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사 텍스트를 활용한 독서치료 방안 연구 = A study reading therapy method using narrative text

조영숙 2021년
' 서사 텍스트를 활용한 독서치료 방안 연구 = A study reading therapy method using narrative text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교육과정
  • Narrative text
  • Post-subjective model
  • conceptual hybridization theory
  • family fairy tale
  • growthnovel
  • reading therapy
  • subjective model
  • traditional fairy tale
  • 가족동화
  • 개념적 혼성 이론
  • 독서치료
  • 서사 텍스트
  • 성장소설
  • 전래동화
  • 후기 주관화 모형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67 0

0.0%

' 서사 텍스트를 활용한 독서치료 방안 연구 = A study reading therapy method using narrative text' 의 참고문헌

  • 헬런 옥슨버리, 『쾅글왕글의 모자』
    보림 [1996]
  • 페리노들먼, 『어린이 문학의 즐거움』, 김서정 역
    서울: 시공주니어 [2001]
  • 크리스티안 베르두 글. 조의행 옮긴이. 『사랑을 나누면 무슨 일이 생길까?』
    다섯수 레 [2004]
  • 존 버닝햄, 『깃털없는 기러기 보르카』
    비룡소 [2007]
  • 존 버닝햄, 『검피 아저씨의 뱃놀이』
    시공사 [1996]
  • 조선일보, 2021, 02, 23.
    조선일보, , 02, 23 [2021]
  • 전래동화 1~10권(112편), 보리
    서정오 옛이야기보따리 시리즈 [1997]
  • 역, 『어린이와 그림책』
    이상금 샘터 [2003]
  • 앤서니 브라운, 『동물원』
    논장 [2002]
  • 쉘 실버스타인, 「아낌없이 주는 나무」
    시공주니어 [2000]
  • 브라이언 와일드 스미스, 『ABC』
    아가월드 [2002]
  • 발달심리학
    송명자 학지사 [2008]
  • 맥스 루케이도 글. 세르지오 마르티네즈 그림. 아기장수의 날개 옮긴이. 『너는 특별 하단다』
    고슴도치 [2002]
  • 마를렌 조베르 글. 에밀리 워커 그림. 이경해 옮긴이. 『비발디 음악과 친해지는 동 화』
    비룡소 [2005]
  • 로렌 차일드, 『난 토마토 절대 안 먹어』
    국민서관 [2007]
  • 레이먼드 브리그스, 『눈사람 아저씨』
    마루벌 [1997]
  • 레오리오니 글. 이명희 옮긴이. 『으뜸 헤엄이』
    마루벌 [2000]
  • 러셀 호번 글. 릴리언 호번. 그림. 이경해 옮긴이. 『프란시스는 잼만 좋아해』
    비룡 소 [1999]
  • 독서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
    이영식 학지사 [2013]
  • 그림책과 삶 예술교육
    신혜은 『문화예술교육연구』 제6권 3호, 한국문학교육학 회, , 39∼69 [2011]
  • 공저, 『수업의 이론과 실제』
  • 가치 내면화 중심의 소설 교육 방안 연구
    송유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[2005]
  • 『훨훨 간다』
    권정생 글 김용철 그림 국민서관 [2003]
  • 『황소와 도깨비』
  • 『한국단편 1, 2』
    김혜니 이석록 타임기획 [2010]
  • 『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』
    김애순 윤진 중앙적성출판사 [1997]
  • 『질적 연구와 자문화 기술지』
    이동성 아카데미프레스 [2020]
  • 『전래동화속의 비밀 코드』
    하지현 살림 [2007]
  • 『자전거 도둑』
    박완서 다림 [1999]
  • 『인지언어학과 개념적 혼성 이론』
    김동환 박이정 [2013]
  • 『이주홍의 ‘피리부는 소년’과 이니시에이션 소설(Initiation story)』
    송명희 이주홍 문학연구, 부산: 대산 [2000]
  • 『이야기 치료와 이야기의 세계』
    고미영 청목출판사 [2008]
  • 『이야기 치료』
    양유성 학지사 [2019]
  • 『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?』
    신동흔 샘터 [2014]
  • 『연이와 버들잎 소년』
    손동인 이원수 창비 [2001]
  • 『아동상담』
    김춘경 학지사 [2005]
  • 『아동 문학 창작론』
    강정규 학지사 [2001]
  • 『아기장수의 날개』, 옮긴이. 고슴도 치, 『너는 특별하단다』
    맥스 루카이도, 글. 세르지오 마르티네즈, 그림 [2002]
  • 『신발 속에 사는 악어』
  • 『신독서지도방법론』
    손정표 대구: 도서출판 태일사 [1999]
  • 『소아정신약물학』
    조수철 서울대학교 출판부 [2000]
  • 『소설학 사전』
    한용환 고려원 [1992]
  • 『소설학 사전』
    한용환 문예출판사 [1999]
  • 『살아있는 뼈』
    허은미 글 홍기한 그림 아이세움 [2009]
  • 『발문법 원론』
    박병학 세광출판사 [1986]
  • 『문학치료의 이론적 기초』
    정운채 문학과 치료 [2006]
  • 『문학치료』
    변학수 학지사 [2013]
  • 『문학치료』
    변학수 학지사 [2017]
  • 『문학의 해석』
  • 『문학비평용어사전』
    이상섭 민음사 [1995]
  • 『문학독서 교육, 어떻게 할 것인가』
    우한용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, 푸른사상 [2005]
  • 『문학』
    김열규 동아출판사 [1988]
  • 『명작동화의 매력』
    김희경 교문사 [1996]
  • 『마인드 맵 북』
    Tony Buzan 사계절 [1994]
  • 『똑!똑!똑! 그림책』
    김이산 현암사 [2004]
  • 『두꺼비 신랑』
    서정오 보리 [1997]
  • 『두꺼비 신랑』
  • 『독서클리닉의 이론과 실제』
    한복희 한국도서관협회 [2004]
  • 『독서치료의 실제』
    김현희 한국독서치료학회. 학지사 [2003]
  • 『독서치료와 문학치료 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』
    이동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[2016]
  • 『독서치료』
    김현희 학지사 [2001]
  • 『독서의 이해』
    전정재 한국방송출판 [2001]
  • 『독서요법』
    황의백 범우사 [1996]
  • 『너도 하늘 말나리야』
    이금이, 푸른책들 [1999]
  • 『그림책의 그림읽기』
    현은자 마루벌 [2004]
  • 『그림책으로 여는 세상』
    조난영 렛츠book [2020]
  • 『교수방법론』
    이성호 학지사 [1999]
  • 『강아지똥』
    권정생 글 정승각 그림 길벗어린이 [1996]
  • 『가족치료』
    김유숙 학지사 [2019]
  • 『20세기의 매체철학』
    심혜련 그린비 [2017]
  • 『(초⋅중등 교실을 위한)새 교수법』
    이성은 외, 교육과학사 [2002]
  • 「황순원 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 연구」
    민영미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행위자 중심의 갈등관리 모형에 대한 탐색적 고찰」
    조경훈 성균관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[2015]
  • 「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의 인물표현연구」
    박선정 이화여대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3]
  • 「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세계」
    최현주 박이정 [2002]
  • 「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문학교육적 함의와 해석-고등학교 「문학」교과서 (18종)를 중심으로」
    최현주 『현대문학이론연구』 25권, 현대문학이론학회, , 353∼371 [2005]
  • 「한국 청소년문학 연구」
    김윤정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한국 전래동화의 연구-모티브 분류와 동화의 해석」
    김인애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1985]
  • 「학습자의 자기이해를 위한 문학교육 평가 방안 탐색」
    염은열 『國語敎育學硏 究』, 제34집, 국어교육학회, , 345∼370 [2009]
  • 「통합사회 수업의 실천 양상 분석-교사발문특성을 중심으로-」
    허수미 『사회과교 육연구』 제 26권 제4호,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, , 135∼156 [2019]
  • 「치료로서의 문학-독서행위와 치료적 전략」
    변학수 『독일어문학』 10권 1호, 한국 독일어문학회, , 47∼70 [2002]
  • 「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생활적응력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」
    이순정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청소년소설의 문학적 성격과 문제점」
    김명순 『현대문학이론연구』 36호, 현대문 학이론학회, , 221∼240 [2009]
  • 「청소년소설의 가족관계 양상 연구」
    정유선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청소년소설에 나타난 갈등 양상 연구」
    유원식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청소년 소설의 서사적 특성과 장르 정체성 연구」
    이금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[2011]
  • 「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 진행자의 갈등 연구」
    김미선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[2013]
  • 「중학교 국어교과서 학습활동 분석: 7학년 개정교과서에 수록된 성장소설 단원을 중심으로」
    류해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전래동화에 대한 심층심리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」
    김미애 우석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1998]
  • 「자아의 내적 충돌과 갈등에 관한 표현 연구」
    김영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 명」
    정운채 『문학 치료연구』 25, 한국문학치료학회, , 361∼381 [2012]
  • 「읽기의 개념과 읽기 능력의 발달 단계」
    천경록 『청람어문교육』 21, , 263∼ 282 [1999]
  • 「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기초서사의 네 영역과 <구운몽> 분석 시 론」
    정운채 『문학치료연구』 제3집, 한국문학치료학회, , 7∼36 [2005]
  • 「이주홍의 ‘피리부는 소년’과 이니시에이션 소설(Initiation story)」
    송명희 『한국 아동문학평론』, 한국아동문학연구원, , 여름호 [1998]
  • 「이주홍 동화의 독서치료적 조망」
    정선혜 『독서치료연구』 창간호, 한국독서치료 학회, , 77∼98 [2004]
  • 「이야기치료로 본 문학 작품 속의 치유와 성장」
    배정구 이민용 『독서치료연구』 제11권 제2호, , 27∼51 [2019]
  • 「이금이의 성장소설 연구」
    황아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이금이 아동・청소년 문학 연구」
    홍대화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이금이 동화의 주제의식 분석을 통한 교재화 방안 연구」
    강신영 한국교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이금이 가족동화 연구」
    이경희 경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옛이야기를 활용한 곰감교육 방법 연구」
    백설화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「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의 컨텐츠에 관한 연구: 글과 그림의 관계를 중심으로」
    엄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4]
  • 「아동의 자아개념과 인간관계 증진을 위한 독서요법의 효과」
    최선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7]
  • 「심리학의 지각, 기억, 사고와 문학치료의 자기서사」
    정운채 『문학치료연구』 제 20집, 한국문학치료학회, , 9∼28 [2011]
  • 「신화해석을 통해 본 개성화 과정: 융 분석심리학에 근거하여」
    김희진 『독서치료 연구』, 제2권 제2호, 한국독서치료학회, , 1∼15 [2006]
  • 「성장소설의 교수 학습 방법 연구」
    김미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성장소설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」
    김민혜 경성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[2012]
  • 「설화 <새털 옷 입고 왕이 된 남자>에 대한 부정적 반응의 경향성과 공감 적 이해의 실마리」
    김정애 『문학교육학』 49, 한국문학교육학회, , 165-193 [2015]
  • 「빈곤과 가족해체와의 관련성 모색」
    조광영 황청일 『사회과학연구』 제26집 3 호, 청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, , 103∼141 [2005]
  • 「부모기대로 인한 부모-자녀 간 갈등극복 연구」
    이영미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발문 교수법에 따른 시 교육방법」
    윤여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4]
  • 「박완서 텍스트에 나타난 치유적 요소 연구」
    김유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문학치료와 문학경험」
    변학수 『독일어문학』, 10권, 한국독일어문학회, , 267~301 [1999]
  • 「문학치료와 I. A. 리처즈의 독서이론」
    김종갑 『문학치료연구』 27, 한국문학치료 학회, , 225~249 [2013]
  • 「문학치료에서의 승화의 과정」
    배종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문학치료에서 글쓰기 텍스트의 해석학적 이해와 적용」
    배영의 경북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2016]
  • 「문학치료 활동을 통해 본 서사능력과 공감능력의 상관관계」
    김정애 『문학치료연 구』 48, 한국문학치료학회, , 9∼39 [2018]
  • 「문학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위한 기반 검토」
    우한용 『先淸語文』 32, 서울대 학교 국어교육과, , 43∼84 [2004]
  • 「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의 접점 찾기」
    전한성 『국어문학』 제62집, 국어문학, , 289∼316 [2016]
  • 「문학교육으로서의 성장소설 연구」
    고성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0]
  • 「문학 텍스트 독서체험의 인지 과학적 이해」
    김영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, 2015 [2015]
  • 「문학 감상 교육을 위한 발문 전략 연구」
    한빛여울 전북대학교,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마인드 맵으로 요약하기 지도 전략 연구」
    김명남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동화가 지니는 심리학적 의미; 갈등 및 갈등해소에 따르는 아동의 반응」
    김경중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0]
  • 「독서치료의 문학 교육적 방안 연구」
    정유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」
    한윤옥 『한국문헌 정보학회』 37권 1호, 한국문헌정보학회지, , 5~25 [2002]
  • 「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개선에 미치는 효과」
    이미경 전주교 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교 부적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」
    김은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독서치료 수업을 위한 인물 분석 연구」
    송현정 조영숙 『한국초등국어교육』 제 61집,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, , 423~452 [2016]
  • 「독서치료 수업 모형 개발과 학생 반응 연구」
    유현승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독서지도의 방법으로서 독서치료 연구」
    한복희 『문헌정보학논집』, 제8집, 충남대 학교, , 37∼50 [2001]
  • 「독서 치료를 위한 교사의 발문 제시 방안 연구」
    송현정 조영숙 국어국문학, 195, , 461~490 [2021]
  • 「대학생들의 감상 사례를 통해 본 <신립장군과 원귀>의 공감적 이해의 방 법과 실제」
    김정애 『우리말교육현장연구』 10-1, 우리말교육현장학회, , 242∼271 [2016]
  • 「그림책의 치료적 활용, 그림책 다시 읽기-그림책 읽기의 체화된 마음 접 근」
    신혜은 『한국독서치료학회』 9, 한국독서치료학회지, , 9∼25 [2011]
  • 「그림책의 성인 독자에 대한 연구」
    김수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그림책의 독서치료적 조망」
    김현진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그림책을 이용한 독서치료 효과연구」
    조정연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그림책 읽기의 의미 구성적 과정에 대한 이해」
    이차숙 『한국영유아보육학』 73, 한국영유아보육학회, , 55∼80 [2012]
  • 「국어교육 제재로서의 생태문학」, 『국어교육연구』 제59집
    정은아, 국어교육학회, , 527∼550 [2015]
  • 「“옛이야기”의 환상적 함의와 어린이 “독자/청중”의 “환상성”에 대한 문화 적 재규성」
    최기숙 『현대문학의 연구』, 한국문학연구학회, , 549∼586 [2009]
  • 「R-E-J-A법에 의한 아동문학치료연구」
    김숙자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<시교설(詩敎說)의 문학치료학적 해석」
    정운채 『국어교육』 제104호, 한국어교육 연구회, , 347∼371 [2001]
  • Poetry therapy: Theory and practice. NY: Brunner-Routledge. 김 현희 외 공역 시치료
    Mazza, N. 학지사, 2003 [2004]
  • LEON GOLDEN, O.B. Hardison, jr, 최상규 역, 『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』
    예림기 획 [2002]
  • Kinder brauchen Marchen. Muenchen. DTV. Barbara Bader. American Picturebooks fron Noah's A가 to the Beast Within, New York: Macmillan
    Bettelheim, B. Introduction. 1976 [1980]
  • Hyman, 권낙원 譯, 『교수방법』
    Ronald T. 원미사 [2001]
  • Buzan Tony & Barry Tony, 『마인드 맵 북』
    라명화 평범사, 1999 [1994]
  • 11인, 『독서치료』
    김현희 서울: 학지사 [200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