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도집중수행 프로그램 개발 : 관음기도를 중심으로

천윤성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기도집중수행 프로그램 개발 : 관음기도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관세음보살
  • 관음기도
  • 관음신앙
  • 관음신행
  • 기도집중수행 프로그램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53 0

0.0%

' 기도집중수행 프로그램 개발 : 관음기도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􋺷金光明最勝王經􋺸 􋺷大正藏􋺸 16.
  • 􋺷한국비구니수행담록􋺸의 관음신앙 가피사례 연구 , 􋺷동아 시아불교문화􋺸 44
    황상준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[2020]
  • 􋺷천태지의의 􋺷법화문구􋺸에 의한 묘법연화경􋺸
    김윤수 광주: 한산 암 [2009]
  • 􋺷천수경의 비밀􋺸
    김호성 서울: 민족사 [2011]
  • 􋺷천수경과 관음신앙􋺸
    김호성 서울: 동국대학교 출판부 [2006]
  • 􋺷연구자를 위한 최신심리척도 북􋺸
  • 􋺷신도의 기본교육 및 수행실태에 대한 의 식조사􋺸
 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서울: 조계종 출판사 [2003]
  • 􋺷세계의 관음신앙􋺸
    한정섭 서울: 불교통신교육원 [2006]
  • 􋺷불교대사전􋺸 (下)
    김길상 서울: 홍법원 [2009]
  • 􋺷불교대사전􋺸 (上)
    김길상 서울: 홍법원 [2009]
  • 􋺷민중 엣센스 국어사전􋺸
    민중서림 편집국 파주: 민중서림 [2011]
  • 􋺷무비스님의 반야심경􋺸
    무비스님 서울: 조계종출판사 [2016]
  • 􋺷마음공부와 선 : 관음수행법􋺸
    김성갑 서울: 운주사 [2013]
  • 􋺷동아시아 불교교류사 연구 : 남종선의 도입과 관음설화의 전개􋺸
    조영록 서울: 동국대학교 출판부 [2012]
  • 􋺷관음신앙・관음기도법􋺸
    김현준 서울: 효림 [2015]
  • 􋺷관무량수경􋺸의 16관법과 염불선 , 􋺷淨土學硏究􋺸 25
    정광균 한국 정토학회 [2015]
  • 􋺷高僧法顯傳􋺸 􋺷大藏經􋺸 51.
  • 􋺷解深密經􋺸 􋺷大正藏􋺸 16.
  • 􋺷觀音慈林集􋺸 􋺷卍續藏經􋺸 1.
  • 􋺷觀世音菩薩救苦經􋺸 􋺷卍續藏經􋺸 1.
  • 􋺷觀世音菩薩授記經􋺸 􋺷大正藏􋺸 12.
  • 􋺷觀世音菩薩往生淨土本緣經􋺸 􋺷卍新續藏大􋺸 1.
  • 􋺷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􋺸 􋺷大正藏􋺸 14.
  • 􋺷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􋺸 􋺷大藏經􋺸 8.
  • 􋺷妙法蓮華經􋺸 􋺷大藏經􋺸 9.
  • 􋺷大智度論􋺸 􋺷大正藏􋺸 25.
  • 􋺷大唐西域記􋺸 􋺷大藏經􋺸 51.
  • 􋺷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􋺸 􋺷大正藏􋺸 19.
  • 􋺷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礙大悲心陀羅尼經􋺸 􋺷大正藏􋺸 20.
  • 􋺷千手千眼觀世音菩薩姥陀羅尼身經􋺸 􋺷大正藏􋺸 20.
  • 􋺷佛說觀無量壽經􋺸 􋺷大正藏􋺸 12.
  • 􋺷佛說觀世音三昧經􋺸 􋺷國家善本􋺸, 8817.
  • 􋺷佛說成具光明定意經􋺸 􋺷大正藏􋺸 15.
  • 􋺷佛說十一面觀世音神呪經􋺸 􋺷大正藏􋺸 20.
  • 􋺷不空羂索呪心經􋺸 􋺷大正藏􋺸 20.
  • 현행 􋺷천수경􋺸에 나타난 신앙형태와 참회사상 , 􋺷한국불 교학􋺸 85
    윤종갑 한국불교학회 [2018]
  • 현대 한국불교의 관음신행에 관한 연구 , 동국대학교 대 학원
    김혜범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,
    구재선 서은국 이동귀 정태연 최인철 􋺷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􋺸. 한국심리학회 [2010]
  •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의 개발 , 􋺷한국 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􋺸 15(4)
    김동원 김정희 이경열 한국심리학회 [2003]
  • 한국의 관음신앙 연구 , 韓國學中央硏究院韓國學大學院
    이효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한국불교의 신행개념에 관한 연구 , 􋺷韓國佛敎學􋺸 50
    유호선 한 국불교학회 [2008]
  • 한국불교에서 관세음신앙 성립의 특수성 고찰 , 􋺷佛敎硏 究􋺸 30
    이종섭 한국불교연구원 [2009]
  • 한국(韓國)의 관음신앙(觀音信仰)에 관한 연구
    송법연 중앙승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한국 현대불교의 현장포교를 위한 모색 , 􋺷동아시아불교 문화􋺸 36
    김혜범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[2018]
  • 한국 관음신앙과 천수경 – 천수경의 이해 실태와 분석을 중심으로 ,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
    박기연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통일신라 관음보살상 연구 시론 , 􋺷人文論叢􋺸 63
    강희정 서울대 학교 인문학연구원 [2010]
  • 초기불교의 사띠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 - 마 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, 􋺷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 리치료􋺸 22(1)
    박성현 정준영 한국심리학회 [2010]
  • 청정도론􋺸 1
    대림스님 붓다고사 울산: 초기불전연구원 [2005]
  •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의 통합모형 , 한국청소년개발원 편, 􋺷청소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론􋺸
    김진화 서울: 교육과학사 [2005]
  •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의 이해 , 한국청소년개발원 편, 􋺷청 소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론􋺸
    김진화 서울: 교육과학사 [2005]
  •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, 한국청소년상담원 펀, 􋺷청소년 집단상담의 운영􋺸
    김창대 서울: 한국청소년상담원 [2002]
  • 청소년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간화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, 􋺷한국불교학􋺸 90
    박문기 천윤성 한국불교학회 [2019]
  • 천태의 관음(觀音) 염불수행 감응체계와 지관화 , 􋺷宗敎 硏究􋺸, 63
    이기운 한국종교학회 [2011]
  • 진언수행의 심신치유 효과에 관한 연구 – 진언수행 사례 를 중심으로 , 동국대학교 대학원
    정혜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진로진학상담교사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, 삶의 의미, 삶 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, 􋺷한국교원교육연구􋺸 34(1)
    권대훈 한국교원교 육학회 [2017]
  • 정신역동적 관점에서의 영성 , 􋺷문화와 융합􋺸 41(2)
    박성현 한국 문화융합학회 [2019]
  • 재가자의 禪수행 프로그램 고찰 , 􋺷禪學􋺸 13
    황수경 한국선학 회 [2006]
  • 자기-초점적 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서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 , 􋺷한국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􋺸 20(4)
    박성현 성승연 한국심리학회 [2008]
  • 육자대명왕진언・천수다라니 수행과 깨달음 - 용성선사의 진언지송을 중심으로 , 􋺷大覺思想􋺸 12
    김영덕 대각사상연구원 [2009]
  • 영성과 평화 - 대승불교의 관점에서
    Rana, R. K. 􋺷원불교사상 과 종교문화􋺸 34,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. [2006]
  • 영성 교육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종단연구 , 􋺷경 영컨설팅연구􋺸 17(3)
    임명성 정태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[2017]
  • 염불이 사상체질에 따라 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, 􋺷淨土學硏究􋺸 21
  • 염불신앙을 통한 현대재가불자의 가피사례 연구: 관음신 앙을 중심으로, 􋺷한국불교학􋺸 86
    황상준 한국불교학회 [2018]
  • 염불 수행과 벤슨의 이완반응 , 􋺷淨土學硏究􋺸 28
    권민화 한국정 토학회 [2017]
  • 염불 공효(功效)의 실천적 의미 연구 - 운제산 자장암 사 리분신(舍利分身) 영응(靈應) 사례를 중심으로 ,
    배금란 􋺷한국불교학􋺸 90. 한국불교학회 [2019]
  • 신라의 관음사상 , 􋺷佛敎學報􋺸 13
    김영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 구원 [1976]
  • 신라 관음신앙 연구
    배금란 서울대학교 대학원.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소리파동의 심신치유에 관한 고찰 - 만트라(Mantra) 명 상을 중심으로 , 동국대학교 대학원
    이경순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상좌부불교의 염불수행 연구 , 􋺷한국불교학􋺸 90
    임인영 한국불교 학회 [2019]
  • 삼국・고려시대의 관음의 신행과 그 감응양상 , 􋺷천태학 연구􋺸 13
    이기운 천태불교문화연구원 [2010]
  • 사띠 논쟁 , 􋺷불교평론􋺸 62
    정준영 서울: 불교평론사 [2015]
  • 불교의 영성에 대한 두 가지 관점 - 신적인 것으로서의 영성과 궁극적 가치로서의 영성 , 􋺷동서철학연구􋺸 96
    윤희조 한국동서철 학회 [2020]
  • 불교의 수행과 영성개발 - 간화선을 중심으로
    황수경 􋺷종교교 육학연구􋺸 28, 한국종교교육학회 [2008]
  • 불교 수행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과 개선 방향 , 􋺷禪學􋺸 43
    조기룡 한국선학회 [2016]
  • 불교 명상을 통한 심신치유의 뇌과학적 이해 , 􋺷 佛敎硏究􋺸 41
    김종욱 안지영 韓國佛敎硏究院 [2014]
  • 변화하는 시대의 상담모형 , 􋺷大學生活硏究􋺸 16
    이형득 漢陽大學 校學生生活相談硏究所 [1998]
  • 법보신문
    http://www.beopbo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4604.
  • 백제의 관음사상 , 􋺷馬韓, 百濟文化韓􋺸 3
    김영태 원광대학교 마 한백제문화연구소 [1979]
  • 백률사 관음보살의 도리천왕래설화의 형성 배경 연구 , 􋺷 신라사학보􋺸 42
    여성구 신라사학회 [2018]
  • 명상프로그램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, 대전대학교 대 학원
    류현민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명상의 부작용과 불교적 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 , 􋺷佛敎 學報􋺸 68
    정준영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[2014]
  • 마음챙김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에 관한 연구 , 동국대학 교 대학원
    박미옥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마음챙김 척도 개발 , 가톨릭대학교 대학원
    박성현 박사학위논 문 [2006]
  •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 -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, 􋺷한국 청소년연구􋺸 25(4)
    임정하 조은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[2014]
  • 대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 개발
    박경희 경북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2009]
  • 낙산사 관음신앙의 설화적 표출 , 􋺷淨土學硏究􋺸 17
    장정룡 한국 정토학회 [2012]
  •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
    https://stdict.korean.go.kr/search/searchVie w.do?word_no=480228&searchKeywordTo=3.
  • 국내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현황 및 효과적인 프로그 램 개발 관련요인 , 􋺷상담학연구􋺸 4(1)
    이숙영 한국상담학회 [2003]
  • 관음신앙의 유형에 관한 고찰 , 􋺷천태학연구􋺸 7
    김호성 천태불교 문화연구원 [2005]
  • 관음신앙의 사회적 공공성 연구 , 􋺷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 지􋺸 22
    김용환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[2016]
  • 관음신앙의 구조(構造)와 신행체계(體系) , 􋺷동아시아불교 문화􋺸 31
    이기운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[2017]
  • 관음신앙을 중심으로 본 근현대 한국 고승의 가피사례 , 􋺷한국불교학􋺸 91
    황상준 한국불교학회 [2019]
  • 관음설화의 상상력과 소설발생의 문제 , 􋺷白鹿語文􋺸 16
    오대혁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연구회 [2000]
  • 관음사상과 공유사회의 만남 , 􋺷불교문예연구􋺸 9
    박재현 동방문 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[2017]
  • 관음보살신앙(觀音菩薩信仰)의 설화화양상(說話化樣相)과 의미연구 , 􋺷한국언어문화􋺸 30
    김용덕 한국언어문화학회 [2006]
  • 관세음보살 사상에 관한 연구 , 􋺷淨土學硏究􋺸 17
    한태식 한국정 토학회 [2012]
  • 고려 강도(江都)의 문수신앙과 관음신앙 , 􋺷한국중세사연 구􋺸 23
    김창현 한국중세사학회 [2007]
  • 고대 동아시아 문화와 한반도 교류: 관음의 바닷길을 중 심으로 ,
    송화섭 􋺷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􋺸 9. 중앙대 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[2010]
  • 개정판 집착척도 개발 및 타당화 , 가톨릭대학교 대학원
    김은희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개인성장을 위한 사띠 수행 프로그램이 마음챙김기술, 영 성, 자기-자비에 미치는 영향 , 창원대학교 대학원
    한미영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감정노동자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,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
    박성희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高麗時代觀音信仰과 佛畫의 圖像硏究, 연세대학교 대 학원
    진명화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韓國西海岸觀音信仰의 變遷樣相硏究, 위덕대학교 대 학원
    이동현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觀世音菩薩信行硏究, 동국대학교 대학원
    이종섭 박사학위논 문 [2009]
  • 義湘과 元曉의 관음신앙 비교 , 􋺷한국고대사연구􋺸 60
    박미선 한 국고대사학회 [2010]
  • 念佛三昧의 淵源과 實踐行硏究, 동국대학교 대학원
    김동림 박 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・미산, 자애명상의 심리적 과정 및 효과에 관한 혼 합연구 - 자애미소명상수행집단을 대상으로 , 􋺷한국심리학회지: 상 담 및 심리치료􋺸 28(2)
    박성현 성승연 한국심리학회 [2016]
  • 『매일경제』
    https://www.mk.co.kr/news/it/view/2021/05/509043/.
  • The miracle of mindfulness, 이현주 역, 􋺷거기 서 그것과 하나 되시게􋺸
    Thich Nhat Hanh 서울: 나무심는사람 [2002]
  • Shafranske, Spiritually Oriented Psychotherapy, 최영민・조아라・김민숙 공역, 􋺷영성지향 심 리치료􋺸
    Edward P. Len Sperry 서울: 하나의학사 [2008]
  • SQ-Spiritual Intelligence, the Ultimate Intelligence, 조혜정 역(2001), 􋺷SQ-영성지능􋺸
    Marshall, I. Zohar, D. 서울: 룩 스 [2000]
  • Research Design(2nd ed.), 조흥 식・정선욱・김진숙・권지성 역, 􋺷질적 연구방법론 – 다섯 가 지 접근􋺸
    Creswell, J. W. Qualitative Inquiry 서울: 학지사 [2011]
  • Mindfulness in plain English, 손혜숙 역(2007), 􋺷 가장 손쉬운 깨달음의 길, 위빠사나 명상􋺸
    Gunaratana, H. 파주: 아름드리미디어 [2002]
  •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(3rd ed.), 박해준・이 승연 역, 􋺷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􋺸
    Seidman, I. 서울: 학지사 [2014]
  • <간화선(看話禪)입문 프로그램>의 수행과제 , 􋺷禪學􋺸 19
    황수경 한국선학회 [2008]
  • <간화선 집중수행> 프로그램이 영성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 는 효과 ,
    성호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. 석사학위논문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