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왕릉 병풍석과 난간석 연구 = A Study on the Stone Screens and Stone Railings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

전나나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조선왕릉 병풍석과 난간석 연구 = A Study on the Stone Screens and Stone Railings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난간석
  • 병풍석
  • 십이지
  • 조선왕릉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7 0

0.0%

' 조선왕릉 병풍석과 난간석 연구 = A Study on the Stone Screens and Stone Railings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' 의 참고문헌

  • 純獻貴妃園所儀軌 년 (K2-2341) [1911]
  • 裕康園園所都監儀軌 년 (奎13914) [1904]
  • 興園遷奉謄錄 년 (奎12948) [1908]
  • 穆陵修改儀軌 1609년 (奎13514)
  • 定宗厚陵修改都監儀軌 1667년 (외규027)
  • 孝宗寧陵山陵都監儀軌 1659년 (奎15075)
  • (孝宗大王寧陵)遷陵山陵都監儀軌 1673년 (K2-2321)
  • 明陵山陵都監儀軌 1701년 (외규196)
  • 肅宗明陵山陵都監儀軌 1721년 (외규104)
  • 端懿王后惠陵石物追排都監儀軌 1722년 (외규111)
  • 仁祖長陵遷奉山陵都監儀軌 1732년 (외규139)
  • 英祖元陵山陵都監儀軌 176년 (奎13586)
  • 文孝世子墓所都監儀軌 1786년 (외규213)
  • 莊獻世子顯隆園園所都監儀軌 1789년 (외규220)
  • 健陵山陵都監儀軌 1800년 (奎13640)
  • 正宗大王胎室石欄干造排儀軌 1801년 (奎13967)
  • 康陵改修都監儀軌 1807년 (奎13509)
  • 健陵山陵都監儀軌 1821년 (奎13664)
  • 延慶墓所都監儀軌 1830년 (奎13728)
  • 仁陵山陵都監儀軌 1834년 (奎13664)
  • 綏陵遷奉都監都廳儀軌 1846년 (奎13760)
  • 綏陵遷奉山陵都監儀軌 1855년 (奎13770)
  • 仁陵遷奉山陵都監儀軌 1856년 (奎13706)
  • 景陵山陵都監儀軌 1843년 (奎13809)
  • 綏陵遷奉山陵都監儀軌 1855년 (외규279)
  • 睿陵山陵都監儀軌 1863년 (奎13852)
  • 睿陵山陵都監儀軌 1878년 (奎13873)
  • 洪陵山陵都監儀軌 1895년 (奎13891)
  • 禮葬廳謄錄 1898년 (奎13013)
  • 洪陵石儀重修都監儀軌 년 (奎13895) [1900]
  • 慶運宮重建都監儀軌 년 (奎14328) [1906]
  • 純宗孝皇帝山陵主監儀軌 년 (K2-2339) [1926]
  • 「해치상(獬豸像)의 변천에 관한 연구 - 광화문 앞 해치상의 탄생과 조 성배경을 중심으로」, 서울학연구51
    정성권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[2013]
  • 「통일신라시대 왕릉 앞 석인 연구」, 석오윤용진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
    이재중 논총간행위원회 [1996]
  • 「통일신라시대 사자상의 수용과 전개」, 신라의 사자
    권강미 씨티파트 너 [2006]
  • 「통일신라 (陵)墓碑에 대한 몇 가지 논의」, 목간과 문자9
    주보돈 한 국목간학회 [2012]
  • 「조선후기 정종 후릉(厚陵)의 수개와 그 영향」, 東方學38
    장경희 한 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[2018]
  • 「조선후기 영악전 기능수용에 따른 정자각 평면변화 고찰」, 건 축역사연구65
    신지혜 한국건축역사학회 [2009]
  • 「조선후기 사친추숭과 능원제도」, 조선시대사학보86
    정해득 조선시대사 학회 [2018]
  • 「조선후기 단의빈묘의 봉릉(封陵)과 석물 추배(追排) -1722년 『혜릉석물추배도감의궤』의 분석-」, 동양문화연구21
    황정연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[2015]
  • 「조선후기 국왕의 陵幸 연구」
    이왕직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조선후기 山陵都監의 匠人 연구 -王陵 丁字閣과 石儀物의 제 작과정을 중심으로」, 역사민속학 25호
    장경희 한국역사민속학회 [2007]
  • 「조선초기 왕릉제도의 정비과정」, 조선시대사학보63
    정해득 조선시대사 학회 [2012]
  • 「조선초기 開城 厚陵 건립의 정치사적 의미」
    윤 정 서울학연구68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[2017]
  • 「조선전기 승탑 연구」
    이수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조선왕릉의 상설제도 연구」, 역사문화논총7
    정해득 역사문화연구소 [2012]
  • 「조선왕릉 십이지신상(十二支神像)의 도상(圖像) 원류와 전개과정」, 문화재42-4
    김지연 국립문화재연구소 [2009]
  • 「조선왕릉 봉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일고 – 문헌에 기록된 석 실과 회격의 구조를 중심으로 -」, 문화재45-1
    전나나 국립문화재연구소 [2012]
  • 「조선왕릉 石人의 척도 규범 연구」, 美術史學硏究298
    김이순 한국미 술사학회 [2018]
  • 「조선시대 왕릉의 현상과 특징: 명청대 황릉과의 비교를 중심으로」, 미술사학연구262
    조인수 한국미술사학회 [2009]
  • 「조선시대 왕릉 석인상 연구」
    김은선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조선시대 능비의 건립과 어필비의 등장」, 문화재 42-4
    황정연 국 립문화재연구소 [2009]
  • 「조선시대 觀天臺와 日影臺의 연혁」, 한국문화 51
    정연식 서울대학 교 규장각한국학연구소 [2010]
  • 「조선시대 墓制 연구」, 조선시대사학보69
   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[2014]
  • 「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」, 藏書閣 21
    김문식 한국학중앙 연구원 [2009]
  • 「조선 태조비 神懿王后 齊陵 연구」, 美術史學硏究263
    장경희 한국미 술사학회 [2009]
  • 「조선 태조비 神德王后 貞陵의 조성과 封陵 고찰」, 서강인문논총 46
    황정연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[2016]
  • 「조선 태조 이성계의 4대조 ‘북도팔릉' 연구」, 東方學36
    장경희 한 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[2017]
  • 「조선 초기 禮制 연구와 『國朝五禮儀』의 편찬」, 조선시대사학보 55
    김해영 조선시대사학회 [2010]
  • 「조선 정릉(貞陵) 사각 장명등(四角長明燈) 양식의 원류와 전개 : 사찰 석등과의 비교를 통해」, 문화재43-4
    김지연 국립문화재연구소 [2014]
  • 「조선 전기 왕릉제도의 성립과 石人ᆞ石獸 양식 연구」,
    이정선 미술사 논단 29. 한국미술연구소 [2009]
  • 「조선 전기 왕릉 石人石獸 연구」
    이정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조선 왕실 명기의 변천」, 역사와 현실 103
    전나나 한국역사연구회 [2017]
  • 「조선 왕릉 장명등 연구」
    김민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조선 왕릉 石獸 연구」, 美術史學硏究283 284
    김은선 한국미술 사학회 [2014]
  • 「조선 18세기 조각가 최천약 연구」, 문화재 46-1
    김민규 국립문화 재연구소 [2013]
  • 「제왕의 별 북극오성을 형상화한 무열왕릉」, 역사문화연구제 41집
    정연식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[2012]
  • 「정조 순조연간 관영공사에서 別看役 丁遇泰의 조영활동」,  건축역사연구16-3
    김동욱 한국건축역사학회 [2007]
  • 「장릉과 사릉의 석물 연구 : 추봉과 석물 간소화를 중심으로」,  문화재45-1
    김이순 국립문화재연구소 [2012]
  • 「임진왜란 이후 새로운 능제(陵制)의 도입과 그 영향 -목릉(穆 陵)의 조성과 "동원삼이강릉제"의 출현-」, 인문사회과학연구15-3
    황정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[2014]
  • 「일제시기 고종의 국장(國葬)과 일본 예식」,
    이 욱 종교문화비평34. 한국종교문화연구소 [2018]
  • 「인조 舊 長陵의 위치비정과 석물에 관한 고찰」, 民族文化44
    차문성 한국고전번역원 [2014]
  • 「인식과 재현」, 新羅史學報 28
    임영애 신라사학회 [2013]
  • 「융릉(隆陵)과 건릉(健陵)의 석물조각」, 美術史學報31
    김이순 미술 사학연구회 [2008]
  • 「왕릉건축을 통해 본 박자청(朴子靑)의 김사행(金師幸)건축 계승」, 건축역사연구27
    김버들 한국건축역사학회 [2018]
  • 「영조대 『國朝續五禮儀』편찬과 정치적 성격」
    박수정 한국학중앙연구 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신라하대 왕릉 조각의 완성, 원성왕릉 조각의 제작시기 재검토」, 불교미술사학제14집
    임영애 불교미술사학회 [2012]
  • 「신라 왕릉 조각의 미술사적 조망과 특수성」, 新羅文化 41
    임영애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[2013]
  • 「신라 능원의 의의」, 민족문화논총53
    김용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 구소 [2013]
  • 「세종대왕 초장지(舊 英陵)에 대한 再論」, 정신문화연구 31-2
    안경호 한국학중앙연구원 [2008]
  • 「세종대왕 ‘구 영릉(舊 英陵)' 석물 연구」, 정신문화연구32
    김이순 한국학중앙연구원 [2009]
  • 「서울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」
    김우림 고려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덕수궁 중화전 당가 구조와 오봉병의 원형에 대한 고찰」, 美 術史學 39
    전나나 한국미술사교육학회 [2020]
  • 「단경왕후 溫陵을 통해 본 조선후기 封陵의 역사적 의미」, 민 족문화논총53
    황정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[2013]
  • 「남양주 水鍾寺의 조선시대 舍利塔에 대한 고찰」
    엄기표 미술사학연 구 285 [2015]
  • 「근대 사진으로 본 조선 초기 왕릉의 원형」, 조선시대사학보 69
    전나나 조선시대사학회 [2014]
  • 「국가 전례서를 통해 본 대한예전」, 대한제국 전례와 대한예 전
    임민혁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[2019]
  • 「광통교의 구(舊) 정릉(貞陵) 석물 연구」, 美術史論壇49
    김이순 한 국미술연구소 [2019]
  • 「고종황제의 금곡 홍릉 연구」, 사총64
    장경희 고려대학교 역사연구 소 [2007]
  • 「고려시대 국왕의 장례절차와 특징」, 한국중세사연구29
    김인호 한국 중세사학회 [2007]
  • 「고려․원 관계 초기 원 使臣의 來往과 외교 관계의 변화」, 인문 학연구 제35호
    김윤정 경의대학교 인문학연구원 [2017]
  • 「고려 고분벽화 십이지 도상의 재해석」,
    성 석 미술사학연구297. 한 국미술사학회 [2018]
  • 「고고학으로 본 고려왕릉과 중국왕릉」, 고려왕릉의 조영과 관리 고 려 건국 1100주년 기념 공동학술회의 자료집
    박천수 국립문화재연구소 [2018]
  • 「경회루 연못 출토 청동용과 경복궁 서수상의 상징 연구」, 고 궁문화7
    김민규 국립고궁박물관 [2014]
  • 「경복궁 인수형(鱗獸形) 서수상(瑞獸像)의 제작시기와 별간역(別看役) 연구」, 문화재47-1
    김민규 국립문화재연구소 [2014]
  • 「개성 공민왕릉 석인상 연구」, 강좌 미술사 17권
    임영애 한국미술사 연구소 [2001]
  • 「강화 고려왕릉의 석물 연구」, 문화재 41-1
    한나래 국립문화재연구 소 [2008]
  • 「陵園墓 總說」, 서울 六百年史문화사적편
    최완수 서울특별시 [1987]
  • 「英祖代 儀禮와 行次 그리고 기억」, 조선시대 문화사 (상) - 문물의 정비와 왕실문화 -
    김지영 일지사 [2007]
  • 「洪陵과 裕陵의 석물조각」, 미술사연구21
    김이순 미술사연구회 [2007]
  • 「檜巖寺址의 石造浮屠와 塔碑에 대한 考察」, 문화사학21
    엄기표 한 국문화사학회 [2004]
  • 「朝鮮王陵 石人像 硏究」, 東岳美術史學12
    전나나 동악미술사학회 [2011]
  • 「朝鮮王陵 石人像 硏究」
    전나나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朝鮮王朝王陵 文人石像의 服飾形態에 關한 硏究」
    권용옥 誠信女子大 學校 大學院 家庭學科 석사학위논문 [1980]
  • 「朝鮮後期 陵墓 石人像 硏究」
    김은선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「朝鮮後期 王陵 石人 彫刻 硏究」, 美術史學硏究249
    김은선 한국미술 사학회 [2006]
  • 「朝鮮後期 宮園制의 성립과 변천」, 서울학연구 No. 23
    정경희 서울 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[2004]
  • 「朝鮮前期 王室 發願 梵鐘과 興天寺鐘의 중요성」, 강좌미술사49
    최응천 한국미술사연구소 [2017]
  • 「朝鮮 王陵 長明燈 硏究」, 미술사학연구274
    김민규 한국미술사학회 [2012]
  • 「朝鮮 王陵 十二支神像 硏究」, 동악미술사학 제15호
    김은선 동악미 술사학회 [2013]
  • 「月淨橋 春陽橋의 ‘獅子 石柱’ 이미지와 의미」, 新羅文化  43
    임영애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[2014]
  • 「日本所在 韓國 密敎法具의 현황과 특성 -高麗 金剛鈴을 중심 으로-」
    최응천 新羅文化49 [2017]
  • 「慶州 掛陵人物石像 再考 : 이란系 武人 위구르系文人石像」,  미술자료 50
    권영필 국립중앙박물관 [1992]
  • 「宋 高麗의 外交交涉과 認識, 對應-北宋末 南宋初를 중심으로-」, 중국사연구 39
    이석현 중국사학회 [2005]
  • 「太祖代 貞陵 건설의 정치사적 의미」,
    윤 정 서울학연구37. 서울시 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[2009]
  • 「唐 昭陵과 乾陵 소재 韓人石像 관찰」, 한국고대사연구 47
    박현규 한국고대사학회 [2007]
  • 「丁字閣 建築類型에 관한 比較硏究」,
    이 영 아시아문화연구2. 가천 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[1997]
  • 「『세종실록』의 후릉(厚陵) 산릉제도 기록에 대한 고찰」, 정 신문화연구36
    김이순 한국학중앙연구원 [2013]
  • 「‘서역인’인가 ‘서역인 이미지’인가-통일신라미술속의 서 역인식-」, 미술사학연구236호
    임영애 한국미술사학회 [2002]
  • 「8, 9세기 '君子國'에 온 唐나라 使節」, 신라문화25
    권덕영 동국대학 교 신라문화연구소 [2005]
  • 「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불교적 내세관」
    전호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89]
  • 「19~20세기 궁궐 정전의 용향로에 관한 고찰」, 古宮文化 13
    전나나 국립고궁박물관 [2020]
  • 「18-19세기 함경도 왕실사적의 시각화 양상과 의의」
    박정혜 정신문 화연구 35-1 [2012]
  • 「17세기 인․숙종기의 왕릉조각」, 강좌미술사31
    김은선 한국미술사연 구소 [2008]
  • 「1695년 太宗 獻陵 神道碑의 再建 연구」, 미술자료94
    김규훈 국립 중앙박물관 [2018]
  • 林下筆記
  • 列聖誌狀通紀
  • 한국 사회의 유교적 변환, 아카넷 마이크 파커 피어슨 저, 이희준 역,
    마르티나 도이힐러 이훈상 죽음의 고고학. 사회평론 [2009]
  • 찬란하고 섬세한 아름다움 금속공예
    최응천 국립중앙박물관 [2007]
  • 중국길상예술의 사유와 상징
    이인경 천친젠 민속원 [2016]
  • 조선중기 예학사상사
    고영진 한길사 [1995]
  • 조선왕실의 왕릉 조성
    신병주 세창출판사 [2017]
  • 조선왕실 원의 석물
    김이순 한국미술연구소 [2016]
  • 조선왕릉 –조선을 다스린 국왕과 왕후의 사후 보처-
    장경희 솔과학 [2018]
  • 조선시대 석물조각사Ⅱ
  • 조선시대 석물조각사Ⅰ
  • 조선시대 사대부 무덤 이야기
    김우림 민속원 [2016]
  • 조선 왕릉제도 연구
    정해득 신구문화사 [2013]
  • 정조의 제왕학
    김문식 태학사 [2007]
  • 옛무덤의 사회사
    장철수 웅진출판주식회사 [1995]
  • 신라왕릉연구
    이근직 학연문화사 [2012]
  • 신동삼 컬렉션: 독일인이 본 전후 복구기의 북한
    신동삼 눈빛 [2013]
  • 성 베네딕도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서울사진
  • 서울 六百年史문화사적편
  • 동아시아의 陵
  • 동독 도편수 레셀의 북한 추억
    백승종 효형출판 [2000]
  • 대한제국 황제릉
    김이순 소와당 [2010]
  • 국가 형성의 고고학
    한국고고학회 사회평론 [2008]
  • 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정밀실측조사보고서
  • 고려왕릉의 조영과 관리
  • 고려왕릉연구
    김인철 사회과학출판사 [2010]
  • 고대 한국인의 생사관
    나희라 지식산업사 [2008]
  • 경회루 실측조사 및 수리공사보고서
  • 경천사지 십층석탑Ⅲ
    국립문화재연구소 부재별 상세자료 [2006]
  • 경복궁 변천사상
  • 高麗史
  • 驪州世宗大王陵域淨化工事竣工報告書
  • 雁鴨池 發掘調査報告書
  • 陵園墓遷奉案
  • 芝峯類說
  • 經國大典
  • 端懿嬪 墓所都監儀軌
    1718년 (외규094)
  • 瑞石集
  • 燕行錄選集
  • 東還封事
  • 東國通鑑,
  • 朝鮮王朝實錄,
  • 朝鮮時代 陵墓碑 硏究
    김민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春官通考
  • 日省錄
  • 新增東國輿地勝覽
  • 搜神後記
  • 承政院日記
  • 弘齋全書,
  • 小川敬吉調査文化財資料
  • 大明集禮
  • 國朝喪禮補編
  • 國朝五禮儀
  • 呂氏春秋
  • 史記
  • 北道陵殿誌
  • 仁祖長陵遷陵都監儀軌三
    1732년 (외규142)
  • 三國史記
  • 탕군 역, 중국전통건축, 중국 전통건축의 역사와 지혜를 담다
    팡용 민속원 [2019]
  • 콜린 로넌 축약, 김영식, 김제란 역, 중국의 과학과 문명: 사상적 배경
    조셉 니덤 까치 [1988]
  •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
    국립문화재연구소 Ⅰ-Ⅸ, 2009-2015
  • 이정은 역, 중국고고학 : 수당
    제동방 사회평론 [2012]
  • 이은봉 역, 종교형태론
    엘리아데 한길사 [1996]
  • 역, 순간과 영원: 중국고대의 미술과 건축
    김병준 우훙 아카넷 [2013]
  • 경복궁 석조조형물 학술연구 및 보존관리방안 연구
  • 강화 고려왕릉 –가릉․곤릉․능내비석실분
  • 가보고 싶은 왕릉과 그 기록 : 풀어쓴 후릉수개도감 의궤
  • 韓國精神文化硏究院, 藏書閣所藏拓本資料集 Ⅱ, 朝鮮王室(太祖~顯宗)篇, 2004
  • 陈朝云, 南北宋陵, 中国青年出版社, 2004
  • 葛承雍, 「絲路古道與唐代胡俑」, 絲路胡人外來風. 2008.
  • 羅喆文, 中國歷代の皇帝陵, 徳間書店, 1989
  • 浙江省文物考古研究所, 浙江宋墓, 科学出版社, 2009
  • 河南省文物考古研究所 编, 北宋皇陵, 中州古籍出版社
  • 森美術館, 中國☆美の十字路展, 2005
  • 来村多加史, 唐代皇帝陵の研究, 学生社, 2001
  • 朝鮮總督府, 大正五年度古蹟調査報告, 1916
  • 朝日新聞社, 中國陶俑の美, 1984
  • 小泉顯夫, 朝鮮古代遺跡の遍歷 : 發掘調査三十年の回想, 大興出版, 1986
  • 宋大川, 清代园寝制度研究上, 文物出版社, 2007
  • 姜友邦, 「新羅十二支像의 分析과 解釋 - 新羅十二支像의 Metamorphose」, 佛敎美術 Vol. 1
    동국대학교 박물관 [1973]
  • 刘向阳, 唐代帝王陵墓, 三秦出版社, 2012
  • 刘临安 等, 中国建筑艺术全集6, 中国建筑工业出版社, 2000
  • 中國建築藝術全集編輯委員會 編, 中國建築藝術全集7 明代陵墓建築, 中 国建筑工业出版社出版, 2000
  • 『경복궁 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』와 경복궁의 여러 상징 연구
    김민규 고궁문화11호, 국립고궁박물관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