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모델 개발 : 카본프리아일랜드를 중심으로 =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Model for Low Carbon Tourism Destinations: Focused on Carbon-Free Island, Jeju

서광용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모델 개발 : 카본프리아일랜드를 중심으로 =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Model for Low Carbon Tourism Destinations: Focused on Carbon-Free Island, Jeju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공익사업
  • 관광목적지
  • 저탄소
  • 카본프리아일랜드
  • 환경경영
  • 환경경영모델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285 0

0.0%

' 저탄소 관광목적지 환경경영 모델 개발 : 카본프리아일랜드를 중심으로 =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Model for Low Carbon Tourism Destinations: Focused on Carbon-Free Island, Jeju' 의 참고문헌

  • 환경주의자가 알아야 할 자본주의의 모든 것. 황정규역
    존 벨라미 포스터 프레드 맥도프 서울: 도서출판 삼화 [2012]
  • 환경보건경영시스템
    박두용 이병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[2017]
  • 환경경영정보포털
    https://www.gmi.go.kr
  • 환경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
    김강 회계와정책연구, 14(2). pp.227-251 [2009]
  • 환경경영의 이해
    이병욱 서울: 에코리브르 [2015]
  •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 제고를 위한 환경측면 파악방법 연구
    김회배 이상용 정유심 품질 혁신, 1(1). pp.66-78 [2000]
  • 환경경영시스템(EMS) 표준과 high level structure
    이보삼 환경경영연구, 11. pp.59-71 [2019]
  • 환경경영시스템 인증획득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- iso 14001 도입을 중심으로
    김장환 이윤상 장지인 회계정보연구, 23(4). pp.1-24 [2005]
  • 환경경영-새로운 경영패러다임.
    김종대 [2008]
  • 환경경영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 증적 연구
    유왕진 이석재 이철규 대한경영학회지, 26(6). pp.1399-1419 [2013]
  • 호텔산업 경쟁력 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. 국내박사학위논문
    봉미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[2017]
  • 호텔기업의 환경경영에 관한 인식과 실행 및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
    김미경 이인재 관광경영 연구, 17(2). pp21-42 [2013]
  • 호텔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환경경영 영향요인 분석 -종사원이 인식하는 환경경영 실행정도를 중심으로
    김미경 김보경 관광연구, 28(2). pp.245-267 [2013]
  • 항공기 연비는 어떻게 계산할까...비행기도 ‘친환경’시대
    그린포스트코리아 기사 [2016]
  • 한국사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녹색전환 정책
    이상헌 공간과 사회, 71(0). pp.79-117 [2020]
  • 파리 기후총회서 제주도 ‘탄소없는섬·그린빅뱅’ 소개
    연합뉴스 기사 [2015]
  • 카본 프리 아일랜드 활용 외국인관광객 유치
    제주관광공사 보도자료 [2018]
  • 친환경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관광업계 인식 조사
    강미희 김현 이원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지, 13(6). pp.49-62 [2010]
  • 친환경 생태도시조성을 위한 도시정책기준 선정 연구
    좌중언 도시정책연구, 9(3). pp.183-206 [2018]
  • 지자체 지속가능발전 전략수립 및 SDGs 반 영방안
    강선우 김현노 안소은 이정석 정행운 홍한움 기본연구보고서, pp.1-406 [2019]
  •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주도시정책 평가연구.
    이경훈 [2019]
  • 지속가능한 관광 측정평가 연구–제주도 사례를 중심으로
    서용건 최광웅 지역사회연구, 27(1). pp.107-121 [2019]
  • 지속가능발전법
  • 지구온난화 1.5℃의 영향과 관련 온실가스 배출 경로에 대한 IPCC 특별보고서 요약
  •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. 노정태역
    마이클 셰린버거 서울: 부키(주) [2021]
  • 제주특별자치도 사회조사.
    제주특별자치도 [2020]
  • 제주특별자치도 방문관광객의 저탄소 관광동기 분석을 통한 녹색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
    주현식 법과정책, 20(2). pp.455-483 [2014]
  • 제주특별자치도 2019년도 성과평가.
    국무조정실 [2020]
  • 제주지역 기후변화 대응계획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정책적 제언
    김병무 제주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청구논문 [2018]
  • 제주도민의 관광인식에 대한 보고서.
    제주관광공사 [2020]
  • 제주관광 질적관광 기본계획.
    제주특별자치도 [2016]
  • 제주관광 질적 성장 지표 관리방안
    신동일 제주연구원 [2017]
  • 제주 탄소제로섬 추진전략 연구. 수시연구보고서
    이병국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[2016]
  • 제주 생태관광 과정의 탄소 배출량 추정
    유소민 이우균 이원아 임철희 한국기후변화학회 지, 10(2). pp.79-87 [2019]
  • 제주 방문객 통행실태분석
    손상훈 제주연구원 [2018]
  • 전문가 인터뷰와 질적 내용분석 :재구성 연구 방법론
    요헨 글래저 서울: 커뮤니케이션북스 [2012]
  • 저탄소 생태관광지표 개발 및 평가. 기초연구보고서
    박창석 배민기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[2009]
  • 저탄소 생태관광지표 개발 및 평가.
  •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
  • 저탄소 녹색관광자원 개발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
  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the 나은세상 [2009]
  • 저탄소 녹색관광의 개념 및 의의- 근거이론 방법론을 중심으로
    장유현 관광연구논총, 30(2). pp.3-31 [2018]
  • 저탄소 녹색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
    배민기 환경정책, 18(3). pp.43-71 [2010]
  • 저탄소 녹색 관광자원개발 가이드라인.
    문화관광부 [2009]
  • 저탄소 관광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개발 - 개념화 과정을 통한 개념정의와 측정방법 검토
    이성은 최환석 관광경영연구, 14(1). pp.109-129 [2010]
  •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-녹색관광 정책분야를 중심으로
    신용석 관광학연구, 34(3). pp.59-75 [2010]
  • 유럽환경시장동향보고서
    박종열 국가환경기술정보센터 [2013]
  •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관광자원개발 지표에 관한 연구
    김재호 김형우 관광경영연구, 19(3). pp.107-126 [2015]
  •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(ets)가 국내 항공사에 미치 는 영향 및 항공사들의 전략적 대응방안 연구
    박강성 박성식 박완규 윤한영 임종빈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, 20(3). pp.576-585 [2019]
  •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.
    한국에너지공단 [2017]
  • 섬 관광목적지의 질적성장 평가지표 개발 연구
    오미자 제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믿지 못할 생활쓰레기 재활용률...절반은 ‘뻥튀기’
    뉴제주일보 기사 [2021]
  • 델파이 방법
    이종성 서울: 교육과학사 [2001]
  • 뉴노멀(new normal) 2.0 시대의 관광: 코로나19 유행 기간 제주 방문 관광 객 IPA 결과를 중심으로
    김영남 홍성화 MICE관광연구, 60(0). pp.143-162 [2020]
  • 녹색관광자원 선호도에 따른 관광체험 만족도 및 녹색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연구. 국내박사학위논문
    장양례 경희대학교 대학원 [2010]
  • 기후변화홍보포털
    https://www.gihoo.or.kr
  • 기후변화의 정치학. 홍욱희역
    앤서니 기든스 서울: 에코리브르 [2009]
  • 기후변화와 환경의 미래
    고문현 KIPA 공공리더십 세미나 발표자료 [2020]
  •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관광산업의 연구
    김경회 김재민 호텔관광연구, 15(1). pp.51-63 [2013]
  •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관광의 연구과제 모색
    김남조 관광학연구, 33(4). pp.85-104 [2009]
  • 기후변화 대응 관광개발 지표연구
    김대관 나종민 관광학연구, 36(2). pp.141-158 [2012]
  •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저탄소 친환경 관광의 인식에 관한 연구
    서헌 이미령 관광레저연구, 25(7). pp.39-54 [2013]
  • 그린컨벤션 평가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
    김길래 이효정 황희곤 MICE관광연구, 20, 51-74 [2009]
  •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홈페이지
    https://www.kbr.go.kr/index.do
  •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의 효과분석 방법론 연구
    이규진 이용주 최기주 대한교통학회지, pp.1-11 [2018]
  • 관광자원 잠재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: 경기도 수원시지역을 중심으 로
    임경환 천민호 관광경영연구, 21(6). pp.551-574 [2017]
  • 관광서비스의 국제표준화 정책 추진방향 연구
    이웅규 호텔경영학연구, 25(5). pp.101-118 [2016]
  • 관광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
    김성진 관광레저연구, 24(1). pp.105-118 [2012]
  • 관광산업의 신성장 모델
    금기용 정책리포트, (63). pp.1-19 [2010]
  • 관광분야 녹색경영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- 섬지역과 일반지역 비교를 중심 으로
    서용건 조정인 지역사회연구, 23(3). pp.91-110 [2015]
  • 관광개발영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
    서광용 홍성화 Mice관광연구, 16(4). pp.121-135 [2016]
  • 관광 분야 델파이 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: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
    권문호 관광레저연 구, 26(8). pp.95-111 [2014]
  • 경관관리계획 재정비(경관 가이드라인) 보고서.
    제주특별자치도 [2015]
  • 『교토의정서 이후 신 기후체계 파리협정 길라잡이』
    환경부 [2016]
  • “질적관광(Quality Tourism) 정책 지표 개발 연구”
    민민홍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“관광지 리모델링 사업의 영향요인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: 델파이 기법(Delphi)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(AHP) 적용”
    권태일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8]
  • ‘제주관광 질적성장, 계획만 있고 평가는 깜깜’
    헤드라인제주 기사 [2020]
  • why the guardian is changing the language it uses about the environment?
    가디언 [2019]
  • e-나라지표
    https://www.index.go.kr/
  • The world started to wake up to climate change in 2019
    뉴사이언티스트 [2019]
  • KOSIS 국가통계포털 시스템 (kosis.kr)
  • JEJU EV 월간보고서
  • Iso14001 인증기업의 환경경영시스템 운영 사례
    정명환 재무와 회계정보저널, 14(3). pp. 61-80 [2014]
  • ISO14001 2015년 개정표준 전환가이드.
    한국능률협회인증원 [2015]
  • ISO 14001:2015 실시의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
    우길호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ISO 14001:2015 소개
    SGS ACADEMY 온라인과정교재 [2017]
  • EMAS 공식홈페이지
    http://emas.eu
  • Carbon Free Island Jeju by 2030.
    제주특별자치도 [2012]
  • CFI 2030계획 수정 보완 용역 보고서.
    제주특별자치도 [2019]
  • Ahp의 일관성 향상을 위한 척도 재구성
    송근원 이영 사회과학연구, 29(2). pp.271-287 [2013]
  • Ahp를 이용한 섬관광어메니티 평가요인의 우선순위 분석
    김지인 인문사회, 21 6(2). pp. 301-318 [2015]
  • Ahp를 이용한 mice 다목적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- 제주지역을 중심으 로 -
    남윤섭 임화순 국토지리학회지, 45(4). pp.125-136 [2011]
  • Ahp기법을 활용한 정책집행의 우선순위 분석 -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산업 정책을 중심으로
    문경종 이성호 한국지역개발학회지, 27(1). pp.207-224 [2015]
  • AHP를 활용한 승마관광 활성화 요인 도출과 우선순위 분석
    고성규 김남현 이충기 관 광레저연구, 27(6). pp.317-339 [2015]
  • 2019년 제주특별자치도 방문관광객 실태조사.
 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관광공사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