박완서 작가 연구 : 대중·민중·여성문학장에서 ‘주부’의 발화 위치를 중심으로 = A Study of Park Wansuh - The Speaking Position of the Housewife in Popular, Minjung, and Womens Literary Spheres -

한경희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박완서 작가 연구 : 대중·민중·여성문학장에서 ‘주부’의 발화 위치를 중심으로 = A Study of Park Wansuh - The Speaking Position of the Housewife in Popular, Minjung, and Womens Literary Spheres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동양3국 문학
  • Housewife
  • Minjung
  • People’s Literature
  • Popular Culture
  • Popular Literature
  • Position
  • Women
  • Women’s Literature
  • media
  • middle class
  • 대중 민중 여성 주부 매체 위치 중산층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487 0

0.0%

' 박완서 작가 연구 : 대중·민중·여성문학장에서 ‘주부’의 발화 위치를 중심으로 = A Study of Park Wansuh - The Speaking Position of the Housewife in Popular, Minjung, and Womens Literary Spheres -' 의 참고문헌

  • 「박완서 전쟁체험 소설에 나타난 여성 목소리의 의미 연구」
    김정은 서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박완서 장편소설의 서사전략 연구」
    김나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서술성 연구」
    이선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1]
  • 허경 옮김, 『담론의 질서』
    세창출판사 [2020]
  • 한국의 모성
    윤택림 미래인력연구센터 [2001]
  •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, 『현대예술사대계 Ⅴ』
    시공아트 [2005]
  • 한국여성정책연구원, 「자료를 통해 본 한국 여성 삶의 변화」
    한국여성정책연 구원 [2008]
  • 한국여성문학학회 『여원』 연구모임, 『여원 연구』
    국학자료원 [2008]
  • 한국문화예술위원회, 『문예연감 년도판』
 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, 1977 [1976]
  • 한국문화예술위원회(채록 연구자 장미영)
    『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
  • 한국문인협회, 『문단유사』
    월간문학사 [2002]
  • 편, 『박완서』
    이태동 서강대학교 출판부 [1998]
  • 중년여성들의 일상적 대화의 의미 : 아줌마들의 '목욕탕 수다'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
    김정영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[2010]
  • 전승희 옮김, 『장편소설과 민중언어』
    Bakhtin, M. M. 창비 [1998]
  • 이화진, 「박완서 소설의 대중성과 서사전략-‘휘청거리는 오후’와 ‘도시의 흉년’
    이화진 「박완서 소설의 대중성과 서사전략-‘휘청거리는 오후’와 ‘도시의 흉년’
  • 이한나, 「년대 가족법 개정 투쟁과 박완서의 소설」
    『인문과학연구논 총』 38(4), 2017 [1980]
  • 이진아, 「산울림소극장 여성연극 연구 – 소설 각색의 문제를 중심으로」
    『한 국어와 문화』 18 [2015]
  • 이유동 옮김, 『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』
    MacPherson, C. B. 인간사랑 [1991]
  • 이영주 김현지 옮김, 『페미니즘의 투쟁』
    갈무리 [2020]
  • 이순, 「생활 속의 단단한 시작」
    박완서 『문예중앙』 [1980]
  • 이나리, 「불을 껴안은 얼음, 소설가 박완서」
    『신동아』 [2003]
  • 을 중심으로」
    『반교어문연구』 22 [2007]
  • 윤희기 옮김, 『비평과 이데올로기』
    인간사랑 [2012]
  • 유리 옮김, 『민중 만들기』
    이경희 이남희 후마니타스 [2015]
  • 옮김, 『군사주의에 갇힌 근대』
    문승숙 이현정 또하나의문화 [2007]
  • 오세은, 「안주와 탈출의 이중심리 – 박완서, 김향숙의 중산층 여성문제 소설을 중심으로」
    김양선 『오늘의 문예비평』 [1991]
  • 연구모임 길밖세상, 『20세기 여성사건사』
    여성사 여성신문사 [2001]
  • 엮음, 『박정희 시대의 새마을운동 근대화, 전통 그리고 주체』
    오유석 한울 [2014]
  • 엮음, 『박완서 문학 길찾기』
    권명아 이경호 세계사 [2000]
  • 엮음, 『미셸 푸코의 문학비평』
    김현 문학과지성사 [1999]
  • 엮음, 『문학을 부수는 문학들』
    오혜진 민음사 [2018]
  • 엮음, 『모성의 담론과 현실』
    심영희 나남 [1999]
  • 엮음, 『대중문학과 민중문학』
    김주연 민음사 [1985]
  • 엮음, 『대중독재와 여성』
    염운옥 임지현 휴머니스트 [2010]
  • 엮음, 『대중독재 1』
    임지현 책세상 [2004]
  • 엮음, 『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』
    이상록 장문석 그린비 [2006]
  • 여성문학 편집위원회, 『여성문학』
    전예원 [1984]
  • 양효실 옮김, 『윤리적 폭력 비판』
    인간사랑 [2013]
  • 신문자료 및 기타 (시간 순) 「여성들은 반성하자 『영국여성이 본 한국여성』을 읽고」, 『동아일보』
    년 10월 5일 [1960]
  • 송경란 편저, 『한국 여성작가 작품목록』
    구명숙 김진희 역락 [2013]
  • 서정미 백낙청, 「오늘의 女性問題와 女性運動」, 『창작과 비평』
  • 박완서 작가 연구 : 대중·민중·여성문학장에서 ‘주부’의 발화 위치를 중심으로 = A Study of Park Wansuh - The Speaking Position of the 'Housewife' in Popular, Minjung, and Women's Literary Spheres -
    조미숙 『한국문예비평 연구』 24 [2007]
  • 문화, 「이산가족 소설에 나타난 한국사회의 욕망과 위선 - 박완서, 『그해 겨울 은 따뜻했네』를 중심으로
    『현대소설연구』 77 [2020]
  • 리즈 108, 박완서』
  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[2008]
  • 루인 정희진 한채윤 「참고문헌 없음」 준비팀, 『피해와 가해의 페미니 즘』
    권김현영 교양인 [2018]
  • 또하나의문화 편집부, 『여성해방의 문학』
    평민사 [1987]
  • 낮은 목소리의 비평
    하응백 문학과지성사 [1999]
  • 김윤태 옮김, 『시민권과 복지국가』, 이학사, , 조성은 옮김, 『시민권』
    Marshall, T. H. 나눔의집, 2014 [2013]
  • 고은 유종현 구중서 이부영 백낙청, 「내가 생각하는 民族文學」, 『창작과비평』
    가을 [1978]
  • 木村涼子, 이은주 옮김, 『주부의 탄생』
    소명출판 [2013]
  • 『호모 에코노미쿠스, 인간의 재구성』
    노지승 후마니타스 [2018]
  • 『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』
    이현재 사월의 책 [2016]
  • 『한국현대여성사』
    정진성 한울 [2004]
  • 『한국현대문학작품연표』
    권영민 1, 서울대학교출판부 [2007]
  • 『한국현대문학작품연표』
    2, 서울대학교출판부 [2007]
  • 『한국출판과 베스트셀러』
    이임자 경인문화사 [1998]
  • 『한국의 대중문학』
    정덕준 소화 [2001]
  • 『한국문학의 의식』
    김병익 동화출판공사 [1976]
  • 『한국 정치의 이념과 사상』
    강정인 후마니타스 [2009]
  • 『한국 근 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: 문학제도와 양식』
    김양선 소명 [2012]
  • 『페미니즘 리부트』
    손희정 나무연필 [2017]
  • 『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』, 역사비평사, 김미덕, 『페미니즘의 검은 오해들 – 가부장제, 젠더, 그리고 공감의 역설』
    김동춘 김명희 현 실문화, 2016 [2014]
  • 『지배와 저항 한국 자유주의의 두 얼굴』
    후마니타스 [2011]
  • 『조국 근대화의 젠더 정치』
    이재경 아르케 [2015]
  • 『전쟁미망인,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』
    이임하 책과함께 [2010]
  • 『자유』
    문지영 책세상 [2009]
  • 『원본 없는 판타지』
    후마니타스 [2020]
  • 『우리 안의 파시즘』
    임지현 삼인 [2000]
  • 『여자와 남자가 있는 풍경』
    한길사 [1978]
  • 『여성주의적 정체성 개념』
    이현재 여이연 [2008]
  • 『여성운동 프레임과 주체의 변화』
    박인혜 한울 [2011]
  • 『여성(들)이 기억하는 전쟁과 분단』
  • 『여성 정체성의 정치학』
    조주현 또 하나의 문화 [2000]
  • 『아파트 게임』
    박해천 휴머니스트 [2013]
  • 『아수라장의 모더니티』
    워크룸프레스 [2015]
  • 『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』
    김혜경 창비 [2006]
  • 『숲속의 방』
    강석경 민음사 [1986]
  • 『세상에 예쁜 것』
    마음산책 [2012]
  • 『생활예술』
    강윤주 살림 [2017]
  • 『상황과 상상력』
    문학과지성사 [1988]
  • 『사람, 장소, 공간』
    김현경 문학과지성사 [2015]
  • 『박완서 소설 전집 』
    1~22, 세계사 [2012]
  • 『박완서 산문집 』
    1~9, 문학동네 [2018]
  • 『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』
    1~7, 문학동네 [2013]
  • 『문화와 권력』, 나남, 홍성민, 『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』
  • 『문학은 위험하다』
    소영현 민음사 [2019]
  • 『문예연감 년도판』
 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, 1978 [1977]
  • 『문예연감 년도판』
 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, 1979 [1978]
  • 『문예연감 년도판』
 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, 1980 [1979]
  • 『두부』
    창비 [2002]
  • 『도시의 흉년』에 나타난 여성상과 중산층의 형성」, 『한국문학연구』
    김문정 49 [2015]
  • 『대중문화의 이론』
    강현두 민음사 [1982]
  • 『대중독재 3』
    책세상 [2007]
  • 『대중독재 2』
    책세상 [2005]
  • 『노동가치』
    박영균 책세상 [2009]
  • 『내가 읽은 박완서』
    김윤식 문학동네 [2013]
  • 『나목』
    박완서 동아일보사 [1970]
  • 『꼴찌에게 갈채를』
    평민사 [1977]
  • 『근대 한국,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』
    책과함께 [2011]
  • 『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미디어의 교통: -30년대 여성문학의 형 성과 여성잡지의 젠더정치』
    김경연 소명, 2017 [1920]
  • 『그 남자네 집』
    현대문학 [2004]
  • 『계급』
    이재유 책세상 [2008]
  • 『가족과 통치』
    조은주 창비 [2018]
  • 『가난의 시대』
    최인기 동녘 [2012]
  • 『「서 있는 여자』에 나타난 계약으로서의 결혼과 ‘여성적 글쓰기」, 『한국문학연구』
    60 [2019]
  • 『「문학동네』의 ‘90년대’와 ‘386세대’의 한국 문학」, 『한국문화』
    81 [2018]
  • 『‘女流’의 기원과 정체성』
    박정애 한국학술정보 [2006]
  • 「흑과부」
    『신동아』 [1977]
  • 「휘청거리는 오후」
    『동아일보』, -1976.12.30 [1976]
  • 「호소력의 문제」
    김교선 『창작과비평』, 여름 [1976]
  • 「허물어진 “문 안”」
    나보령 『인문과학연구논총』 39(4) [2018]
  • 「항아리속의 自慢 버리자」
    유현종 『조선일보』, 년 7월 1일 [1980]
  • 「한발기」
    『여성동아』, -1973.2 [1971]
  • 「한국여성학 제도화의 전사기-70년대) 지식생산의 동학 : 장소, 사람, 프로젝트」
    『현상과 인식』 37(3), 2013 [1960]
  • 「한국대중문학의 전개」
    오생근 『문학과지성』, 가을 [1977]
  • 「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자각의식 고찰 : 년대 소설을 중 심으로」
    김옥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, 1979 [1970]
  • 「한국 페미니즘 문학 어디까지 왔나」
    조혜정 『여성해방의 문학』, 평민사 [1987]
  • 「한국 중산층의 형성과 한국전쟁이라는 죄의식」
    『그해 겨울은 따뜻 했네 2』, 세계사 [2012]
  • 「한국 전쟁과 주체성의 서사 연구」
   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1]
  • 「한국 전쟁과 신원 증명 장치의 기원 –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주권의 문제」
    『구보학회』 18 [2018]
  • 「한국 여성문학론의 역사와 이론」
    이상경 『여성문학연구』 1 [1998]
  • 「한국 부엌 디자인의 역사 : 근대 이후 부엌의 문화사적 의미」
    조혜영 국민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한국 반(反)성폭력운동의 제도화와 자율성에 관한 연구」
    신상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한국 문학에서 기지촌 성매매 여성과 아메라시안에 대한 연구」
    김미덕 『아 시아여성연구』 46(2) [2007]
  • 「한국 대중문학론의 확대와 심화 – -1980년 비평을 중심으로」
    김세령 『우리문학연구』 41, 2014 [1976]
  • 「한국 근대 초기 ‘주부’ 개념의 도입 양상 – ~1910년대를 중심으 로 -」
    『개념과 소통』 22, 2018 [1900]
  • 「한국 근대 노동 개념의 성격과 변화」
    김경일 『사회와 역사』 99 [2013]
  • 「한국 경제의 근대화 시점」
    허수열 『경영경제연구』 33(2) [2010]
  • 「하면 되더라 一九七○年」
    박완서 『여성동아』 [1970]
  • 「폐품전기제품 재생 2천만원어치 팔아」
    『중앙일보』, 년 6월 14일 [1975]
  • 「편리한 부엌살림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5월 29일 [1969]
  • 「페미니즘의 포스트모던 조건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50 [2020]
  • 「패자에 갈채를」
    『여성중앙』 [1977]
  • 「티 타임의 모녀」
    『창작과 비평』, 여름 [1993]
  • 「특집 등단전후」
    『여성동아』 [1974]
  • 「코 고는 소리를 들으며」
    박완서 『샘터』 [1971]
  • 「침묵과 실어」
    『세계의 문학』 [1980]
  • 「최근소설의 경향과 전망」
    염무웅 『창작과 비평』 봄 [1978]
  • 「창조된 ‘여류’와 그들의 ‘이원적 착란’」
    『현대문학의 연구』 20 [2003]
  • 「창비와 ‘신경숙’이 만났을 때 – 년대 한국 문학장의 재편과 여성 문학의 발흥」
    천정환 『역사비평』 112, 2015 [1990]
  • 「증언의 양식, 생존 생장의 서사 – 박완서의 전쟁 재현 소설 『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』를 중심으로」
    김양선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 15 [2002]
  • 「증언과 기록에의 소명 - 박완서론」
    신수정 『오늘의 문예비평』 [1998]
  • 「주부의 연극적 자아와 갈등」
    명혜영 『일본어문학』 53 [2011]
  • 「조그만 체험기」
    『창작과비평』, 겨울 [1976]
  • 「젠더화된 전쟁과 여성의 흔적 찾기 – 점령지의 성적 경제와 여성 생존 자의 기억 서사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43 [2018]
  • 「정치적 텍스트로서의 박완서 소설」
    『동악어문학』 72 [2017]
  • 「정체성 확인의 글쓰기」
    황도경 『이화어문논집』 13 [1994]
  • 「정다운 ‘독설가’」
    『안녕하십니까』, 한일약품공업 [1987]
  • 「젊은 날의 고뇌 방황 그린 作品 인기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7월 2일 [1986]
  • 「전화텍스트론 : 박완서의 「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」을 대상으로」
    안숙원 『국어국문학』 115 [1995]
  • 「전쟁소설에 나타난 식민주체의 이중성-박완서의 『나목』을 중심으 로」
    최성실 『여성문학연구』 10 [2003]
  • 「전쟁기의 증언과 반공주의의 규율-박완서 『목마른 계절』의 개작 양 상-」
    『인문과학연구』 40 [2019]
  • 「전쟁기억과 죄책감 : 냉전기 남한영화의 미국표상과 대중감정」
    오영숙 『영 화연구』 63 [2015]
  • 「전두환 정권 시기 유화정책에 관한 연구」
    Pham Quynh Giang 성균관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「저문 날의 삽화 (2)」
    『여성해방의 문학』, 평민사 [1987]
  • 「장편 『안개의 초상』의 잡지 연재본과 단행본 간의 간극 고찰」
    안미영 『어문학』 131 [2016]
  • 「작중인물과 인식의 제문제-박완서의 『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』, 「꿈꾸는 인큐베이터」를 중심으로-」
    신승희 『아시아문화연구』 35 [2014]
  • 「작가의 슬픔」
    『주부생활』 [1978]
  • 「작가의 말 순진한 여자 이야기」
    박완서 『여성신문』, 년 2월 3일 [1989]
  • 「작가와 작가지망 고교생과의 대화 최일남 박완서씨에 문학적 궁금증 물어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8월 9일 [1983]
  • 「자본주의를 비판하며 자본주의와 교섭하기」
    한경희 『페미니즘 연구』 16(2) [2016]
  • 「일제하 여성의 근대 경험과 여성성 형성의 “차이”」
    『사회과학연 구』 13(2) [2005]
  • 「일본 시민운동에서 ‘생활’의 의미」
    한영혜 『일본비평』 4 [2011]
  • 「일반여성. 살림에 억눌린채 「읽지않는다」가 대부분」
    『조선일보』, 년 10월 23일 [1960]
  • 「이야기는 힘이 세다-박완서 소설의 문체적 전략을 중심으로」
    『실천 문학』, 가을 [2000]
  • 「이달의 雜誌 (上) 借用政治理論과 土着現實」
    노재봉 『동아일보』, 년 2월 16일 [1971]
  • 「은행나무와 대머리」
    『주부생활』 [1978]
  • 「유신체제의 대중인식과 동원담론」
    황병주 『상허학보』 32 [2011]
  • 「유신체제기 평등-불평등의 문제설정과 자유주의」
    『역사문제연구』 17(1) [2013]
  • 「우리들의 마음공부는 계속됩니다」
    박완서 신형철 『문학동네』, 봄 [2008]
  • 「우리들의 富者」
    『신동아』 [1979]
  • 「왜 여론을 쓰레기로 만드려 하는가? : 황석영, 박완서, 김용택, 임지현, 이문열 그리고 「조선일보」」
    강준만 『인물과 사상』 [2000]
  • 「왕성한 活動 女流작가 폭넓은 主題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8월 13일 [1986]
  • 「오정희 박완서 소설의 근대성과 젠더(Gender)의식 비교 연구」
    이정희 경희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1]
  • 「오만과 몽상」
    『한국문학』, -1982.3 [1979]
  • 「오만과 몽상 朴婉緖著 個人的救援의 가능성 추구」
    성민엽 『경향신문』, 년 9월 14일 [1982]
  • 「영상에 옮겨진 박완서 작가의 ‘영화 드라마 사랑’」
    『TVREPORT』, 년 1월 25일. (https://www.tvreport.co.kr/?c=news&m=newsview&idx=89872) [2011]
  • 「여성해방의 시각에서 본 박완서의 작품세계」
    김경연 김영혜 전승희 정영훈 『여성』 2, 창작사 [1988]
  • 「여성해방문학의 저자란 무엇인가」
    『문학과 사회』, 봄 [2019]
  • 「여성주의 매체와 여성운동」
    황오금희 『여성이론』 8 [2003]
  • 「여성작가의 전쟁 체험 장편소설에 나타난 ‘모녀관계’와 ‘딸의 성장’ 연 구 – 박경리의 『시장과 전장』과 박완서의 『나목』을 중심으로 -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13 [2005]
  • 「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탐구 – 박경리, 박완서 그리고 오정희 의 경우」
    이태동 『한국문학연구』 19 [1997]
  • 「여성의 정체성 찾기 : 박완서 작품론」, 『한국학논집』 34, 배상미, 「여성들의 노동과 계급」
    배경열 『여성문학연구』 45, 2018 [2007]
  • 「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빈곤」
    『페미니즘연구』 13(2) [2013]
  • 「여성문학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」
    『한국근대문학연구』 19 [2009]
  • 「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」
    이경하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[2004]
  • 「여성문학론의 비판적 검토」
    김영희 『창작과비평』, 가을 [1988]
  • 「여성문학과 진정한 비판의식」
    전승희 『창작과비평』, 여름 [1991]
  • 「여성들의 정치 혁명과 페미니스트 팸플릿으로서 글쓰기 : 박완서의 년대 여성해방소설을 중심으로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45, 2018 [1980]
  • 「여성 행위주체성(agency)에 관한 생애단계별 고찰 – 빈곤개념의 확 장」
    노혜진 『여성연구』 80(1) [2011]
  • 「여성 하위주체에서 ‘성노동자’ 운동으로」, 『경제와 사회』 78, 조형, 「도시중산층 전업주부의 권력 – 구조적 무권력화와 구성적 권력화」
    조은주 『한국여성학』 13(2), 1997 [2008]
  • 「여성 성장소설과 아버지의 부재」
    나병철 『여성문학연구』 10 [2003]
  • 「여성 서사 속 기지(촌) 성매매 여성의 기억과 재현 – 강신재, 박완서, 강석경 소설과 김정자 증언록을 중심으로 - 」
    『인문학연구』 58 [2019]
  • 「여성 살해 위에 세워진 문학/비평과 문화산업」
    『문학과사회』 31 [2018]
  • 「여성 사회권의 담론적 구성과 아내 어머니 노동자 지위」
    『페미니즘 연구』 7(1) [2007]
  • 「여대생이 본 오늘의 女大生 「1」 男 과 女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6월 3 일 [1978]
  • 「어머니의 법과 로고스(logos)의 세계-박완서의 『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』와 「엄마의 말뚝1」을 중심으로-」
    우현주 『인문학연구』 49 [2015]
  • 「어머니는 고달프다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5월 8일 [1967]
  • 「어떤 나들이」
    『월간문학』 [1971]
  • 「양지회여성강좌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1월 13일 [1968]
  • 「애증 속의 공생, 우울증적 모녀관계 – 박완서의 『나목』론」
    김은하 『여성 과 사회』 15 [2004]
  • 「알튀세르를 다시 읽으며 ‘마르크스주의의 위기’를 생각한다」
    윤소영 『이 론』 1, 여름 [1992]
  • 「아직 끝나지 않은 음모」
    『엘레강스』 [1979]
  • 「신자유주의 시대 한국의 자기계발 담론에 나타난 여성 주체성과 젠더 관계: 년대 이후 베스트셀러 여성 자기계발서 분석을 중심으로」
    엄혜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2015 [1990]
  • 「신문 연재소설의 변천」
    오인문 『신문연구』 25 [1977]
  • 「소문의 타자와 정동의 윤리」
   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 85 [2019]
  • 「세파 속의 생명주의와 비판의식」
    이선영 『현대문학』 [1985]
  • 「서울의 주부생활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6월 24일 [1968]
  • 「서구적 시각을 통한 박수근의 ‘정전화’와 그 과정」
    강정화 『한국예술연구』 5 [2012]
  • 「서 있기를 ‘선택’하는 여자의 용기」
    『서있는 여자』, 세계사 [2012]
  • 「생활세계의 식민화와 나르시시즘적 ‘신여성’ - 박완서의 세태소설을 중심으로」
    『한국의 민속과 문화』 4 [2001]
  • 「생활문화 속의 일상성의 의미 – 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과 모성 이데올로기」
    윤택림 『한국여성학』 12(2) [1996]
  • 「생존의 말, 교신의 꿈 – 여성적 글쓰기의 양상」
    『이화어문논집』 14 [1996]
  • 「생존과 수치」
    차미령 『한국현대문학연구』 47 [2015]
  • 「새해부터 새연재소설 휘청거리는 오후 박완서 작 김 경우 화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12월 15일 [1975]
  • 「새로운 페미니즘 서사의 정치학을 위하여」
    『창작과비평』 45 [2017]
  • 「산업화시기 ‘출세’ ‘성공’ 스토리와 발전주의적 주체 만들기」
    『인문 학연구』 28 [2017]
  • 「산업화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일-가족 관계」
    『페미니즘 연 구』 7(2) [2007]
  • 「사회비평 이상의 것」
    『창작과비평』 14(1), 봄 [1979]
  • 「빛나는 성좌들 – 년대, 여성해방문학의 탄생」
    이혜령 『상허학보』 47, 2016 [1980]
  • 「비밀과 거짓말, 폭로와 발설의 쾌락 – 국가 근대화기 여성대중소설의 선정성 기획을 중심으로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26 [2011]
  • 「불안한 귀환과 낯선 상식의 세계 : 박완서의 70년대 소설」
    이선옥 『숙명어 문논집』 1 [1998]
  • 「분단의 경험과 여성의 시선 – 박완서의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」
    백윤경 『현대문학이론연구』 51 [2012]
  • 「분단과 여성의 다중적, 근대적 정체성: 년대 초 출생한 두 실향민 여성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」
    『한국여성학』 29(1), 2013 [1930]
  • 「부디 편히 자유의 나라로 드소서」
    『현대문학』 [2003]
  • 「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」
    『창작과 비평』, 여름 [1989]
  • 「복원과 복수의 네버엔딩 스토리」
    『작가연구』 15 [2003]
  • 「보석처럼 빛나던 나무와 여인」
    『월간미술』 [2010]
  • 「배우는 주부들 활발해진 성인재교육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3월 23일 [1967]
  • 「반공주의와 자전소설의 형식」
    강진호 『국어국문학』 133 [2003]
  • 「박정희 체제 하 “핵가족” 담론의 변화과정과 이원구조 연구」
    김혜경 『사회 와역사』 82 [2009]
  • 「박완서의 장편소설과 비평 이데올로기 - 「도시의 흉년」과 「살아있 는 날의 시작」을 중심으로」
    박수현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 50 [2011]
  • 「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 혐오 연구 – 『살아있는 날의 시작』 과 「친절한 복희씨」(2006)를 중심으로」
    『한국문학이론과 비 평』 82, 2019 [1980]
  • 「박완서의 소설 『서있는 여자』의 젠더 지리학과 정체성 탐색」
    정미숙 『인 문사회과학연구』 17(1) [2016]
  • 「박완서의 『오만과 몽상』 연구 –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」
    정하늬 『구보 학보』 23 [2019]
  • 「박완서의 『살아있는 날의 시작』에 나타난 정동과 젠더」
    윤영옥 『현대문 학이론연구』 77 [2019]
  • 「박완서의 『미망』에 나타난 근대 재고의 한 형식」
    허정인 『한국문학이론 과 비평』 58 [2013]
  • 「박완서의 『나목』에 나타난 여성의 탈장소와 이동성의 주체」
    유인혁 『여 성문학연구』 47 [2019]
  • 「박완서와 6.25체험-『목마른 계절』을 중심으로」
    임규찬 『작가세계』 47 [2000]
  • 「박완서-자기상실의 ‘근대사’와 여성들의 자기」
    『역사비평』 45 [1998]
  • 「박완서 전쟁 체험 소설의 반복과 차이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45 [2018]
  • 「박완서 장편소설 『서있는 여자』의 페미니즘 정치학적 의미 : 결혼이 라는 ‘계약’을 통해 본 시민성의 젠더 구조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45 [2018]
  • 「박완서 자전소설의 텍스트 형성 기제와 서사 전략 - 『목마른 계절』 과 『나목』을 중심으로」
    박성천 『현대문학이론연구』 27 [2006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창작방법론 연구 : 중단편소설의 서사회 기법을 중심으 로」
    박성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젠더지리학적 고찰」
    권영빈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20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젠더 의식 연구: 수행성을 중심으로」
    김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오빠 표상 연구」
    이경재 『우리문학연구』 32 [2011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여성적 주체 양상 연구」
    김세나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여성성」
    안남연 『한국문예비평연구』 2 [1998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애도 불가능성 연구」
    김미영 『한국언어문학』 98 [2016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생태적 의미와 교육방안 고찰」
    나선혜 『한국비평문학회』 76 [2020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에 나타난 정치성 고찰」
    『인문 과학연구논총』 36(3) [2015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대중성 연구 - 년대 여성문제소설 다시 읽기」
   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 54, 2012 [1980]
  • 「박완서 소설의 ‘공모’ 의식과 마음의 정치 – 년 이후와 박완서 소 설의 1970년대 서사」
    『반교어문학회』 37, 2014 [1987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정체성 형상화 연구」
   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중년 여성 의식 연구」
    서재숙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[2010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주술의 양상과 변화의 의미」
    『한국현대문학 연구』 52 [2017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애도와 죄의식에 관한 연구」
    이수형 『여성문학연 구』 25 [2011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가부장제 자본주의 양상과 극복의 가능성」
    최선영 『현대소설연구』 51 [2012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비판 양상」
    『국어국문 학』 155 [2010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기원과 도시빈민의 양상」
    조미희 『한국언어 문화』 62 [2017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‘먹는 인간’의 의미」
    신샛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[2015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‘먹는 인간’의 의미」
    『상허학보』 45 [2015]
  • 「박완서 소설에 나타나는 동대문시장의 젠더정치학과 전후 중산층 가정 의 균열」
    『한국문예비평연구』 51 [2016]
  • 「박완서 소설과 ‘비평’ : 공감과 해석의 논리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25 [2011]
  • 「박완서 소설 속 미군 피엑스의 미국 표상과 인간상품화 양상」
    『인 문학연구』 58 [2019]
  • 「박완서 소설 속 돌봄 인식 방식 연구」
    『국어문학』 72 [2019]
  • 「박완서 문학의 여성성-‘집’과 ‘밥’의 기억을 통한 여성들 간의 소통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25 [2011]
  • 「박완서 문학의 ‘저자성’ 연구」
  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「박완서 문학에 있어 비평이란 무엇인가」『작가세계』, 봄. 주인석, 「창간에 부쳐」
    『상상』, 1993.가을 [1991]
  • 「박완서 문학에 나타난 서울에서의 한국전쟁 체험의 의미」
    『한국현 대문학연구』 54 [2018]
  • 「박완서 문학 연구 – 억척 모성의 이중성과 딸의 세계의 의미를 중심으 로」
    권명아 『작가세계』 [1994]
  • 「박완서 대중소설의 서사성 연구」
    『한국문예창작』 10(1) [2011]
  • 「박완서 단편에 나타난 여성의 ‘성’」, 『국제어문』 22, 이정숙, 「197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정동화」
    이인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, 2014 [2000]
  • 「박완서 단편소설의 사회의식 연구」
    김혜정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」
    정은비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박완서 단편 소설의 ‘학생운동’에 대한 시선」
    이영아 『여성문학연구』 28 [2012]
  • 「민중과 아픔을 같이해온 창비」, 박형규 박완서 이호철 외 12명, 「창 비와 나와 우리 시대」
    『창작과비평』 [1996]
  • 「민족문제의 개인주의적 굴절」
    황광수 『창작과 비평』 [1985]
  • 「미망」
    『문학사상』, -1990.5 [1985]
  • 「문화의 예술성과 대중성」
    백낙청 『연세춘추』 [1978]
  • 「문학의 대중화는 바람직한가」
    김우종 『동서문화』 [1978]
  • 「문학사의 젠더」
    소영현 『민족문학사연구』 56 [2014]
  • 「문단의 ‘여류’와 ‘여류문단’-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형성과정」
    심진경 『상 허학보』 13 [2004]
  • 「모성적 원리 수용과 여성해방의 시각」
    정영자 『문학사상』 [1990]
  • 「모성 다시 쓰기의 의미 : 박완서론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4 [2000]
  • 「만보객의 계보와 젠더의 미학적 구축」
    『현대문학의 연구』 33 [2007]
  • 「또 한해가 저무는가 (3) 추한 나이테가 싫다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74]
  • 「떠도는 결혼」
    『주부생활』, -1983.11 [1982]
  • 「동인문학상 수상자 김훈의 심리구조」
    『인물과 사상』 [2002]
  • 「독자투고에 비친 「商業주의 文學」 모든건 作家良識의 문제」
    『조선일보』, 년 7월 15일 [1980]
  • 「도둑맞은 가난」
    『세대』 [1975]
  • 「대중소설의 화려한 새 출발」
    임헌영 『문예중앙』, 가을 [1978]
  • 「대중소설과 통속소설의 사이」
    김춘식 『한국문학연구』 20 [1998]
  • 「대중문화 속의 한국문학」
    김현 『세대』 [1978]
  • 「노인 여성의 기억과 생존의 전쟁 서사 – 박완서의 소설을 중심으로」
    이민영 『한국현대문학연구』 61 [2020]
  • 「노무현 정부의 386정치인들의 도덕적 실패에 대한 연구」, 『한국정치 학회보」
    김태승 45(4) [2011]
  • 「년대-70년대 여성운동의 국제화와 여성단체협의회의 활동」
    김영선 『현상과 인식』 36(4), 2012 [1960]
  • 「년대 한국의 새로운 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-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‘여성의 인간화’ 담론과 ‘여성사회교육’을 중심으로
    박인혜 『한국여 성학』 25(4), 2009 [1980]
  • 「년대 한국여성학 학술운동의 계보와 장소성」
    『현상과 인식』 39(1,2), 2015 [1970]
  • 「년대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(交錯/膠着) : 박현채와 조한혜 정을 중심으로」
    손유경 『상허학보』 45, 2015 [1980]
  • 「년대 페미니즘 이론의 번역/실천과 여성학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37, 2016 [1970]
  • 「년대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여성인간화 교육」
    이정자 『젠더연구』 19, 2014 [1970]
  • 「년대 중산층 담론과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확산-시장은 사회와 인 간을 어떻게 바꿨나?-」
    『사학연구』 130, 2018 [1980]
  • 「년대 젠더 인식의 보수화 과정과 ‘왈순아지매’ - 『여원』 만화의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21, 2009 [1950]
  • 「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‘현모양처’론의 특징」
    김은경 『한국가정 과교육학회지』 19(4), 2007 [1950]
  • 「년대 여성운동의 새로운 여성 주체 기획과 주부운동론」
    『여성 과 역사』 28, 2018 [1980]
  • 「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43, 2018 [1980]
  • 「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담론의 이중성 연구 : 박완서와 오 정희 소설을 중심으로」
    임선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2011 [1970]
  • 「년대 여성교양의 발현과 전화(轉化)-『女聲』을 중심으로」
    허윤 『한국 문학연구』 44, 2013 [1970]
  • 「년대 소비억제정책과 소비문화의 일상정치학」
    이상록 『역사문제연 구』 17(1), 2013 [1970]
  • 「년대 박정희 체제에서의 ‘가계부 적기 운동“
    한형성 『경영사학』 39, 2017 [1970]
  • 「년대 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 여성의 망탈리테 연구 : 『휘청거리는 오후』와 『도시의 흉년』을 중심으로」
    이은영 『여성문학연 구』 45, 2018 [1970]
  • 「년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은폐와 폭로의 문제」
    김영미 『한국현대문 학연구』 47, 2015 [1970]
  • 「년대 박완서 문학에 대한 『창작과 비평』의 시선」
    송호영 『동악어문 학』 80, 2020 [1970]
  • 「년대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근대적 테크놀로지의 가정화와 오이코노미아」
    김종훈 『한국예술연구』 25, 2019 [1970]
  • 「년대 문화영화와 젠더, 그리고 가족-국가」
    심혜경 『현대영화연구』 14(2), 2018 [1960]
  • 「년대 문학지형과 여성문학 담론」
    서영인 『대중서사연구』 24(2), 2018 [1990]
  • 「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: 고정희의 시를 읽 기 위한 시론」
    조연정 『우리말 글』 71, 2016 [1980]
  • 「년대 등단제도의 문단적 문학적 의의와 영향」
    『반교어문연구』 37, 2014 [1960]
  • 「년대 등단제도 연구」
    이봉범 『상허학보』 41, 2014 [1960]
  • 「년대 드라마 속 여성의 역할과 젠더 재현 방식에 대한 연구」
    이종임 『한국언론학보』 58(5), 2014 [1970]
  • 「년대 근대가족 담론의 소설적 재현양상」
    김윤경 『비평문학』 62, 2016 [1950]
  • 「년대 ‘민중’ 개념의 재등장」, 『경제와 사회』 74, 2007. 장세훈, 「서민의 사회학적 발견-중산층을 통해 본 서민의 사회계층적 위상」
    장상철 『경제와 사회』 109, 2016 [1970]
  • 「년 동아일보 기자들의 언론자유투쟁」
    김행섭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 문, 2011 [1974]
  • 「냉장고는 昨年의 15倍」
    『매일경제』, 년 6월 10일 [1968]
  • 「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」
    『상상』, 가을 [1993]
  • 「나에게 소설은 무엇인가」
    『한국문학』 [1985]
  • 「나목 근처 그 정직한 여인들」
    『문학사상』 [1976]
  • 「꿈과 좌절」
    원윤수 『문학과지성』, 여름 [1976]
  • 「꿈과 같이」
    『창작과비평』, 여름 [1978]
  • 「꼴찌에게 자존심을」
    『샘터』 [1981]
  • 「근현대 여성 독서 연구」
    윤금선 『국어교육연구』 45 [2009]
  • 「근대 여성의 일과 직업관-일제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」
    강이수 『사회와 역사』 65 [2004]
  • 「근대 ‘가정주부’ 되기 과정과 도시 중산층 가족의 형성: 구술생 애사 사례 분석」
    김연주 이재경 『가족과 문화』 25(2) [2013]
  • 「그해 겨울은 따뜻했네」
    『한국일보』, -1983.1.15 [1982]
  • 「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」
    『여성신문』, -1989.7.28 [1989]
  • 「그 집 앞을 지날 때마다」, 임옥인 외, 「나와 『현대문학』」
    『현대 문학』 [1988]
  • 「그 빛과 音響밖」
    김영희 『현대문학』 [1966]
  • 「권력의 성에서 나와 대화하라 – 문학권력 논쟁을 지켜보며 ‘창비’와 ‘문지’에 보내는 한 젊은 비평가의 고언」
    『한겨레 21』, 년 8월 3일 [2000]
  • 「군사주의와 개발주의 하의 여성문학-폐허에서의 생존 전략-」
    박정애 『우리 문학연구』 15 [2002]
  • 「국가 주도 발전에 참여한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: 새마을부녀지 도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」
    유정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1]
  • 「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 어머니의 모성 경험: 경제적 기여와 돌봄노동, 친족관계 관리의 결합」
    배은경 『페미니즘 연구』 8(1) [2008]
  • 「구술 생애사로 본 여성의 가족제적 역할과 삶의 변화: 도시 거주 중산 층 여성을 중심으로」
    김정화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「골깊은 성차별 성토 박완서 장편소설 ‘그대 아직도…’ 인기 줄달음」
    『한겨 레』, 년 3월 17일 [1990]
  • 「거저나 마찬가지」
    『문학과 사회』, 봄 [2005]
  • 「개발 국가의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: -70년대 한국 부녀행정을 중심으로」
    황정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2001 [1960]
  • 「가족주의의 해부에서 해체로」
    『휘청거리는 오후』 2, 세계사 [2012]
  • 「가정주부와 산업노동자의 경계에 선 여성」
    윤은주 『한국여성철학회 학술대 회 발표자료집』 (4). 2016 [2016]
  • 「韓國政治에 있어서의 疏外 – 選擧와 관련하여 본 그 性格과 問題」
    한완상 『신동아』 [1971]
  • 「最初의 여성해방론자 羅蕙錫 작품집 발간」
    『매일경제』, 년 3월 28일 [1979]
  • 「書店街에 비친 主婦의 讀書熱 寒心... 겨우 顧客의 二割 찾는책은 小說 「스타 일 북」 따위」
    『조선일보』, 년 10월 24일 [1962]
  • 「文人은 철저한 藝人이 되어야」
    윤재근 『조선일보』, 년 7월 11일 [1980]
  • 「就職 새 氣象圖 ... 넓고도 좁은 門 (1) 달라진 風向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10월 27일 [1977]
  • 「實力쌓아全力性과 協力」
    『조선일보』, 년 6월 19일 [1969]
  • 「女流作家의 어제와 오늘」
    강신재 박완서 손소희 한말숙 『현대문학』 [1982]
  • 「女性勞動力개발 70年代對備한 세미나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12월 11일 [1969]
  • 「女性傳記붐 올해의 書店街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11월 23일 [1978]
  • 「女性人力 활용 위한 公開토론회 “就業기회 드물고 차별대우는 여전”」
    『경향 신문』, 년 6월 11일 [1979]
  • 「女子의 窓을 읽으며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3월 11일 [1963]
  • 「女子를 자유롭게 하는 것」
    『샘터』 [1978]
  • 「女子가 모르는 男子의 고독」
    이호철 『여성동아』 [1967]
  • 「大衆社會의 성격과 政治的疏外 盧在琫 교수의 「이달의 雜誌」를 읽 고」
    한완상 『동아일보』, 년 2월 24일 [1971]
  • 「出版街 새바람 女性傳記 봄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9월 15일 [1978]
  • 「僞裝 잘된 低質이 人氣높다」
    곽광수 『조선일보』, 년 6월 20일 [1980]
  • 「作家는 많은 讀者를 원한다 郭光秀 - 曺南鉉 씨 글을 읽고」
    김이연 『조선 일보』, 년 7월 9일 [1980]
  • 「作家 이름 위엔 修飾도 많고... - 「人氣」, 「問題」, 「女流」 등 주렁주렁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7월 12일 [1978]
  • 「人才難 求職難 (4) 스카웃 無風 지대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9월 23일 [1977]
  • 「主婦모임 探訪 (10) 젊은 부인회」, 『매일경제』, 년 4월 19일. 「그건 男子탓이다」
    『경향신문』, 1977년 8월 24일 [1976]
  • 「『여원』에 발표된 [여류현상문예] 당선작품과 기성 여성작가 작품의 비교연구」
    이덕화 『현대소설연구』 37 [2008]
  • 「『여성』이 제시하는 ‘올바른 여성운동의 방향은?」, 『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』
    조은 평민사 [1986]
  • 「『女性東亞』 공모小說 당선 『裸木』 朴婉緖 여사 “戰火 속에 핀 畫家의 사 랑그려”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10월 8일 [1970]
  • 「「인기作家」간판그만 들먹이자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6월 7일 [1980]
  • 「「오늘의 작가賞」 선정 “口舌數”」
    『매일경제』, 년 6월 1일 [1986]
  • 「「연예오락」 MBC-TV 「새엄마」 일상소재에 친밀감」
    『조선일보』, 년 2월 6일 [1973]
  • 「「엄마의 말뚝 1」과 여성의 근대성」
    최경희 『민족문학사연구』 9(1) [1996]
  • 「「알뜰한女性像」에의 熱意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5월 1일 [1969]
  • 「「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」 작가 朴婉緖씨 家父長틀에 갇힌 女權신장의 虛實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12월 4일 [1989]
  • 「「批評商人」의 책임 크다」
    유현종 『조선일보』, 년 6월 24일 [1980]
  • 「「創作의도」가 問題다 商業主義문학을 다시 批判함」
    조남현 『조선일보』, 년 7월 4일 [1980]
  • 「“프레스 정동”의 탄생과 문학자의 “선언”-『동아일보』 “백지광고”에 나타난 시민성을 중심으로-」
    『민족문학사연구』 60 [2016]
  • 「“책다운 책 내야 살아남는다”」
    『조선일보』, 년 8월 22일 [1978]
  • 「“여성”의 사회적 해석과 년 박완서의 소설 - 『휘청거리는 오 후』의 대중성을 중심으로」
    『현대문학의연구』 제51호, 2013 [1976]
  • 「“문화권력이여 장난치지 말라”」
    『한겨레 21』, 년 8월 3일 [2000]
  • 「“말걸기”와 어머니-딸의 플롯」
    김복순 『현대문학의연구』 20 [2003]
  • 「“고통당하는 女子의 운명 그렸어요”」
    『조선일보』, 년 12월 3일 [1989]
  • 「“眞意” 제대로 알아야 한다」
    곽광수 『조선일보』, 년 6월 27일 [1980]
  • 「‘중산층 남성 되기’의 문법과 윤리의 문제 : 박완서의 『오만과 몽상』 을 중심으로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45 [2018]
  • 「‘전쟁 모성’이 생산한 여성 의식」, 『현대소설연구』 67, , 「나는 왜 ‘여성’이 되었는가」
    『현대소설연구』 71, 2018 [2017]
  • 「‘여류문학전집’-1979)과 여성문학의 젠더 정치」
    김은석 동국대학교 박 사학위논문, 2019 [1967]
  • 「‘여류’의 기원과 정체성: 50-60년대 여성문학을 중심으로」
    인하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[2003]
  • 「‘여류’의 교류 – 식민지 조선에서 전위가 된다는 것 (2)」
    『한국현대 문학연구』 51 [2017]
  • 「‘번복’의 글쓰기에 의한 박완서 소설 『그 남자네 집』의 서사구조 변 화」
    손윤권 『인문과학연구』 33 [2012]
  • 「‘문학주의’ 시대의 ‘포스트모더니즘’ - 년대 비평이 ‘포스트모더니 즘’과 접속하는 방식」
    『대중서사연구』 24(4), 2018 [1990]
  • 「‘문밖의식’으로 바라본 도시화 – 박완서 문학과 서울 - 」
    송은영 『여성문학 연구』 25 [2011]
  • 「‘꽃을 든 괴물’ 어떻게 볼 것인가 – 고종석과 정과리의 논쟁 - 「조선일보」 문화권력을 보는 두 가지 시각」
    『한겨레 21』, 년 8월 10일 [2000]
  • 「[박정호 논설위원이 간다] 80년대 ‘애마부인’ 열풍 뒤에 숨은 사회영화 가위 질」
    『중앙일보』, 년 11월 7일 [2019]
  • 「TV 드라마 女流作家 전성시대」
    『동아일보』, 년 8월 19일 [1981]
  • 「MBC, 〈TV피처〉 신설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5월 9일 [1989]
  • 「9月의 女性誌 가을의 냄새 풍기는」
    『경향신문』, 년 8월 16일 [1965]
  • 「90년대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수용사 연구」
    나종석 『철학연구』 120 [2011]
  • 「90년대 학생운동의 현황과 전망」
    김동춘 『황해문화』 19 [1998]
  • 「90년대 여성문학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」
    김은하 박숙자 심진경 이정희 『여성과 사회』 10 [1999]
  • 「80년대 문학의 전사(前史), 포스트-유신체제 문학의 의미」
    고봉준 『한민족 문화연구』 50 [2015]
  • 「78有感 ⑧ 「結實」 없는 「모임」만 풍성」
    『조선일보』, 년 12월 21 일 [1978]
  • 「70년대 여성 작가의 현주소」
    고정희 『소설문학』 [1983]
  • 「70년대 신문소설의 문화적 의미」
    김병익 『신문연구』 25 [1977]
  • 「6.25 전쟁 전후(前後) 출생자들의 세대 정체성 연구 :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」
    민영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50만원 稿料 第三回女流長篇小說當選作發表」
    『여성동아』 [1970]
  • 「1980년대,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(性)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」
    『상허학보』 51, 2017 [2017]
  • 「1980년대 박완서 단편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존재방식과 윤리」
    오자은 『민족문학사연구』 50, 2012 [2012]
  • 「1970년대 한국가정의 경제생활」
    『역사연구』 37, 2019 [2019]
  • 「1970년대 중산층의 소유 욕망과 불안 : 박완서의 1970년대 저작을 중 심으로」
    『상허학보』 50, 2017 [2017]
  • 「1970년대 여성문학장의 형성과 ‘보통’ 여성의 작가적 시민권 주장 – 박완서를 중심으로」
    『여성문학연구』 50, 2020 [2020]
  • 「1960년대 출판문화와 여성지 연구 : 부르디외(Bourdieu)의 장이론을 중심으로」
   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2016 [2016]
  • 「1960년대 근대화와 ‘보통’ 여성의 문학 행위 – 박완서의 『나목』 창 작 및 등단 과정을 중심으로」
    『현대소설연구』 78, 2020 [2020]
  • 「1960-70년대 여성지를 통해 본 근대화의 젠더 양상 연구 - 『여원』, 『여상』, 『주부생활』에 나타난 근대화의 혼종적 성격을 중심으로」
   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 73, 2016 [2016]
  • 「1960-70년대 『창작과비평』 게재 소설에 나타난 권력과 통치의 공 간적 형상화」
    『비교한국학』 24(1), 2016 [2016]
  • 「1950-60년대 엘리트 지식인의 빈곤 담론」
    『역사문제연구』 21(1), 2017 [2017]
  • 「-80년대 한국 근대화 프로젝트와 중동 건설 노동자 가족의 에토 스 – 박완서 소설에 나타나는 공모와 균열의 양상을 중심으로」
    『우리 말글』 70, 2016 [1970]
  • 「-70년대 주부 교양프로그램과 텔레비전의 젠더 정치주부화, 탈주 부화, 재가정화의 가족 이데올로기」
    백미숙 『언론과 사회』 23(4), 2015 [1960]
  • 「-70년대 여성지에 나타난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 담론에 관한 연구」
    김종희 『미디어, 젠더&문화』 10, 2008 [1960]
  • 「-70년대 근대화 프로젝트와 여성담론에 관한 연구 : 여성단체협의 회의 「여성」지 분석을 중심으로」
    신건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, 2001 [1960]
  • 「-70년대 계간지의 형성과정과 특성 연구」
    김성환 『한국현대문학연 구』 30, 2010 [1960]
  • 「-70년대 가정주부(아내)의 형성과 젠더정치 : 여원, 주부생활 잡 지 담론을 중심으로」
    장미경 『사회과학연구』 15(1), 2007 [1960]
  • “박완서의 자서전적 글쓰기 서사 전략과 그 탈식민주의 의미 : ??그 남자네 집??을 중심으로??”
    윤정화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 66 [2015]
  • “동의의 본질과 구조”
    김휘원 『법철학연구』 20(3) [2017]
  • Willis, Paul, 김찬호 김영훈 옮김, 『학교와 계급재생산』, 이매진, Young, Iris Marion, 김도균 조국 옮김, 『차이의 정치와 정의』
    모티브북, 2017 [2004]
  • Williams, Raymond, 성은애 옮김, 『기나긴 혁명』, 문학동네, , 이현석 옮김, 『시골과 도시』
    나남, 2013 [2007]
  • Weedon, Chris, 조주현 옮김, 『여성해방의 실천과 후기 구조주의 이론』
    이화 여자대학교 출판부 [1993]
  • Walby, Sylvia, 유희정 옮김, 『가부장제 이론』
  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[1996]
  • Ulanov, Ann Belford, 이재훈 옮김, 『신데렐라와 그 자매들』
    한국심리치료연 구소 [1999]
  • Scott, Joan Wallach, 공임순 최영석 이화진 옮김, 『페미니즘, 위대한 역설』
    앨피 [2006]
  • Scott, Joan Wallach Tilly, Louise A., 장경선 박기남 김영 옮김, 『여성 노동 가 족』
    후마니타스 [2008]
  • Pateman, Carole, 이충훈 유영근 옮김, 『남과 여, 은폐된 성적 계약』
    이후 [2001]
  • Nussbaum, Martha C., 조계원 옮김, 『혐오와 수치심』
    민음사 [2015]
  • Mohanty, Chandra Talpade, 문현아 옮김, 『경계 없는 페미니즘』
    여이연 [2005]
  • Mills, Sara, 김부용 옮김, 『담론』
    인간사랑 [2001]
  • Mies, Maria, 최재인 옮김, 『가부장제와 자본주의』
    갈무리 [2014]
  • Marx, Karl Heinrich, 김현 옮김, 『유대인 문제에 관하여』
    책세상 [2015]
  • Mariarosa, 이영주 김현지 옮김, 『집안의 노동자』
    Dalla Costa 갈무리 [2017]
  • Macdonell, Diane, 임상훈 옮김, 『담론이란 무엇인가』
    한울 [1992]
  • Holmstrom, Nancy ed., 유강은 옮김, 『페미니즘, 왼쪽 날개를 펴다』
    메이데 이 [2012]
  • Hoggart, Richard, 이규탁 옮김, 『교양의 효용』
    오월의봄 [2016]
  • Hart, Dennis, 엄영래 옮김, 「한국의 주부와 개발의 정치학」
    『한국가정관리 학회지』 19(2) [2001]
  • Haraway, Donna J. Goodeve, Thurza Nichols, 민경숙 옮김, 『한장의 잎사귀 처럼』
    갈무리 [2005]
  • Hall, Stuart, 임영호 옮김, 『문화, 이데올로기, 정체성』
    컬쳐룩 [2015]
  • Gramsci, Antonio, 박상진 옮김, 『대중 문학론』
    책세상 [2003]
  • Giddens, Anthony, 배은경 황정미 옮김, 『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』
    새물결 [2001]
  • Gans, Herbert J., 이은호 옮김, 『대중문화와 고급문화』
    현대미학사 [1996]
  • Fromm, Erich, 차경아 옮김, 『소유냐 존재냐』
    까치 [1996]
  • Foucault, Michel, 심세광 옮김, 『주체의 해석학』
    동문선 [2007]
  • Felski, Rita, 이은경 옮김, 『페미니즘 이후의 문학』
    여이연 [2010]
  • Federici, Silvia, 황성원 옮김, 『혁명의 영점』
    갈무리 [2013]
  • Fanon, Frantz, 노서경 옮김, 『검은 피부, 하얀 가면』
    문학동네 [2014]
  • Eagleton, Terry, 정남영 김명환 장남수 옮김, 『문학이론입문』
    창비 [1989]
  • Debray, Regis, 정진국 옮김, 『이미지의 삶과 죽음』
    글항아리 [2011]
  • Butler, Judith, 조형준 옮김, 『젠더 트러블』
    문학동네 [2008]
  • Bunch, Charlotte Koedt, Anne Rich, Adrienne Wittig, Monique, 나영 옮김, 『레즈비언 페미니즘 선언』
    현실문화 [2019]
  • Brown, Mary Ellen, 김선남 옮김, 『텔레비전과 여성문화 : 대중문화』
    한울 [2002]
  • Bourdieu, Pierre, 하태환 옮김, 『예술의 규칙』
    동문선 [1999]
  • Beauvoir, Simone De, 오증자 옮김, 『위기의 여자』
    정우사 [1975]
  • Bataille, Georges, 조한경 옮김, 『에로티즘』
    민음사 [2019]
  • Barthes, Roland, 김희영 옮김, 『텍스트의 즐거움』
    동문선 [1997]
  • Althusser, Louis, 김웅권 옮김, 『재생산에 대하여』
    동문선 [2007]
  • Abelmann, Nancy, 강신표 박찬희 옮김, 『사회이동과 계급, 그 멜로드라마』
    일조각 [2014]
  • ?한국대중매체사?
   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[2007]
  • ?박완서 단편소설의 생태문학적 가치?, ??
    정연희 『어문논집』 68 [2013]
  • ?마음의 사회학?
    김홍중 문학동네 [2009]
  • ?년대 후반 여성 독자와 문학 장의 재편?, ?
    노지승 『한국현대문학연구』 30, 2010 [1950]
  • ??동원된 근대화??
    조희연 후마니타스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