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사학습공동체를 위한 발달지향적 평가준거체제 개발 = A Study on Development-Oriented Evaluation Criteria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

김하정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교사학습공동체를 위한 발달지향적 평가준거체제 개발 = A Study on Development-Oriented Evaluation Criteria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ipp
  • 교사학습공동체
  • 전문적학습공동체
  • 평가준거
  • 평가준거체제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46 0

0.0%

' 교사학습공동체를 위한 발달지향적 평가준거체제 개발 = A Study on Development-Oriented Evaluation Criteria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' 의 참고문헌

  • 혁신학교 기본문서
    경기도교육청 경기: 경기도교육청 [2012]
  • 혁신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
    박상완 한국교육, 45(4), 109-138 [2018]
  •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성과 과제
    곽영순 김종윤 교육과정평 가연구, 19(1), 179-198 [2016]
  • 학교조직의 학습조직으로 변화의 논거. Andragogy Today: International
    박주호 Journal of Adult & Continuing Education, 11(1), 113-144 [2018]
  • 학교의 형식주의와 학교혁신의 관계에 관한 연구
    김인희 교육행정 학연구, 25(3), 29-56 [2007]
  • 학교의 학습조직화 진단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
    김희규 교육행정학 연구, 22(4), 23-44 [2004]
  •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를 위한 학교문화 측정요소 탐색
    김민조 김종원 이현명 교육문화연구, 22(6), 87-113 [2016]
  •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운동의 의의와 과제
    서경혜 교육과학연구, 50(2), 1-28 [2019]
  • 학교교육과정 개발 사례에 나타난 교사학습공동체의 전문적 자본 구축에 대한 연구
    현성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18]
  • 학교교육 제4의 길 1, 2. 서울: 교육을바꾸는사람들. 원저: The Fourth Way, the Global Fourth way. Hargreaves, A
    김은영 이찬승 & Shirley, D.(2009) [2020]
  •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
    이윤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09]
  • 학교 업무 정상화 및 학교혁신 지원을 위한 2016학교 공동사업 선택제 추진 계획
    서울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혁신과 [2016]
  • 학교 안 교원학습공동체와 친해지기 이해자료
    서울시교육청 서울특 별시교육청 교육혁신과 [2019]
  •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 구축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
    장민경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
   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, 25(2), 53-80 [2008]
  • 학교 내 교사학습모임의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
    맹재숙 충남대학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15]
  • 프로그램의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 개념모형에 관한 고찰
    임지연 청소년학연구, 14(1), 47-70 [2007]
  • 프로그램논리에 입각한 학교교육과정 평가논리체계의 정립
    배호순 교육평가연구, 15(2), 43-70 [2002]
  •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
    기영화 서울: 학지사 [2009]
  •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
    김진화 파주: 교육과학사 [2008]
  • 초등학교특별보충과정 프로그램 평가척도개발-CIPP 평가모형 의적용
    전화춘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초등학교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경험 연구.
    전은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17]
  •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도구 개 발 및 타당화 연구
    노미란 심영택 교육논총, 39(1), 1-27 [2019]
  •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
    김송자 맹재숙 박수정 교육연구논총, 34(1), 227-247 [2013]
  •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저해요 인에 대한 개념도 분석
    고영규 권동택 박희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8(16), 651-674 [2018]
  • 초등미술과 수업비평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-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
    이은혜 미술교육연구논총, 43, 201-229 [2015]
  • 초등교사의 발달 지향적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연구
    이종현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4]
  • 초 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
    송경오 최진영 한국교원교육연구, 27(1), pp. 179-201 [2010]
  • 청소년활동시설의 논리주도 평가모형 개발연구: 청소 년수련원 논리모형을 중심으로
    김영석 임지연 한국청소년연구, 24(2), 177-204 [2013]
  •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한 접근: 교사학습공동체
    서경혜 서울: 학지사 [2015]
  •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인정체제 구축방안 연 구
    김미숙 김안국 서울: 한국직업능력개발원 [2003]
  • 중학교 특별보충과정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 발
    김석우 김성숙 한홍련 교육평가연구, 23(1), 55-77 [2010]
  • 중학교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
    구경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중학교 내 자생적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요인 탐색
    김도기 김지선 교육행정학연구, 35(1), 411-439 [2017]
  • 전문적학습공동체의 변화 과정과 변화 동인에 대한 사례 연구: 새 물결 중학교의 공동 수업 디자인 및 나눔 모임을 중심으로
    이종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정도, 수업개선활동, 교사효능감, 교직만족도 비교 분석
    김주영 박인우 장재홍 교사교육연 구, 57(1), 1-15 [2018]
  •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연구 를 통한 성공요인 분석. 경기도교육연구원
  • 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
    이경호 교육행정 학연구, 29(3), 195-221 [2011]
  •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: 혁 신학교를 중심으로
    이경호 이준희 교육문제연구, 28(2), 231-259 [2015]
  •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개발: CIPP평가모형을 중 심으로
    차봉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21]
  •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: 예술영재 교육과 정 평가모형 개발
    이경진 교육과정평가연구, 15(2), 217-240 [2012]
  • 연구방법론(2판)
    성태제 시기자 서울: 학지사 [2015]
  • 알기 쉬운 통계분석(2판)
    성태제 서울: 학지사 [2018]
  • 시‧도교육청 평가 준거 개발
    김귀숙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시 도교육청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실태 분석 :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을 중심으로
    박수정 최민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9(22), 1077-1097 [2019]
  •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모형 개 발에 관한 연구
    고호경 김정현 허난 황혜정 수학교육논문집, 31(3), 319-329 [2017]
  •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멘토링 체제 연구 -국어, 사회,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. 한국교육과정평가원
    곽영순 김경주 은지용 연구보고 RRI 2009-7 [2009]
  • 수업개선활동 및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역량 강화방안 탐색. 부산광역시 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
    고예진 연구보고 2018-73 [2018]
  • 소환된 미래교육-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학교 를 바라보다
    교육디자인정책연구소 서울: 테크빌교육 [2020]
  • 소그룹 평생학습조직 활성도 측정도구 개발 및 성장요인과의 구조분석
    서희정 동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성취평가제 기반 과정중심 평가모형 개발
    장재혁 부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[2021]
  • 성인학습자 관점을 반영한 사이버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준 거 연구
    최종철 한국평생교육학회, 13(3), 187-213 [2007]
  • 성인학습자 관점에서 접근한 평생교육 강사 평가 준거 연구
    김영화 전도근 최종철 한국교육, 34(2), 155-186 [2007]
  •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준거 연구
    오혁진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0]
  • 사회복지관 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결과의 활용정도
    안대영 대구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사범대학 교육과정 평가 영역 및 준거 개발 연구
    김옥남 고려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배움의 연쇄를 위한 교원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. 서울교육 웹진, 223(51)
    임세훈 여름호 [2016]
  • 발달지향적 교사평가의 맥락
    원효헌 안암교육학연구, 6(2), 101-121 [2000]
  • 미래교육,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
    김성천 송기상 서울: 살림터 [2019]
  •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
    성태제 서울: 교육과학사 [2009]
  • 델파이 방법
    이종성 파주: 교육과학사 [2001]
  • 단위학교 교사공동체의 실행공동체 특성 및 참여의 기제
    김유정 김진희 나지연 조형미 교원교육. 35(3), 203-248 [2019]
  • 단위학교 교과교실제 운영 평가준거 개발
    김순채 건국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: 학교 안 교사학습 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
    박나실 소경희 장연우 교육과정연구, 33(4), 92-114 [2015]
  • 기업의 HRD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
    류석우 호서대학교 벤처전문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기업교육의 평가모형, 절차 및 활용방안
    김태준 교육문제연구소, 16, 67-81 [2000]
  •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
    이한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[2006]
  •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
    문수백 서울: 학지사 [2012]
  •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
    홍세희 한국 임상심리학회, 제19권 제1호, 161-177 [2000]
  • 교육프로그램 평가론
    배호순 서울: 원미사 [2008]
  • 교육청 지원 학습공동체 참여 교사의 인식 분석: 자유기술 응답의 키워드 동시출현빈도를 중심으로
    맹재숙 박수정 교육행정학연구, 36(5), 167-189 [2018]
  • 교육부 2019년 업무계획(보도자료)
    교육부 2018.12.11 [2019]
  • 교육 연구방법론
  •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 체의 특성 탐색 연구
    강호수 김지혜 김한나 송승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6(4), 769-791 [2016]
  •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요인 탐색
    김하정 원효헌 수산해 양교육연구, 30(6), 2210-2219 [2018]
  • 교사학습공동체의 이론과 실제
    구원회 나귀수 박영희 심영택 황연주 서울: 교육공동체벗 [2019]
  • 교사학습공동체의 실태와 활 성화 방안-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-
    김왕준 민경용 박철희 이정윤 이태구 교육문화연구, 23(5), 223-249 [2017]
  •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 분석
  •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 및 참여요인에 관한 질적 메 타분석
    김하정 원효헌 한국교원교육연구, 37(3), 109-134 [2020]
  • 교사학습공동체의 개혁확산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
    오찬숙 고려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 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분석
    방정숙 선우진 한국수학교육학회, 17(3), 189~203 [2014]
  •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분석: 경기도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
    박미희 배정현 한국교원교육연구, 37(1), 309-338 [2020]
  • 교사학습공동체 특성에 따른 공유와 정착과정 연구
    오찬숙 한국교 원교육연구, 33(1), 297-328 [2016]
  •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인식 분석
    김남균 김민조 심영택 이현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, 14(7), 233-254 [2014]
  •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: 주 제분석법을 활용하여
    고연주 김영주 이현주 임규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7. 429-457 [2017]
  • 교사학습 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과정에 대한 연구
    전남익 숭 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교사의 전문학습공동체 진단 척도 개발 및 적용
    이석렬 교육행정학 연구, 36(2), 201-227 [2018]
  • 교사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실천에 관한 질적 메타분 석
    김경식 이수민 2019 한국교육사회학회 연차학술대회, 184-216 [2019]
  •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모임에 관한 질적 연구
    주현준 수 산해양교육연구, 22(3), 460-475 [2010]
  • 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 미친 학교수준 변인의 영향
    박주호 송인발 한국교원교육연구, 31(4), 93-117 [2014]
  • 교사공동체가 교사몰입에 미치는 영향: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 심으로
    박정주 한국교원교육연구, 28(2) [2011]
  • 교사 협력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
    권순형 김도기 교육행정학연구, 31(1), 109-132 [2013]
  • 교사 학습공동체의 발달 단계 탐색
    곽영순 교육과정평가연구, 18(2), 83-104 [2015]
  • 교사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- TIMSS 2007의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 변인을 중심으로
    이희숙 정제영 한국교원교육 연구, 28(1), 243-266 [2011]
  •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 성과 한계
   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, 26(2), 243-276 [2009]
  •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
    이건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8]
  • “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논리 주도적 평가준거체제 개발.”
    임지연 교려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‘학교혁신’에 참여하게 된 교사들의 갈등 경험에 관 한 연구
    김병찬 윤정 교육행정학연구, 34(2), 221-252 [2016]
  • [코로나19 대응 국가 수준 원격교육체제 진단 및 과제]에 대 한 토론. 뉴노멀시대 교육의 과제
    김정겸 제14회 청람교육포럼 자료집 [2020]
  • Stufflebeam의 7-CIPP 평가 모형에 기초한 대학 학습 동아리 프로그램 평가 척도 개발
    이성하 최명숙 교육연구방법, 28(3), 471-496 [2016]
  • School Teacher: A Sociology study. 진동섭 역(2002). 교직 사회 : 교직과 교사의 삶
    Lortie, D 서울: 양서원 [1975]
  • Mplus 7.0 구조방정식모델링
    배병렬 서울: 청람 [2018]
  • LISREL 9.1 구조방정식 모델링
    배병렬 서울: 청람 [2014]
  • EBS 미래교육 플러스, 슬기로운 학교생활 3부 – 교육을 바꾸는 같이의 가치
    교사공동체. 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E5Ij_8rMx8) [2020]
  • CIPP평가모형에 근거한 공립유치원 원내 자율장학 평가도구 개발
    김현숙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CIPP에 기반한 과학관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평 가척도 개발
    정경열 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지, 11(2), 85-103 [2011]
  • CIPP모형을 활용한 학습공동체 평가: 대학 튜터링 프 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
    김미진 이정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, 7(5), 369-379 [2017]
  • CIPP모형에 기반 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직무연수 평가
    이정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CIPP 평가모형을 통한 부산다행복학교 교육 과정 분석 및 ADDIE 기반 교수설계모형 개발
    권종실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자유학기제의 진로체험활동 평가척 도 개발
    서상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CIPP 평가모형에 의한 학교컨설팅 평가 준거 개발
    조양숙 인천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CIPP 평가모형에 근거한 2014년 서울형 자유학기제 평가: 중학교 진로교육과 진학지도를 중심으로
    강윤희 안선회 교육문제연구, 28(4), 195-232 [2015]
  • CIPP 평가모형 적용을 통한 2009개정 중학교 교육과 정 평가지표 개발
    김석우 이대용 교육평가연구, 25(2), 145-166 [2012]
  • CIPP 평가 모형에 기반 한 대학의 생애 단계 별 교수 개발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
    박영순 송영명 천경희 교육학연구, 55(3), 203-229 [2017]
  • CIPP 모형을 적용한 창의‧인성교육 평가준거 및 지표 의 탐색
    원효헌 전은순 수해양교육연구, 26(5), 1108-1118 [2014]
  • CIPP 모형에 기초한 마이스터고등학교 평가준거 개발
    정진철 한국 연구재단 연구과제 결과보고서 [2011]
  •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
    배병렬 서울: 청람 [2017]
  • 2021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계획
   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 육청 학교정책과 [2020]
  • 2019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이해자료
    경기도교육청 경기 도교육청 학교정책과 [2019]
  • 2017 주요 업무계획
    부산시교육청 부산시교육청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