텍스트 층위에서의 한·중 번역투 분석과 번역 방법 연구

임명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텍스트 층위에서의 한·중 번역투 분석과 번역 방법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495.1802
  • 결속성
  • 번역 방법
  • 번역투
  • 응결성
  • 응집성
  • 텍스트 분석
  • 텍스트 언어학
  • 한중 번역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569 0

0.0%

' 텍스트 층위에서의 한·중 번역투 분석과 번역 방법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「혼합코퍼스에 기반한 한중 접속사 번역 분석」, 중국언어연구 75
    김혜림 한국중국언어학회, 179-204쪽 [2018]
  • 「현대중국어의 주제에 대하여 -담화 기능적 관점에서」, 중국 어문학지 33(0)
    이범열 중국어문학회, 405-431쪽 [2010]
  • 「현대중국어 ‘標記焦點’ 표현요소에 대하여」, 중국어문학논집」 29
    김종호 중국어문학연구회, 133-153쪽 [2004]
  • 「현대 중국어 빈어를 수반한 자동사 구문 ‘NP1Vi了NP2’의 정 보구조에 대한 고찰」, 동아인문학 35
    조은경 동아인문학회, 181-211쪽 [2016]
  • 「현대 번역학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고찰」, 성경원문연구 2 4
    곽성희 대한성서공회, 157-179쪽 [2009]
  • 「할리데이(Halliday)식 접근법을 적용한 중국어 주제부에 대한 시론적 분석」,
    임명 중국언어연구 92. 한국중국언어학회, 239-262쪽 [2021]
  • 「한중번역의 오역사례분석」, 통역과 번역 5-1
    김난미 한국통역번 역학회, 49-73쪽 [2003]
  • 「한중 번역투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접근: 텍스트의 미시구조 를 중심으로」,
    임명 통번역학연구 23(3).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 소, 203-232쪽 [2019]
  • 「한어 한국어 지시사의 대역 문제」, 중국학 9
    백수진 대학중국학 회, 35-54쪽 [1994]
  • 「한어 영조응(零照應) 연구」, 중국어문학 24(1)
    백수진 영남중국 어문학회, 205-229쪽 [1994]
  • 「한국어의 서술성과 영한 번역」, 통번역교육연구 11(3)
    주진국 한 국통번역교육학회, 161-178쪽 [2013]
  • 「한국어의 대조초점 함의 구문에 대한 연구」, 한국어 의미학 44
    전후민 한국어의미학회, 235-261쪽 [2014]
  • 「한국어와 일본어 기사문의 응결장치 분석과 번역 -인물주 제어와 지시어를 중심으로-」, 텍스트언어학 29
    이주리애 한국텍스트언어학 회, 375-400쪽 [2010]
  • 「한국어교재 텍스트의 효율적인 분석 방법론 1: ‘주제부’의 텍 스트 결속 기능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」, 텍스트언어학 10
    이희자 텍스 트언어학회, 107-151쪽 [2001]
  • 「한국어-영어간의 정보배열의 구조적 차이가 동시통역에 끼 치는 영향」
    이창수 논문집 1,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, 1-22쪽 [1997]
  • 「한국어 지시어의 중국어 번역에 대한 분석」, 중국조선어문 3
    박선희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, 63-69쪽 [2018]
  • 「한국어 수업을 위한 TV 자막 활용 방안 연구 -예능 자막의 중국어 오역을 중심으로-」, 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 19(9)
    김민영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, 119-139쪽 [2019]
  • 「한국어 교육을 위한 주제와 초점의 이론적 고찰 -‘은 /는’과 ‘이/가’를 중심으로-」, 국어교육연구 40
    김경은 이선웅 서울대학교 국어교 육연구소, 49-81쪽 [2017]
  • 「한국어 ‘이,그,저’와 중국어 ‘這, 那’의 지시 관계 비교」, 중국 어문학논집 49
    전기정 중국어문학연구회, 283-302쪽 [2008]
  • 「한국 설화문에서의 화제표현의 연속성」, 인지과학, 2(2)
    정희자 한 국인지과학회, 405-428쪽 [1990]
  • 「한 중 지시어 대비에 관한 소고」
    남궁양석 中國學硏究 29), 349-3 65쪽 [2004]
  • 「학부 한영번역에서 주제부 전개방식(Thematic development) 의 사용: 문제 진단 및 전문가 번역과의 비교」, 번역학연구 18(5)
    최경희 한국번역학회, 253-276쪽 [2017]
  • 「텍스트언어학의 주제전개방식과 중한번역」,
    박은숙 중국인문과학 73. 중국인문학회, 125-147쪽 [2019]
  • 「텍스트성을 기준으로 한 노-한 번역 텍스트 분석」, 통번역 학연구 6
    이상원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, 125-144 [2002]
  • 「텍스트성과 번역전환: 중한 번역」, 中國語文學誌 13
    백수진 중국 어문학회, 207-236쪽 [2003]
  • 「텍스트성과 번역전환: 영한번역을 중심으로」, 번역학연구 1 (1)
    곽성희 한국번역학회, 93-117쪽 [2000]
  • 「텍스트 언어학의 의미 분석 모델을 적용한 중한 번역 방법 연구」, 중국언어연구 41
    장재웅 한국중국언어학회, 205-225쪽 [2012]
  • 「텍스트 언어학 기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」, 텍스트언어 학 47
    김정남 한국텍스트언어학회, 11-32쪽 [2019]
  • 「텍스트 사이의 재수용에 대하여」, 텍스트언어학 14
    최형용 한국텍 스트언어학회, 191-217쪽 [2003]
  • 「텍스트 구조 분석 연구: 화제 전개를 중심으로」, 텍스트언어 학 6
    이삼형 한국텍스트언어학회, 207-228 [1999]
  • 「텍스트 구성 표지와 기능」, 독일어문학 88
    조국현 한국어독일어문 학회, 183-203쪽 [2020]
  • 「텍스트 결속성과 중국어 문법 교육」, 중국어문학논집 23
    백수진 중국어문학연구회, 265-292 [2003]
  • 「테마-레마 분절과 번역」, 텍스트언어학 1
    허금회 텍스트언어학회, 59-85쪽 [1994]
  • 「최근 40년간(1980-2019) 중국에서 텍스트 언어학의 연구 현 황과 연구 동향」, 텍스트언어학 47
    신근영 한국텍스트언어학회, 69-91쪽 [2019]
  • 「중한번역에 나타나는 오역의 유형 분석」, 中國學報 47
    백은희 한 국중국학회, 111-131쪽 [2003]
  • 「중한 및 한중 번역 사례로 본 문장 나누기의 전략과 기법」, 통역과 번역 15(2)
    김아영 한국통역번역학회, 39-65쪽 [2013]
  • 「중국어의 정보구조 구현방법에 대한 연구」, 中國語文學誌, 17
    백은희 중국어문학회, 551-573쪽 [2005]
  • 「중국어의 정보 구조 구현 기제와 부정 초점」, 중국언어연구, 29
    조은경 한국중국언어학회, 95-120쪽 [2009]
  • 「중국어의 비한정 주어 출현 현상에 대한 연구」, 中國文學, 47
    백은희 한국중국어문학회, 197-209쪽 [2006]
  • 「중국어의 문장구조는 논리판단의 유형에 의하여 결정되는가?」, 중국언어연구 24
    백은희 한국중국언어학회, 367-387쪽 [2007]
  • 「중국어의 논리 연결 관계 고찰」, 중국어교육과연구 2
    장현주 한국 중국어교육학회, 35-59쪽 [2006]
  • 「중국어와 한국어의 시제/상 표지 대응관계 고찰」, 中國學論 叢 27
    김종혁 한국중국문화학회, 23-39쪽 [2009]
  • 「중국어 어순의 제약원리:'촛점'과 '정보'」, 中國人文科學 1 1
    오종림 중국인문학회, 129-148쪽 [1992]
  • 「중국어 복합문 번역양상 고찰 -문학작품 번역을 대상으로-」, 중국어문학 66(0)
    신지연 영남중국어문학회, 377-399쪽 [2014]
  • 「중국어 경험상 표지 ‘過’의 유형학적 특징과 문법화 과정」, 중 어중문학 73
    백은희 한국중어중문학회, 227-251쪽 [2018]
  • 「중국 소설 번역에 보이는 오역의 원인 및 양상에 관한 연구 중국 소설 《师傅越来越幽默》번역을 중심으로」, 외국학연구 36
    남철진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, 113-146쪽 [2016]
  • 「주제부 전개로 본 텍스트 구성 연구: 텍스트를 단위로 풀어 쓰는 국어지식 이야기 1」, 텍스트언어학 17
    이희자 한국텍스트언어학회, 59-94쪽 [2004]
  • 「주제 전개 모형을 통한 텍스트 유형 분류와 중한 번 역」, 외국학연구 27
    노정은 홍혜원 외국학연구소, 217-235쪽 [2014]
  • 「정보성과 번역전환」, 번역학연구 2(1)
    곽성희 한국번역학회, 77-97쪽 [2001]
  • 「정보구조와 수사구조 층위의 번역등가성 연구 - 독-한/한- 독 번역을 중심으로」, 언어와 언어학 50
    강병창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 구소, 1-30쪽 [2011]
  • 「정보구조상의 화제, 주제와 초점: 독어와 국어의 자료를 중심 으로」, 독일언어문학 46
    이범진 한국독일언어문학회, 167-194쪽 [2009]
  • 「정보구조 중심의 정상 기자회견문 비교 연구」, 통번역학연구 15(1)
    정철자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학연구, 421-440쪽 [2011]
  • 「정보구조 관점에서 본 중국어 관계절 구조의 특징」, 중국언 어연구 92
    백은희 한국중국언어학회, 155-174쪽 [2021]
  • 「정보구조 관점에서 본 선진시기 중국어 논항 구조의 어순」, 언어와 정보 사회, 36
    백은희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, 143-162쪽 [2019]
  • 「일한 번역의 번역투 연구 - 피동표현과 사동표현 번역문을 중심으로」, 일본근대학연구 43
    오경순 한국일본근대학회, 119-138쪽 [2014]
  • 「일한 번역의 번역투 연구 - ‘∼적(的)’의 번역과 번역투를 중심으로」, 日本學報 99
    오경순 한국일본문화학회, 75-92쪽 [2014]
  • 「일한 번역의 번역투 고찰: 텍스트 번역 실험 결과를 중심으로」, 日語日文學硏究 61(1)
    오경순 한국일어일문학회, 235-258쪽 [2007]
  • 「일한 번역의 번역투 고찰: 수동표현 번역문을 중심으로」, 일 본근대학연구 29
    오경순 한국일본근대학회, 163-181쪽 [2010]
  • 「일한 번역과 번역투」, 인간과 문화 연구 19
    오경순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, 87-113쪽 [2011]
  • 「일본 현대소설의 오역사례」, 번역학연구 2
    유우지 호사카 한국번 역학회, 145-166쪽 [2001]
  • 「원문 텍스트 구조 분석에 따른 중한 번역 교육 방법론」,
    금지아 번 역학연구 14(5). 한국번역학회, 43-66쪽 [2013]
  • 「영한번역 품질향상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」, 언어학연구 18 (1)
    김재원 한국언어연구학회, 49-74쪽 [2013]
  • 「영한번역 텍스트의 주제(Topic) 비교 : 정보구조이론을 바 탕으로」, 언어과학 20(1)
    김성옥 한국언어과학회, 1-24쪽 [2013]
  • 「영한 번역의 문제: 주제 전개」, 이중언어학 26
    조인정 이중언어학 회, 329-354쪽 [2004]
  • 「영한 번역에서의 효율적인 번역 교육을 위한 소고」, 번역 학연구 6(1)
    이근희 한국번역학회, 99-119쪽 [2005]
  • 「영한 번역시 발생하는 번역투에 대한 고찰」, 통역과 번역, 11(2)
    김도훈 한국통역번역학회, 3-19쪽 [2009]
  • 「영한 번역 기사문의 응결 장치에 대하여」, 텍스트언 어학 15
    안경화 양명희 한국텍스트언어학회, 199-223쪽 [2003]
  • 「영어의 번역과 오역사례 연구」, 언어학 15(2)
    윤성규 대한언어학 회, 135-164쪽 [2007]
  • 「쓰기 저성취 아동의 텍스트 응집성 분석: 주제부 전개 및 재 수용원리를 중심으로」, 특수아동교육연구 14(3)
    이옥인 한국특수아동학회, 321-338 [2012]
  • 「스페인어 교육학: 서한 번역 평가와 번역투」, 스페인어문학 68
    박소영 한국스페인어문학회, 329-347쪽 [2013]
  • 「소설 텍스트 시제이동의 한 가지 새로운 기능: 김훈의 「남한 산성」을 중심으로-」, 텍스트언어학 28
    김정남 한국텍스트언어학회, 1-22쪽 [2010]
  • 「사역표현의 일한 번역과 번역투」, 일본문화연구 38
    오경순 동아 시아일본학회, 311-329쪽 [2011]
  • 「번역투의 성격 규명을 위한 다차원적 접근: 진단에서 처방까 지」, 번역학연구 8(1)
    김정우 한국번역학회, 61-82쪽 [2007]
  • 「번역투와 번역자투」, 번역학연구 10(2)
    류현주 한국번역학회, 7-22쪽 [2009]
  • 「번역투를 이용한 한영 번역 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실행 연구」, 현대영어교육 15(2)
    표경현 허준 현대영어교육학회, 177-200쪽 [2014]
  • 「번역투 인지가능성과 가독성에 대한 소고」, 통역과 번역, 1 7(1)
    오미형 한국통역번역학회, 65-88쪽 [2015]
  • 「번역투 배제를 위한 교육 수단으로서 시역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」, 통번역교육연구 5(1)
    이미경 한국통번역교육학회, 159-176쪽 [2007]
  • 「번역투 문제 연구의 동향과 과제」, 통번역교육연구 8(2)
    김정우 한국통번역교육학회, 85-106쪽 [2010]
  • 「번역투 다시 보기:코퍼스 분석 사례를 토대로」, 번역학연구 17(1)
    최희경 한국번역학회, 147-169쪽 [2016]
  • 「번역투 관점에서 본 번역 텍스트의 품질 향상 방안」, 번역 학연구 9(4)
    이근희 한국번역학회, 271-289쪽 [2008]
  • 「번역의 자동평가: 기계번역 평가를 인간번역 평가에 적용해 보기」, 통번역학연구 22(4)
    정혜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, 265-2 87쪽 [2018]
  • 「번역의 음영: 창조적 오역인가 단순한 오역인가」, 인문언어 19(1)
    문경환 국제언어인문학회, 129-169쪽 [2017]
  • 「번역에서의 텍스트성 등가를 위한 기고: 응결성 등가를 중심 으로」, 언어와 언어학 59
    이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, 217-240쪽 [2013]
  • 「번역에서의 정보구조 변화 : 방송뉴스 번역을 중심으로」,  국제회의 통역과 번역 6(1)
    이창수 한국국제회의통역학회, 137-153쪽 [2004]
  • 「번역상의 문장경계 바꾸기와 텍스트 응집성의 문제 - 독일 어-한국어 번역에서의 문장 나누기를 중심으로」, 독일문학 49(1)
    강병창 한국독어독문학회, 171-193쪽 [2008]
  • 「번역비평에서 오역지적의 문제」, 번역학연구 16(5)
    이인규 한국번 역학회, 89-112쪽 [2015]
  • 「번역보편소 언어지표와 번역의 자연스러움과의 상관관계 연구」, 통역과 번역 16(1)
    이창수 한국통역번역학회, 129-148쪽 [2014]
  • 「번역 및 비번역 영어 관광 안내문의 주제 전개 방식 비교 연구」, 통역과 번역 16(3)
    이창수 한국통역번역학회, 127-145쪽 [2014]
  • 「목적(skopos)에 따른 텍스트 내적 요소(intratextual factors) 의 변화 - 자기계발서 중심으로」, 통번역학연구 14(1)
    김순미 한국외국어 대학교 통번역연구소, 1-30쪽 [2010]
  • 「말뭉치를 활용한 ‘by’의 번역투 연구」, 동화와 번역 10
    이근희 건국대학교 GLOCAL(글로컬)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, 7-46쪽 [2005]
  • 「독일어 ‘주제화’ 문장의 정보구조와 텍스트 응집성」, 독어학 11
    강병창 한국독어학회, 113-133쪽 [2005]
  • 「대용 표현」, 국어학 60
    김광희 국어학회, 360-388쪽 [2011]
  • 「담화적 절차로서의 주제화(Thematisation)에 관하여」, 언어 과학 12(3)
    이정수 한국언어과학회, 82-98쪽 [2005]
  • 「논증 텍스트에서의 '그러나'의 주제 전개 기능」, 텍스트언어 학 16
    신지연 한국텍스트언어학회, 41-63쪽 [2004]
  • 「논문 : 표준중국어 초점 실현에 관한 연구 -음향적 초점 표 지와 초점 표지 시(是)를 중심으로」, 中國語文學誌 23
    이옥주 중국어문학 회, 253-276쪽 [2007]
  • 「기능주의적 번역이론에서 본 우리나라 관광안내 사이트 번역 의 실태 연구」
    이창수 통역과 번역 5(2), 101-126쪽 [2003]
  • 「국어의 어순과 초점에 대하여」, 우리말연구 1
    정재형 우리말학회, 275-289 [1991]
  • 「국어의 '주제부/설명부' 구조 연구 -'텍스트' 의 구성 성분으 로서의 '발화문' 과 '발화문' 의 구성 성분으로서의 '주제부/설명부'」, 국어학 24
    이희자 국어학회, 319-351쪽 [1994]
  • 「국어의 '주제-설명' 구조」, 언어연구 3
    김일웅 부산대학교 어학연 구소, 95-118쪽 [1980]
  • 「국어교육 : 화제-초점 중심의 텍스트 구조 유형화에 대한 고 찰 -설득 텍스트를 중심으로」, 새국어교육 87
    오현아 한국국어교욱학회, 1 65-194쪽 [2011]
  • 「국어 대명사의 품사론」, 한국어학 38
    신지연 한국어학회, 33-56쪽 [2008]
  • 「국어 담화의 연결 표지-완형 표현의 반복」, 담화와 인지 1 3(2)
    이기갑 담화 인지언어학회, 133-158쪽 [2006]
  • 「구어체 텍스트의 응결 장치 연구 : 토론 텍스트를 중심으 로」, 한국어교육 12(2)
    안경화 국제한국어교육학회, 137-157쪽 [2001]
  • 「구어와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응 결장치 연구」, 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
    이민경 국제한국 어교육학회, 190-204쪽 [2016]
  • 「관계절 구문의 정보구조와 정보흐름 재현 전략」, 번역학연구 8(2)
    진실로 한국번역학회, 193-216쪽 [2007]
  • 「韩国语和汉语现在时的表达特点及翻译方法」, 한중인문 학연구 54
    방향 이철근 한중인문학회, 253-278쪽 [2017]
  • 「韓 중 통번역에 있어서의 복합문 운용에 대한 오류분석: 한 국어의 이어딘 문장과 중국어의 복합문의 비교를 중심으로」, 중국어 문학논집 23
    김진아 중국언어학연구회, 293-316쪽 [2003]
  • 「現代漢語語氣副詞的分布與句子信息結構的關系探討」, 중국언 어연구 72
    송소맹 한국중국언어학회, 219-244쪽 [2017]
  • 「漢語的名詞照應, 人稱代詞照應與零形照應: 以與韓國語的比較 爲中心」, 中國文學 70
    두염빙 한국중국어문학회, 395-413쪽 [2012]
  • 「汉韩公文语篇的衔接与连贯对比研究」
    李佳朋 신근영 중국어문학 0 (85), 213-256쪽 [2020]
  • 「敍事體語篇中主語省略情況的硏究」, 中國文學, 64
    두염빙 한국중국 어문학회, 311-327쪽 [2010]
  • 「主語位置的指人名詞先行語的照應方式硏究」, 中國文學 74
    두염빙 한국중국어문학회, 327-345쪽 [2013]
  • 「‘연(連)…도(都)/야(也)’ 구문의 정보구조 분석」, 中國學報, 49
    백은희 한국중국학회, 3-16쪽 [2004]
  • 「‘그러하-’의 지시와 대용 그리고, 그 역사」, 언어 19(2)
    이기갑 한 국언어학회, 455-488쪽 [1994]
  • 현대중국어의 담화화용론
    이범열 서울: 한국문화사 [2012]
  • 현대 중국어 어순의 정보구조와 초점
    남궁양석 파주: 한국학술정보 [2008]
  • 현대 중국어 焦點연구
    정동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해질 무렵
    황석영 파주: 문학동네 [2015]
  • 한중 주어 번역 연구
    주선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21]
  • 한중 번역 소설의 연결 표지 명시화 연구
    웨이잉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한국어 학습자의 텍스트 응집성 연구
    박수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2017]
  • 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
    박철우 서울: 역락 [2003]
  • 한국어 정보구조 연구
    최윤지 파주: 태학사 [2019]
  • 한국어 담화, 텍스트론
    박영순 서울: 한국문화사 [2004]
  • 한국어 교육 문법의 시간 표현 연구
    김호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2006]
  • 한국 대학생들의 영-한 번역 오류 분석과 전략, 창원대학 교
    이혜선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한국 담화에 나타나는 생략현상 대조연구
    윤경애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[2002]
  • 한 중 기계 번역에서의 주어 생략 구문 연구
    신박 한국외국어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[2021]
  • 통번역의 이해와 수행
    남성우 서울: 한국문화사 [2016]
  • 텍스트언어학의 이해 - 언어학적 텍스트분석의 기본 개념과 방법,
    이성만 서울: 한국문화사. (Brinker, K.(1985). Linguistische Textanalyse : eine Einfuehrung in Grundbegriffe und Methoden.) [1994]
  • 텍스트언어학의 이론과 실제
    이석규 서울: 박이정 [2001]
  • 텍스트과학
    고영근 파주: 집문당 [2011]
  • 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작문 텍스트의 주제부 연구
    김미정 연 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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모국어 영 향 연구
    제효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중국 국제 정치 연설문의 텍스트 구조 연구
    김선경 이화여자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주제부를 이루는 관형어의 텍스트 응집 기능 연구
    김은주 경인교 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제대로된 통역 번역의 이해
    정호정 서울: 한국문화사 [2008]
  • 우리말답게 번역하기
    이석규 서울: 역락 [2002]
  • 우리말 문법론
    고영근 구본관 파주: 집문당 [2018]
  • 우리말 문법, 그 총체적 모습
    고영근 파주: 집문당 [2018]
  • 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담화 화영 연구
    이해영 서울: 한국문 화사 [2018]
  • 영한 번역에서의 '번역투' 연구
    이근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5]
  • 언어유형론 3
    송경안 이기갑 월인 [2008]
  • 언어유형론 2
    송경안 이기갑 월인 [2008]
  • 언어유형론 1
    송경안 이기갑 월인 [2008]
  • 어린이 신문 보도기사의 텍스트 특성 연구
    장은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생략과 대용 현상
    한재현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81]
  • 번역투를 이용한 한영 번역 방법에 관한 실행연구
    허준 단국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번역과 언어: 언어학을 통해 살펴본 번역의 이론과 실제,
    김도훈 서 울: 한국문화사. (Fawcett, P.(1997) .Translation and Language: Linguistic Theories Explained.) [2010]
  • 동화 텍스트의 주제부 연구,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. 서정수(2013), 국어문법
    서옥희 서울: 집문당 [2006]
  • 담화와 문법
    정희자 서울: 한국문화사 [2008]
  • 난 유리로 만든 배를 타고 낯선 바다를 떠도네
    전경린 서울: 생각 의 나무 [2001]
  • 국어 담화 문법
    이기갑 파주: 태학사 [2015]
  • 객지: 황석영 중단편전집
    황석영 서울: 창작과 비평사 [2000]
  • 韓國語와 中國語談話의 結束裝置對比硏究: 完形表現 의 反復과 代用表現을 中心으로
    류샤오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0]
  • 9번의 일
    김혜진 서울: 한겨레출판사 [2019]
  • 한국민속촌 관광안내 책자
  • 한국관광공사
    www.visitkorea.or.kr
  • 파주 관광 안내 책자
  • 텍스트언어학의 입장에서 고찰한 ‘번역투’(飜譯套)의 규명을 위한 연구: 귄터 그라스의 ‘양철북’(Die Blechtrommel)과 한국어 번역 본을 중심으로
    박여성 텍스트언어학 14, 한국텍스트언어학회, 243–93쪽. [2003]
  • 텍스트언어학과 언어교육
    이성만 텍스트언어학 41. 한국텍스트언 어학회, 175-198쪽 [2016]
  • 텍스트언어학 입문
    백설자 서울: 역락. (Heinemann, W. & Viehweger, D.(1991). Textlinguistik:eine Einf hrung.) [2001]
  • 중국어 인쇄광고 텍스트의 결속구조 연구
    홍경아 중국언어연구 22. 한국중국언어학회, 297-328쪽 [2006]
  • 주제부를 통해서 본 텍스트 결속성에 대한 연 구
    고우브꼬바 베로니까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3]
  • 정보 구조와 문장 형식: 주제, 초점, 담화 지시물의 심 적 표상
    고석주 Information structure and sentence form: topic, focus,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s of discourse referents.) [2000]
  • 전주 여행지도
    전라북도 전주
  •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
    배수아 서울: 문학과지성사 [2003]
  • 인천광역시 시청
    www.incheon.go.kr
  • 의릉 관람정보
    문화재청
  • 월드컵공원 안내 책자
  • 울산광역시 시청
    www.ulsan.go.kr
  • 역, 텍스트언어학 입문,
    김태옥 이현호 서울: 한신문화사. (Beaugrande, R.& Dressler, D.(1981).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) [1995]
  • 역, 텍스트언어학 개론, 서울: 한국문화사. (Dressler, W.(1973)
    이재원 Einf hrung in die Textlinguistik.) [2004]
  • 역, 텍스트로서의 번역, 서울: 동인. (Neubert, A. & Shreve, G.(2000)
    주진국 Translation as Text.) [2013]
  • 역, 번역학 입문: 이론과 적용
    남원준 정연일 서울: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.(Munday, J.(2001),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: theorie s & applications.) [2006]
  • 서울특별시 시청
    www.seoul.go.kr
  • 서울특별시 시민청 안내 책자
  • 서울 공식 관광가이드북
  • 부산광역시 시청
    www.busan.go.kr
  • 범죄소설에 사용된 외국어의 번역전략 :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
    원은하 진실로 한국통번역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 2020(1), 7-13쪽 [2020]
  • 번역이론 입문
    임우영 서울: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사. (Stolze, R.(2005), bersetzungstheorien: eine Einf hrung.) [2011]
  • 문화재청
    www.cha.go.kr
  • 말 바꾸기
    곽은주 서울: 한국문화사. (Baker, M.(1992), In Other Words – A coursebook on translation.) [2005]
  • 동구릉 관람정보
    문화재청
  • 대조언어학
    김선정 허용 안양: 소통 [2016]
  • 대전광역시 시청
    www.daejeon.go.kr
  • 대구광역시 시청
    www.daegu.go.kr
  • 담화의 정보흐름에 기초한 영한번역 전략
    진실로 세종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2007]
  • 담화와 번역가
    최진실 서울: 동인. (Hatim, B. & Mason, I.(1990). Discourse and the translator.) [2011]
  • 남대문구 DDP 종합안내도
  • 국어 문법론
    권재일 파주: 태학사. [2012]
  • 국립고궁박물관 관람안내 책자
  • 국립고궁박물관
    www.gogung.go.kr
  • 광한루원 관광안내 책자
  • 광주광역시 시청
    www.gwangju.go.kr
  • 黄国文(2001), 语篇分析的理论与实践——广告语篇研究, 上海: 上海外语教育 出版社.
  • 魏义祯(2012), 朝、汉回指对比研究, 北京语言大学博士学位论文.
  • 高宁慧(1996), 「留学生的代词偏误与代词在篇章中的使用原则」, 世界汉语教学 2, 61-71页.
  • 马红军(2003), 「为赛珍珠的“误译“正名」, 四川外语学院学报 3, 122-126页.
  • 韓國學生漢語代詞照應偏誤分析
    김유정 초해강 중국어문학지 30, 중국어문학회, 235-246쪽. [2009]
  • 陈葆(2005), 「语篇功能中主述位结构与信息结构的关系」, 外语教学 4, 40-42页.
  • 陈昌来(1989), 「谈名词性独语句的特点及语用价值」, 烟台师范学院学报(哲学 社会科学版 1, 26-32页.
  • 陈慧娟(2008), 「论第一人称叙述视角的特性」, 天津社会科学 6, 110-112页.
  • 陆俭明(2004), 「有关被动句的几个问题」, 汉语学报 2, 9-15+95.
  • 陆俭明(2003), 现代汉语语法研究教程, 北京: 北京大学出版社.
  • 钟书能(2016), 「话题链在汉英篇章翻译中的统摄作用」, 外语教学理论与实践 1, 85-91+58页.
  • 金莉娜(2014), 「韩汉语篇的主位结构与信息结构对比分析」, 延边大学学报(社 会科学版) 3, 37-42页.
  • 金莉娜(2011), 韩(朝)汉语篇结构标记对比研究, 延边大学博士学位论文.
  • 郑贵友(2002), 汉语篇章语言学, 北京: 外文出版社.
  • 郑贵友(2000), 「汉语句子实义切分的宏观原则与主位的确定」, 语言教学与研究 4, 18-24页.
  • 邹静(2014), 「韩语的时态范畴和汉语的时态范畴的对比」, 理论与实践 7, 13页.
  • 谢天振(1994), 「误译:不同文化的误解与误释」, 中国比较文学 1, 121-132页.
  • 许善玉(2007), 语篇语言学在中译韩实践中的运用, 对外经济贸易大学硕士学 位论文.
  • 许余龙(2002), 对比语言学, 上海: 上海外语教育出版社.
  • 袁玺(2013), 基于语篇语言学理论的韩中翻译实践报告——以《职场神功》翻 译为中心, 烟台大学硕士学位论文.
  • 范开泰(1985), 「语用分析说略」, 中国语文 6. 11-16页.
  • 苑英奕译(2010), 客地, 北京: 人民文学出版社.
  • 胡曙中(2012), 语篇语言学导论, 上海:上海外语教育出版社.
  • 胡晓燕(2011), 「论叙事语篇中的信息结构及焦点结构」, 合肥师范学院学报 5, 96-103页.
  • 胡壮麟(2018), 新编语篇的衔接与连贯, 上海: 华东师范大学出版社.
  • 胡壮麟(2005), 系统功能语言学概论, 北京: 北京大学出版社.
  • 胡壮麟(1994), 语篇的衔接与连贯, 上海:上海外语教育出版社.
  • 肖奚强(2001), 「外国学生照应偏误分析」, 汉语学习 1, 50-54页.
  • 罗钢(1995), 「叙述视角的转换及其语言信号」, 北京师范大学学报(社会科学版) 1, 27-35页.
  • 罗虹(2009), 「以主述位结构作为英-汉语篇翻译单位探析」, 当代教育理论与实 践 1(2), 157-159页.
  • 石毓智(2001), 「汉语的主语与话题之辨」, 语言研究 2, 82-91页.
  • 白立平(1999), 「文化误读与误译」, 外语与外语教学 1, 50-52页.
  • 現代中國語意味焦點硏究
    진준화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王雪(2012), 「从主位结构角度对比分析《格列佛游记》原本及其简写本」, 长春 理工大学学报, 7(2), 74-75页.
  • 王红阳(2009), 「汉英话题标记使用频率的对比研究」, 西安外国语大学学报 17 (1), 16-20页.
  • 王红阳(2008), 「翻译中的语篇功能对等研究」, 中国翻译 3, 55-59+96页.
  • 王琳(2008), 「基于视点理论的语篇连贯研究」, 牡丹江教育学院学报 4, 38-39页.
  • 王玉霓(1999), 「从误译看语境在翻译中的作用」, 中国翻译 1, 18-20页.
  • 王灿龙(1999), 现代汉语照应系统研究, 中国社会科学院博士学位论文 王红旗(2010), 「“是”字句的话语功能」, 语文研究 3, 11-18页.
  • 王卫新(2004), 「语篇视点与翻译策略」, 外语学刊 5, 82-86页.
  • 牛新生(2013), 「关于旅游景点名称翻译的文化反思——兼论旅游景点翻译的规范 化研究」, 中国翻译 3, 99-104页.
  • 熊沐清(2001), 「论语篇视点」, 外语教学与研究 1, 21-28+79页.
  • 熊仲儒(2003), 「汉语被动句句法结构分析」, 当代语言学 3, 206-221+285页.
  • 沈开木(1996), 现代汉语话语语言学, 北京: 商务印书馆.
  • 梁晓声(2017), 人世间, 北京: 青年文学出版社.
  • 柳英绿(2000), 「韩汉语被动句对比——韩国留学生“被”动句偏误分析」, 汉语学 习 6, 33-38页.
  • 杨一飞(2011), 语篇中的连接手段, 复旦大学博士学位论文.
  • 李运兴(2002), 「“主位”概念在翻译研究中的应用」, 外语与外语教学 160(7), 19-22+56页
  • 李运兴(2001), 语篇翻译引论, 北京: 中国对外翻译出版公司.
  • 李文戈(2016), 语篇对比与翻译研究, 北京: 科技出版社.
  • 李宗江(2004), 「汉语被动句的语义特征及其认知解释」, 解放军外国语学院学报 6, 7-11页.
  • 李国庆(2003), 「主位功能与语篇理解」, 外语学刊 4, 23-26页.
  • 李健(2017), 文学语篇翻译的多维研究, 长春: 东北师范大学出版社.
  • 朴恩淑(2012), 中韩语篇对比与翻译研究, 复旦大学博士学位论文.
  • 朱永生(1995), 「主位推进模式与语篇分析」, 外语教学与研究 3, 6-12+80页.
  • 朱德熙(1980), 现代汉语语法研究, 北京: 商务印书馆.
  • 曹秀玲(2000), 「韩国留学生汉语语篇指称现象考察」, 世界汉语教学 4, 77-83页.
  • 方琰(2019), 「试论汉语的话题主位」, 当代修辞学 2, 11-27页.
  • 方琰(1989), 「试论汉语的主位述位结构——兼与英语的主位述位相比较」, 清华 大学学报(哲学社会科学版) 2, 66-72页.
  • 方梅(2019), 汉语篇章语法研究, 北京: 社会科学文献出版社.
  • 方梅(1995), 「汉语对比焦点的句法表现手段」, 中国语文 4, 279-288页.
  • 徐赳赳(2010), 汉语篇章语言学, 北京: 商务印书馆.
  • 彭宣维(2005), 「语篇主题链系统」, 外语研究 4, 6-13页.
  • 彭宣维(2003), 「语篇主题模式述评」, 外语与外语教学 3, 7-11页.
  • 彭宣维(1999), 「语篇主题类别」, 重庆大学学报(社会科学版) 1, 57-61页.
  • 张豫峰(2006), 「关于汉语句子焦点问题的两点思考」, 中州学刊 2, 245-247页.
  • 张豫峰(1999), 「“有”字句的语用研究」, 河南大学学报(社会科学版) 3, 22-26页.
  • 张德禄(2012), 语篇分析理论的发展及应用, 北京: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.
  • 张德禄(2000), 「论语篇连贯」, 外语教学与研究 2, 103-109页.
  • 张和友(2006), 「聚焦式“是”字句的句法、语义特点」, 语言教学与研究 1, 42-50页.
  • 张健(2003), 「汉语新词误译现象剖析」, 上海科技翻译 2, 39-44页.
  • 张云徽(1995), 「“特别是”浅析」, 云南教育学院学报 6, 91-93页.
  • 屈承熹(2018), 「汉语篇章句及其灵活性——从话题链说起」, 当代修辞学 2, 1 -22页.
  • 封宗信(2006), 「文学翻译中的元语言问题研究」, 解放军外国语学院学报 4, 62 -66页.
  • 封宗信(2005), 「语言学的元语言及其研究现状」, 外语教学与研究 6, 5-12+82页.
  • 宋雅智(2008), 「主位-述位及语篇功能」, 外语学刊 4, 85-87页.
  • 孙鹤云译(2016), 星期天日式火锅餐厅, 上海: 上海译文出版社.
  • 孙路(2011), 「试析广告作品的叙事人称」, 文学界(理论版) 2, 214-215页.
  • 孙德金(2010), 「现代汉语书面语中的代词“其”」, 语言教学与研究 02, 55-62页.
  • 孙坤(2015), 「汉语话题链范畴、结构与篇章功能」, 语言教学与研究 5, 72-82页.
  • 姜志英(1986), 「浅谈独语句的修辞功能」, 当代修辞学 4, 37-38页.
  • 唐淑华(2021), 「论话语视点的“视点”」, 外语教学与研究 2 ,188-200+318页.
  • 唐淑华(2013), 「论话语的“视点紊乱”」, 外国语文 4, 91-95页.
  • 周洪波(1992), 「表判断“是”字句的语义类型」, 安徽教育学院学报(社会科学版) 4, 51-55页.
  • 南京博物院(난징박물원)
    www.njmuseum.com/zh
  • 劲松(2004), 「被字句的偏误和规范」, 汉语学习 1, 26-32页.
  • 刘庆元(2005), 语篇与翻译, 长沙: 中南大学出版社.
  • 刘宓庆(2012), 新编当代翻译理论(第二版), 北京: 中国对外翻译出版有限公司.
  • 刘丽艳, 「浅谈韩国语中话语标记的汉译问题」
    중국인문과학 43, 125- 140页 [2009]
  • 中国故宫博物院(중국고궁박물원)
    www.dpm.org.cn
  • 『텍스트언어학의 이해』
  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서울: 박이정 [2004]
  • “외국인 유학생의 구두 발표와 보고서에 나타난 응결 장치 비교”
    이정란 한국언어문화학 8(2).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, 165-184쪽 [2011]
  • Some Remarks on the Thematic-Rhematic Structure of the Korean Sentences.
    Huszcza, R. 아시아연구. XXII No.1 [1970]
  • (林娟廷), 「任務型教學法在初級對外漢語“了”、“著”、“過”教學的 應用探索」
    임연정 중국어문학논집 70, 155-173쪽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