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랜스장르로 본 영화의 연극적 미장아빔

이효원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트랜스장르로 본 영화의 연극적 미장아빔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문화와 제도
  • Film
  • Metatextuality
  • Mise en Abyme
  • New media
  • Play in the Play
  • Self-reflexivity
  • Transgenre
  • Virtual and Rreality
  • inter-textuality
  • play
  • post modernism
  • 가상과 현실
  • 극중극
  • 뉴 미디어
  • 메타텍스트성
  • 미장아빔
  • 상호 텍스트성
  • 연극
  • 영화
  • 자기반영성
  • 트랜스장르
  • 포스트모더니즘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,538 0

0.0%

' 트랜스장르로 본 영화의 연극적 미장아빔' 의 참고문헌

  • 􎰈호모 글로칼리쿠스􎰉
    박치완 서울: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[2019]
  • 􎰈현대미학 강의-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􎰉
    진중권 경기: 아트북스 [2001]
  • 􎰈현대 영화이론의 모든 것-작가주의부터 상호매체성까지􎰉, 이준서 옮김
    펠릭스, 위르겐 서울: 앨피 [2018]
  • 􎰈하이브리드 컬쳐􎰉
    박영률 서울: 커뮤니케이션북스 [2007]
  • 􎰈하이브리드 시대의 문학􎰉
    김성곤 서울: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[2010]
  • 􎰈퓨전시대의 새로운 문화 읽기􎰉
    김성곤 서울: 문학사상사 [2003]
  • 􎰈포스트모던의 조건􎰉, 유정완 이삼출 민승기 옮김
    리오타르, 장 프랑수아 서 울: 민음사 [1992]
  • 􎰈포스트모더니즘􎰉
    김욱동 서울: 연세대학교출판부 [2009]
  • 􎰈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-수행적인 것의 미학의 성과와 한계􎰉
    김형기 경기: 푸른사상 [2015]
  • 􎰈패로디 이론􎰉, 김상구 윤여복 옮김
    린다 허천 서울: 문예출판사 [1992]
  • 􎰈트랜스컬쳐를 향하여􎰉
    허정아 서울: 연세대학교 출판부 [2006]
  • 􎰈트랜스미디어 시대의 문화산업과 문화상품􎰉
    이건웅 최승호 경기: 북코리아 [2020]
  • 􎰈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􎰉
    류철균 서울;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[2015]
  • 􎰈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􎰉
    서성은 서울: 커뮤니케이션북스 [2018]
  • 􎰈컨버전스 컬처􎰉, 김정희원 김동신 옮김
    젠킨스, 헨리 서울: 비즈앤비즈 [2008]
  • 􎰈인형의 집􎰉, 박정수 옮김
    입센 서울: 청목사 [2001]
  • 􎰈인간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상호문화사회􎰉, 장한업 옮김
    베르분트, 질 경기: 교육과학사 [2012]
  • 􎰈예술로서의 영화􎰉, 송도익 옮김
  • 􎰈영화이론􎰉, 윤종욱 옮김
    앨세서, 토마스 하게너, 말테 서울: 커뮤니케이션북 스 [2013]
  • 􎰈영화의 이해􎰉, 박만준 진기행 옮김
    자네티, 루이스 서울: K-books [2019]
  • 􎰈영화예술􎰉, 주진숙 외 옮김
    보드웰, 데이비드 톰프슨 크리스틴 경기: 지필 미디어 [2011]
  • 􎰈영화란 무엇인가?􎰉, 박상규 옮김
    바쟁, 앙드레 서울: 사문난적 [2013]
  • 􎰈알모도바르 영화􎰉
    전기순 서울: 커뮤니케이션북스 [2011]
  • 􎰈시점􎰉, 김호영 옮김
    마니, 조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[2007]
  • 􎰈미학의 기본 개념사􎰉, 손효주 옮김
    타타르키비츠, W 미술문화 [1999]
  • 􎰈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􎰉, 이지혜 옮김
    카이저, 볼프강 서울: 아 모르문디 [2019]
  • 􎰈미래 이후의 미래􎰉, 조준래 옮김
  • 􎰈무대와 스크린의 만남- 연극의 영화화􎰉
    이형식 서울: 명인문화사 [2013]
  • 􎰈말과 사물􎰉, 이규현 옮김
    푸코, 미셸 서울: 민음사 [2015]
  • 􎰈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이야기 형식, 하이퍼텍스트 서사􎰉
    장노현 서울: 예림 기획 [2005]
  • 􎰈들뢰즈의 시네오시스􎰉, 김형래 옮김
    디머, 데이비드 서울: 연극과인간 [2019]
  • 􎰈데리다&들뢰즈-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􎰉
    박영욱 서울: 김영사 [2009]
  • 􎰈뉴미디어와 스토리두잉􎰉
    신정아 서울: 칠월의숲 [2019]
  • 􎰈공포의 권력􎰉, 서민원 옮김
    크리스테바, 줄리아 서울: 동문선 [2001]
  • 􎰈곤충극장􎰉, 김선형 옮김
    차페크.카렐 경기: 열린책들 [2012]
  • 􎰈How To Read 데리다􎰉, 변성찬 옮김
    도이처, 페넬로페 경기: 웅진지식하우 스 [2005]
  • 「「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」에 있어서 주인공의 교양을 위한 연극 의 기능」, 􎰈괴테연구􎰉, 제5권
    송동준 한국괴테학회 [1993]
  • 「후기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본 영화 이미지의 자기 반조성」, 􎰈예술문 화연구􎰉, 제8권
    허정아 서울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[1998]
  • 「현대시의 ‘미장아빔mise en abyme’ 연구」, 􎰈한국문학과예술􎰉, 제34 권
    이기주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[2020]
  • 「햄릿」, 􎰈셰익스피어 4대 비극􎰉, 강미경 옮김
    셰익스피어 경기: 느낌이 있는 책 [2008]
  • 「한국독립영화에 반영된 영화적 미장아빔 (cinemetic mise-en-aby me) 에 관한 연구」, 􎰈영화연구􎰉, 제64권
    문관규 한국영화학회 [2015]
  • 「퓨전푸드의 문화적 이해」, 􎰈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􎰉, 제16권, 3호
    이교동 한 국식품조리과학회 [2000]
  • 「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미장아빔(Mise-en-Abyme)- 􎰈나의 빨강책􎰉과 김용규, 􎰈혼종문화론􎰉
    김영욱 서울: 소명출판 [2013]
  • 「트랜스미디어의 프레임」, 􎰈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􎰉
    김기홍 HUiNE [2016]
  • 「트랜스미디어에 관한 연구」,
    오승환 이봉희 􎰈기초조형학연구􎰉 제8권, 4호. 한국기초조형학회 [2007]
  • 「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」
    김희경 남정은 􎰈글로벌문화콘텐츠􎰉, 제20권.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[2015]
  • 「트랜스-장르 비평: 􎰈Point Of Contact􎰉와 􎰈차연􎰉 음악 사례를 중심 으로」
    정병욱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지아장커 영화에 나타난 데페이즈망(dépaysement) 층위와 영화적 미장아빔(cinematicmise-en-abyme)의 함의」
    문관규 􎰈아시아영화연구􎰉, 제12 권, 2호 [2019]
  • 「지드의 『위폐범들』과 셰익스피어의 『햄릿』: 미장아빔을 통해서 본 현대적 특성」, 􎰈영미어문학􎰉, 제1권
    최정미 영미어문학회 [2014]
  • 「접두어 ‘trans-’의 인문학적 함의: 탈경계 인문학 Trans-Humanities 연구를 위한 개념 고찰을 중심으로」
    조윤경 탈경계 인문학, 제3권, 3호, 이 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[2010]
  • 「재현의 위기 시대의 메타 담론 연구- 영화의 자기반영 미학을 중심 으로」
    서대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인형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연구」
    김영아 􎰈한국연극학􎰉, 제60권 [2014]
  • 「이미지의 이중성과 복합성: 이미지텔링, 그 이론적 토대 마련을 위 한 시론」, 􎰈비주얼 컬쳐시대의 이해- 아날로그/디지털 이미지의 역할 과 기능􎰉
    박치완 서울: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[2015]
  • 「융합을 통한 네오뉴미디어 시대의 감성 마케팅과 광고」,
    이명희 차태호 􎰈정 보디자인학연구􎰉, 제24권. 한국정보디자인학회 [2015]
  • 「예술작품에서 지시성의 문제- 예술작품 속의 미장아빔 기법과 데리 다의 문제의식」, 􎰈철학논총􎰉, 제76권, 2호
    김종기 새한철학회 [2014]
  • 「영화적 미장아빔과 사공도 <함축> 개념의 동아시아 영화 연구 적용 가능성」, 􎰈영화연구􎰉, 제69권
    문관규 한국영화학회 [2016]
  • 「영화적 개념의 탈영토화와 뉴미디어적 재영토화- 피터 그리너웨이 ((Peter Greenaway) 의 영화작업을 중심으로」, 영화연구, 제53권
    서대정 한 국영화학회 [2012]
  • 「에드워드 본드(Edward Bond) 작품에서 드러나는 ‘그로테스크’의 미 학적 의미」, 􎰈드라마연구􎰉, 제45호
    하형주 한국드라마학회 [2015]
  • 「얀 슈반크마이에르(Jan Svankmajer)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그로테 스크 연구」, 􎰈만화애니메이션 연구􎰉
    조중현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[2000]
  • 「앙드레 지드의 『사전꾼들』에 나타난 소설 미학」, 􎰈프랑스학연구􎰉, 제48권
    권은미 프랑스학회 [2009]
  • 「아쿠타가와 류노스케(芥川竜之介)의 『鼻』- 앙드레 지드의 ‘거울’과 비 교하여」, 􎰈동북아문화연구􎰉, 제35권
    윤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[2013]
  • 「아리스토파네스 희극의 국내 재구성 공연 연구」
    이효원 동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[2017]
  • 「서사학과 문화기호학」, 􎰈한국언어문학􎰉, 제36권
    송효섭 한국언어문학회 [1996]
  • 「생명 이미지로서 표현주의 영화- 질 들뢰즈의 독일 표현주의 영화론 (2)」, 􎰈세계문학비교연구􎰉, 제45권
    김형래 세계문학비교학회 [2013]
  • 「미장아빔으로 배치된 영화 속 의상코드 분석-Lucien D llenbach의 이론과 영화를 중심으로」, 􎰈복식􎰉, 제67권, 1호
    김향자 한국복식학회 [2017]
  • 「미장아빔(Mise en abyme)에 관한 소고」, 􎰈미학 예술학 연구􎰉, 제16 권
    신혜경 한국미학예술학회 [2002]
  • 「미장아빔 내러티브의 매체적 특성 비교-고다르의 영화 〈경멸〉과 모 라비아의 소설 『경멸』」, 􎰈프랑스문화예술연구􎰉, 제63권
    노철환 프랑스문화예 술학회 [2018]
  • 「미자나빔mise en abyme으로 생각하고 표현하기」, 􎰈사고와표현􎰉, 제9권, 3호
    황혜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[2016]
  • 「미자나빔Mise en abyme과 시선의 작용」, 􎰈프랑스문화예술연구􎰉, 제63권
    황혜영 프랑스문화예술학회 [2018]
  • 「문화의 다양성 현상과 연결되는 다섯 용어에 대한 검토 : 혼종문화, 다문화, 상호문화, 크로스문화, 트랜스문화」, 􎰈글로컬창의문화연구􎰉, 제 7권, 1호
    김성수 글로컬창의산업연구 [2018]
  • 「문화산업: 대중 기만으로서의 계 몽」, 􎰈계몽의 변증법-철학적 단상􎰉, 서지상 옮김
  • 「린다 허천의 캐나다 포스트모더니즘-주변부 타자의 문화정치학」, 􎰈문예운동􎰉
    정정호 문예운동사, 제141호 [2019]
  • 「로컬 중심의 대안적 세계화 기획: <세계→지역화.에서 <지역→세계 화>로」, 􎰈인문콘텐츠􎰉, 제58권
    박치완 인문콘텐츠학회 [2020]
  • 「들뢰즈의 시간-이미지와 디지털 미학」, 􎰈현대영화연구􎰉, 제33권
    정헌 한양 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[2018]
  • 「독일어 문화권에서의 줄 인형극 생성사」, 􎰈인문학지􎰉, 제38권
    전경화 충북 대학교 인문학연구소 [2009]
  • 「데이비드 위즈너의 『시간상자』 : 미장아빔을 통한 시각적 시사」, 􎰈기초조형학연구􎰉, 제18권, 3호
    이성엽 한국기초조형학회 [2017]
  • 「근대와 탈근대의 미로- 이상 시의 대칭구조를 중심으로」, 􎰈한국시학 연구􎰉, 제26권
    윤지영 한국시학회 [2009]
  • 「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」, 􎰈어린이문학교육연 구􎰉, 제14권, 2호
    강현미 탁정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[2013]
  • 「괴테의 셰익스피어 수용- 􎰈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􎰉를 중심으로」, 􎰈독일언어문학􎰉, 제26권
    김정자 한국독일언어문학회 [2004]
  • 「공포, 자아, 자기소멸적 글쓰기: 포우의 􎰈어셔 가의 몰락􎰉」, 􎰈미국소 설􎰉, 제14권, 1호
    구은혜 미국소설학회 [2007]
  • 「공연과 영상매체의 상호매체적 발전에 대한 통시적 접근」, 􎰈미디어 와 공연예술연구􎰉, 제11권, 3호
    지혜원 청운대학교 방송 예술 연구소 [2016]
  • 「공소-중계자 장치를 활용한 한국형 미장아빔 대중영화 연구」
    이기형 한국 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[2008]
  • 「공간연구에 대한 퍼스 기호학적 접근」, 􎰈영상문화􎰉, 제25권
    남정현 한국영 상문화학회 [2014]
  • 「곡사 텍스트의 자기반영적 미학 스타일: 미장아빔, 퍼포먼스, 상호텍 스트성」, 􎰈영화연구􎰉, 제44권
    문관규 한국영화학회 [2010]
  • 「‘대중예술’이라는 용어의 문제점- 관념적 모순과 지시대상의 모호성 을 중심으로」, 􎰈언어와 문화􎰉, 제12권, 4호
    이종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[2016]
  • 「‘Trans-Semiosis’와 독서 행위- 􎰈돈키호테􎰉를 중심으로」, 􎰈한국문 학이론과 비평􎰉, 제44권
    최용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[2009]
  • 「[공연리뷰] 포르투갈 댄스 대향연 ‘마주르카 포고’」, 􎰈donA.com􎰉
    김형찬 (검색일자: 2021.04.01.) [2003]
  • 「Vertical memory, horizontal nostalgia: 웹툰과 영화에서 미장아 빔의 방향전환」, 􎰈영상문화􎰉 제19권
    김윤아 한국영상문화학회 [2012]
  • 「Innovation and Accessibility : Towards a Typo logy of Fusion Music in Korea」, 􎰈동양음악􎰉, 제25권
    Sutton, R. A. 조정은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[2003]
  • 현모양처 페르소나, 전복으로써 아브젝시옹 연구
    유지나 􎰈씨네포럼􎰉, 제22 권.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[2015]
  • 파레르곤의 논리; 데리다와 미술
    강우성 􎰈한국영어연구􎰉, 제14권 [2008]
  • 자기표현의 장(場), 거리예술축제에 드러난 몸의 수행성- <2018 서 울거리예술축제>를 중심으로
    이효원 􎰈글로컬창의문화연구􎰉, 제7권, 2호, 글 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[2018]
  • 시간상자
    위즈너. 데이비드 서울: 시공주니어 [2020]
  • 시간 상자를 중심으로
    김성곤 􎰈동화와번역􎰉 제24권. 동화번역연구소 [2012]
  • 사라 룰의 『수난극』에 나타난 미장아빔의 정치성
    우현선 􎰈신영어영문학􎰉, 제74권. 신영어영문학회 [2019]
  • 문화 이론 사전, 박명진 외 옮김
    세즈윅, 피터 에드거, 앤드류 서울: 한나 래출판사 [2012]
  • 무용연극 ‘탄츠테아터’의 현대미학적 의의
    안용규 이승건 􎰈움직임의 철학􎰉, 제16권, 2호. 한국체육철학회 [2008]
  • 『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』, 오세필 구종상 공역
    스탬, 로버트 서울: 한나래 [1998]
  • 『수행성의 미학』, 김정숙 옮김
    에리카 피셔-리히테 서울: 문학과 지성사 [2017]
  • “‘Insect’: Rotterdam Review”
    Ide, W. UK Global screen fund, , (검색일자: 2021.05.02.) [2018]
  • “Players on the stage: Asghar Farhadi’s The Salesman”
    Douglas, J. R. Metro Magazine, Spring , (검색일자: 2021.05.02.) [2017]
  • “Crowdfunding Campaign for Jan Švankmajer’s ‘Insects’ Ends July 6”
    Wolfe, J. (검색일자: 2021.04.16.) [2016]
  • [이화], https://ko.dict.naver.com/…7398091510fc933e38
    (검색일자: 21.03. 28.)
  • [세계 트랜스휴머니스트 선언문], https://blog.naver.com/…/1001456
    검색일자: 20.11.18.) [1972]
  • [베로니카의 이중생활], https://movie.daum.net/moviedb/main?movieId= 1788#none
    (검색일자: 21.01.13.)
  • [Transmedia Intertextuality], https://transmediaresources.fandom.com /… Intertextuality
    (검색일자: 21.02.06.)
  • [Transhumanism],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Transhumanism
    (검 색일자: 21.03.07.)
  • [Speculum sine macula, postmodo: Memling, Madonna, Apple, Mirror], https://artmirrorsart.wordpress.com…mirror/
    검색일자: 21.03.04.)
  • [Reviews The Salesman], https://www.rogerebert.com/reviews/the-sal esman-
    (검색일자: 2021.05.02.) [2017]
  • [Post-postmodernism],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Post-postmoderni sm
    (검색일자: 21.03.10.)
  • [Pedro Almodovar talks about Pina Bausch's influence on his films], https://www.sadlerswells.com/…films/
    (검색일자: 21.02.21.)
  • [Pedro Almod var on Pain and Glory BFI Q&A], https://www.youtub e.com/watch?v=Vc_IHi0Rikk)
    (검색일자: 21.02.08.)
  • [Nouveau Roman],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Nouveau_roman
    (검 색일자: 21.03.07.)
  • [Genre],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Genre
    (검색일자: 21.03.08.)
  • [Bolzano–Weierstrass theorem],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Bolzan o…theorem
    검색일자: 20.12.28.)
  • [Andr Gide], https://www.britannica.com/biography/Andre-Gideref21 3774
    검색일자: 21.03.05.)
  • <한나>(Hannah), 개봉: , 이탈리아
    감독 각본: 안드레아 팔라오로 [2017]
  • <페인 앤 글로리>(Pain And Glory), 개봉: , 스페인
    감독 각본: 페드로 알모도바르 [2019]
  • <시네도키, 뉴욕>(Synecdoche, New York), 개봉: , 미국
    감독 각본: 찰리 카프만 [2008]
  • <세일즈맨>(The Salesman), 개봉: , 이란
    감독 각본: 아쉬가르 파라디 [2016]
  • <베로니카의 이중생활>(원제:Double life of Veronica), 개봉: , 프랑스, 폴란드
    감독 각본: 크쥐시토프 키에슬로브스키 [1991]
  • <벌레>(Insects), 개봉: , 체코
    감독 각본: 얀 슈반크마예르 [2018]
  • <메소드>(Method), 개봉: , 한국, 감독:방은진
    각본: 민예지 방은진 [2017]
  • <그녀에게>(원제: Talk to her), 개봉: 년, 스페인
    감독 각본: 페드로 알 모도바르 [2002]
  • , 􎰈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􎰉, 김웅권 옮김
    데리다, 자크 서울: 동문선 [200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