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어 의문사의 사용 양상 연구 : 한국어교육을 위한 의문사 구성을 중심으로

김진희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한국어 의문사의 사용 양상 연구 : 한국어교육을 위한 의문사 구성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Balanced corpus
  • Combination expressions with interrogative words
  • Discourse function
  • Korean Grammar Teaching
  • Korean Interrogative words
  • Semantic function
  • Usage patterns
  • 균형 말뭉치
  • 담화 기능
  • 사용 양상
  • 의문사 구성
  • 의미기능
  • 한국어 의문사
  • 한국어문법교육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51 0

0.0%

' 한국어 의문사의 사용 양상 연구 : 한국어교육을 위한 의문사 구성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「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」
    조남호 국립국어원 [2003]
  • 현대 국어 의문사의 문법과 의미
    이은섭 태학사 [2005]
  • 한길, “한국어 반어법의 실현방법”, 『인문과학연구』 제13권, 1-35쪽
    한길 강원대학 교 인문과학연구소 [2005]
  •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
    원미진 『한국사전학』,제15권, 194-219쪽, 한국사전학회 [2010]
  • 한국어 초급 Ⅱ.김중섭 외
    경희대학교 출판국
  • 한국어 초급 Ⅰ. 김중섭 외
    경희대학교 출판국
  • 한국어 중급 Ⅱ. 김중섭 외
    경희대학교 출판국
  • 한국어 중급 Ⅰ. 김중섭 외
    경희대학교 출판국
  • 한국어 의문사의 사용 양상 연구 : 한국어교육을 위한 의문사 구성을 중심으로
    조성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한국어 의문사 의문문과 예-아니오 의문문의 의미 구별에 관여하는음향 자질
    민광준 『음성과학』, 제4권 1호, 35-46쪽, 한국음성과학회 [1998]
  •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의 방향 모색
    원미진 『한국어교육』, 제22권 2호, 255-279쪽,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11]
  •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
    이미혜 박이정 [2005]
  •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‘표현항목’ 설정에 대한 연구
    이미혜 『한국어 교육』 제13권 2호,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02]
  •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방향
    강현화 『국어교육연구』 제18권, 31-60쪽, 서울대학교 국어연구소 [2006]
  • 한국어 담화표지의 특징연구
    전영옥 『화법연구』, 제4권, 한국화법학회 [2002]
  • 한국어 담화표지어 어디의 화용분석
    이한규 『우리말글』 제44권, 83-111쪽, 우리말글학회 [2008]
  • 한국어 담화표지어 ‘왜’
    이한규 『담화와 인지』, 제4권 1호, 1-20쪽, 담화인 지언어학회 [1997]
  • 한국어 담화표지어 ‘뭐’의 의미
    이한규 『담화와 인지』, 제6권 1호. 담화인 지언어학회 [1999]
  •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형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
    석주연 『한국어 교육』 제16권 1호, 169-194쪽,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05]
  • 한국어 고급 Ⅱ. 김중섭 외
    경희대학교 출판국
  • 한국어 고급 Ⅰ. 김중섭 외
    경희대학교 출판국
  • 한국어 6.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
    연세대학교 출판부
  • 한국어 5.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
    연세대학교 출판부
  • 한국어 4.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
    연세대학교 출판부
  • 한국어 3.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
    연세대학교 출판부
  • 한국어 2.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
    연세대학교 출판부
  • 한국어 1.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
    연세대학교 출판부
  • 표준국어문법론(개정판)
   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[1993]
  • 코퍼스를 이용한 부사의 어휘 교육 방안 연구
    강현화 『이중언어학』 제17권 1호. 57-75쪽, 이중언어학회 [2000]
  • 최명선(2007), “한국어 불평․응답 화행의 양상과 교육방안 연구-한국인 모어 화자와
    최명선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. [2007]
  • 중국인학습자들의 한국어 의문사의문문과 부정사의문문에 대한 한국어원어민 화자의 지각양상
    윤영숙 『말소리와 음성과학』, 제6권 4호, 37-45쪽, 한국음성학회 [2014]
  • 조사와 활용형의 범주통용 - ‘이’계 형식을 대상으로 -
    이정훈 『국어학』, 제45 호, 145-175쪽, 국어학회 [2005]
  • 재미있는 한국어6,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
    교보문고
  • 재미있는 한국어5,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
    교보문고
  • 재미있는 한국어4,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
    교보문고
  • 재미있는 한국어3,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
    교보문고
  • 재미있는 한국어2,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
    교보문고
  • 재미있는 한국어1,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
    교보문고
  • 장미라, “한국어 의문․부정 관형사의 사용 양상과 교육 내용 선정에 관한 연구 -‘어느’, ‘어떤’, ‘무슨’을 중심으로-”, 『語文學』 제142권, 473-504쪽
    장미라 한국어문학회 [2018]
  •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의문문 억양 연구-의문사 있는 ‘네/아니요의문문'을 중심으로-
    김종덕 『언어사실과 관점』, 제24권, 69-99쪽, 연세 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[2009]
  • 이화한국어6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화한국어5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화한국어4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화한국어3-2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화한국어3-1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화한국어2-2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화한국어2-1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화한국어1-2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화한국어1-1,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지음
    EPRESS
  • 이민선, “기능에 기반을 둔 문법 항목 교수 방안 연구 - 초급 단계의 종결표현 을 중심으로 -”, 『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』 제29호, 147-180쪽
    이민선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[2004]
  • 의문사와 부정사의 의미와 용법
    이규호 『국어학』, 제82호, 153-180쪽, 국어 학회 [2017]
  • 유나, “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"어디"에 대한 연구 -한, 중 화용 기능의 대조를 중심으로“, 『새국어교육』, 제103권, 283-309쪽
    유나 『새국어교육』, 제103권, 283-309쪽. 한국국어교육 학회 [2015]
  • 연어 관계를 이용한 어휘교육 방안 -유표적 척도 형용사 부류의 코퍼스 분석을 중심으로-
    강현화 『언어와 문화』 제4권 제1호, 45-60쪽, 한국언 어문화교육학회 [2008]
  • 소일나, “한국어 의문 관형사 ‘무슨’,‘어떤’,‘어느’ 사용 양상 분석”
    소일나 한국외 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박기선, “‘어느’와 ‘어떤’의 사용 의미 연구”, 『한국어의미학』, 제36권, 149-180 쪽
    박기선 『한국어의미학』, 제36권, 149-180 쪽, 한국어의미학회 [2011]
  • 미즈시마 히로코, “한국어 불평 화행의 중간언어적 연구”
  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[2003]
  • 담화표지 ‘어디’에 대하여
    구종남 『언어학』, 제7호, 217-234쪽, 대한언어학 회 [1999]
  • 담화표지 ‘뭐’의 문법화와 담화기능
    구종남 『국어문학』, 제35권, 5-32쪽. 국어문학회 [2000]
  • 담화 기능에 따른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
    강현화 한글파크 [2017]
  • 국어형태론연구
    고영근 서울대학교출판부 [1999]
  • 국어문법
    서정수 집문당 [2013]
  • 국어 의문사의 의미분석. 『언어』 제12권 제1호, 104-129쪽
    고성환 한국언어 학회 [1987]
  • 국어 의문사 어휘의 실제적 용법 연구
    장소원 『언어』 제23권 4호, 691-708 쪽, 한국언어학회 [1998]
  • 국어 의문사 ‘뭐’의 의미분석
    정윤희 『겨레어문학』, 제35권, 109-131쪽, 겨레어문학회 [2005]
  • 국어 의문사 '무슨'의 담화표지 기능
    김명희 『담화와인지』제13권 2호, 21-42쪽, 담화인지언어학회 [2006]
  • 국어 의문문의 의미 기능 연구
    박종갑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1987]
  • 국어 담화표지 ‘인자’에 대한 연구
    임규홍 『담화와 인지』 제2권. 담화인지 언어학회 [1996]
  • 국립국어원,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2
    커뮤니케이션북스 [2005]
  • 국립국어원, 『표준국어대사전』, 두산동아
    URL: https://stdict.korean.go.kr/search/searchView.do [1999]
  • 구어와 담화 연구
    전영옥 『한국어학』, 제45권, 45-93쪽, 한국어학회 [2009]
  • 『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』
    조남호 국립국어원 [2002]
  • 『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』
    김중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[2009]
  • 『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』
    김중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[2010]
  • 『한국어 통어론』
    김승곤 건국대학교 출판부 [1991]
  • 『우리옛말본』
    허웅 샘문화사 [1975]
  • 『영어와 한국어의 담화전략적 의사의문구문(擬似疑問構文)으로부터 화 용표지로의 문법화』
    이성하 한국연구재단 [2013]
  • 『국어학』
    허웅 샘문화사 [1983]
  • 『국어표현의 화용론적 연구』
    이종철 역락출판사 [2004]
  • 『국어정보학 입문』
    서상규 한영균 태학사 [1999]
  • 『국어의 의문사와 부정사 연구』
    김충효 박이정 [2000]
  • 『국어문법론Ⅰ』
    임홍빈 장소원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부 [1995]
  • 『국어문법(수정증보판)』
    서정수 한양대학교 출판원 [1996]
  • 『국어 의문문의 연구』
    서정목 탑출판사 [1987]
  • 「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2」
    김한샘 국립국어원 [2005]
  • 「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」
    강현화 한송화 『한국어교육』 제15권 제3호,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04]
  • “화용론적 관점에서 본 의문문 교육 연구 -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문 문을 중심으로-”
    이준호 『한국어교육』, 제18권 2호, 281-306쪽,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[2008]
  • “현대 국어 의문사 연구”
    이은섭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3]
  • “현대 국어 관용구 결합 관계 고찰”
    이희자 『대동문화연구』 제30권 성균관대 학교 대동문화연구소 [1995]
  • “한국어의 의문사와 부정사의 긍 부정 극성 표현 -누구와 아무를 중심 으로”
    김서형 『국제언어문학』, 제39호, 83-103쪽 국제언어문학회 [2018]
  • “한국어의 의문사 비대칭 현상에 관하여”
    김용석 『언어학연구』, 제22호, 1-20 쪽, 한국중원언어학회 [2012]
  • “한국어의 메아리 질문: 그 기능과 속성”
    김종현 『담화와 인지』 제6권 1호. 담화․인지 언어학회 [1999]
  • “한국어의 두 가지 의문문과 존재양화 해석”
    장영준 『한국어학』, 제11권, 293-324쪽, 한국어학회 [2000]
  • “한국어의 담화표지 분석”
    안주호 『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』, 제17집. 연세 대학교 연세어학원 한국어학당 [1992]
  • “한국어와 영어의 의문사 대조연구”
    임은영 『한국어교육』, 제6호, 281-306쪽,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17]
  • “한국어교육을 위한 연어의 유형에 대한 고찰: 기초어휘의 연어 관계 를 바탕으로”
    강현화 『응용언어학』 제24권 제3호, 197-217쪽, 한국응용언어 학회 [2008]
  • “한국어교육에서 ‘무엇’의 기술 방안”
    서희정 『새국어교육』, 제83권, 261-283 쪽, 한국국어교육학회 [2009]
  • “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담화에서의 상대 발화 인용 전략 사용 양상 분 석”
    이선영 『Journal of Korean Culture』, 제37호, 163-190쪽, 한국어문학국 제학술포럼 [2017]
  • “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화용 정보: {무엇}”
    김영란 『한국어교육』 제12권 1호.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01]
  • “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: {언제}”
    김영란 『한국어교육』 제13권 2호.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02]
  • “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부정 의문문 교육 방안 연구”
    안윤미 고려대학교 석사 논문 [2007]
  • “한국어 중급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 반응 표현연구”
    김지영 『이중언어 학』, 제56권, 85-107쪽. 이중언어학회 [2014]
  • “한국어 종결표현의 화행 기능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”
    강현화 홍혜란 『외국어교육』, 제17호 2권, 405-431쪽, 한국외국어교육학 회 [2010]
  • “한국어 정보 처리와 연어 정보”
    서상규 『국어학』제39권, 국어학회 [2002]
  • “한국어 불평화행 연구”
    조정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4]
  • “한국어 물음말에 대한 연구”
    김선호 『어문연구』 제29집. 어문연구학회 [1997]
  • “한국어 담화 표지어 ‘그래’의 의미 연구”
    이한규 『담화와 인지』, 제3권, 담화 인지언어학회 [1996]
  • “한국어 교재의 문형유형 분석: 문형 등급화를 위해”
    강현화 『한국어 문법』 제18권 제1호, 1-12쪽,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07]
  • “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사 어휘 정보와 교수 방법 연구”
    김영란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3]
  • “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 기능 문장 사용 양상 분석 - 준구어 말뭉치 분석을 바탕으로 -”
    박지순 『배달말』, 제57권, 375-399쪽, 배달말학회 [2015]
  • “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의 교육 내용 -"무슨"-수사의문문 을 중심으로”
    서희정 홍윤기 『새국어교육』, 제88권, 한국국어교육학회 [2011]
  • “한국어 "어디"와 중국어 "那兒/那裡"의 대조 연구”
    진설매 『한국어 교육』, 제25권 2호, 187-220쪽,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14]
  • “특수 의문문에서의 양태 의문사에 관한 연구”
    김선희 『한글』 제259권, 115-140쪽, 한글학회 [2003]
  • “질문행위의 언어적 실현에 관한 연구”
    이창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[1992]
  • “접속문의 의문사와 의문보문자”
    서정목 『국어학』, 제14호, 383-416쪽, 국어 학회 [1985]
  • “의문의 초점과 의문문의 유형에 대한 연구”
    성시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[1987]
  • “의문의 초점 연구”
    성시형 『목원어문학』 제7집. 163-181쪽, 목원대학교 국 어교육과 [1988]
  • “의문의 본질과 의문문의 사용 기능”
    이창덕 『연세어문학』, 제24집, 95-134. 쪽,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[1992]
  • “의문의 문답관계에 대한 연구”
    고성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1987]
  • “의문사의 의미”, 『국어교육』제53권, 45-65쪽, 한국국어교육연구회. 김명희(2005), “국어 의문사의 담화표지화”
    김광해 『담화와인지』제12권 2호, 41-63쪽, 담화 인지언어학회 [1985]
  • “의문사와 부정사(不定詞)에 관한 한국어 교육학적 연구”
    최기영 한국외국어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의문사와 WH-의문 보문자의 호응”
    서정목 『국어학』제13호, 33-64쪽, 국어 학회 [1984]
  • “의문문의 이접적 특성”
    김영희 『문법연구』 제2권. 문법연구회 [1975]
  • “우언적 不定 표현의 통사 연구”
    김의수 『어문논총』 제46권, 1-26쪽, 한국문 화언어학회 [2007]
  • “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반어법 교육 방안”
    조세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석 사학위논문 [2008]
  • “어휘접근적 문법교수를 위한 표현문형의 화행기능 분석”
    강현화 『한국어의미 학』제26권, 21-45쪽, 한국어 의미학회 [2008]
  • “어휘 의미와 문법”
    남기심 『東方學志』제88권,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[1995]
  • “수사 의문문에서의 되풀이 현상”
    김영희 『어문학』, 제87권 131-155쪽, 한국 어문학회 [2005]
  • “반어에 대한 화행적 고찰”
    정희자 『새한영어영문학』제46권 3호, 289-311쪽, 새한영문학회 [2004]
  • “문답의 화용상”
    장석진 『어학연구』 제11권 제2호.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[1975]
  • “명사를 중심어로 하는 문법적 연어 구성”
    이은경 『한국어 의미학』, 제17권, 한국어의미학회 [2005]
  • “메타언어(Meta-Language)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론 연구”
    홍윤기 『이중언어학』, 제.32권 381-408쪽, 이중언어학회 [2006]
  • “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여성과 남성의 의문문 비교 분석”
    김영란 『상명논 집』 제7호. 상명대학교 대학원 [2000]
  • “담화표지화의 정도성에 대한 한 논의 : “뭐, 어디, 왜”
    박석준 를 대상으로“, 『한말연구』, 제21호, 81-101쪽, 한말연구학회 [2007]
  • “담화표지 ‘글쎄’의 담화기능과 사용의미”
    이해영 『이화어문논집』, 제13권, 이 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[1994]
  • “담화의 기능 및 유형”
    서혁 『國語敎育學硏究』, 제5권 1호, 121-140쪽, 국어 교육학회 [1995]
  • “담화단위로서의 ( 적격 ) 문 에 대하여”
    이용주 『국어교육』, 제71호, 1-12쪽, 한국국어교육연구회 [1990]
  • “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”
    김지혜 『이중언어 학』 제46권, 45-65쩍쪽, 이중언어학회 [2011]
  • “담화 기능과 그 체계”
    이병규 『泮橋語文硏究』, 제41호, 239-261쪽, 반교어문 학회 [2015]
  • “논쟁적 토론의 반박행위에 나타난 체면전략 분석”
    조용길 『독어교육』, 제74 권, 165-185쪽,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[2019]
  • “국어의 의문사와 부정사에 관한 연구”
    김충효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[1992]
  • “국어의 의문사(疑問詞)에 대한 연구”
    김광해 『국어학』, 제12권, 101-136쪽, 국어학회 [1983]
  • “국어 의문사의 작용역 연구”
    김혜명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“국어 의문사의 발달에 대한 연구”
    김광해 『국어교육, 제49권, 249-272쪽, 한 국국어교육연구회 [1984]
  • “국어 의문사의 문법 범주에 관한 연구”
    김충효 『어학연구』, 제9집. 군산대 학교 어학연구소 [1991]
  • “국어 의문문의 의문성 정도에 대하여”
    박영순 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 문, 130-131쪽, 우리말학회 엮음, 한국문화사 [1991]
  • “국어 의문문의 문제점”
    서정수 『국어학 논총』. 김형기선생 팔지기념. 창학 사 [1985]
  • “국어 의문 체언과 부정사의 실현에 관한 연구”
    김충효 『한양어문』 제15집, 43-65쪽, 한양대학교 [1997]
  • “국어 연어(collocation)의 유형에 대한 연구”
    이숙명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“국어 연어 연구”
    김진해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0]
  • “국어 부정칭의 의미”
    양명희 『우리말 연구: 서른아홉 마당』, 태학사 [2005]
  • “국어 부정칭(不定稱) 표현 ‘아무’ 계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 변화”
    이금희 『한 민족어문학』 제65호, 57-87쪽, 한민족어문학회 [2013]
  • “국어 미정사에 대한 연구: 부정사와 의문사 해석을 중심으로”
    박진희 서강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3]
  • “구어와 담화 : 연구와 활용”
    구현정 『우리말연구』, 제28권, 25-56쪽, 우리말 학회 [2011]
  • “구어 담화표지로 쓰이는 ‘어디’의 기능”
    홍민경 홍종선 『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』, 제19권 5호,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[2019]
  • “구어 담화에서 보조사 ‘은/는’의 의미와 담화 기능 -한국어교육 문법을 위하여- ”
    한송화 제.55권, 81-111쪽, 한국어의미학회 [2017]
  • “계량적 접근에 의한 한국어 반응표지 연구”
    안의정 『언어사실과 관점』, 제 37권, 149-171,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[2014]
  • “疑問文에 있어서의 反復言語化 - 應答發話를 中心으로 -”
    김경호 『동북아 문화연구』, 제25권, 549-564쪽, 동북아시아문화학회 [2010]
  • “「체언+용언」꼴의 연어 구성에 대한 연구”
    강현화 『사전편찬학연구』 제8 권 제1호, 191-224쪽,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[1997]
  • “‘의문사+(이)-+-ㄴ가’ 구성의 부정(不定) 표현에 대하여”
    이선웅 『국어학』,제 36호, 191-219쪽, 국어학회 [2000]
  • “‘얼마’류의 형태와 의미 특성”
    이광호 『語文學』 제107호, 91-117쪽, 한국어문 회 [2010]
  • “‘뭐’의 담화상 의미기능 연구”
    이효진 『어문논총』,제16권, 65-81쪽, 전남대 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[2005]
  • “‘몇’의 의미와 ‘몇’계 복합어”
    김양진 『한국사전학』 제14권, 80-110쪽, 한국사 전학회 [2009]
  • “{왜}의 화용 기능”
    김영란 『한국어 의미학』제6권. 한국어 의미학회 [2000]
  • “'무슨' 과 '어떤'- 의문에 대하여 : 의문의 통사론과 의미론을 중심으 로”
    임홍빈 『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』, 제13권 1호, 79-194쪽,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[1988]
  • “"왜"의 함축 의미 연구”
    정윤희 『새얼語文論集』, 제13권, 139-166쪽, 동의대 학교 국어국문학과 새얼어문학회 [2000]
  • “ Some current trends in vocabulary teaching ”
  • “ Language Emergence : Implications for Applied Linguistics ?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
    C. EllisDiane Larsen-Freeman Applied Linguistics , Vol.27 No.4 , pp . 558 ? 589 , Oxford University Press [2006]
  • “ Do they mean what they say ? : Sociopragmatic competence and second language learners ”
    HarlowL. L. Modern Language Journal , Vol.74 No.3 , pp.328-351 [1990]
  • “ Cross-cultural pragmatic failure ”
    Thomas , F. Applied Linguistics , Vol.4 No.2 , pp.91-112 [1983]
  • Yule(1996), Pragmatics. Oxford, UK: Oxford University Press
    Pragmatics . Oxford UK : Oxford University Press [1996]
  • University of Hawai ' i at Manoa
    Resource Center Searle , J. R.Cambridge : Cambridge University Press [1979Expression]
  •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
    Canale , M.Swain , M. Applied Linguistics 1 [1980]
  • The handbook of discourse analysis
    Deborah SchiffrinDeborah TannenHeidi Hamilton Malden , Mass . : Blackwell Publishers [2001]
  • The grammar of choice
    Larsen-Freeman , D. Eli , H. , & Sandra , F. ( eds ) [2008]
  • Teaching language as communication
    Widdowson, H. G. Oxford : Oxford University Press.York : Routledge [1978]
  • Teaching language : from grammar to grammaring
    Diane Larsen-Freeman Boston : Thomson/Heinle [2003]
  •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
    Brown, H. D. New York : Addison Wesley Longman , Inc [2000]
  • Pragmatics : An Introduction
    J. L. Oxford : Blackwell Publishers [1993]
  • Politeness : Some Universals in Languag Usage
    Cambridege University Press [1987]
  • On Communicative Competence. In Pride and Holmes. Jacob L. Mey 저, 이성범 옮김(2007), 『화용론 개관』
    Hymes, D. 한신문화사 [1972]
  • Language as social semiotic :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
    M. A. K. London : Edward Arnold [1978]
  • Lado, R.(1964), Language Teaching. New York: McGraw-Hill, Inc.
    Lado , R.Language Teaching New York : McGraw-Hill , Inc [1964]
  • John Sinclair(1991), Corpus, concordance, collocation. Oxford : Oxford University Press.
    John SinclairCorpus , concordance Oxford : Oxford University Press [1991collocation]
  • Interlanguage refusals : A cross-cultural study of J apanese-English
    S. M.Houck , N. New York : Mouton de Gruyter [1999]
  • Implementing the lexical approach : putting theory into practice ; with classroom reports by Cherry Gough
    Michael Lewis Boston , MA : Heinle , a part of the Thomson [2002]
  • How to Do Things with Words
    J. L. Oxford : Oxford University Press [1962]
  • Foundations in sociolinguistics : An ethnographic approach
    Philadelphia :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[1974]
  • Discourse analysis
    Brown , G.Yule , G. Cambridge , New York : Cambridge University Press [1983]
  • Discourse Analysis , ” Language , Vol.28 , pp.1-30 , Repriented in Fodor and Kats
    Harris , Z. S.1952 The Structure of Language , Englewood Cliffs : Prentice Hall , Inc [1964]
  • Cross-cultural pragmatic failure
    Thomas, J. Applied Linguistics Vol.4 , pp . 91-112 [1983]
  • Corpus linguistic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』
    Robert Bley-VromanHyunSook Ko Honolulu , HI : National Foreign Language [2005]
  • Celce-Murcia, M.(2006), “Foley, J. A. (Ed.). (2004). Language, education, and discourse”,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, Vol.28 No.1.
    Celce-Murcia , M.J . ALanguage , educa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, Vol.28 No.1 [20062004]
  • Cambridge : Cambridge University Press . Lyuh , InookThe art of refusal :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cultures
    S. C.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, Indiana University , USA [19831992]
  • Batstone, Rob, Grammar
    Batstone, Rob, Oxford University Press, 김지홍 역, 범 문사 [2003]
  •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
    Chomsky Noam Cambridge , M.I.T . Press Deborah SchiffrinApproaches to discourse . Oxford , UK : B. Blackwell [19651994]
  • ?한국어 문법?
    이익섭 서울대학교출판부 [2005]
  • ??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??
    김중섭 국립국어원 [2011]
  • ??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 및 보완 연구??
    김중섭 국립국 어원 [2016]
  • /1977/1999), 『우리말본』
    최현배 정음사 [1937]
  • /1972). “조선어학강의요지”, 『역대한국어문법대계』 <1> 48
    박승빈 탑출판사 [193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