命理學과 Vedic占星學의 比較를 통한 相談 活用方案에 관한 硏究 : 五行과 五行星의 陰陽을 中心으로 =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counseling through comparison of Myeongrihak and Vedic Astrology : Centered on Yin-Yang of Five Elements and Five Planets

서순향 2021년
' 命理學과 Vedic占星學의 比較를 통한 相談 活用方案에 관한 硏究 : 五行과 五行星의 陰陽을 中心으로 =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counseling through comparison of Myeongrihak and Vedic Astrology : Centered on Yin-Yang of Five Elements and Five Planet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12라시(하우스)
  • 12지지
  • 28수
  • 낙샤트라
  • 대운·세운
  • 두스타나
  • 명리학
  • 베딕점성학
  • 빔쇼타리다샤
  • 사데사티
  • 사야나디아바스타즈
  • 삼재
  • 십성
  • 십이운성
  • 어스펙트
  • 오행성
  • 원진살·귀문관살
  • 음양오행
  • 카라카
  • 합형충파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66 0

0.0%

' 命理學과 Vedic占星學의 比較를 통한 相談 活用方案에 관한 硏究 : 五行과 五行星의 陰陽을 中心으로 =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counseling through comparison of Myeongrihak and Vedic Astrology : Centered on Yin-Yang of Five Elements and Five Planets' 의 참고문헌

  • 􋺷繁露􋺸, 必仁且智
  • 陸致極(2008), 『中國命理學史論』, 上海: 上海人民出版社.
  • 한국 사주 명리 연구
    김만태 서울: 민속원 [2011]
  • 프란츠 바르돈 저, 박영호 임동욱 정은주 역, 『헤르메스학입문』
    경기도: 좋은글방 [2013]
  • 풍우란 저, 김홍경 편역,『음양오행설의 연구』
    양계초 서울: 신지서원 [1993]
  • 평주, 박영창 역, 『자평진전평주(子平眞詮平註)』
    서락오 심효첨 인천: 도서출판도가 [2015]
  • 편,『삼명통회적요(三命通會摘要)』
    김정안 만민영 서울: 문원북 [2017]
  • 중주, 원수산 찬집, 홍보환 역주, 『適天髓闡微上』
    임철초 서울: 西以苑 [2011]
  • 점성학에 기초한 진로탐색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생의 진로발달변인에 미치는 효과
    이은옥 창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윌리엄 릴리 저, 김고은 역, 1), 『크리스천 점성술1』
    서울: 좋은글방 [2009]
  • 윌리엄 릴리 , 7), 『크리스천 점성술3』
    서울: 좋은글방 [2008]
  • 윌리엄 릴리 , 10), 『크리스천 점성술2』
    서울: 좋은글방 [2008]
  • 위키피디아
    : Vedanga
  • 엮음, 감이당 혈자리세미나팀 지음, 『혈자리 서당』
    류시성 이영희 서울: 북드라망 [2019]
  • 역,『연해자평(淵海子平)』
    오청식 서울: 대유학당 [2016]
  • 언스트 윌헴(저), 베스림(편), 『하늘의 금괴(Vault of the Heavens)』
    서울: (주)북랩 [2016]
  • 베스림, 『베딕점성학 입문서 Ⅱ』
    서울: ㈜북랩 [2016]
  • 명리학에서 월지중심의 간명법과 격국운용에 관한 연구
    정대붕 공주대 학교 대학원 동양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리처드 니스벳, 최인철 역, 『생각의 지도』
    경기도: 김영사 [2016]
  • 루즈지(육치극) 저, 김연재 역,『명리학의 이해Ⅰ』
    서울: ㈜사회평론 [2018]
  • 네이버 지식백과
    : ‘대단한 하늘여행’, 한국사전연구사, 미술대사전(용어편), ’조 디악(황도12궁)’
  • 공역:김수길 윤상철, 『천문류초(天文類抄)』
    원저 이순지 서울: 대유학당 [2013]
  • 陳遵嬀(1998), 『中國天文學史』, 5(臺北: 明文書局).
  • 陳素庵지음, 韋千里선집, 􋺷命理約言􋺸
    香港: 上海印書館 [1987]
  • 陳素庵著, 김정혜 서소옥 안명순 역,『命理約言원전 현토 완역』
    경기도: 한국학술정보(주) [2016]
  • 論語
  • 著,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옮김,『中國醫學과 哲學』
    가노우 요시미츠 여강출 판사 [1993]
  • 淮南子
  • 月令의 사유와 제사를 통한 자연과 인간의 소통 儒學硏究4 第19輯
    이천승 忠南大儒學硏究所, pp.131-152 [2009]
  • 春秋繁露
  • 吳康외, 『中華神秘文化辭典』
    臺灣與離島: 海南出版社 [1993]
  • 五行大義,
  • 『컴퓨터 萬歲曆』
    김상연 대구: 甲乙堂 [2015]
  • 『츤데레 점성학』
    손인균 인천: 다크아트, pp.179-180 [2017]
  • 『유교정치사상의 이념적 전개』
    김일환 대전: 도서출판영일 [2019]
  • 『위키백과』:『라마야나(Ramayana)』, 『마하바라타(Mahabharata)』,『보천가』
  • 『위키백과』: ‘칠정산내편(七政算內篇)’, 『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』
  • 『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』
    김일권 서울: (주)상지사(예문서원) [2016]
  • 『왕초도 紫微斗數1』
    김선호 서울: ㈜동학사 [2018]
  • 『역학철학사易學哲學史1』
    김연재 서울: 소명출판 [2012]
  • 『심리학자는 왜 차크라를 공부할까』
    박미라 서울: 나무를심는사람들 [2020]
  • 『신법보천가』, 『이티하사스(Itihasas)』
    Sutra, y ga, 조디악맨, 표준시, M araka houses in astrology
  • 『생각이 나서』
    황경신 서울: ㈜태일소담 [2013]
  • 『사주첩경(四株捷徑)』
    이석영 대륭출판사 [1976]
  • 『사주명리학과 동양천문학의 만남』
    이목용 서울: ㈜북랩 [2015]
  • 『베딕점성학 입문서 Ⅰ』
    베스림 서울: ㈜북랩 [2016]
  • 『명리학과 한의학의 만남』
    김민재 서울: 밥북 [2015]
  • 『머머의 점성학 강의 노트』
    박승열 경기도: 좋은글방 [2012]
  • 『동양천문학』
    전용훈 원광디지털대학교 [2014]
  • 『동양천문사상: 하늘의 역사』
    김일권 서울: (주)상지사(예문서원) [2012]
  • 『네이버 위키백과』: 『우리 모두의 백과사전』
    천상열차분야지도
  • 『나이스 난강망 12운성의 새로운 해석』
    맹기옥 서울: 상원문화사 [2017]
  • 『適天髓徵義』
  • 『窮通寶鑑正設』
    김찬동 편역 경기도: 삼한출판사 [2008]
  • 『白虎通義』「五行論」
  • 『淸史稿』, 「時憲志」,「天文志」
  • 『淮南鴻烈解』, 天文訓
  • 『春秋繁露義證』「五行之義」
  • 『天地瑞祥志』
  • 『國語』, 「周語下」
  • 『周易』, 「繫辭傳」
  • 『Jyotish 인도점성술』
    김상구 서울: 탐구 [2018]
  • 「천문별자리와 수비학적 占星TAROT 운용법 비교연구」
    박경숙 공주대 학교대학원 동양학과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「중국의 28수(宿)와 인도의 28 낙샤트라(Nakshatra) 비교 분석」
    황원철 원광대학교 동양학 연구소 제 8차 정기 학술대회논문집 [2014]
  • 「인도 점성술과 서양 점성술의 비교연구」
    백지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 원 동양학과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이른바 ‘超自然現象’ 硏究의 學問的位相正立可能性에 대한 診 斷」
    정종호 『사회과학방법론』, 서울: 청목출판사, pp.92-127 [2017]
  • 「서양 점성술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에 관한 고찰」
    김명숙 공주대학 교 대학원 역리학과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사주명리학(四柱命理學)의 형충회합(刑沖會合)이론 성립과 적용에 관한 연구」
    김재덕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맹파명리학의 연원과 이론체계에 관한 연구」
    박형규 공주대학교 대학원 동양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기원전 500-100년경 중국에서의 5행성에 대한 이해」
    홍영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공통과학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「고대 중국의 점성학 -그 특성과 중국사상에 대한 영향-」
    이성규 『한 국과학사학회』6권 1호, pp.15-45 [1984]
  • 「紫微斗數硏究」
    오현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동양학과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東洋六壬學과 西洋占星學의 비교 연구 -六壬學의 十二月 將과 西洋占星學의 十二宮(12sign)을 중심으로-」
    강은순 임동호 『韓國思想과 文化』, Vol.73, pp.435-464 [2014]
  • 「四柱學의 歷史와 格局用神論의 變遷過程硏究」
    이용준 京畿大學校國際 文化大學院, 東洋哲學科命理學專攻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命理學의 淵源과 理論體系에 관한 硏究」
    심규철 한국학대학원 교육 윤리 전공 博士學位論文 [2003]
  • 「命理學에 함축된 陰陽五行論에 관한 硏究- 月令을 중심으로-」
    안재옥 東方大學院大學校, 未來豫測學科命理神課專攻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合沖刑害破가 四柱分析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」
    윤훈근 圓光大學校 東洋學大學院, 東洋學科東洋哲學專攻, 碩士學位論文 [2014]
  • 「古代曆法上天文說과 天体運行의 비교 硏究」
    조현철 원광대학교 동양 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十二運星에 關한 硏究」
    이진훈 公州大學校大學院易理學科碩士學位論 文 [2010]
  • 「五行과 臟腑別疾病症狀의 命理學的分析에 관한 硏究」
    서순향 공주대 학교 대학원 동양학과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『子平眞詮』의 刑 沖 會 合論에 關한 硏究」
    장영미 大邱韓醫大學校大 學院東洋思想學科命理學專攻碩士學位論文 [2014]
  • 「MBTI 성격유형과 점성학 성격유형의 관계에 대한 서론적 고 찰」
    최성례 창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“[류동학의 인문명리], 24 절기와 새해 시작점 동지와 입춘설”
    경북일보 - 굿데이 굿뉴스(http://www.kyongbuk.co.kr)
  •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_2psoKO4Uw.
  • https://vijayalur.com/2013/01/28/bhavat-bhavam/.
  •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Zodiac
  • https://blog.naver.com/pds4810/40190533730.
  • https://blog.naver.com/eurasiad/222241180984.
  • 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s/tradmorinus/
    모리누스 프로그램
  • Google App: 하늘도마뱀만세력
    http://forthosewitheyestosee.blogspot.com//07/the-12-zodiac-regions-on-eart h.html [2014]
  • Google App: 원광만세력
    원광디지털대학교
  • Ernst Wilhelm
    칼라프로그램(Kala-Vedic Astrology Software) [2000]
  • EBS방송: 구본권, <비즈니스 리뷰
    인공지능이 뜬다.>
  • 9),「사시(四時) 월령(月令)의 명리학적 수용에 관한 고찰」, 􋺷정신문 화연구』, 제 37권 3호
    김만태 한국학중앙연구원, pp.93-117 [2014]
  • 9), 「육합(六合)의 구조에 의거한 점성학적 상징의 의미 관련성에 대한 고찰」, 『정신과학 천문편』, 공주대학교 정신과학연구소
    김고은 서울:열매출 판사, pp.282-308 [2005]
  • 9), 「우리 역사 속의 천문과학」,『정신과학 천문편』, 공주대학교 정신과학연구소
    박창범 서울: 열매출판사, pp.325-338 [2005]
  • 9), 「십이지(十二支)의 상호작용 관계로서 충(衝) 형(刑)에 관한 근 원 고찰」, 『정신문화연구』, 제 36권 3호
    김만태 한국학중앙연구원, pp.134-164 [2013]
  • 9), 「서양점성학과 사주학」, 『정신과학 천문편』, 공주대학교 정신 과학연구소
    박영창 서울: 열매출판사, pp.235-258 [2005]
  • 8), “A COMPARATIVE STUDY OF CERTAIN CONCEPTS IN C HINESE ASTROLOGY AND VEDANGA JYOTISHA”, Madurai natio nal University, Department of Sanskrit, Majoring in Vedanga Jyotisha
    황원철 A Doctoral dissertation [2013]
  • 7),「인간체질에 따른 보석처방법 비교 연구 -베다 점성학․아유르베 다․음양오행 이론을 중심으로-」
    김가빈 창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 문 [2012]
  • 7), 『인도점성학 2 별의 과학』, 경기도: ㈜부크크
    황원철 (주석안담 [2017]
  • 6), 「고구려 고분벽화의 天文思想특징 -‘三重天文方位標指體系’를 중심으로-」, 『고구려발해연구』第3輯
    김일권 고구려발해학회, pp.93-110 [1997]
  • 5), 『인도점성학 3 이론 적용과 차트 분석』, 경기도: ㈜부크크
    황원철 《論文類》 [2018]
  • 5), 「사주명리학의 형살에 관한 연구」
    박성희 『한국정신과학회』학술대 회논문집, pp.24-42 [2016]
  • 3),「陰陽五行과 干支의 象徵-命理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-」, 􋺷東 洋古典硏究』제42집
    김학목 동양고전학회, pp.295-322 [2011]
  • 3), 『인도점성학 1 빛의 과학』
    황원철 경기도: ㈜부크크 [2017]
  • 3), 「陰陽論으로 본 十二運星의 陰干에 관한 硏究」
    서순향 『공주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동양학시리즈 23』, pp.69-88 [2020]
  • 2), 「풍수지리 성체론과 점성학에 관한 연구 -타로(Tarot)점성학을 중심으로-」
    권재연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풍수지리 전공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12),「董仲舒의 天人合一說과 그 윤리적 함의」
    김상래 『退溪學論叢』第30 輯, pp.275-300 [2017]
  • 12), 「우리 삶 속의 음양오행에 대한 현대적 고찰」, 『동서철학연 구』, 제78호
    김경희 한국동서철학회, pp.195-218 [2015]
  • 12), 「『書經』‘朞三百’의 이해를 위한 天文 曆法의 小考」, 『국내 학술기사
    김동석 민족문화 』, 제 26집, pp.175-222 [2003]
  • 11), 「12지지(十二地支)의 합형충파해(合刑沖破害)에 관한 연구」
    서순향 『공 주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동양학시리즈 24』, pp.1-24 [2020]
  • 10),「十二運星과 陽順陰逆의 상관성에 대하여」, 􋺷東洋學』第65輯
    김계성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院, pp.125-146 [2016]
  • 1),「淮南子에 나타난 陰陽五行論의 특징」, 『東洋學』第58輯
    강성인 檀國 大學校東洋學硏究院, pp.151-172 [2015]
  • 1), 「음양오행론에서 􋺷淮南子􋺸와 􋺷五行大義􋺸의 위상과 상이 점」), 􋺷東洋學』第62輯
    강성인 김만태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院, pp.147-171 [2016]
  • 1), 「고대(古代) 중국(中國)의 28숙(宿)와 12차(次)이론의 기원(起源) - 東洋古典에 보이는 사례분석을 중심으로-」, 『退溪學論叢』
    서정화 第20輯, p p.155-185 [2012]
  • (저), 전용훈 역, 『밀교점성술과 수요경』
    미치오 야노 서울: 동국대학교 출 판부 [2010]
  • (蕭吉)저, 김수길 윤상철 공역, 『오행대의(五行大義)』
    소길 서울: 대유학당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