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학주의적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인간학적 고찰 : 경계와 관계의 인간학

임준섭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과학주의적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인간학적 고찰 : 경계와 관계의 인간학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과학주의
  • 기독교 휴머니즘
  • 기독교교육
  • 기독교적 인간학
  • 포스트휴머니즘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97 0

0.0%

' 과학주의적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인간학적 고찰 : 경계와 관계의 인간학' 의 참고문헌

  • 휴먼 바디를 가진 포스트휴먼, 사이보그는 어떻게 탄생하는가. 포스 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; 새로운 인간은 가능한가. 이창익 등 공저 (117-142)
    임소연 광주: GIST press [2017]
  • 휴머니즘에 관한 기독교적 인식 문제
    양창삼 사회이론, 제13호, 227-264 [1995]
  • 휴머니즘과 반휴머니즘 사이
    강영안 철학과현실, 제40호, 45-59 [1999]
  • 현대 과학주의에 대한 개혁주의 신학적 고찰: 죽산 박형룡의 과학관 에 근거하여. 목회학석사학위
    임준섭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[2017]
  • 헬무트 틸리케-종교개혁적인 성경론적 신학
    김영한 서울: 살림 [2005]
  • 해체의 문화와 샬롬의 영성: 포스트모던의 기독교 교육 비전
    신국원 기독교 교육정보, 제36호, 45-69 [2013]
  •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
    송호근 서울: 삼성경제연구소 [2006]
  • 한국 청소년의 위기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대안 모색-모바일 미디어 를 중심으로
    이주아 한국기독교신학논총, 제83호, 351-375 [2012]
  • 학습자 중심의 교육원리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통합과 비평
    함영주 기독교 교육정보, 제33집, 61-85 [2012]
  • 학교 교육의 방향전환을 위한 새로운 영성 교육에 대한 토론 : 중학교에서 영성교육의홀리스틱 방향 탐색 토론
    조한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, 제6권 1호, 183-185 [2002]
  • 하나님 형상 회복으로서의 성품과 기독교 대학에서의 실천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
    김성원 총신대논총, 제39권, 429-456 [2019]
  • 피코 델라 미란돌라: 인간 존엄성에 관한 연설
    성염 성염 서울: 철학과현실사 [1996]
  • 플립드러닝(flipped learning)을 활용한 성경교수실행모형개발
    함영주 개혁 논총, 제34권, 241-267 [2015]
  • 플립드 러닝(Flipped Learning)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
    방진하 이지현 한국교원교육연구, 제31권, 제4호, 299-319 [2014]
  • 플립드 러닝 수업 방식의 기독교 교양수업에의 적용 사례 연구
    박은혜 기 독교교육논총, 제50집, 351-384 [2017]
  • 포스트휴먼시대의 되기의 기독교윤리
    김은혜 신학과사회, 제32권 2호, 211-243 [2018]
  • 포스트휴먼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. 신학박사학위
    김민수 장로회신학대학 교 일반대학원 [2018]
  • 포스트휴먼-과학과 종교의 새로운 접점
    신익상 한국교양교육학회 춘계학술 대회 자료집, 74-83 [2019]
  •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독교와 기술
    손화철 제3회 웨스트민스터 컨퍼런스, 10월 8일 [2018]
  • 포스트휴먼 시대의 과학기술 거버넌스
    손화철 현상과인식, 제43권 2호, 135-162 [2019]
  • 포스트휴머니즘의 사상사적인 이해: 휴머니즘과 신학의 사이에서. 포 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; 새로운 인간은 가능한가. 이창익 등 공저 (201-232)
    서보명 광주: GIST press [2017]
  • 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이 될 수 있는가? - 포스트휴머니즘 논쟁을 통해 본 휴머니즘의 의미와 한계-
    이원봉 인간연구, 제37집, 57-83 [2018]
  •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?
    이재숭 철학논총, 제94권, 21-40 [2018]
  •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철학적 성찰
    강영안 이상헌 지식의지평, 제15권, 150-173 [2013]
  • 포스트휴머니즘과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 재고
    정윤경 교육철학연구, 제41 권 3호, 117-147 [2019]
  • 포스트휴머니즘과 과학기술 윤리의 문제; 스피노자를 중심으로
    이지영 한민 족문화연구, 제59호, 247-280 [2017]
  •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교육
    한미라 기독교교육정보, 제36집, 1-43 [2013]
  • 포스트 휴머니즘, 지리교육 그리고 사이보그 시민
    김병연 한국지리환경교육 학회지, 제25권 제4호, 73-87 [2017]
  • 트랜스 휴머니즘과 인간 양식의 변화에 나타난 윤리적 문제들; 인공 지능시대에 삶의 미정성과 유한성이 주는 가치
    김광연 한국개혁신학, 제54호, 135-164 [2017]
  • 칼빈의 ‘세네카 관용론 주석’ 연구
    이양호 신학논단, 제19호, 99-120 [1991]
  • 칼뱅의 종교개혁 사상과 인문주의. 교육학박사학위
    오형국 한국교원대학교 [2005]
  • 칼뱅의 자유사상
    박건택 서울: 솔로몬 [2013]
  • 창조신앙교육과 기독교 창의성 유아교육의 실제
    조혜정 기독교교육정보, 제 49집, 233-254 [2016]
  • 창의적 인성개발
    임혜숙 파주: 한국학술정보(주) [2012]
  • 죽산 박형룡의 과학관에 근거한 현대 과학주의 비평과 종합
    임준섭 개혁논 총, 제46권, 223-250 [2018]
  • 조미라. 포스트휴먼 시대의 여성 주체성
    박예은 철학탐구, 제56호, 153-179 [2019]
  • 조미라, “미래사회를 위한 포스트휴먼 교육”
    박유신 미술교육논총, 제31권 2 호, 179-216 [2017]
  • 일반은총과 문화적 산물
    송인규 서울: 부흥과개혁사 [2012]
  • 인터넷 멀티미디어와 기독교 신앙교육-인터넷 멀티미디어의 신학적 함의를 중심으로-
    최인식 기독교와교육, 제10권, 15-21 [2002]
  • 인성에 대한 교육적 의미
    한상진 신학과실천, 제54권, 417-444 [2017]
  • 인공지능의 철학적 성찰
    이초식 과학사상, 제8호, 81-96 [1994]
  • 인공지능 시대를 보는 이론적 관점들
    김환석 사회와이론, 제31집 2호, 41-62 [2017]
  • 인간존엄성-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?
    김종엽 철학과현상학연구, 제47 집, 37-67 [2010]
  • 인간이 된 기계와 기계가 된 신: 종교, 인공지능, 포스트휴머니즘. 포 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; 새로운 인간은 가능한가. 이창익 등 공저 (67-115)
    이창익 광주: GIST press [2017]
  • 이 시대의 키워드, 성품 교육
    이신혜 교육교회, 제449호, 176-177 [2015]
  •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 주체가될 수 있는가?
    김재희 철학연구, 106호, 215-242 [2014]
  • 온라인
  • 역사학에서 ‘동물로의 전환(Animal Turn)’; 짐승의 사회문화사에 서 포스트휴머니즘 역사로
    송충기 서양사론, 제139호, 212-241 [2018]
  • 앎의 패러다임 전환과 기독교학교 교육과정에의 함의
    현은수 기독교교육정 보, 제16집, 133-156 [2007]
  •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(2)
    박태현 신학지남, 제320호, 231-255 [2014]
  •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
    박태현 신학지남, 제318호, 180-207 [2014]
  • 신물질론과 포스트휴먼 기획: 여성주의 물질론을 중심으로
    장세룡 로컬리티 인문학, 제18호, 263-306 [2017]
  • 스마트 PBL에 의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
    남선우 기독교교육논 총, 제40집, 449-486 [2014]
  • 슈퍼 인공지능 신화를 넘어서: 지능, 싱귤래리티[특이점], 그리고 과 학 미신.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; 새로운 인간은 가능한가. 이창익 등 공 저(233-272)
    이용주 광주: GIST press [2017]
  • 세속 대학에서의 인성교육
    유재봉 신앙과학문, 제19권 3호, 85-106 [2014]
  • 성인모색기의 도덕적 표류현상과 기독교적인 도덕적 성품교육
    유은희 기독 교교육정보, 제42호, 283-327 [2014]
  • 서양근대철학회. 서양근대철학의 열 가지 쟁점. 서울: 창비. 선우현. (2012). 평등
    서울: 책세상 [2004]
  • 생태환경문제와 교회학교 어린이 신앙교육의 방향
    이은성 기독교교육논총, 제56집, 73-100 [2018]
  • 생태계에 대한 도예베르트적 분석과 기독교적 환경교육
    윤일 복음과교육, 제9집, 42-68 [2011]
  • 생태계 위기극복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
    윤응진 기독교교육논총, 제36 집, 1-33 [2013]
  • 생물학 중심학제간 학문의 최근경향에 대한 비판과 기독교 교육학적 논의-도예베르트(Dooyeweerd, H)의 양상이론을 중심으로
    윤일 복음과교육, 제12 집, 69-106 [2012]
  • 새로운 주체의 가능성-포스트휴머니즘과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를 중심으로
    하상복 새한영어영문학, 제49권 4호, 119-141 [2007]
  • 사회과학의 ‘물질적 전환(material turn)’을 위하여
    김환석 경제와사회, 112호, 208-231 [2016]
  • 사전 온라인 영문판
  •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획: 배타적인 인간중심주의 극복.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. 이화인문과학원 편(62-89)
    임석원 서울: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[2013]
  •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온라인 영문판
  • 배타적 과학주의와 전면적 상대주의 비판:H. Putnam의 논거를 중심 으로
    정연교 OUGHTOPIA, 제20권, 114-15 [2005]
  • 문명의 전환과 존재론적 전회:‘중용’의 재해석과 부엔 비비르 (Buen Vivir)를 중심으로
    김은중 라틴아메리카연구, 제31권 3호, 19-47 [2018]
  • 멀티미디어 창작을 활용한 기독교교육의 가능성 연구
    김수환 함영주 기독 교교육정보, 제44호, 67-97 [2015]
  • 만들어지는 인간, 만들어지는 정체성. 포스트휴먼 정체성?
    김응준 인문과학, 제52집, 47-66 [2013]
  •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: 포스트휴먼 주체와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
    이경란 탈경계인문학, 제12권 2호, 33-58 [2019]
  • 디지털환경에서의 기독교 미디어교육의 방법론 연구
    김희자 기독교교육정 보, 제1집, 157-187 [2000]
  • 디지털 데이터 사회의 포스트휴먼을 위한 교육
    이은경 신학사상, 제183집, 137-163 [2018]
  • 등.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지능과 학습
    허희옥 교육철학연구, 제39권 1호, 101-132 [2017]
  • 등. 기독교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덕목 추출
    정희영 기독교교육논총, 제36 집, 195-217 [2013]
  • 등. PBL 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 과
    김선희 아동교육, 제15권 3호, 285-297 [2006]
  • 동아일보 인터넷판. [학술]獨슬로터다이크 ‘생명공학시대 휴머니즘은 죽었다.’입력 일자: -10-28 18:52, <https://www.donga.com/news/It/a rticle/all/20041028/8122015/1>
    2020년 8월 13일 접속 [2004]
  • 동물 윤리에 대한 도예베르트적 고찰과 기독교 환경 교육
    윤일 복음과교육, 제11집, 60-90 [2012]
  • 도예베르트의 인간교육철학
    한상진 복음과교육, 제5호, 55-76 [2009]
  • 도예베르트의 이론적 사고에 대한 선험적 비판과 우주법 이념의 중 심성
    한상화 ACTS神學과宣敎, 제13호, 219-248 [2013]
  • 대학생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: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
    김성원 윤정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, 제8권, 8호, 541-550 [2017]
  • 대안적 기독교 교육방법으로서의 PBL-초등학교 계절 성경 학교 사례 연구
    강인애 남선우 기독교교육정보, 제21집, 403-439 [2008]
  • 뉴-미디어 시대의 기독교교육
    강희천 기독교교육정보, 제1집, 9-39 [2000]
  • 기술의 자율성과 포스트휴머니즘
    손화철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, 1-11 [2016]
  • 기독교 철학자들의 문화관
    신영철 성남: 북코리아 [2011]
  • 기독교 인간주의에 대한 성찰: 새로운 문화현상에 대한 신학적 응답
    김은혜 선교와신학, 제33집, 211-240 [2014]
  •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
  • 과학주의와 진화론의 한계
    박영철 진리논단, 제14호, 314-315 [2006]
  • 과학주의 무신론에 대한 과학적 유신론 비판 연구: R. Dawkins와 A. McGrath를 중심으로. 신학박사학위
    정진우 호서대학교 [2011]
  • 과학적 사실과 기독교교육의 상상력을 연계하는 창조적-융합 교육 모 형의 예비적 고찰
    손문 기독교교육정보, 제46집, 101-129 [2015]
  • 과학기술의 발전과 휴머니즘
    백종현 철학과현실, 제120호, 171-184 [2019]
  • 과학기술의 발전과 포스트휴먼
    신상규 지식의지평, 제15권, 128-149 [2013]
  • 경기도교육청, 창의지성교육 해설자료
    수원: 경기도교육청 [2011]
  • 개혁주의 문화관
    김재윤 서울: SFC [2015]
  •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철학. 서울: 그리심. Arendt, Hannah. (1998). The Human Condition, 2nd Ed. 이진우 역. 2019. (인 간의 조건)
    한상진 서울: 한길사 [2015]
  •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원리와 과제
    김성수 개혁논총, 제28권, 9-42 [2013]
  • 개혁주의 기독교 세계관의 역사와 전망
    신국원 총신대논총, 제24권, 130-150 [2004]
  • 개혁주의 기독교 성품교육과정 개발의 원리: 교회와 가정의 연계를 중심으로
    김희자 총신대논총, 제35권, 43-64 [2015]
  • 개혁주의 교육 방법: 교리교육과 예배참여를 통한 전인적 신앙 형성
    문화랑 개혁논총, 제53권, 147-170 [2020]
  •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성경의 영감과 무오교리가 기독교교육학에 주 는 함의
    함영주 복음과교육, 제15집, 73-98 [2014]
  • 가스펠서브. 성경문화배경사전: Cultural Background Bible Dictionary
    서 울: 생명의말씀사 [2017]
  • 『테크노 인문학』
    이진우 서울: 책세상 [2013]
  • 「전환기, 기로에 선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 위기와 대처방안」
    김기숙 기독교교육 정보, 제56집, 1-36 [2018]
  • “인간 개념의 혼란과 포스트휴머니즘 문제”
    백종현 철학사상, 제58집, 127-153 [2015]
  • ‘일상적 창의성’(everyday creativity)의 기독교교육적 함의에 대 한 고찰
    류삼준 기독교교육논총, 제48집, 145-181 [2016]
  • ‘위험사회’의 공공신학적 성찰과 한국교회의 과제
    문시영 장신논단, 제47권 4호, 177-199 [2015]
  • ‘약한’ 인공지능과 ‘강한’ 인공지능의 구별의 문제
    김진석 철학연구, 117호, 111-137 [2017]
  • ‘기독교 휴머니즘’의 역사적 의미
    김경한 밀턴연구, 제13집 1호, 1-20 [2003]
  • and New Materialisms : Differences and Relations
  • Wolterstorff, Nicholas. Journey toward Justice. 배덕만 역. 2017. (월터 스토프 하나님의 정의)
    서울: 복있는사람 [2013]
  • Wolterstorff, Nicholas. Educating for Shalom. 신영순 등 공역. 2014. (샬롬을 위한 교육)
    서울: SFC [2004]
  • Wolters, Albert. Creation regained: biblical basics for a reformational worldview. 양성만 역. 2007. (창조, 타락, 구속)
    서울: IVP [1985]
  • Wittgenstein, Ludwig. Culture and Value, 2nd ed. 이영철 역. 2006. (문 화와 가치)
    서울: 책세상 [1998]
  • Ward, Ted. Values Begin at Home. 김희자 역. 1989
    (자녀교육을 깨운 다) 서울: 두란노 [1979]
  • VR(가상현실)과 AR(증강현실)을 활용한 기독교 환경교육의 가능성 모색
    유지철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, 216-219 [2017]
  • Uncommon Ground. 홍종락 역. 2020. (차이를 뛰 어넘는 그리스도인)
    Keller, Timothy 서울: 두란도 [2020]
  • Twain, Mark. What is Man. 노영선 역. (2011). (인간이란 무엇인가)
    서 울: 이가서 [1906]
  • Trnashumanism as a secularist faith
    Tirosh-Samuelson , Hava . Zygon , Vol . 47 No . 4 , 710-734 [2012]
  • Transhumanism : Toward a Futurist Philosophy
    More , Max . Extropy , Vol . 6 , 6 ? 12 [1990]
  • The transversality of new materialism
    Iris van derDolphijn , Rick . Women : a Cultural Review , Vol . 21 No . 2 , 153-171 [2010]
  • The rebuilding of psychology-An integration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
    Collins , Gary . Wheaton . Illinois : Tyndale House Publishers [1980]
  • The Incarnation and The Challenge of Transhumanism
    Curran , Ian . Becoming godlike ? Christian Century , Nov , 22-25 [2017]
  • The Human use of Human beings : Cybernetics and Society
    Wiener , Nobert . London : Free Association Books [1989]
  • The End of Education : Toward Posthumanism
    Spanos , William V. Minneapolis :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[1993]
  • The Dooyeweerd Pages; <www
    dooy.info/subject.object.html> 년 8월 17일 최종 접속 [2020]
  • The Cyborg Christ : Theological Anthropology , Christology , and the Posthuman
    Thweatt-Bates , Jennifer J . Ph . D . diss. ,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[2009]
  • The Biological Enterprise : Sex , Mind , and Profit from Human Engineering to Sociobiology . Radical History Review
    Haraway , Donna . Vol . 20 , 206 ? 237 [1979]
  • Tegmark, Max. Life 3.0: Being Huma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. 백우진 역. 2017. (맥스 테그마크의 라이프 3.0)
    서울: 동아시아 [2017]
  • Teaching about Evolu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
    National Academy of Science Washington DC : National Academy Press [1998]
  • Strange, Daniel. Plugged In: Connecting Your Faith with What You Watch, Read, and Play. 정성묵 역. 2020. (복음과 문화 사이)
    서울: 두란도 [2019]
  • Stott, John. New Issues Facing Christians Today. 정옥배 역. 2005. (현대 사회 문제와 그리스도인의 책임)
    서울: IVP [1984]
  • Stek, John H. Studies of Old Testament: Text and Interpretation. 류 호준 편역. 2000. (구약신학-본문과 해석)
    서울: 솔로몬 [2000]
  • Socrates to Sartre and Beyond : A History of Philosophy
    S. E.Fieser , J . Boston : McGraw Hill [2003]
  • Smith, James K. A. Desiring the Kingdom. 박세혁 역. 2016. (하나님 나 라를 욕망하라)
    서울: IVP [2009]
  • Sloterdijk, Peter. 인간 농장을 위한 규칙. 이지우 외 편역
    서울: 한길사 [2000]
  • Scientism : Philosophy and the Infatuation with Science
    Sorell , Tom . London : Routledge [1991]
  • Scientific Problems for Scientism
    Newman , Robert . C. Presbyterion , Vol . 21 No . 2 , 73-88 [1995]
  • Science and Scientism : The Importance of a Distinction
    Haught , John . F. Zygon , Vol . 45 No . 2 , 363-368 [2005]
  • Schwab, Klaus.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: what it means, how to respond. World Economic Forum (Jan. 14, , <www.weforum.org/agenda/2016/01/the-fourth-industrial-revolutionwhat-it-means-and-how-to-respond>
    2020년 7월 25일 최종접속 [2016]
  • Schuurman, Egbert. Tegendraads nadenken over Techniek. 최용준, 손 화철 공역. 2019
    (기술의 불안한 미래:엇갈린 전망과 기독교적 대안) 경기 파 주: 비아토르 [2014]
  • Schaeffer, Francis. He is There and He is not Silent. 허긴 역. 2001. (거기 계시며 말씀하시는 하나님)
    서울: 생명의말씀사 [1972]
  • STEAM 교육 사이트
  • Reformation Humanism : Reading the Classics in the New Theology
    Summers , Kirk . REFORMATION & RENAISSANCE REVIEWVol . 20 No . 2 , 134 ? 154 [2018]
  • Ratzsch, Del. Science & Its Limits: The Natural Sciences in Christian Perspective. 김영식, 최경학 역. 2002. (과학철학: 자연과학에 대한 기독교적 조망)
    서울: IVP [2000]
  • Ramm, Bernard. The Christian View of Science and Scripture. 박지우 역. 2016. (과학과 성경의 대화)
    서울: IVP [1954]
  • Prometheus as Performer : Toward a Posthumanist Culture ?
    Hassan , Ihab Habib . The Georgia Review , Vol . 31 No . 4 , 830-850 [1977]
  • Principles of Sacred Theology
    Kuyper , Abraham . J. Hendrik De Vries . Grand Rapids : Edrdmans [1954]
  • Praamsma, Louis. Let Christ Be King. 이상웅, 김상래 역. 2011. (그리스 도가 왕이 되게 하라)
    서울: 복있는 사람 [1985]
  • Posthumanism : A Critical History . In Gordijn
    Miah , Andy .R . Medical Enhancements & Posthumanity . New York : Routledge [2007]
  • Posthumanism . In Simon Malpas & Paul WakeThe Routledge companion to Critical Theory
    Callus , IvanHerbrechter , Stefan . London : Routledge [2013]
  • Plato. Phaidros in The Dialogues. 조대호 역. (파이드로스)
    서울: 문예출판 사 [2004]
  • Pazmino, Robert W. Foundational Issues in Christian Education. 박경순 역. 2002
    (기독교 교육의 기초) 서울: 디모데 [1997]
  • Packer, James. God has Spoken. 박문재 역. 2019
    (재임스 패커의 절대 진리) 서울: 국제제자훈련원 [1965]
  • PBL이 아동의 사회도덕성에 미치는 영향: PBL의 이론과 실제. 강인 애 편저
    강미량 서울: 문음사 [2003]
  • PBL 수업에서 학습자로서의 자기 인식 변화에 대한 사례연 구
    강인애 이정석 열린교육연구, 제5권 2호, 69-87 [2006]
  • Ong, Walter J. Orality and Literacy: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. 임명진 역. 2018
    (구술문화와 문자문화) 서울: 문예출판사 [1982]
  • Norman. Education in the Truth. 신청기 역. 1983. (기독교 교 육철학의 원리와 실제)
    De Jong 서울: 성광문화사 [1969]
  • New Materialism
    Susan Yi Sencindiver . Oxford BibliographiesOxford : Oxford University Press [2017]
  • Naugle, David. WORLDVIEW: The History of a Concept. 박세혁 역. 2018. (세계관 그 개념의 역사)
    서울: 도서출판 CUP [2002]
  • Nakamasa, Masaki. Imakoso Arendt Wo Yominaosu. 김경원 역. 2015. (왜 지금 한나 아렌트를 읽어야 하는가?)
    서울: 갈라파고스 [2009]
  • Mouw, Richard. Abraham Kuyper: A Short and Personal Introduction. 강성호 역. 2015. (아브라함 카이퍼)
    서울: SFC [2012]
  • Moreland, James. P. Scientism and Secularism. 황을호 역. 2019. (과학, 과학주의 그리고 기독교)
    서울: 생명의말씀사 [2018]
  • Monod, Jacques. Le Hasard et la Necessite. 조현수 역. 2010. (우연과 필연)
    서울: 궁리 [1970]
  • Mirandola, Giovanni Pico Della. (1486). Oratio De Hominis Dignitate. 성염 역. (피코 델라 미란돌라: 인간 존엄성에 관한 연설)
    서울: 철학과현실사 [1996]
  • Middelton, Richard. & Walsh, Brian. The Transforming Vision: Shaping a Christian World View. 황영철 역. 1987. (그리스도인의 비전: 기 독교 세계관과 문화 변혁)
    서울: IVP [1984]
  • Meeting the Universe Halfway
    Barad, Karen Durham : Duke Univ . press [2007]
  • McGrath, Alister. The Great Mystery; Science, God and the Human quest for Meaning. 오현미 역. 2018. (인간, Great Mystery)
    서울: 복있는 사람 [2017]
  • Markovic, Igor. Human, Posthuman, Astrohuman. 제1회 문학과 과학 국 제학술대회
   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, 113-114 [2003]
  • Lost in Space ? Readers ' constructions of Science Fiction Worlds
    Kneale , James Rober . Ph . D . diss. , University College London [1996]
  • Kuyper, Abraham. (1898). Lectures on Calvinism. 김기찬 역. (칼빈주의 강연)
    서울: CH북스 [2017]
  • Kuhn, Thomas.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. 김명자, 홍성욱 공역, 2013. (과학혁명의 구조)
    서울: 까치 [1962]
  • Kostenberger, Andreas J. John: Baker Exegetical Commentary, 신지 철, 전광규 공역. 2017. (요한복음 in BECNT)
    서울: 부흥과개혁사 [2004]
  • Kant, Immanuel. 칸트의 교육이론. 김영래 편역
    서울: 학지사 [2003]
  • Kagan, Shelly. Death. 박세연 역. 2012. (죽음이란 무엇인가)
    서울: 엘도 라도 [2012]
  • Jonas, Hans. Das Prinzip Verantwortung : Versuch einer Ethik fer die technologische Zivilisation. 이진우 역. 1994. (책임의 원칙. 기술시대의 생태 학적 윤리)
    서울: 서광사 [1979]
  • Jaarsma, Cornelius.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Herman Bavinck: A Textbook in Education. 정정숙 역. 1983. (헤르만 바빙크의 기독교 교육철 학)
    서울: 총신대학출판부 [1935]
  • Is Technology the New Religion ?
    Waters , Brent . Word & World , Vol . 35 No . 2 , 143-150.- [2015]
  • International Consortium Completes Human Genome Project; All Goals Achieved; New Vision for Genome Research Unveiled, April 14, , <https://www.genome.gov/11006929/2003-release-internationalconsortium-completes-hgp>
    2020년 8월 7일 접속 [2003]
  •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( Trans
    Calvin , John . J. T. Mcneill1659 . Philadelphia : Westminster press
  • Images of Savages : Ancient Roots of Modern Prejudice in Western Culture
    Jahoda , Gustav . London : Routledge [1999]
  • Hummel, Charles E. The Galileo Connection: Resolving Conflicts between Science & the Bible. 황영철 역. 2000. (과학과 성경, 갈등인가 화 해인가?)
    서울: IVP [1986]
  • Humanity+ <https://humanityplus
    org> 년 7월 24일 최종 접속 [2020]
  • Horton, Michael. The Christian Faith: A Systematic Theology for Pilgrims on the Way. 이용중 역. 2012. (언약적 관점에서 본 개혁주의 조직 신학)
    서울: 부흥과개혁사 [2012]
  • Holmes, Arthur F. Contours of A World View: Studies in a Christian World View. 이승구 역. 2017. (기독교 세계관)
    서울: 솔로몬 [1983]
  • Herbrechter, Stephen. Posthumanism. 김연순, 김응준 역. 2012. (포스트 휴머니즘; 인간 이후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)
    서울: 성균관대학교출판 부 [2009]
  • Hayles, Katherine N. How We Became Posthuman. 허진 역. 2013. (우 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)
    서울: 열린책들 [1999]
  • Harari, Yuval Noah. Sapiens: A Brief History of Humankind. 조현욱 역. 2015. (사피엔스)
    서울: 김영사 [2011]
  • Harari, Yuval Noah. Homo Deus. 김명주 역. 2017. (호모데우스: 미래의 역사)
    서울: 김영사 [2015]
  • Hamilton, Victor. The Book of Genesis: Chapters 1-17 in NICOT. 임 요한 역. 2016. (창세기Ⅰ in NICOT)
    서울: 솔로몬 [1990]
  • H. 기독교적 교육과정 디딤돌. 이부형 편역
    Van Brummelen 서울: IVP [2002]
  • Gray, John. Straw dogs: thoughts on humans and other animals. 김승 진 역. 2010. (하찮은 인간, 호모 라피엔스)
    서울: 이후 [2002]
  • Gonzalez, Justo L. The Story of Christianity. 엄성욱 역. 2012. (초대교 회사)
    서울: 은성출판사 [1984]
  • Gaebelein, Frank E. The Pattern of God's Truth. 이창국 역. 1991. (신 본주의 교육: 신앙과 학문의 통합)
    서울: CLC [1954]
  • Gadamer, Hans-Georg. Vernunft im Zeitalter der Vissenschaft. 박남희 역. 2009. (과학 시대의 이성)
    서울: 책세상 [1976]
  • Fukuyama, Francis. Our Posthuman Future: Consequences of the Biotechnology Revolution. 송정화 역. 2003. (Human Future: 부자의 유전자 가난한 자의 유전자)
    서울: 한국경제신문 [2002]
  • From teacher centered to learner centered curriculum : Improving , learning in diverse classroom
    Brown , Kathy L. Education , Vol . 124 , 49-54 [2003]
  • From Human to Posthuman : Christian Theology and Technology
  • Frankensteins and Cyborgs : Visions of the Global Future in an Age of Technology
    Elaine L. Studies in Christian Ethics , Vol . 16 No . 1 , 29-43 [2003]
  • Fowler, James W. Weaving the New Creation: Stages of Faith and the Public Church. 박봉수 역. 1996. (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교교육)
    서 울: 한국장로교출판사 [1992]
  • Flame of Love : A Theology of the Holy Spirit
    Pinnock , Clark . Downers Grove , Illinois : InterVarsity [1997]
  • Ellul, Jacques. Le Systeme technicien. 이상민 역. 2013. (기술체계: 인 간은 기술의 신성함을 끌어내릴 수 있는가?)
    서울: 대장간 [1977]
  • Edu-crafting a cacophonous ecology : cacophonous ecology : posthumanist research practices for education
    Taylor , Carol . Posthuman research practices in education ( 5-24 ) . NY : Palgrave macmillan [2016]
  • Economic ForumThe future of jobs : Employment ,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
    Geneva : World Economic Forum [2016]
  • Economic ForumGlobal Risks Report
    [2017]
  • Dooyerweerd, Herman. Roots of Western Culture. 문석호 역. 2002. (서양 문화의 뿌리)
    고양: 크리스챤다이제스트 [1994]
  • Dooyerweerd, Herman. Introduction in 「A New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s」. 김기찬 역. 1995. (이론적 사유의 신비판 서론)
    서 울: 크리스챤다이제스트 [1953]
  • Dooyerweerd, Herman. In the Twilight of Western Thought. 신국원, 김기찬 역. 1994. (서양 사상의 황혼에서)
    고양: 크리스챤다이제스트 [1960]
  • Designer Evolution : A Transhumanist Manifesto
    Young, Simon Amherst , NY : Prometheus Books [2006]
  • Dawkins, Richard. The Selfish Gene. 홍영남 역. 2006. (이기적 유전자)
    서울: 을유문화사 [1976]
  • Cyborg Subjectivity
    Filas , Michael . Ph . D . diss. , University of Washington [2001]
  • Cyborg Selves : A Theological Anthropology of the Posthuman
    Thweatt-Bates , Jennifer J . Routledge Science and Religion Series . London : Routledge [2012]
  •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
    Turing , Allen . Mind , Vol . 49 , 433-34 [1950]
  • Christian Histories
    Irvin , Dale . Christian Traditioning : Redering Accounts . MaryKnoll , N.Y. : Orbis [1998]
  • Challe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
    Prisecaru , Petre . Knowledge Horizons ? EconomicsVol . 8 No . 1 , 57-62 [2016]
  • Carnal Thoughts : Embodiment and Moving Image Culture
    Sobchack , Vivian . Berkeley :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[2004]
  • Calvin, John. (1559b).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. 고영민 역. (기 독교강요: 라틴어 최종판 1-4권)
    서울: 기독교문사 [2008]
  • Calvin, John. (1541).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. 박건택 역. (칼 뱅 기독교강요: 프랑스어 초판)
    용인: 크리스천르네상스 [2015]
  • Bridotti, Rosi.(2019). Posthuman Knowledge. Cambridge: Polity Press.
    Bridotti , Rosi. Posthuman KnowledgeCambridge : Polity Press [2019]
  • Bridotti, Rosi. The Posthuman. 이경란 역. 2015. (포스트휴먼)
    파주: 아 카넷 [2013]
  • Bostrom, Nick. The Transhumanist FAQ: A General Introduction. (Ver2.1). <www.nickbostrom.com/views/transhumanist.pdf>
    년 7월 29일 접속 [2010]
  • Biology; the dynamic science. 홍영남 등 공역. 2009. (생명과학; 역동적인 자연과학)
    Russell, Peter J. 서울: 라이프사이언스 [2007]
  • Bieler, Andre. L'humanisme social de Calvin. 박성원 역. 2003. (칼빈의 사회적 휴머니즘)
   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1961]
  • Berkhof, Louis. Systemic Theology. 권수경, 이상원 공역. 2000. (벌코프 조직신학)
    서울: 크리스찬다이제스트 [1941]
  • Berkhof, Louis and Van Til, Cornelius. Foundations of Christian Education. Ed. by Dennis E. Johnson. 이경섭 역. 2017. (개혁주의 교육학)
    서울: 개혁주의신학사 [1994]
  • Bavinck, Herman. Philosophy of Revelation. 박재은 역. 2019. (계시철학: 개정, 확장, 해제본)
    경기 군포: 다함 [1909]
  • Bavinck, Herman. (1895). Gereformeerde Dogmatiek. 박태현 역. (개혁교 의학: 개정증보판)
    서울: 부흥과개혁사 [2011]
  • Bartholomew, Craig G. and Gohen, Michael W. Christian Philosophy. 신국원 역. 2019. (그리스도인을 위한 서양 철학 이야기)
    서울: IVP [2013]
  • Barbour, Ian G. When Science Meets Religion. 이철우 역. 2002. (과학 이 종교를 만날 때)
    서울: 김영사 [2000]
  • Augustinus, Aurelius. DE MAGISTRO. 성염 역. (아우구스티누스 교사론)
    서울: 분도출판사 [2019]
  • Artificial intelligence : Discerning a christian response
    Derek C. Perspectives on Science and Christian Faith , Vol . 71 No . 2 , 75-82 [2018]
  •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Nature
    Rubin , Charles T. A Journal of Technology andSociety , No.1 , 88-100 [2003]
  • Application of Christian Education Media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
    Heeja , Kim .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& Information TechnologyVol . 33 , 9-34 [2018]
  •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Philosophy. Trans. David Hugh Freeman. 문석호 역. 1994. (기독교철학 개론)
    Spier, J. M. 서울: CH북스 [1954]
  • Against Method : Outline of an Anarchistic Theory of Knowledge
    Feyerabend , Paul . London : New left Books [1975]
  • Adam, the Fall and Original Sin: theological, biblical, and scientific perspectives. 윤성현 역. 2018. (아담, 타락, 원죄: 원 죄에 대한 신학적 성경적 과학적 관점)
    Madueme, Hans 서울: 새물결플러스 [2014]
  • A history of transhumanist thought
    Bostrom , Nick . Journal of evolution and technologyVol . 14 No . 1 , 1-25 [2005]
  • A general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that masters chess , shogi , and Go through self-play
    Silver , David et al Science , Vol . 362 Issue 6419 , 1140-1144 [2018]
  • A Theology of Technonature Based on Donna Haraway and Paul Tillich
    Kull , Anne . Ph . D . diss. , Lutheran School of Theology [2000]
  • A Supplement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Ⅲ. NY
    BurchfieldR. W . Ed. Oxford University Press [1982]
  • A New English Dictionary on Historical Principles Ⅷ. London
    Sir James A. H . Ed.1914 Oxford University Press
  • A Cyborg Manifesto : Science , Technology , and Socialist-Feminism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. Simians , Cyborgs , and Women : The Reinvention of Nature
    Haraway , Donna . New York : Routledge [1985]
  •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성찰적 접근.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; 새로운 인간은 가능한가. 이창익 등 공저(19-42)
    장진호 광주: GIST press [2017]
  •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이버네틱스와 휴먼 포스트휴먼에 관한 인문 학적 지평 연구
    김동윤 방송공학회논문지, 제24권 제5호, 836-848 [2019]
  •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기독교 인간론: 인공지능을 이기는 공동체적 인간성
    권문상 조직신학연구, 제30집, 112-147 [2018]
  • .「The Blurring of the Boundaries」in Abraham Kuyper : A Centennial Reader
  • .「Sphere Sovereignty」in Abraham Kuyper : A Centennial Reader
    Kuyper , Abraham . James D. Bratt . Grand Rapids : Edrdman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