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세기 전반 유학승의 해외체험과 시대인식 연구 : 기행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Monks Studying Abroa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

이성수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20세기 전반 유학승의 해외체험과 시대인식 연구 : 기행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Monks Studying Abroa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교단
  • 근대
  • 독립
  • 문명
  • 불교
  • 승려
  • 유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597 0

0.0%

' 20세기 전반 유학승의 해외체험과 시대인식 연구 : 기행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Monks Studying Abroa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' 의 참고문헌

  • 『한국근세불교백년사편년(韓國近世佛敎百年史編年)』
    [1999]
  • 『조음』『축산보림』『평범』『해동불보』『홍법우』
  • 『조선불교유신론(朝鮮佛敎維新論)』
    한용운, 김창수 [1913]
  • 『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명부(朝鮮佛敎東京留學生會名簿)』
    [1936]
  • 『조선개교오십년지((朝鮮開敎五十年誌)』
    [1922]
  • 『일광』『조선불교계』『조선불교월보』『조선불교총보』『조선일보』
  • 『옥천사 교적부(玉泉寺敎籍簿)』』
    [1948]
  • 『사립 명정학교 학적부(私立明正學校學籍簿)』
  • 『불청운동』『별건곤』『선원』『신불교』『신한민보』『우라키』
  • 『룸비니』『불교』『불교시보』『불교신문』『불교진흥회월보』
  • 『뚜껑 없는 조선 역사책』
    박설산, 도서출판 삼장 [1994]
  • 『동경제국대학졸업생씨명록(東京帝國大學氏名錄)』, 1950)』
    [1939]
  • 『금정중학교백년사(金井中學校百年史)』(1906~1996)』
  • 『개벽』『경북불교』『금강산』『금강저』『동광』『동아일보』
  • 「현대 한국불교의 현황과 전망」,
    차차석 『불교연구』29. 한국불교연 구원 [2008]
  • 「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전법전략과 과제」
    서재영 『불교학보』 91,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[2020]
  • 「한국불교의 근대와 탈근대- '주체적 근대' 확립의 과제를 중 심으로」
    박병기 『동아시아불교문화』40,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
  • 「한국근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교단개혁- 조선불교유신론을 중심으로」
    서재영 『한국선학』24, 한국선학회 [2009]
  • 「한국, 일본, 만주의 철도현황 비교연구 1920-년대 중반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」
    이용상 정병현 『한국철도학회논문집』 [2015]
  • 「한국 근대불교잡지에 나타난 사회인식의 근대적 전환-수양론 (修養論)을 중심으로-」
    이기운 『한국선학』24 , 한국선학회 [2009]
  • 「한국 근대불교의 개혁론과 교육개혁」
    김귀성 『원불교학』9, 한국 원불교학회 [2003]
  • 「한국 근대불교와 문학의 상관성」
    고재석 『민족문화연구』45, 고려 대 민족문화연구원 [2006]
  • 「한국 근대 불교계의 민족인식」, 「불교학연구」
    김순석 21, 불교학연구 회 [2008]
  • 「중앙학교 박민오의 독립운동」
    황인규 『대각사상』30, 대각사상연구 원 [2018]
  • 「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종교계의 대응: 일제의 불교정책과 본사 주지의 권한 연구」
    김순석 『일본학』31, 동국대 일본학연구 소 [2010]
  • 「조선인의 만주 이주와 일본의 식민지 지배 구조 ― 만주국 건 국 이전을 중심으로」
    김영숙 『사림(성대사림)』66 ,수선사학회 [2018]
  • 「재일 한국불교유학생들의 활동」
    조아담 『불교학보』48, 동국대 불 교문화연구원 [2008]
  • 「일제의 간도 한인 사회와 불교」,
    차차석 『보조사상』33. 보조사상연 구원 [2010]
  • 「일제시대 불교계 인물들에 대한 연구 성과와 동향 그리고 앞 으로의 과제 : 불교 사상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」
    이덕진 『선문화 연구』1, 한국불교선리연구원 [2006]
  • 「일제시대 불교 유학생의 동향 -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」
    이경순 『승가교육』2,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[1998]
  • 「일제강점기 재일 불교유학생들의 귀국 이후 동향 - 불교연구 자를 중심으로」
    고영섭 『한국불교학』73, 한국불교학회 [2015]
  • 「일제강점기 잡지 『佛敎』의 간행과 그 성격」
    김성연 『선문화연 구』5, 한국불교선리연구원 [2008]
  • 「이영재의 생애와 <한국불교혁신론>」
    김광식 『한국독립운동사연 구』9,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[1995]
  • 「이영재의 불교혁신사상 연구」
    김경집 『한국불교학』20, 한국불교 학회 [1995]
  • 「식민지 한국 재일불교유학생의 동향: ‘한국불교단’ 포교유학생 의 “친일”양상을 중심으로」
    제점숙 『아태연구』24, 경희대국제지역 연구원 [2017]
  • 「승려의 입성금지 해제와 근대불교의 전개」
    서재영 『불교학보』45,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[2006]
  • 「선사(禪師)로서의 만해(萬海)의 행적과 선사상(禪思想)」
    서재영 『한 국선학』4, 한국선학회 [2004]
  • 「석전과 한암, 한국불교의 시대정신을 말하다: 영호(石顚) 정호 (漢永)와 중앙불교전문학교-한국의 "윌리엄스 칼리지" 혹은 "엠 허스트 칼리지"-」
    고영섭 『한국불교학』70, 한국불교학회 [2014]
  • 「석전(石顚) 박한영(朴漢永)의 저술 성향과 근대불교학적 의 의」
    김상일 『불교학보』46,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[2007]
  • 「석전(石顚) 박한영(朴漢永)의 불교적 문학관」
    김상일 『불교학보』 56,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[2010]
  • 「불교계의 해인-마산대학(1946~1967) 경영」
    고영섭 『한국선학』22 , 한국선학회 [2009]
  • 「불교계 인물들의 항일독립운동」
    김창수 『계간다보』,대한불교진흥원 [1993]
  • 「박노영의 <중국인의 기회> : 이민 자서전의 가능성과 한계」
    김욱동 『외국문학연구』32, 한국외국어대 [2008]
  • 「무호(無號) 백준(白峻)(성욱(性郁)의 학문과 사상」
    고영섭 『한국불 교사연구』14, 한국불교사연구소 [2018]
  • 「김성숙의 불교사상과 그 變容」,
    차차석 『대각사상』16. 대각사상연구 원 [2011]
  • 「김법린(金法麟)과 한국 근대불교」
    김상현 『한국불교학』53, 한국불 교학회 [2009]
  • 「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」
    김용태 『한국사상과 문 화』54, 한국사상문화학회 [2010]
  • 「근대기 불교계의30본산(本山)교육체제 정비와 인재양성-유점 사 동국경원(楡岾寺東國經院)을 중심으로-」
    이기운 『한국선학』20, 한국선학회 [2008]
  • 「근대(近代) 승니도성출입(僧尼都城出入)의 해금(解禁)과 그 추 이(推移)」
    김경집 『한국불교학』24, 한국불교학회 [1998]
  • 「근대 한국불교잡지에서의 해외 논문 번역-1910년대 초를 중심으로-」,
    사토 아츠시 『동국사학』60. 동국역사문화연구소(구 동국사 학회) [2016]
  • 「근대 일본 불교계의 尊王反邪的國粹主義」
    이종수 『불교학연구』 , 불교학연구회 [2008]
  • 「근대 불교지성과 불교잡지: 석전 박한영과 만해 한용운을 중심 으로」
    김상일 『동악어문학』52, 동악어문학회 [2009]
  • 「근대 불교잡지의 간행과 불교대중화」
    김기종 『한민족문화연구』, 한민족문화학회 [2008]
  • 「근대 불교잡지 소재 강담(講談) 문학의 의의」,
    박상란 『선문화연 구』9. 한국불교선리연구원 [2010]
  • 「근대 불교의 대처식육(帶妻食肉) 문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」
    박재현 『철학』93, 한국철학회 [2007]
  • 「근대 불교시가의 전환기적 양상과 의미 - 『조선불교월보(朝 鮮佛敎月報)』(1912- 1913.8.)를 중심으로-」
    김종진 『한민족문화 연구』22, 한민족문화학회 [2007]
  • 「근대 대중불교운동의 이념과 전개-권상로,백용성,김태흡의 문 학작품을 중심으로-」
    김기종 『한민족문화연구』27, 한민족문화학 회 [2009]
  • 「石顚朴漢永의 기행시 문학의 규모와 紀實의 시세계」
    김상일 『동악 어문학』65, 동악어문학회 [2015]
  • 「朝鮮佛敎團硏究(1920-1930)」
    김순석 『한국독립운동사연구』9, 독 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[1995]
  • 「天竺求法僧의 行蹟과 思想硏究」
    계미향 『한국불교학』75, (사)한국 불교학회 [2015]
  • 「『불교』지 문학 지면의 연대기적 고찰 」
    김종진 『한국문학연구』 51,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[2016]
  • 「1930년대 일제의 조선인 만주 이주 정책」
    김기훈 『전주사학』6,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, 205-213면 [1998]
  • 「1930년대 불교 지 문학장의 구성과 문학적 실현 양상-편집인 과 직원 기자를 중심으로-」
    김종진 『불교학연구』48, 불교학연구 회 [2016]
  • 「1920년대 재일 불교유학생 단체 연구」
    김광식 『한국 근대불교의 현 실인식』, 민족사, [1998]
  • 「1920년대 『불교』지 문학장 형성의 주체와 동력: 동력의 중 심,」
    김종진 『동악어문학』64, 동악어문학회, 301-330면 [2015]
  • 「1920년대 <불교>지에 나타난 불교유학생의 문학 활동,」
    김종진 『불 교연구』 [2015]
  • 「1920∼1940년대, 일본인의 조선불교 부흥운동과 그 양상- 나카 무라 겐타로(中村健太郞)의 『조선생활(朝鮮生活)50년』을 중심 으로-」
    강문선 『한국사상과 문화』85, 한국사상문화학회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