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전쟁기 삐라에 나타난 만화적 표현 연구 = A Study of the Cartoon Expressions That Appeared on Leaflets during the Korean War

이재웅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한국전쟁기 삐라에 나타난 만화적 표현 연구 = A Study of the Cartoon Expressions That Appeared on Leaflets during the Korean War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장식미술
  • 만화
  • 만화 삐라
  • 심리전
  • 프로파간다
  • 한국전쟁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263 0

0.0%

' 한국전쟁기 삐라에 나타난 만화적 표현 연구 = A Study of the Cartoon Expressions That Appeared on Leaflets during the Korean War' 의 참고문헌

  • 홀로코스트 백과사전
    www.encyclopedia.ushmm.org
  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    www.encykorea.aks.ac.kr
  • 편 《한국전쟁기 삐라》
    방선주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[2000]
  • 토비 클락, 이순령 역 《20세기 정치선전 예술》
    예경 [2000]
  • 촘스키, 이성복 역 《프로파간다와 여론》
    노암 아침이슬 [2015]
  • 조선미술가동맹 《조선미술사 2》
    평양:조선미술가동맹 [1987]
  • 제1차 세계대전과 포스터 – 프로파간다
    https://blog.naver.com
  • 정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《21세기 정치학대사전》
    한국사전연구사 [2010]
  • 정보사령부 《북한군 심리전》
    육군인쇄창 [2001]
  • 일본군 에로 전단지 공작의 실체
    http://blog.daum.net/mybrokenwing/704
  • 이 정 《북한문화예술인명사전》
    동방미디어 웹문서 [2002]
  • 육군본부 《정훈50년사:1940-1989》
    육군인쇄창 [1990]
  • 월간미술 《세계미술용어사전》
    월간미술 [2017]
  • 연합 아카이브 https://y-archive
    com
  • 연일 정씨 홈페이지 http://yuniljung
    com/man/hwoong.htm
  • 역 《괴벨스 프로파간다!》, 동서문화사
    추영현 크리스토퍼 심슨 [2019]
  • 역 《강압의 과학》
    정용욱 선언 [2009]
  • 에드워드 버네이스, 강미경 역 《프로파간다 : 대중 심리를 조종하는 선전 전략》
    공존 [2009]
  • 안토니 R. 프랫카니스, 윤선길 역 《프로파간다 시대의 설득전략》
    커뮤니케이션 북스 [2005]
  • 스토너 손더스, 유광태, 임채원 역 《문화적 냉전 : CIA와 지식인들》
    프랜시스 [2016]
  • 세상만화
    https://blog.naver.com/mi2591
  •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《조선전사》 23권
    평양:과학백과사전출판사 [1982]
  •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《조선전사》 22권
    평양:과학백과사전출판사 [1981]
  • 부천만화정보센터 《삼팔선 불루스에서 성웅 이순신까지-코주부 김용환의 재발 견》
    현실문화 [2005]
  • 민족문제연구소 편 《식민지 조선과 전쟁미술》
    민족문제연구소 [2004]
  • 메리 긴스버그, 오유경 역 《공산주의 포스터》
    북레시피 [2019]
  • 리재현 《조선력대미술가편람》
    평양:문학예술종합출판사 [1999]
  • 디지털만화규장각
    http://dml.komacon.kr
  • 데이비드 웰치 , 이종현 역 《프로파간다 파워:인간과 세상을 조종하는 선전의 힘》
    공존 [2002]
  • 니콜라스 잭슨 오쇼네시, 박순석 역 《정치와 프로파간다 : 대중을 유혹하는 무 기》
    한울 [2009]
  • 네이버 지식백과
    terms.naver.com
  • 김일성 《김일성 저작집 6》
    조선로동당출판사, pp.26 [1980]
  • 극동문제연구소 《북한총람 1945-1968》
    극동문제연구소 [1968]
  • 국방부 《한국전쟁지원사》
    국방부 군사연구소 [1997]
  • 국방부 《국방부사》(제1집)
    국방부 정훈국 [1954]
  •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
    www.emuseum.go.kr
  •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대학중점연구소 《전쟁 프로파간다 자료집》
    선인출 판사 [2018]
  • 『한국미술 100년』
    김윤수 한길사 [2006]
  • 《한국전쟁과 종군작가》
    신영덕 국학자료원 [2002]
  • 《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》
    이서행 한국학중앙연구원 [2008]
  • 《한국만화통사(하)》
    손상익 시공사 [1998]
  • 《한국만화사 구술채록 연구 8 임수 편》
    백정숙 만화규장각 [2007]
  • 《평양미술 조선화 너는 누구냐》
    문범강 서울셀렉션 [2018]
  • 《코주부표랑기》
    김용환 융성출판 [1983]
  • 《중국 인민 지원군과 북중관계》
    박영실 선인출판사 [2012]
  • 《적을 삐라로 묻어라》
    이임하 철수와 영희 [2012]
  • 《이것이 한국최초》
    김은신 삼문 [1995]
  • 《월북 예술가, 오래 잊혀진 그들》, 돌베개
    조영복 파울 요제프 괴벨스 [2002]
  • 《시대와 예술의 경계인 정현웅 - 어느 잊혀진 월북미술가와의 해후》
    신수경 최리선 돌베개 [2012]
  • 《북한미술50년》
    이구열 돌베개 [2001]
  • 《북한 만화의 이해》
    김성훈 살림 [2005]
  • 《박기준의 세계 속 한국만화야사2》
    박기준 한국만화영상진흥원 [2015]
  • 《미국소재 한국사 자료 보고서Ⅲ》
    방선주 국사편찬위원회 [2002]
  • 《들리지 않던 총성 종이폭탄!》
    이윤규 지식더미 [2006]
  • 《나치독일의 일본 프로파간다》
    이경분 제이앤씨 [2011]
  • 《‘삐라’로 듣는 해방직후의 목소리》
    김현식 정선태 소명 [2011]
  • ‘한국전쟁기 북한에서 미술인의 전쟁 수행 역할에 대한 연구’, 《미술사 학》 30권, 30호
    조은정 미술사학연구회 [2008]
  • ‘한국전쟁기 맥아더사령부의 삐라 선전 정책’, 《한국 근현대사 연구》 Vol.58
    이성호 한국근현대사학회 [2011]
  • ‘정관철(鄭寬徹, 1916-1983)의 1950년대 인물화 연구 : 소련과의 관계를 중심으로’, 《미술사학》 51권, 51호
    이주현 미술사학연구회 [2018]
  • ‘냉전시대 프로파간다 애니메이션의 경향 분석 - 소비에트 연방을 중심 으로’, 《만화애니메이션연구》, Vol.57
    이지현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[2019]
  • ‘ 《만화애니메이션사전》
    김일태 한국만화영상진흥원 [2008]
  • www
    두산백과 doopedia.co.kr
  • '「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 점령지역 선전선동사업', 《한국 언론학보》 Vol.54
    김영희 한국언론학회 [2010]
  • '한국전쟁기 삐라의 만화적 특성 연구', 《만화애니메이션 연구》 Vol.59
    윤기헌 이재웅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[2019]
  • '한국전쟁기 남북한 만화삐라의 프로파간다 성격비교', 《애니메 이션 연구》 Vol.54
    윤기헌 이재웅 한국애니메이션학회 [2020]
  • '한국전쟁과 미술 -선전. 경험. 기록', 동국대학교 대학원
    최태만 박사학위논문 [2008]
  • '한국전쟁 초기의 심리전에 관한 연구 : 국방부 정훈국의 대북전단분석 을 중심으로‘, 연세대학교 대학원
    김성옥 석사학위논문 [1980]
  • '한국전쟁 기간 삐라의 설득커뮤니케이션', 《한국 언론학보》 Vol.52
    김영희 한국언론학회 [2008]
  • '한국 근대 만화의 전개와 문화적 의미', 고려대학교 대학원
    서은영 박사학위논 문 [2013]
  • '정현웅의 예술의식 연구 : 《삼사문학》 동인활동과 미술비평문을 중심으 로 ', 《한국학연구》 제57집
    강정화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[2020]
  • '정치 포스터에 나타난 프로파간다 유형과 시각적 수사 접근 연구' 《디 자인지식저널》 Vol.26
    김연주 한국디자인지식학회 [2013]
  • '전쟁 속의 만화, 만화 속의 냉전', 《역사비평》 제118호
    백정숙 역사비평사 [2017]
  • '전단지의 수사학: 해방 공간의 ‘삐라’를 중심으로', 《한국학논총》 Vol.35
    정선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[2011]
  • '일본에서의 김용환(필명:기타코지) 만화작가활동과 의의', 《한국 현대만화의 거장 김용환 서거 2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》 Vol.1
    우시다 아야미 김해문화의 전당 [2018]
  • '이미지와 슬로건으로 읽는 북한의 정치문화 - 포스터 분석을 중심으로, 1990-2000', 《역사와경계》 No.86
    육영수 부산경남사학회 [2013]
  • '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의 전쟁화와 프로파간다', 《일본학 보》 Vol.109
    김용철 한국일본학회 [2016]
  • '아버지 정현웅(鄭玄雄) 화백 ', 《근대서지》 제2호
    정지석 근대서지학회 [2010]
  • '선전선동 사례연구 : 나치독일, 중국, 북한', 《현대북한연구》 Vol.14 No.3
   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[2011]
  • '삐라와 문학의 공통감각 - 한국전쟁기 북한 삐라를 중심으로 -', 《국제 어문》 Vol.59
    김은정 국제어문학회 [2013]
  • '삐라, 매체에 맞서는 매체', 《서강인문논총》 Vol.35
    정선태 서강대학교 인문과 학연구소 [2012]
  • '북한의 대남 심리전 연구', 경남대학교 대학원
    이윤규 박사학위논문 [2000]
  • '백련 지운영(1852-1935)의 회화세계 연구', 《한국근현대미술사학》 No.21
    김재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[2010]
  • '발굴자료로 보는 남북의 현대사 - ‘사료’에서 확인하는 남북의 역사인식 ', 《민족21호》 제90호
    정영철 민족21 [2008]
  • '만화의 정의에 대한 문제제기들과 "근대 만화"에 대한 역사적 정의', 《만화애니메이션연구》 Vol.11
    한상정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[2007]
  • '동아시아 근대만화의 특성 비교 연구', 경북대 대학원
    윤기헌 박사학위 논문 [2012]
  • '남북한 ‘만화’ 용법의 차이 ‘북한 ‘그림책’ 「서산대사」의 혼종성(混種性) 을 중심으로', 《현대북한연구》 제14권 제2호
    한상정 북한대학원대학교 [2011]
  • '6⋅25전쟁기 삐라의 사회기호학적 분석', 《군사》 Vol.73, 국방부 군사편 찬연구소. 백정숙(2013). '한국전쟁과 만화', 《근대서지》 제7호
    박현수 근대서지학회 [2009]
  • '6.25전쟁기 미군의 삐라 심리전과 냉전 이데올로기', 《역사와 현실》51 호
    정용욱 한국역사연구회 [2010]
  • '6.25전쟁과 심리전', 《한국근현대사미술사학》 제21권
    이윤규 한국근현대사미술 사학회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