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50년대 전시소설 연구 : 전시의 민족 정체성을 중심으로

신은경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1950년대 전시소설 연구 : 전시의 민족 정체성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내부냉전
  • 냉전
  • 민족 정체성
  • 비종군작가
  • 전시문학
  • 전시소설
  • 전쟁
  • 종군문학
  • 종군작가단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030 0

0.0%

' 1950년대 전시소설 연구 : 전시의 민족 정체성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황문수 역, 『사랑의 기술』
    Erich Pinchas Fromm 문예출판사 [2019]
  • 한국문학사
    김윤식 민음사 [1998]
  • 한국문인협회, 『해방문학20년』
    정음사 [1966]
  • 한국교육문화협회 편, 『애국독본: 고등용』
    우종사 [1955]
  • 최승환 옮김, 『냉전이란 무엇인가 : 극단의 시대 -1991』
    Bernd Stoever 역사와 비평사, 2008 [1945]
  • 최성환 옮김, 『유고』
  • 중앙일보사편. 「전시하의 문인들」, 『민족의 증언』7
    중앙일보사 [1983]
  • 조행복 역, 『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』
    Bruce Cumings 현실문화 [2017]
  • 조경식역, 「병사, 국민으로서 남성성」, 『남성의 역사』
    Ute Frevert 솔출판 사 [2001]
  • 조 향, 「민족문학의 방향」
    『전시문학독본』 [1951]
  • 정일준 역, 「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」
    P. Bourdieu 새물결 [1997]
  • 정소정역, 『존재와 무』
    Jean Paul Sartre 동서문화사 [2010]
  • 전쟁과 사회
    김동춘 돌베개 [2000]
  • 전양범 역, 『존재와 시간』
    Martin Heidegger 동서문화사 [2015]
  • 심정순, 엄경숙 옮김, 『페미니즘 이론 사전』
    Maggie Humm 삼신각 [1995]
  • 문학자의 태도
    조연현 『문화창조』 [1945]
  • 김 송, 「進擊中에 있는 동생에게」
    『승리를 향하여(전우위문문집)』 [1951]
  • 구상 외, 「종군예술가 좌담회」
    『전선문학』 [1952]
  • 『현대한국소설사』
    이재선 민음사 [1991]
  • 『현대한국 문학사』
    정한숙 고대출판부 [1988]
  • 『현대문학사』
    김윤식 김현 일지사 [1973]
  • 『한국현대정치사2』
    김운태 성문각 [1986]
  • 『한국현대문학사』
    김윤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[1992]
  • 『한국현대문학사』
    조연현 성문각 [1990]
  • 『한국현대문학사2』
    권영민 민음사 [2002]
  • 『한국현대문학 비평사』
    김영민 소명출판 [2002]
  • 『한국전쟁연구- 점령정책, 노무운용, 동원』
    서용선 국방군사연구소 [1995]
  • 『한국전쟁기 종군작가 연구』
    신영덕 국학자료원 [2015]
  • 『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반공프로젝트』
    서동수 소명출판사 [2015]
  • 『한국소설사』
    김윤식 정호응 문학동네 [2010]
  • 『한국문학사』
    김윤식 김현 민음사 [1973]
  • 『한국문학과 모성성』
    심진경 태학사 [1998]
  • 『정일권 회고록: 6.25 비록 전쟁과 휴전』
    정일권 동아일보사 [1986]
  • 『전쟁기 문학담론과 집단기억의 재구성』
    서동수 역락 [2015]
  • 『자살론』
    E. Durkheim 황보종우역 [2015]
  • 『암야행』
    김성한 양문사 [1954]
  • 『신여성, 근대의 과잉-식민지 조선의 신여성 담론과 젠더정치』
    김수진 소명 출판사 [2009]
  • 『식민지하 근대가적의 형성과 젠더』
    김혜경 창비 [2006]
  • 『숭고의 수사학과 환멸의 기억-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집단기억의 재 구성』
    서동수 우리말글 [2006]
  • 『내가 살아온 한국문단』
    조연현 현대문학사 [1968]
  • 『1950년대』
    고 은 향연 [2005]
  • 「희망의 전열」, 『사병문고2』
    김 송 [1951]
  • 「후방의 생계전사가 된 여성들:한국전쟁과 여성의 경제활동」
    안태윤 『중앙 사론』33, 한국중앙사학회 [2011]
  • 「후방에서 전선으로」
    장덕조 『전선문학』,1권 1호 [1952]
  • 「후기」
    박영준 『전쟁과 소설』 [1951]
  • 「환도희망과 부산풍경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현실(現實)성과 예술성(藝術性)」
    조연현 『신천지』 [1951]
  • 「현대 불문학의 방향」
    손우성 『문예』 [1953]
  • 「해지는 보금자리 풍경」
    염상섭 『염상섭 단편전집 중기단편: -1953』, 민음사, 1987 [1945]
  • 「해방의 아침」
    염상섭 『신천지』 [1951]
  • 「해방기 잡지의 문예평론 연구」
    신정은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합장」
    김말봉 『신조』 [1951]
  • 「한국전쟁이 한국정치에 미친 영향」
    양동안 『현대사회』10권 1호, 현대사 회연구소 [1990]
  • 「한국전쟁의 특수성이 한국 전후 소설에 미친 영향」
    정지아 중앙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한국전쟁의 미시적 분석-서울시민과 한국전쟁 : 잔류. 도강. 피난」
    김동춘 『역사비평』, 역사비평사 [2000]
  • 「한국전쟁으로 인한 남성부재와 여성 생계부양노동의 의미」
    김효정 박언주 『페미니즘연구』, 한국여성연구소 [2018]
  • 「한국전쟁에서의 인권과 평화: 피난민 문제와 공중폭격 사례를 중심 으로」
    서희경 『한국정치연구』,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[2012]
  • 「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」
    이성숙 『여성과 역사』7, 한국여성 사학회 [2007]
  • 「한국전쟁문학론 연구」
    오세영 『서울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』28 [1992]
  • 「한국전쟁기<경향신문>의 문화면과 김광주의 글쓰기」
    최미진 『한국문학 이론과 비평』54,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[2012]
  • 「한국전쟁기 합덕면 마을 주민간의 갈등」
    박찬승 『사회와 역사』, 한국사 회사학회 [2007]
  • 「한국전쟁기 종국작가 연구」
    신영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3]
  • 「한국전쟁기 애국담론과 감성정치」
    김봉국 『감성연구』, 전남대학교 호남 학연구원 [2015]
  • 「한국전쟁기 소설 연구」
    박문수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7]
  • 「한국전쟁기 남성 부재와 시집살이 여성」
    김귀옥 『역사비평』101호, 역사 비평사 [2012]
  • 「한국전쟁과 한국문학-체험의 기록과 경험의 형상화」
    조연현 『전선문학』 [1953]
  • 「한국전쟁과 인구사회학전 변화」
    정성호 『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』, 한국정신문화연구원 [1999]
  • 「한국전쟁과 여성노동의 확대」
    이임하 『한국사학보』14호, 고려사학회 [2003]
  • 「한국전쟁과 여성- 경계에 선 여성들」
    함인희 『역사비평』, 역사비평사 [2010]
  • 「한국전쟁과 남한사회의 구조화」
    유석춘 이우영 장덕진 『한국과국제 정 치』12호, 慶南大學 校極東問題硏究所 [1990]
  • 「한국전쟁, 가족 그리고 여성의 다중적 근대성」
    김은경 함인희 『사회와 이론』, 한국이론사회학회 [2006]
  • 「한국전쟁, 가족 그리고 여성의 다중적 근대성」
    함인희 『사회와 이론』, 한국이론사회학회 [2006]
  • 「한국전쟁 화폐개혁」
    배영목 『사회과학연구』,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 소 [2006]
  • 「한국전쟁 피난민들의 정착과 장소성」
    공윤경 차철욱 『石堂論叢』, 東亞 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[2010]
  • 「한국전쟁 피난민들의 부산 이주와 생활공간」
    류지선 손은하 차철우 『민 족문화논총』45,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[2010]
  • 「한국전쟁 참전 군인들의 전쟁과 삶에 대한 의미」
    김승용 정미경 『비판사 회정책』,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[2018]
  • 「한국전쟁 전후기 소설의 현실인식 연구」
    박신헌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2]
  • 「한국의 현대문학」
    염상섭 『문예』 [1952]
  • 「한국문학 40년사」
    김윤식 『한국현대문학사』, 서울대학교 출판부 [1992]
  • 「한국 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」
    서동수 『한국현대문학회』, 한 국현대문학학회 [2006]
  • 「하늘은 오늘도 푸르러」
    박용구 『신천지』 [1953]
  • 「피와 눈물」
    유주현 『사병문고3』 [1953]
  • 「피난살이삼년발자취(9) 요정다방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3]
  • 「피난살이 삼년의 발자취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3]
  • 「피난민 바락크를 강제철거에 착수?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1]
  • 「표류와 표착 사이의 삶: 윤금숙의 『연인들』을 중심으로」
    이병순 『여성 문학연구』40호, 한국여성문학학회 [2017]
  • 「평론가 환담회」
    조연현 『문예』 [1952]
  • 「파편」
    한무숙 『피난민은 서글프다』, 수도문화사 [1951]
  • 「탐내는 하꼬방」
    염상섭 『신생공론』 [1951]
  • 「추석날 동래서 생긴 참극 상군집단 자살미수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최근 불문학의 제문제」
    양병식 『신천지』 [1952]
  • 「청천벽력철거령 영주동노상들은어디로!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청계천변」
    김광주 『결혼도박』 [1952]
  • 「집세를 올리다니 안될말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직업을 구하는 여성들에게」
    『조선일보』 [1927]
  • 「종족마을 간의 신분갈등과 한국전쟁 : 부여군 두 마을의 사례」
    박찬승 『사회와 역사』, 한국사회사학 회 [2006]
  • 「종군문학의 방향」
    김팔봉 『전선문학』 [1953]
  • 「조선문학의 지표」
    김동리 『청년신문』 [1946]
  • 「젊은 힘」
    장덕조 『전쟁과 소설』 [1951]
  • 「전후 소설의 전개」
    송하춘 『탐구로서 소설독법』, 고려대학교 출판부 [1996]
  • 「전화」
    박영준 『걸작소설집』 [1952]
  • 「전투기」
    강신재 『코메트』1호 [1952]
  • 「전쟁이 끝나고 여성에게 평화란 없다 –년대 ‘전쟁미망인(戰爭未 亡人)’의 삶을중심으로」
    이임하 『여성과평화』3호, 2003 [1950]
  • 「전쟁문화 정책론」
    이숭녕 『전시과학』 [1951]
  • 「전쟁문학의 방향」
    김기진 『전선문학』 [1953]
  • 「전쟁과 여성- 남성의 부재」
    이임하 『여성, 전쟁을 넘어서 일어서다』, 서 해문집 [2004]
  • 「전쟁과 선전」
    김종문 『전시문학독본』 [1951]
  • 「전쟁과 문학의 근본문제」
    김동리 『협동』35 [1952]
  • 「전쟁과 문학」
    김기완 『문예』 [1950]
  • 「전쟁과 문학」
    김기원 『문예』 [1950]
  • 「전쟁과 문학」
    이무영 『전선문학』 [1953]
  • 「전쟁 체험의 소설화와 그 한계」
    강헌국 『활자들의 뒷면』, 미다스북스 [2004]
  • 「전쟁 문화론」
    최인욱 『신천지』 [1951]
  • 「전시하의 한국문학의 책무」
    임긍재 『전선문학』 [1952]
  • 「전시소설의 재해석」
    조남현 『문학정신』 [1988]
  • 「전시생활의 확립의 위하여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1]
  • 「전선과 후방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1]
  • 「자전차」
    염상섭 『협동』 [1952]
  • 「자유의 나라로」
    최태응 『사병문고4』 [1953]
  • 「자라나는 신인군」
    조연현 『신천지』 [1951]
  • 「일제하 근대여성 서비스직의 유형과 실태」
    강이수 『페미니즘연구』 5호, 한국여성연구소 [2005]
  • 「인명피해만270명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인류애와 동족애」
    이헌구 『전선문학』(『문학』전시판) [1950]
  • 「이념의 승리」
    이선근 『문예』 [1950]
  • 「유한마담 풍기단속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원형의 전설- 그 후 (장용학의 대담취재)」
    장용학 『문학사상』 [1973]
  • 「우리들의 길」
    최태응 『사병문고3』 [1952]
  • 「용사」
    박영준 『전쟁과 소설』 [1951]
  • 「욕」
    염상섭 『얼룩지시대풍경』 [1973]
  • 「요한시집」
    장용학 『장용학 대표작품선집』, 책세상 [1995]
  • 「열거할인증발행 상이군인에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여학생이 흑인아임태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여성에게 동란이 가져온것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여성에게 동란이 가저온 것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여성싸롱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어머니」
    김말봉 『신경향』, 4권1호 [1952]
  • 「어머니」
    장덕조 『전시문학독본』 [1951]
  • 「어떤 상이군인」
    전숙희 『전선문학4』 [1953]
  • 「어떤 상봉」
    김동리 『사병문고』2 [1951]
  • 「어둠을 헤치고」
    이무영 『농민소설선집』 [1952]
  • 「애국포로의 석방의 의의」
    최덕신 『신천지』 [1954]
  • 「애국심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1]
  • 「애국방공사상 양양주간실시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0]
  • 「아버지」
    한무숙 『문예』 [1952]
  • 「쌀값오르자 모두가껑충 제멋대로 올리는 시중물가에 말성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쌀!쌀!오르는 쌀값!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심장에 화살을 꽂다」
    김광주 『결혼도박』 [1952]
  • 「실존주의 해의」
    조연현 『문예』 [1954]
  • 「실존주의 비판」
    김동석 『신천지』 [1948]
  • 「실존과 요한시집」
    장용학 『한국전후문제작품집』, 신구문화사 [1960]
  • 「실존, 자유부인, 프래그머티즘」, 『아프래걸 思想界를 읽다』, 동
    권보드래 국대학교 출판부 [2009]
  • 「실명한 군인에 청혼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신인의 위치」
    이형기 『문예』 [1953]
  • 「신인등장에 대한 문단적 분석」
    조영암 『문화세계』 [1957]
  • 「신인과 신세대」
    조연현 『신천지』 [1950]
  • 「신세대론」
    이봉래 『문학예술』 [1956]
  • 「순정여성속출 불구상이 군인에 청혼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순수문학의 진의」
    김동리 『서울신문』 [1945]
  • 「속물」
    최인구 『신천지』5월호 [1952]
  • 「소외와 허무- 손창섭론」
    유종호 『손창섭 단편 전집2』, 가람기획 [2005]
  • 「소설전쟁 체험과 년대 소설」, 『한국현대문학사』
    이재선 현대문학, 2014 [1950]
  • 「선물」
    장덕조 『전선문학』 [1953]
  • 「서울이 그리운가?-이단자의 변」
    김광주 『지구의 비극』, 수도문화사 [1951]
  • 「서울의 비극」, 『전쟁과 소설』
    김 송 [1951]
  • 「서울시민은어족?폐위에 다방사태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서울 사람들의 한국전쟁」
    윤택림 『구술사연구』, 한국구술사학회 [2001]
  • 「생활이념의 타락 후방은 수라장화하나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생활개선을말함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생존의 서사로서 전시소설-여성주인공을 중심으로」
    김윤선 『어문논집』, 안암어문학회 [1999]
  • 「새로운 생활설계」
    모윤숙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새로운 사랑의 윤리」
    정비석 『사병문고3』 [1952]
  • 「새로운 문학의 방향」
    조연현 『예술부락』 [1946]
  • 「상혼」
    강신재 『여성계』 [1952]
  • 「상이병이 음독자살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상이군인이천여 각종직장에 알선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상이군인의 희보 빈손으로 장가갈수 있다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상이군인의 결혼알선 사회부서 각시도에 지시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상이군인에 기특한 청혼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상이군인에 기뿐 소식 한미합동원위를 구성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상이군인에 귀농알선 사회 국방양부서 계획추진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상이군인백여명작당 칠곡경찰서습격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상이군인, 국민 만들기」
    이임하 『중앙사론』33호, 한국중앙사학회 [2011]
  • 「상이군인 및 유가족들의 한국전쟁 경험」
    박정석 『호남문화연구』, 전남대 학교 호남문화연구소 [2002]
  • 「상이군경의 직업알선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상병」
    김동리 『걸작소설선』, 현암사 [1952]
  • 「삼만여 착배급 상이군인월동용복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사화산」
    장용학 『장용학 대표작품선집』, 책세상 [1995]
  • 「사형만 삽구건 구법회의의 부역자판결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0]
  • 「사천이백원」
    김말봉 『협동』37호 [1952]
  • 「사연기」
    손창섭 『손창섭 단편전집』, 가람기획 [2005]
  • 「사선」
    한무숙 『경향신문』 [1951]
  • 「사르트르의 실존주의」
    박인환 『신천지』 [1948]
  • 「사르트르의 사상과 그의 작품」
    양병식 『신천지』 [1948]
  • 「빛내자! 동포애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비오는 날」
    손창섭 『손창섭 단편전집』, 가람기획 [2005]
  • 「불사신」
    김 송 『전선문학』5집 [1953]
  • 「부역자는 우리손으로 이십일내반단위 적발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0]
  • 「본대로드른대로」
    김말봉 『경향신문』 [1951]
  • 「범선에의 길」
    이무영 『신조』2호 [1951]
  • 「반공주의의 서사적 수용과 여성문단- 한국전쟁기 여성문학 장을 중 심으로」
    김양선 『어문학』101 [2008]
  • 「박쥐」
    김성한 『전시한국문학선-소설편』, 국방부 정훈부 [1954]
  • 「바다의 대화」
    이무영 『전선문학』3집 [1953]
  • 「바다가에서」
    윤금숙 『사병문고2』 [1951]
  • 「미신이 빚은 자살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미망인의 모습」
    조경희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미련소묘」
    장용학 『장용학 대표작품선집』, 책세상 [1995]
  • 「물소동으로 구타사건발생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1]
  • 「물」
    윤금숙 『신조』 [1951]
  • 「문화전선은 형성되었는가?」
    이헌구 『전선문학』 [1952]
  • 「문학정신과 자유의 옹호」
    임긍재 『전시문학독본』 [1951]
  • 「문학과 시대정신」
    곽종원 『전시문학독본』 [1951]
  • 「문외문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무엇을 높이 들란 말이냐」
    김광주 『경향신문』 [1950]
  • 「무명의 애국자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1]
  • 「목숨」
    최인욱 『사병문고』 [1952]
  • 「머리말」
    박영준 『사병문고(전쟁문학선)4』 [1953]
  • 「망령」
    강신재 『문예』 [1952]
  • 「만천여명체포 시경 부역자검거수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0]
  • 「등한히모할 상이군인문제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등한히 모할 상이군문제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동장군은 닥처오고 난민은운다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돌아온 시민」
    모윤숙 『조선일보』 [1953]
  • 「대학교육의 신방향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대농촌지불연체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3]
  • 「대구의 하로」
    윤금숙 『전시문학독본』, 계몽사 [1951]
  • 「달과 전쟁」, 『전시문학독본』
    김 송, [1951]
  • 「눈오는 날」
    김광주 『결혼도박』 [1952]
  • 「누군의 죄일가? 참강도하게 된 상이군인 냉대 끝에 십사만원강탈」
    『경향 신문』 [1952]
  • 「네가 빼앗은 高地-戰線에 보내는 女流作家의 글」
    장덕조 『사병문고4』 [1953]
  • 「내가 본 공산주의」
    장덕조 『적화삼삭구인집』, 국제보도연맹 [1951]
  • 「남편은 무능했다」
    김광주 『결혼도박』 [1952]
  • 「남북한 전시소설 연구: 스토리 유형을 중심으로」
    성동민 동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2004]
  • 「날뛰는 가짜 상군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난국극복 위해 단결하자 이대통령전국민에 성명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나의작가수업」
    장용학 『현대문학』1월호 [1956]
  • 「나의 가슴은 항상 푸르다」
    김광주 『결혼도박』 [1952]
  • 「나는 지금 정말로 살아있는가?」
    모윤숙 『고난의 구십일』, 수도문화사 [1950]
  • 「나는 거부하고 반항할 것이다.」
    천상병 『문예』 [1953]
  • 「꽃다발을 그대에게」
    전숙희 『부산일보』 [1953]
  • 「김일등병」
    한무숙 『신조』1호 [1951]
  • 「김송의 전중소설 ‘영원히 사는 것’연구」
    이상원 『한국문학논집』64, 한국 문학회 [2013]
  • 「기우제」
    이무영 『농민소설선집』 [1952]
  • 「기아와 공포의 90일간」
    조연현 『신천지』 [1951]
  • 「그모녀」
    강신재 『문예』 [1953]
  • 「그늘에 우는 여성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귀순병의 수기」
    박연희 『전선문학』(『문학』전시판) [1950]
  • 「군인과 종교」
    김팔봉 『전선문학』(2집) [1952]
  • 「군인과 종교」
    박영준 『전선문학』 [1952]
  • 「군인과 정치」
    박영준 『전선문학』(2집) [1952]
  • 「군인과 여성」
    장덕조 『전선문학』 [1952]
  • 「군인과 문화」
    홍용의 『전선문학』(2집) [1952]
  • 「국제시장을 해부함 동란한국의 심장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2]
  • 「구각을 떨치고」
    최태응 『전쟁과 소설』, 계몽출판사 [1951]
  • 「교육자격획득 상이군인 38명이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공휴일」
    손창섭 『손창섭 단편전집』, 가람기획 [2005]
  • 「공산단의 철쇄」
    『동아일보』 [1951]
  • 「고향」
    이선구 『사병문고』2집 [1951]
  • 「고요한 밤」
    박용구 『신천지』(전시판) [1952]
  • 「결혼이혼출생률은? 늘어가는 이혼률」
    『경향신문』 [1952]
  • 「간호장교」
    정비석 『전선문학』 [1952]
  • 「가을 저녁」
    박영준 『전선문학』2집 [1952]
  • 「軍門에 들어가신 先輩에게」
    안수길 『승리를 향하여(전우위문문집)』 [1951]
  • 「突擊(새로운 생명을 위하여)」
    김광주 『승리를 향하여(전우위문문집)』 [1951]
  • 「發刊辭」
    박영준 『사병문고(단편소설집)2』 [1951]
  • 「勝利를 向하여」
    박계주 『승리를 향하여(전우위문문집)』 [1951]
  • 「事變이 준 것」
    최태응 『승리를 향하여(전우위문문집)』 [1951]
  • 「C中尉에게 보내는 편지」
    손소희 『승리를 향하여(전우위문문집)』 [1951]
  • 「6 25전쟁과 한국의 사회변동, 그리고 사회적 유산」, 『6. 25전쟁의 재인식』,
    전상인 기파랑 [2010]
  • 「6 25전쟁과 한국의 국가건설」
    박정이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6 25 전쟁과 한국사회 변동」
    정성호 『본질과 현상』, 본질과 현상사20 [2010]
  • 「1950년대를 보는 하나의 시각: 남한의 변화를 중심으로」
    유영익 『계간 사 상』, 사회과학원4호, [1990]
  • 「1950년대 한국소설의 주제형상화 방법 연구」
    문종호 대구카톨릭대학교 박 사학위논문, [2001]
  • 「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 연구」
    허 윤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, [2015]
  • 「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정치성 연구」
    정보람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 문, [2015]
  • 「1950년대 국민국가 만들기와 상이군인의 몸」
    김필남 『한국문학논집』, 한 국문학회, [2012]
  • 「1950~ 0년대 반공주의 담론과 감성 정치」,
    이하나 『사회와 역사』95 [2012]
  • 「1950-60년대 소설의 ‘양공주-누이’ 표상과 오염의 상상력」
    정재림 『비평 문학』46호, 한국비평문학회, [2012]
  • 「1945-1953년 한국소설과 민족담론 탈식민성 연구」
    이민영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, [2015]
  • 「1945-1953년 한국 소설의 젠더적 현실 인식 연구」
    임미진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, [2017]
  • tienne Balibar, 서관모역, 「민족 형태 :그 역사와 이데올로기」, 『이론』
    진 보평론 [1993]
  • Nietzsche, Friedrich Wilhel, 장희창 옮김, 『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』
    민음사 [2004]
  • Mosse, 이광조역, 『남자의 이미지』
    George L. 문예출판사 [2004]
  • Mosse, 서강여성문학연구회, 『내셜리즘과 섹슈얼리티』
    George L. 소명출판 사 [200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