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60-70년대 도시 소설에 나타난 서울 이주민의 재현 양식 연구 : - 김승옥, 박태순, 김주영 소설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Style of Representation of Seoul migrants in Urban Novels in the 1960s and 1970s - Focusing on novels by Kim Seung-ok, Park Tae-soon, and Kim Joo-young

신용성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1960-70년대 도시 소설에 나타난 서울 이주민의 재현 양식 연구 : - 김승옥, 박태순, 김주영 소설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Style of Representation of Seoul migrants in Urban Novels in the 1960s and 1970s - Focusing on novels by Kim Seung-ok, Park Tae-soon, and Kim Joo-young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김승옥
  • 김주영
  • 도시소설
  • 르포르타주
  • 박태순
  • 산업화
  • 서울 이주민
  • 소시민
  • 소외
  • 아이러니
  • 악행
  • 재현
  • 풍자
  • 환상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778 0

0.0%

' 1960-70년대 도시 소설에 나타난 서울 이주민의 재현 양식 연구 : - 김승옥, 박태순, 김주영 소설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Style of Representation of Seoul migrants in Urban Novels in the 1960s and 1970s - Focusing on novels by Kim Seung-ok, Park Tae-soon, and Kim Joo-young' 의 참고문헌

  • 「김승옥 소설의 작가의식 연구」
    서연주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4]
  • 「김승옥 소설의 근대성 담론 연구」
    김정남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2]
  • 「70년대 전후로 한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가치관의 변화」, 『한국사회의 변동』
    정창수 성 균관대 사회과학연구소, [1986]
  • 한국소설사
    김윤식 정호웅 문학동네 [2000]
  • 한국 근대문학과 도시성 문제
    이성욱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2]
  • 포스트모더니즘
    김욱동 민음사 [2004]
  • 진태원 옮김, 『불화』
    도서출판 길 [2015]
  • 조규형 옮김, 『문학이론』
    Jonathan Culler 문학동네 [2016]
  • 정경원 외 옮김, 『보르헤스와 거울의 유희』
    Nancy Kason Poulson 태학사 [2002]
  • 전영애 옮김, 『불안의 심리』
    Fritz Riemann 문예출판사 [2007]
  • 이정우 옮김, 『들뢰즈와 가타리』
    Ronald Bogue 중원문화 [1995]
  • 이길우 외 역, 『진리와 방법』
    Hans-Georg Gadamer 문학동네 [2000]
  • 윤동구 옮김, 『비평이론의 모든 것』
    Rois Tyson 앨피 [2012]
  • 위논문, 2008.
    위논문 [2008]
  • 여자를 찾습니다
    정주아 작품 해설
  • 신용하 박명규 옮김, 『사회사상사』
    Lewis A Coser 일지사 [1978]
  • 시, 아포리즘, 자동기술
    심재중 􋺷한국프랑스학논집 34􋺸 [2001]
  • 손승남 역, 『해석학의 탄생』
    Wilhelm Dilthey 지만지 [2008]
  • 소설 속에 나타난 대도시인의 ‘정체성’ 연구 - 김승옥의 몇 가지 모티브에 관하여 (1): 보들레르, 벤야민 그리고 김승옥: <서울 1964년 겨울>을 중심으로
    이은애 『한중인문학 연구 49호』, 2015. 12. 124쪽 [2015]
  • 서민원 옮김, 『공포의 권력』
    Julia Kristeva 동문선 [2001]
  • 백상창 옮김, 『프로이트 심리학』
    Calvin S.Hall 문예출판사 [1984]
  • 박홍규 옮김, 『감시와 처벌』
    강원대학교 출판부 [1989]
  • 무스토, 「마르크스 소외 개념에 대한 재논의」
    마르셀로 『마르크스주의 연구 8권 2호』 [2011]
  • 류의근 옮김, 『지각의 현상학』
    Maurice Merleau Ponty 문학과지성사 [2002]
  • 노명우 역, 『발터 벤야민과 메트로폴리스』
    Graeme Gilloch 효형출판 [2005]
  • 나은영 옮김, 『정신 자아 사회』
    George Herbert Mead 한길사 [2010]
  • 김형석 옮김, 『융심리학 입문』
    Calvin S.Hall Vernon J. Nordby 문예출판사 [2004]
  • 김현수, 『문학이론입문』
    Terry Eagleton 인간사랑 [2001]
  • 김서영 옮김, 『라캉 읽기』
    Sean Homer 은행나무 [2007]
  • 김상운 역, 『이미지의 운명』
    Jacques Ranciĕre 현실문화연구 [2014]
  • 김부용 역, 『광기의 역사』
    Michel Foucault 인간사랑 [1991]
  • 김미숙 외 옮김, 『현대 사회학』
    Anthony Giddens 을류문화사 [1992]
  • 김경식 역, 『미적 현대와 그 이후』
    Hans Robert Jau 문학동네 [1999]
  • 권오석 역, 『역사란 무엇인가』
    E.H. Carr 홍신문화사 [1988]
  • 계급, 소외, 차별
    Geoffrey de Ste Croix 책갈피 [2017]
  • 강영계 역, 『인식과 관심』
    J. Habermas 고려원 [1983]
  • 『현대한국소설사』
    이재선 민음사 [1991]
  • 『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』
    이재선 문학과 지성사 [2007]
  • 『한국현대소설론』
    현길언 태학사 [2002]
  • 『한국소설의 공간/현대한국문학의 이론』
    김치수 문학과지성사 [2016]
  • 『한국도시행정학』
    이규환 법문사 [1999]
  • 『한국도시연감』
    행정자치부 [2006]
  • 『한국 근대문학과 알레고리』
    홍순애 제이앤씨 [2009]
  • 『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』
    권택영 민음사 [1990]
  • 『칼 구스타프 융』
  • 『짐멜의 사회학』
    김태원 한국학술정보 [2007]
  • 『정든 땅 언덕 위 外』
    박태순 동아출판사 [1995]
  • 『여자를 찾습니다』
    김주영 책세상 [2007]
  • 『소외의 사회학』
    이홍균 도서출판 한울 [2004]
  • 『소설가 구보씨의 일일』
    박태원 문학과지성사 [2005]
  • 『서울 2천년사』
    서울역사편찬원 [2016]
  • 『생명연습』
    김승옥 문학동네 [2014]
  • 『비루한 것의 카니발』
    황종연 문학동네 [2001]
  • 『문학이론과 현실인식』
    최문규 문학동네 [2000]
  • 『문학비평용어사전』
    이상섭 민음사 [2001]
  • 『무너진 극장』
    박태순 책세상 [2007]
  • 『몰락의 에티카』
    신형철 문학동네 [2008]
  • 『로티의 철학과 아이러니』
    김용준 아카넷 [2014]
  • 『도시의 이해』
    안태환 대구대학교출판부 [1998]
  • 『도시계획론』
    황용주 보문출판사 [1973]
  • 『도시 및 지방행정론』
    한원택 법문사 [1982]
  • 『도둑견습(김주영 중단편전집 1)』
    김주영 문이당 [2001]
  • 『김주영 깊이읽기』
    김경수 문학과지성사 [1999]
  • 『김주영 깊이읽기』
    황종연 문학과지성사 [1999]
  • 『김승옥 소설의 근대주체연구』
    노희준 국학자료원 [2012]
  • 『情든 땅 언덕 위』
    박태순 민음사 [1973]
  • 『1960년대 소설 연구』
    이호규 새미 [2001]
  • 「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도시노동자 문제」
    한근영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현대도시 서울의 형성과 -70년대 소설의 문화지리학」
    송은영 연세대학교 박사학 [1960]
  • 「현대 소설에 나타난 아이러니」
    정신재 『동국어문학 11』 [1999]
  • 「혁신담론과 대중의 위치」
    신형기 『현대문학의 연구 47』 [2012]
  • 「한국현대소설의 배경 연구」
    전혜자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85]
  • 「한국문학에서의 순수와 참여논쟁 연구」
    장병희 『어문학논총 12』 [1993]
  • 「한국 현대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나는 '산책자(flăneur)'의 주제」
    최혜실 『한국현대문학 연구 3』 [1994]
  • 「한국 도시소설 연구」
    오창은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포스트모더니즘의 범주화와 유형화」
    김욱동 『현상과 인식 13(3)』 [1989]
  • 「토마스 만의 『마의 산』 과 김승옥의 『무진기행』 비교 연구 - 알레고리적인 구조를 중심으로」
    홍성광 『비교문학 26』 [2001]
  • 「청년문학의 생명연습-김승옥의 60년대 단편소설들」
    신형철 『생명연습』 해설
  • 「주체성의 복원과 성찰의 서사」
    하정일 『년대 문학 연구』, 깊은샘. 1998 [1960]
  • 「저항의 서사와 대안적 근대의 모색」
    하정일 『년대 문학연구』, 깊은샘, 1998 [1970]
  • 「자의식적인 메타 픽션의 선구소설로서 고골의 코」
    홍대화 『슬라브학보 28(4)』 [2013]
  • 「일제하 한국도시소설 연구」
    김창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3]
  • 「인물의 시선을 통해 본 박태순 소설의 현실 재현방식」
    이주미 『우리문학연구 40』 [2013]
  • 「이동하는 모더니티와 난민의 감각」
    김은하 『한국학연구 60』 [2017]
  • 「유치환의 아포리즘 연구」
    이새봄 『한국시학연구(24)』 [2009]
  • 「욕망의 서사연구」
    박청호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2008]
  • 「역사적 격변과 문학적 응전」
    김윤식 『한국 문학 50년』, 문학사상사 [1995]
  • 「아시아의 근대성과 도시 : 한국 도시경험을 중심으로」
    조명래 『공간과 사회 54』 [2015]
  • 「실존주의 문학과 실존철학」
    박이문 『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』, 문학과지성사 [1996]
  • 「시민과 혁명의 시간」
    이현석 『구보학회 18』 [2018]
  • 「시각체험과 6 70년대 도시빈민소설의 새로운 형식」
    김주현 『어문연구 33(2)』 [2005]
  • 「수도의 재구성과 수도권의 탄생 」
    김동완 『공간과 사회 62』 [2017]
  • 「소외 개념에 관한 소고」
    우성대 『윤리연구 20권』 [1984]
  • 「소설적 인식의 전환과 다양성의 확보」
    전영태 『한국문학 50년』, 문학사상사 [1995]
  • 「소설에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연구」
    김은하 중앙대학교박사논문 [2003]
  • 「소설, 아이러니, 리얼리즘」
    이장욱 『비평문학 59』 [2016]
  • 「산업화의 그늘, 또는 뿌리뽑힌 자들의 삶」
    김한식 『년대 문학연구』, 소명출판. 2000 [1970]
  • 「사회 변동과 풍자」
    김주연 『김주영 깊이 읽기』, 문학과지성사 [1999]
  • 「사랑의 정치학」
    류보선 『년대 문학연구』, 소명출판. 2000 [1970]
  • 「비상사태기의 문학과 정치 」
    조현일 『민족문학사연구 60』 [2016]
  • 「박태순의 (비)문학과 장르 이동 양상」
    이소영 『우리말글 75』 [2017]
  • 「박태순의 "외촌동 연작" 연구: 이야기와 숭고」
    조현일 『우리어문연구 29』 [2007]
  • 「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유년기 형상에 대한 연구」
    조현일 『비평문학 45』 [2012]
  • 「박태순 소설과 년대 서울」
    김한식 『현대소설연구 58』, 2015. 4 [1960]
  • 「미적 동일시의 유형과 소설교육」
    조현일 『우리어문연구 47집』 [2013]
  • 「문화적 주체의 구성과 소시민 의식」
    전상기 『상허학보 13』 [2004]
  • 「문학적 감수성의 비교 연구」
    안남연 『비교문학 28』 [2002]
  • 「문학과 사회집단의 의식」
    이우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무진기행의 부끄러움 읽기」
    김지연 『비평문학 (67)』 [2018]
  • 「도시적 감성의 진화」
    오창은 『영구혁명의 문학‘들’』, 국학자료원 [2012]
  • 「도시산업사회의 사회사업과 도전」. 『도시사회학』
    Alfred J.Kahn 을류문화사 [1977]
  • 「도시빈민과 박태순의 소설」
    김병걸 『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, 24』, 양우당 [1989]
  • 「도시공간으로서의 서울과 소설 연구의 과제」
    이동하 『현대소설연구(52)』 [2013]
  • 「대중 속으로, 60년대가 사랑한 감수성」
    이정숙 『르네상스인 김승옥』, 앨피 [2005]
  • 「대도시와 군중」
    조현일 『한국현대문학연구 22』 [2007]
  • 「대도시 ‘서울’의 체험과 알레고리적 이미지」
    이은애 『한국현대문학연구 56』 [2018]
  • 「내가 보낸 60년대의 서울」
    박태순 『문화과학 5』 [1994]
  • 「김주영의 풍자적 단편들」
    김사인 『김주영 깊이읽기』, 문학과지성사 [1999]
  • 「김주영 소설에 나타난 이질적 타자로서의 여성과 (탈)근대성」
    홍단비 『어문연구 48(1)』 [2020]
  • 「김주영 소설 창작 방법 연구」
    양선미 『인문논총, 35(0)』 [2014]
  • 「김승옥의 서사적 글쓰기와 미적 형상화 고찰」
    허만욱 『비평문학 16』 [2002]
  • 「김승옥 초기소설 연구」
    조선희 『어문논총 30호』 [2017]
  • 「김승옥 소설의 문화기호학적 연구」
    안혜련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9]
  • 「김승옥 소설의 모더니즘적 특성에 대한 연구」
    임경순 『현대소설연구 11』 [1999]
  • 「김승옥 소설의 근대성」
    공종구 『현대소설연구 제9호』 [1998]
  • 「김승옥 소설의 60년대적 특징에 대한 고찰」
    유홍주 『현대문학이론연구 41권』 [2010]
  • 「김승옥 소설에서 생활의 문제 -성,죄의식,가치 교환」
    김한식 『겨레어문학 47』 [2011]
  • 「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마조히즘과 시선의 문제」
    이광호 『한국현대문학연구 39』 [2013]
  • 「김승옥 소설 문체의 사회시학적 연구」
    최인자 『현대소설연구 10』 [1999]
  • 「김승옥 문학의 개인화 전략과 젠더」
    김미란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2005]
  • 「거부와 공포, 김주영 단편소설 연구」
    박수현 『인문과학연구 40』 [2014]
  • 「개발독재 시대의 윤리와 부」
    정주아 『민족문학사연구 61』 [2016]
  • 「가족 관계와 `가난과 이주`에 대한 윤리적 대응 연구」
    오윤호 『국제어문 35』 [2005]
  • 「『68문학』 연구」
    홍기돈 『영구혁명의 문학‘들’』, 국학자료원 [2012]
  • 「‘집’과 ‘여행’의 단편 미학」
    김만수 『김주영 깊이 읽기』 [1999]
  • 「Under Western Eyes에 나타난 자의식적 요소」
    박병주 『영어영문학연구 34』 [1993]
  • 「70년대의 한국풍자소설 연구」
    송백헌 『어문학 32』 [1975]
  • 「60년대 문학의 가능성」
    김병익 『현대한국문학의 이론』, 민음사 [1972]
  • 「60년대 문학 주체의 마조히즘의 윤리학」
    설혜경 현대소설연구 60 [2015]
  • 「4월의 문학혁명, 근대화론과의 대결」
    권보드래 『한국문학연구 39』 [2010]
  • 「4 19세대 소설의 자기형성과 분화」
    고지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4 19 이후, 과도기의 감각과 생의 윤리」
    김우영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80호』 [2018]
  • 「1990년대 한국소설의 도시성 연구」
    이신조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1970년대 소설의 여대생 표상」
    박수현 『어문론집 58』, [2014]
  • 「1970년대 소설에 나타난 양가성 연구」
    김인경 한성대학교 박사논문 [2008]
  • 「1970년대 비평의 두 방향」
    정희모 『한국 현대문학사』, 집문당, [2004]
  • 「1960년대 한국사회의 이농현상과 도시빈민」
    왕건굉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2015]
  • 「196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도시공간과 주체의 관련양상 연구」
    백지연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[2008]
  • 「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 연구」
    복도훈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1960년대 소설의 전통인식 연구」
    김주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1960년대 소설의 서사적 새로움과 두 경향」
    정희모 『1960년대 문학연구』, 깊은샘, [1998]
  • 「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소시민적 일상성과 자기세계의 양상」
    윤애경 『동아인문학 24』, [2013]
  • 「1960년대 서사에 나타나는 ‘청년’표상의 조건과 선택」
    이호규 『대중서사연구 Vol.23 No.3』, [2017]
  • 「1960년대 문학지형의 변화와 매체의 비평 전략」
    하상일 『영구혁명의 문학‘들’』, 국학자료원, [2012]
  • 「1960년대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」
    연남경 『현대소설연구 71』, [2018]
  • 「1960년대 문학 감수성의 기원」
    이현석 『한국현대문학연구 56』, 2018. 12 [2018]
  • 「1960년대 도시소설의 장소상실과 기획 공간」
    정미선 『어문논총 25』, 2014. 6 [2014]
  • 「1960년대 근대화의 진행과 소외의 양상」
    양윤모 『글로벌사회복지연구 2권2호』, [2012]
  • 「1960년대 '방'을 통해 재현된 도시적 불안」
    오창은 『우리문학연구 20』, [2006]
  • 「1930년대 후반기 도시소설 연구」
    나병철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0]
  • 「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 연구」
    박은주 『청람어문교육 18권 1호』, [1997]
  • 「1930년대 도시소설의 시간과 공간 연구」
    방경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[2003]
  • 「1930년대 도시소설 연구」
    한성봉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1995 [1995]
  • 「"시민 - 소시민 논쟁"의 정치학 - 주체 정립 방식을 중심으로 본 시민, 소시민의 함의」
    김미란 『현대문학의 연구 29(0)』 [2006]
  • Palmer, 이한우 역, 『해석학이란 무엇인가』
    Richard E. 문예출판사 [1988]
  • 1970년대 한국 도시소설 연구
    최영숙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2007 [2007]
  • 1970년대 도시소설 연구
    유은정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1960년대 박정희 체제의 탈후진 근대화 담론
    황병주 『한국민족운동사연구 56』, 2008. 9 [2008]
  • 1960「-70년대 한국서설에 나타난 지역 식민화 연구」
    김옥선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