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

장은우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회화, 도화
  • 꼴라주
  • 도시풍경
  • 수묵
  • 한지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73 0

0.0%

'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「한국 현대 도시시 연구: 년대와 1980년대 시 중심으로」
    임영선 중앙 대학교 박사논문, 2009 [1930]
  • 「추상은 예술이 아니다」
    이열모 세대 [1963]
  • 「전통 계승의 자세_동양화의 내일을 위하여」
    오광수 『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』 [1963]
  • 「동양화의 조형적 실험」,
    오광수 공간 , p.63 [1968]
  • 「동양화에 있어서 추상성 문제」,
    송수남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[1975]
  • 「‘선전’과 ‘국전’의 인물화 연구: ‘동양화’를 중심으로」
    유희승 동덕여자대학교 박사논문 [2010]
  • 「1990년대 광주에서의 현실주의 수묵화의 의미」
    이선옥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, [2011]
  • 「1986년 한국미술의 동향」
    오광수 조선일보사, [1988]
  • 「1 97 0~ 19 80년 대 진 경 산 수 의 재 해 석 」, 오 광 수 선 생 고 희 기 념 논총간행위원회
    박계리 미진사 [2007]
  •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
  •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
    오광수 􋺷공간􋺸 [1976]
  •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
    박파랑 한국미술사교육학회, 2010 [1960]
  •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
    금호미술관 [1989]
  • 한국예술의 전통과 전승
    진홍섭 공간 [1966]
  •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, 『미술대사전(인명편)』
    한국사전연구사 [1998]
  • 한국문화예술위원회, 『오늘의 미술가를 말하다』
    도서출판 학고재 [2010]
  • 한국동서철학회, 『시간과 철학』
    철학과 현실사 [2009]
  • 한국 현대미술 197080
    한국현대미술사연구회 편 학연문화사 [2004]
  • 하이퍼 리얼리즘
    박용숙 열화당, 1989 [1979]
  • 칸딘스키 저, 권영필 역 『예술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』
    열화당 [1979]
  • 카트린 클링죄어 르루아, 감명선 역, 『초현실주의』
    마로니에북스 [2004]
  • 철학사전편찬위원회, 철학사전
    서울: 중원문화 [2009]
  • 질 들뢰즈 저, 이정우 옮김, 『의미의 논리』
    한길사 [1999]
  • 지음, 『한국현대미술 읽기』
    윤난지 눈빛출판사 [2013]
  • 좌담, 「한국화 무엇이 문제인가」
    김복영 이종상 정중헌 『화랑』 [1988]
  • 좌담, 「변화하는 한국화-체험으로 본 80년대 한국화」
  • 월간미술, 『세계미술 용어 사전』
    서울: 월간미술 [1999]
  • 아이콘과 코드
    임태승 미술문화 [2006]
  • 수묵화의 매체적 특성과 정신성
    이철량 공간 [1983]
  • 서울시립미술관,『한국화 -2007展』
    KC Communications, 2007 [1953]
  • 샬럿 클롱크 저, 전영백 외 옮김, 『미술사 방법론』
    마이클 해트 세미콜론 [2012]
  • 새로운 예술의 탄생
  • 산수화와 그 정신
    박선규 신원 [1998]
  • 발터 벤야민 저, 반성완 편역,『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』
    민음사 [1983]
  • 발레리 줄레조 저∙ 김혜연 역, 『아파트 공화국』
    후마니타스 [2007]
  • 문화역서울284,『한국화의 경계, 한국화의 확장』
    디자인87 [2015]
  • 동양의 마음과 그림
  •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
    유현준 ㈜을유문화사 [2015]
  • 도시 공간의 미로 속에서
    최병두 한울 [2009]
  • 국립현대미술관, 『진경(眞景)-그 새로운 제안』
    디자인사이 [2003]
  • 공간의 문화정치학
    이무용 논형 [2005]
  • 『화화전 유유산수-서울을 노닐다』
    임연숙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[2018]
  • 『현대미술연구』
    김복영 정음문화사 [1982]
  • 『현대동양회화사』
    최병식 예서원 [1994]
  • 『현대 한국화론』
    강선학 도서출판 재원 [1998]
  • 『현대 미술의 원리』
  • 『한국회화사용어집』
    김정희 이성미 에스앤아이팩토리 [2015]
  • 『한국화의 지평을 새롭게 여는 신작로의 발견』
    이혁진 「수묵신작로展광주시립미술관」 [2020]
  • 『한국화 감상법』, 대원사, /『한국화의 세계』
    박용숙 일지사, 1975 [1995]
  • 『한국현대미술가 100인』
    오광수 사문난적 [2009]
  • 『한국의 젊은 미술가들: 45명과의 인터뷰』
    김종호 류한승 다빈치기프트 [2006]
  • 『한국의 미학: 서양, 중국, 일본과의 다름을 논하다』
    최광진 미술문화 [2016]
  • 『한국의 도시경관』
    이규목 열화당 [2002]
  • 『한국미술사 101장면』
    임두빈 가람기획 [2002]
  • 『한국근대미술연구』
    이경성 동화출판사 [1975]
  • 『한국 현대회화의 발자취』
    서성록 문예출판사 [2006]
  • 『한국 현대미술의 단층』
    오광수 평민사 [1978]
  • 『한국 주거의 미시사』
    전남일 돌베개 [2009]
  • 『한국 근현대 회화의 형성 배경』
    정형민 학고재 [2017]
  • 『한국 근대미술의 역사』
    최 열 열화당 [1998]
  • 『한국 근대미술사』
    홍선표 시공아트 [2009]
  • 『한국 근대 미술 사상 노트』
    오광수 일지사 [1987]
  • 『투명한, 반투명한, 불투명한 미술』
    이대범 북노마드 [2013]
  • 『콘크리트 유토피아』
    박해천 자음과 모음 [2011]
  • 『치유의 숲』
    신원섭 서울: 지성사 [2005]
  • 『초현실주의, 동아출판사,』
    신현숙 [1992]
  • 『청운시민아파트-정재호 회화展』
    강수미 갤러리피쉬 [2004]
  • 『존재와 상황』
    김병우 한길사 [1981]
  • 『조선시대 회화사론』
    홍선표 문예출판사 [1999]
  • 『조선시대 산수화,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』
    고연희 파주: 돌베게 [2007]
  • 『일상의 모험』
    서동욱 민음사 [2005]
  • 『일반언어학 강의』
  • 『유토피아 철학사상』
    이면호 교우사 [2003]
  • 『우리시대의 수묵 남천』
    이철량 안그라픽스 [1997]
  • 『우리나라 역사』
    이치화 려강출판사 [1987]
  • 『욕망이론과 건축이론』
    임기택 시공문화사 [2019]
  • 『아파트』
    박철수 마티 [2013]
  • 『아파트 문화사』
    박철수 ㈜살림 출판사 [2006]
  • 『시대와 한국미술』
    오광수 미진사 [2007]
  • 『솔바람 먹내음』
    이종상 서울: 민족문화문고간행회 [1987]
  • 『삶의 피부-나를 구성하고 있는 사선 위의 드로잉들 유근택展』
    성완경 동산방화랑 [2007]
  • 『산수화의 이해』
    지순임 일지사 [1991]
  • 『붓으로 조선 산천을 품은 정선』
    조정육 아이세움 [2003]
  • 『문화연구의 핵심개념』
    정재철 커뮤니케이션북스 [2014]
  • 『문인화론의 미학』
    강행원 서문당 [2001]
  • 『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』
    김동욱 현암사 [2001]
  • 『르 코르뷔지에 VS 안도 타다오』
    최경원 숨비소리 [2007]
  • 『동양화의 이해』
    진조복 김상철 역, 시각과 언어 [1995]
  • 『동양화 새 천년 ‘한국화 - 지평의 확장전’』
    김상철 한가람미술관 [2007]
  • 『동양의 자연관』
    안종수 한국학술정보 [2006]
  • 『동양미학론』
    이상우 시공아트 [1999]
  • 『도시 예술 산책』
    박삼철 나름북스 [2012]
  • 『대한민국의 역사, 한국화로 보다』
    송희경 대한민국역사박물관, 도록 외 기타자료 [2016]
  • 『근대적 시.공간의 탄생』
    이진경 그린비 [2010]
  • 『근대건축의 흐름』
    정영철 도서출판 미세움 [2012]
  • 『공간의 기억, 추억의 반추 展』
    김상철 동덕아트갤러리 [2015]
  • 『고향에 두고 온 자연』
    송수남 시공사 [1995]
  • 『겸재일파의 진경산수 :겸재정선 글 중(중앙일보사)』
    이동주 [1977]
  • 『건축이라는 우리들의 사실』
    박길용 도서출판 발언 [2001]
  • 『건축, 세상을 향해 소리치다』
    서재효 세창미디어 [2013]
  • 『건축, 낯선 이야기로 피어나다』
    이동언 미세움 [2011]
  • 『건축, 권력과 욕망을 말하다』
    서윤영 궁리 [2009]
  • 『22명의 예술가, 시대와 소통하다』
    전영백 궁리 [2010]
  • 『20세기 한국미술』
    김영나 예경출판사 [2010]
  • 『1950-60년대 한국 동양화단의 추상미술 수용과 전개 : 전후 일본 미술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』
    박파랑 홍익대학교 대학원, 박사학위논문, [2017]
  • 「활로와 모색의 기점」
    김병종 『공간』 [1981]
  • 「현대수묵화의 향방」
    김병종 『화랑』 [1982]
  • 「한지 조형의 미학 1」
    이선원 『한국의 민속과 문화 1권 19』,년 01월 ,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[1998]
  • 「한국화의 침체, 극복의 해법」
    김학량 아트인컬쳐 [2003]
  • 「한국화의 문제와 진로-수묵화의 매체적 특성과 정신성」
    이철량 『공간』 [1983]
  • 「한국화의 문제와 진로- 중국화 일본화는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갔나」
    유홍준 『공간』 [1983]
  • 「한국화, 신세대의 지표 설정을 위한 제언」
    유홍준 『공간』 [1985]
  • 「한국의 회화로서의 1990∼2000년대 한국화」
    조수진 『기초초형학연구17권 5호』, [2016]
  • 「한국 현대 수묵의 향방고」
    김병종 『공간』 [1981]
  • 「한국 동시대 미술 -2009」
    반이정 미메시스, 2018, (채널예스2018 [1998]
  • 「청전과 소정을 통해서 본 현대한국화의 방향 정립」
    송수남 『홍익대학교 논문집』14 [1982]
  • 「진경산수와 진경정신」
    이종상 『선미술』, 선갤러리, , 여름호 [1980]
  • 「지금, 한국미술의 현장 젊은 작가를 향한 잔소리」
    김정락 『서울아트가이드 연재칼럼』
  • 「중국화를 보는 우리의 해석, 대담
    송수남 원동석 『계간미술』 [1984]
  • 「전통적 미의식의 한계와 그 가능성」
    박용숙 『미술세계』 [1987]
  • 「일초 이철주(逸初李澈周, -)의 한국화」
    송희경 『한국문화연구』32, 2017 [1941]
  • 「오늘의 한국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」
    박용숙 『계간미술』 [1988]
  • 「오늘의 한국화, 전통과 창조의 재검증」
    원동석 『미술세계』 [1986]
  • 「연표(1970-1989)」『한국화대기획 XII : 변혁기의 한국화 – 투사와 전망 - 70년대 말 80년대 초를 중심으로』,
    기혜경 공평아트센터, [2001]
  • 「수묵의 감수성에서 채묵으로, 벽화적인 채색화가 신장이 두드러져」
    박용숙 『미술세계』 [1989]
  • 「박생광의 한국화 연구」
    최진선 『근현대미술사학 제8호』 [2000]
  • 「박생광의 무속 소재 회화 고찰」
    이미연 『동양예술학회46호 』 [2020]
  • 「박생광 회화의 시기 구분과 대표적 경향 연구」
    최병식 『조형교육제23호』 [2004]
  • 「민화의 원래 의미와 현대적 의미」
    정병모 『한국민화학회 한국민화제 8호』 [2017]
  • 「문화시대의 그림 읽기와 여백」
    변영섭 『史叢』75,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[2012]
  • 「동양화 젊은 세대의 도전」
    오광수 『계간미술』 [1980]
  • 「도시와 시각전 」
    최민 『현실과 발언』롯데화랑 [1981]
  • 「‘서화’ 시대에서 ‘미술’ 시대로, 그 전환 과정 속의 산수화(山水畵)- 전통의 재인식과 현대의식의 반영 사이에서」
  • 「80년대 한국화의 흐름..수묵의 감수성에서 채묵으로, 벽화적인 채색 화가 신장이 두드려져」
    박용숙 『미술세계 [1989]
  • 「2000년대 한국화에서 나타나는 도시의 일상성 표현 연구」
    오세권 『한국 기초조형학회11권 5호』, [2010]
  • 「1980년대 한국화의 산수」
    송희경 『한국예술연구 11』, [2015]
  • 「1970년대 한국 실경산수화 연구」
    이정진 『한국근현대미술사학29』, [2015]
  • 「1970년대 전통 및 향토 인물화 연구-한국화를 중심으로」
    정연경 『한국 기초조형학회』, [2014]
  • S. 알렉산드리안, 이대링 역, 『초현실주의 미술』
    열화당 [1984]
  • 1980년대 이후 한국 리얼리즘 미술에 나타난 현장성과 공공성의 문제
    김준기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석사논문, [2001]
  • 1980-90년대 현대 한국화의 통섭 , 『한국문화연구』26호
   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