 [1988]
  • 『조선중기 무예서연구』
    나영일 서울대학교 출판부 [2006]
  • 『조선의 <소학> 주석과 번역』
    정호훈 소명출판 [2014]
  • 『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』
    김슬옹 역락 [2012]
  • 『조선시대 한글필사본과 문자생활』
    안귀남 문예원 [2016]
  • 『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』
    김슬옹 한국문화사 [2005]
  • 『정속언해‧경민편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0]
  • 『이륜행실도』
    (김병환, 학자원 [2010]
  • 『음운과 문자』
    김완진 신구문화사 [1996]
  • 『유합』
    (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, L174854)
  • 『월인천강지곡』
    (한국고전총서간행회, 대제각, 古082 ㅎ155)
  • 『월인석보, 훈민정음에 날개를 달다』
    정진원 조계종 출판사 [2019]
  • 『월인석보 1‧2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1992]
  • 『원격교육입문』
    신나민 서현사 [2007]
  • 『오륜행실도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6]
  • 『옛 책의 한글판본』
    윤형두 범우사 [2003]
  • 『여씨향약언해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2]
  • 『언어 국어 문화』
    나찬연 월인 [2010]
  • 『언간』
    황문환 역락 [2015]
  • 『신증유합』
    (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[1972]
  • 『신정판 국어사개설』
    이기문 태학사 [1998]
  • 『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』
    강신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03]
  • 『송강가사』
    (한국고전총서간행회, 대제각, 古082 ㅎ155)
  • 『소학언해 권 6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2]
  • 『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』
    김슬옹 지식의 산업사 [2011]
  • 『세종 시대의 인쇄출판』
    손보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[1986]
  • 『석보상절 권 6‧9‧11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1991]
  • 『서당의 사회사』
    정순우 태학사 [2012]
  • 『삼강행실도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0]
  • 『사성통해』
    (한국고전총서간행회, 대제각, 古082 ㅎ155)
  • 『불교와 한글』
    김기종 동국대학교 출판부 [2015]
  • 『분류두공부시언해 권3 (상)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6]
  • 『번역소학 권 6‧7‧8‧9‧10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1]
  • 『무예제보』
    (국립중앙도서관, M 4-1-205)
  • 『목우자수심결언해‧사법어언해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09]
  • 『매체철학의 이해』
    매체철학연구회 인간사랑 [2005]
  • 『동국정운식 한자음 연구』
    차익종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[2014]
  • 『동국정운』
    (한국고전총서간행회, 대제각, 古082 ㅎ155)
  • 『능엄경언해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03]
  • 『논어언해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11]
  • 『남명집언해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02]
  • 『금양잡록』
    (국립중앙도서관, 한古朝80-9)
  • 『금양잡록』
    이호권 「규장각소장어문자료 어학편 해설」, 서울 대 규장각 [2001]
  • 『금강경언해』
    (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, 一蓑古貴294.332-B872gf)
  • 『국어음운체계의 연구』
    김완진 일조각 [1982]
  • 『국어사 문헌 연구』
    안병희 신구문화사 [2009]
  • 『국어 음운사 연구』
    이기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73]
  • 『구급방언해 상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03]
  • 『구급간이방언해 권1』
    (세종대왕기념사업회 [2007]
  • 『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』
    신차균 학지사 [2006]
  • 『교육사』
    박종배 조화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[2010]
  • 『경국대전』
    (조선시대법령자료(http://db.history.go.kr/law))
  • 『간경도감 간행 불서의 서지적 연구』
    박광헌 경북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『『훈민정음』해례본의 텍스트 분석을 통한 국어교육적 연구 : <예의>와 <<해례>>를 중심으로』
    김부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『『삼강행실도』언해본의 서지학적 국어학적 연구』
    이상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『<번역소학>과 <소학언해> 연구』
    조현진 박이정 [2015]
  • 『19세기 초학교재에 나타난 아동교육관의 특징』
    최종찬 공주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『15세기 언해 자료와 구결문』
    윤용선 역락 [2003]
  • 「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」
    시정곤 『우리어문연 구』29권, 우리어문학회 [2007]
  • 「훈민정음의 <언해본> -고려대 도서관 육당문고 소장의 「훈민정음」을 중심으로-」
    정광 『어문논집』88권. 민족어문학회 [2020]
  • 「훈민정음을 활용한 조선시대의 인민통치」
    백두현 『진단학 보』92권, 진단학회 [2009]
  • 「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」
    이상혁 『한국어학』 41, 한국어학회 [2008]
  • 「훈민정음과 불교경전의 상관관계 연구」
    정우영 『어문연구』 43권 4호, 한국어문교육연구회 [2015]
  • 「훈민정음 해례본의 사성체계와 방점」
    김영국 『동악어문학』 32권, 동악어문학회 [1997]
  • 「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」
    김완진 『한국문화』5권, 서울대 학교 한국문화연구원 [1984]
  • 「훈민정음 언해본의 주석」
    김주필 『어문학논총』38집, 국민 대학교 어문학연구소 [2019]
  • 「훈민정음 언해본의 정본 제작에 관한 연구」
    김주원 『국어사연구』7호. 국어사학회 [2007]
  • 「훈민정음 언해본의 내용과 특징」
    김주필 『어문학논총』38 집,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[2019]
  • 「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 - 창제로부터 19세 기까지」
    안병희 『동방학지』48권,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[1985]
  • 「훈몽자회와 신증유합의 자석 비교연구」
    서수백 『순천향 인 문과학논총』37권 3호,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[2018]
  • 「훈몽자회고」
    방종현 『동방학지』1권, 연세대학교 국학연구 원 [1954]
  • 「훈몽자회 이본에 대한 고찰- 서지 및 언어변화를 중심 으로」
    채순옥 『중국학논총』30호,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[2014]
  • 「한글문화의 정신사」
    민현식 『한국언어문화학』13권 3호, 국 제한국언어문화학회 [2016]
  • 「한글 고소설의 탄생과 유통」
    이윤석 『인문과학』105집, 연 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[2015]
  • 「한글 고문서 선조국문유서에 대하여」
    김유범 『국어사연구』 18호, 국어사학회 [2014]
  • 「한국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문자생활」
    백두현 『서강인문논총』22권,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[2007]
  • 「한국어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」
    백두현 『문학과 언어』 26권, 문학과 언어학회 [2004]
  • 「한국 번역사에서 본 조선조 언해 번역」
    유명우 『번역학연 구』5권, 한국번역학회 [2004]
  • 「한․중 속자의 비교」
    정우상 『국어생활』17권, 국어연구소 [1989]
  • 「피맛골 땅 속에서 ‘훈민정음’ 금속활자들이 쏟 아져 나왔다」
    노형석 『한겨레』 [2021]
  • 「표음 기능 한자에 대한 연구」
    임동석 『중국학보』35권, 한국 중국학회 [1995]
  • 「칠서의 언해와 그 국어사적 의의」
    이영경 『국학연구』19권, 한국국학진흥원 [2011]
  • 「최세진의 음운연구」
    강신항 『새국어생활』9권 3호, 국립국 어연구원 [1999]
  • 「중세국어 연구자료의 성격에 대한 연구- 번역양식을 중심으로 하여」
    안병희 『어학연구』9권 1호,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[1973]
  • 「조선후기 이중언어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」
    안대회 『대동 한문학』24권, 대동한문학회 [2006]
  • 「조선후기 『소학』언해의 활용과 보급에 대한 국어학 적 연구」
    이영경 『진단학보』120권, 진단학회 [2014]
  • 「조선초 국내의 서적보급정책」
    신양선 『역사와실학』17-18 권. 역사와실학회 [2000]
  • 「조선중기 초등교육에 관한 시론적 연구- 교재분석을 중심으로」
    강명숙 『교육사학연구』8권, 교육사학회 [1998]
  • 「조선중기 언간(한글편지)을 통한 생활 속의 문해교 육」
    이은희 『평생교육학연구』21권 3호, 평생교육학연구 [2015]
  • 「조선전기의 유교 경서 구결과 그 교육사적 의의」
    박종배 『교육사학연구』29집 2호, 교육사학회 [2019]
  • 「조선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」
    김무봉 『동악어문학』58권, 동악어문학회 [2012]
  • 「조선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」
    김풍기 『동악어문학』 58권, 동악어문학회 [2012]
  • 「조선전기 서민 문자교육에 관한 연구- 모재 김안국의 교화서 언해사업중심으로」
    지정민 『교육사학연구』6․7권, 교육사학회 [1996]
  • 「조선전기 서당교육에 대한 시론」
    김경용 『교육사학연구』제 27집 제2호, 교육사학회 [2017]
  • 「조선전기 사대부 교육에 관한 연구」
    박연호 한국정신문화연 구원 박사학위논문 [1994]
  • 「조선전기 두시 이해의 지평과 『두시언해』간행의 문학 사적 의미」
    김남이 『동악어문학』58권, 동악어문학회 [2012]
  • 「조선시대의 한글보급과 실용에 관한 연구」
    백두현 『진단학 보』92권, 진단학회 [2001]
  • 「조선시대의 한글 교재와 그 특징」
    강유주 박종배 『교육사학 연구』30집 2호, 교육사학회 [2020]
  • 「조선시대 한글문헌 간행의 시기별 경향과 특징」
    이호권 『한 국어학』41권, 한국어학회 [2008]
  • 「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(다 이아글로시아)」
    이종묵 『진단학보』104권, 진단학회 [2007]
  • 「조선시대 사대부의 한글 사용과 의미」
    김인회 『한국학』35 권 4호, 한국학 중앙연구원 [2012]
  • 「조선시대 독자적 동몽교재의 등장과 그 의의-훈몽자회 와 동몽선습을 중심으로」
    장정호 『유아교육학집』10권 1호, 한국영유아 교원교육학회 [2006]
  • 「조선시대 교화의 성격과 사대부의 수신서 보급」
    김언순 『한 국문화연구』13권,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[2012]
  • 「조선시대 간경도감의 역경사업」
    김무봉 『전자불전』4권, 동 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[2002]
  • 「조선시대 『소학』이해 연구」
    이정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2013]
  • 「전근대시기 한글보급의 동인」
    최경봉 『동방학지』189권, 연 세대학교 국학연구원 [2019]
  • 「장서각 소장 보물 『능엄경』과 『원각경』의 인쇄문화 적 가치」
    옥영정 『장서각』20호, 한국학중앙연구원 [2008]
  • 「이이의 『정언묘선』에 나타난 시 학습이론 분석-시를 통한 존양과 성찰」
    이영환 『교육사학연구』26집 2호, 교육사학회 [2016]
  • 「읍지에 나타난 조선 후기의 무학」
    박종배 『교육사학연구』 26집 2호, 교육사학회 [2016]
  • 「유가철학 원전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대 앞의 논 문」
    전호근 『시대와 철학』14권 2호, 한국철학사상연구회 [2003]
  • 「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국어학적비교연구」
    권화숙 한국외 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용비어천가 국문 가사와 한시의 성립 순서에 대하여」
    강근우 『민족문화』50, 한국고전번역원 [2017]
  • 「영조 대의 교화서 간행과 한글 사용의 양상」
    이영경 『한국 문화』61권,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[2013]
  • 「언해본 『삼강행실도』≪효자도≫의 원전과 텍 스트 성립과정에 대하여」, 『국어사연구』30권
    오민석 국어사학회 [2020]
  • 「언해 자료의 역사와 언어 양상에 대한 검토」
    윤용선 『우리 말글』56권, 우리말글학회 [2012]
  • 「언문자모의 작성주체와 시기에 대하여」
    강창석 『언어와 정 보사회』22권,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[2014]
  • 「세종조 문학 관련 서적 출판 연구」
    김은정 『한문고전연구』 37권, 한국한문고전학회 [2018]
  • 「세종의 한글 창제」
    정광 『한국학연구』51권. 고려대학교 한 국학연구소 [2004]
  • 「세종의 문자 정책과 한글진흥정책의 미래」
    최용기 『국어문 학』49권, 국어문학회 [2010]
  • 「세종시대 출판문화정책 연구」
    이문학 『한국출판학연구』47 권, 한국출판학회 [2021]
  • 「성삼문의 학문과 조선전기의 역학」
    정광 『어문연구』30권 3호. 한국어문교육연구회 [2002]
  • 「석보상절 권 20 연구」
    김무봉 『불교학연구』34집, 불교학연 구회 [2013]
  • 「사성통해 권두서문과 자모도에 대하여」
    강신항 『국어국문학 연구』19권, 원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[1997]
  • 「사서삼경(四書三經)의 언해 양상과 표기상의 특징」
    이영경 『우리말글』57권, 우리말글학회 [2013]
  • 「미암 유희춘의 『신증유합』의 자학서로서의 의의와 가 치-『유합』과 비교를 중심으로」
    이연순 한국고전연구 40집, 한국고전연 구학회 [2018]
  • 「기독교 선교사들의 한글교육, 1884-1905」
    김근영 박연호 『교육사학연구』25권 2호, 교육사학회 [2015]
  • 「국역 삼강행실도에 대하여」
    노태조 『어문연구』12권, 어문연 구학회 [1982]
  • 「구급방류 의서의 언해비교-동일 원문을 대상으로」
    김남경 『언어과학연구』32권, 언어과학회 [2005]
  • 「곡식류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」
    이광호 『어문학』 109집, 한국어문학회 [2010]
  • 「곡물명 수록 어휘 자료집의 계보와 그 어휘 목록 분석 을 위한 기초 연구」
    신중진 『동아시아문화연구』54권, 한양대학교 동아 시아문화연구소 [2013]
  • 「경북대 “가장 오래된 한글 음식조리서 추정 필사본 발견”」
    한무선 『연합뉴스』 [2017]
  • 「ㅱ, ㆆ, ㆅ …세종의 꿈 담긴 '한글 금속활자' 무더기 첫 발굴」
    강혜란 『중앙일보』 [2021]
  • 「『훈민정음』<예의>와 《해례》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」
    김유범 『우리말연구』55집, 우리말학회 [2018]
  • 「『훈민정음 해례본』의 텍스트 구조 연구」
    백두현 『국어 학』54권, 국어학회 [2009]
  • 「『훈몽자회』의 확장성과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」
    박정민 『동방한문학』32호, 동방한문학회 [2020]
  • 「『훈몽자회』의 한글지도방법연구」
    최영환 『독서연구』51 권, 한국독서학회 [2016]
  • 「『훈몽자회』를 중심으로 한 최세진의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」
    김기영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『효경간오』, 『효경대의』, 『효경언해』의 간행본과 그 계통 연구」
    옥영정 『한국학』35권, 한국학중앙연구원 [2002]
  • 「『직지』와 금속활자 인쇄의 가치와 중요성을 규명하기 위한 조선초기 금속활자 간행도서의 주제 분석 」
    김성수 『서지학연구』 28권, 서지학회 [2004]
  • 「『주초침저방』의 내용구성과 필사 연대연구」
    백두현 『영남 』62권, 영남문화연구원 [2017]
  • 「『월인천강지곡』의 훈민정음 활용과 연행적 유통 양상」
    사재동 사진실 『어문연구』74권, 어문연구학회 [2012]
  • 「『월인천강지곡』의 인쇄사적 가치에 대한 재고찰」
    옥영정 『국어사연구』26권, 국어사학회 [2018]
  • 「『석보상절』불교 주해의 의의」
    최기표 『불교학보』85집,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[2018]
  • 「『사성통해(四聲通解)』자모도(字母圖)에 대한 고찰(考 察)」
    김무림 『어문논집』70권, 민족어문학회 [2014]
  • 「『무예제보』의 해제․색인․영인」
    김동소 『한글말글학』17권, 한글말글학회 [2000]
  • 「『무예제보』의 간행과 서지학적 가치」
    옥영정 『서지학연 구』82권, 한국서지학회 [2020]
  • 「《훈민정음》해례본의 ‘예의편’ 구조와 ‘해례편’과의 상 관관계」
    정우영 『국어학』제72집, 국어학회 [2014]
  • 「[하영삼의 한자 키워드로 읽는 동양문화] 옥(玉): 왕(王)이 된 옥(玉)」
    하영삼 『월간중앙』201906호 [2019]
  • 「<순천김씨묘 출토 언간>에 대한 몇 가지 문제」
    조항범 『개 신어문연구』15권, 개신어문학회 [1998]
  • 「16세기 조선의 목활자 인쇄와 1577년 조보 인쇄의 가 치」
    옥영정 『한국출판학연구』46권 3호, 한국출판학회 [2020]
  • 4인,『조선시대 책의 문화사』
    주영하 휴머니스트 [2008]
  • 3인 주해, 홍기문(1946), 『증보정음 발달사』
    이상규 역락 [2016]
  • 2인, 『금강경언해』
    김성주 신구문화사 [200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