朝鮮時代 儀賓家門 硏究 = A study on the families of the kings sons-in-law in Joseon Dynasty

신채용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朝鮮時代 儀賓家門 硏究 = A study on the families of the kings sons-in-law in Joseon Dynasty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使行
  • 儀賓
  • 儀賓家門
  • 公主
  • 勳舊
  • 北學
  • 士林
  • 外戚
  • 戚臣
  • 王室
  • 翁主
  • 蕩平派
  • 西人
  • 駙馬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83 0

0.0%

' 朝鮮時代 儀賓家門 硏究 = A study on the families of the kings sons-in-law in Joseon Dynasty' 의 참고문헌

  • 「단종 대 癸酉靖難과 그 성격」,
    한춘순 한국사연구 174 [2016]
  • 李朝初期 妃嬪考
    김선곤 역사학보 21 [1963]
  • 李建昌, 黨議通略  李宜顯, 陶谷集
  • 柳根, 西坰集
  • 金漢祿의 사상과 정치적 역정
    권오영 조선시대사학보 33 [2005]
  • 한국의 과거제도
    이성무 집문당 [1994]
  • 프랑스의 절대왕정시대
    서정복 푸른사상 [2012]
  • 태조대왕과 친인척, 역사문화
    지두환 등 전52 [1999]
  • 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
    유봉학 신구문화사 [1999]
  • 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
    이근호 민속원 [2016]
  • 조선초기 언관․언론 연구
    최승희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[1976]
  • 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
    이병휴 일조각 [1999]
  • 조선왕조 충의열전
    최완수 돌베개 [1998]
  • 조선왕실의 백년 손님
    신채용 역사비평사 [2017]
  • 조선 건국과 경국대전체제의 형성
    오영교 혜안 [2004]
  • 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
    정해득 신구문화사 [2009]
  • 璿源錄에 보이는 조선전기 국왕 후손의 신분변동 - 宗姓 여자 후손을중심으로-
    박 진, 고문서연구 53 [2018]
  • 淵鑑類函, 經國大典, 朝鮮儒賢淵源圖, 通文館志
  • 朝鮮王朝璿源錄, 璿源系譜紀略, 璿源續譜
    坡平尹氏世譜 등 각 가문의 족보
  • 朝鮮王朝實錄(http://sillok.histor .go.kr/main/main.do)
    朝鮮王朝實錄 ? ( http : //sillok.histor .go.kr/main/main.do
  • 朝鮮後期 蕩平政治 硏究
    김성윤 지식산업사 [1997]
  • 朝鮮後期 王位繼承 硏究
    이영춘 집문당 [1998]
  • 朝鮮後期 武班閥族家門 硏究
    장필기 집문당 [2005]
  • 朝鮮前期 畿湖士林派硏究
    이병휴 일조각 [1984]
  • 朝鮮中期 戚臣政治 硏究
    김우기 집문당 [2001]
  • 明宗代 勳戚政治 硏究
    한춘순 혜안 [2006]
  • 承政院日記(http://sjw.histor .go.kr/main.do)
    承政院日記 ? ( http : //sjw.histor .go.kr/main.do
  • 嘉禮謄錄 (k2-2600
    한국학중앙연구원)
  • 同文彙考, 黨議通略, 燃藜室記述, 大東野乘
  • 후반 소론ㆍ남인계 동향과 탕평론의 추이
    영조대 원재린 역사와 현실 53 [2004]
  • 효종대 정국과 駙馬 간택
    신채용 조선시대사학보 90 [2019]
  • 혼인관계와 경제적 기반
    고려말 이성계의 홍영의 한국학논총 45 [2016]
  • 탕평파의 형성과 벌열화
    영조대 이근호 조선시대사학보 21 [2002]
  • 탕평정국과 駙馬 간택
    신채용 영조대 조선시대사학보 51 [2009]
  • 청문당가(淸聞堂家)의 가계와 정치․사회․문화적 전개
    김학수 진주유씨 성호학보 21 [2019]
  • 중종반정 핵심 주동자들과 반정 경위에 대한 검토 , 조선시대사학보 92, 신명호, 朝鮮初期 王室編制에 관한 硏究
    송웅섭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1999 [2020]
  • 중종대 기묘사림의 구성과 출신 배경
    송웅섭 한국사론 45 [2001]
  • 조선후기 중국사행의 규모와 구성
    김일환 연행의 사회사 [2004]
  • 조선후기 숙종의 政局운영과 王權 연구
    이상식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[2005]
  • 조선후기 綏嬪朴氏의 喪葬 의례와 성격
    이현진 조선시대사학보 76 [2016]
  • 조선초기 절의파 사대부의 정치적 성향과 사상
    김보정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[2008]
  • 조선초기 의정부 연구
    한충희 한국사학보 31․32, ․1981 [1980]
  • 조선초기 육조연구
    한충희 대구사학 20․21 [1982]
  • 조선초기 家系繼承 논의를 통해 본 姜希孟家의 정치적 성장
    강제훈 조선시대사학보 42 [2007]
  • 조선시대 禮遇衙門의 성립과 정비
    남지대 동양학 24 [1994]
  • 조선시대 後宮 연구
    이미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조선사회의 정치ㆍ사상적 변화와 시기구분
    고영진 역사와현실 18 [1995]
  • 조선건국초기 통치체제의 성립과정과 그 역사적 의미
    정두희 한국사연구 67 [1989]
  • 조선 璿源錄에 기재된 宗親의 통혼 양태와 그 의미
    박정재 고문서연구 52 [2018]
  • 조선 璿源錄 중종 공주․옹주 계열 후손의 연혼 양상과 그 성격
    양정현 古文書硏究 52 [2018]
  • 조선 효종조의 북벌운동
    이경찬 청계사학 5 [1988]
  • 조선 초기 王親婚 王室 妾子孫에 대한 사회적 인식
    박 진 한국사학보 48 [2012]
  • 조선 초기 延安李氏 李續 가문의 행적과 동향
    한희숙 한국인물사연구 26 [2016]
  • 조선 초기 公主 翁主의 封爵과 禮遇
    차호연 조선시대사학보 77 [2016]
  • 조선 成宗系 종친을 통해 본 宗親職 제수와 운영
    강제훈 한국학논총 51 [2019]
  • 정치사 연구
    고려말 홍영의 혜안 [2005]
  • 정조〜순조대 綏嬪朴氏의 역할과 위상
    임혜련 한국인물사연구 26 [2016]
  • 정조 후궁 元嬪洪氏의 생애와 상장례 -淑昌宮喪草日記를 중심으로
    이미선  한국학논총 51 [2019]
  • 절대왕정과 여성 : 맹트농 부인을 중심으로
    강미숙 역사와실학 66 [2018]
  • 임진왜란
    류성룡과 이성무 태학사 [2008]
  • 이근호, 英祖代 蕩平派의 國政運營論 硏究
    이근호 박사학위논문 , 국민대 박사학위논문, 2001. [2001]
  • 왕실세력의 형성
    왕실혼과 정재훈 한국사연구 95 [1996]
  • 왕비의 혈연구조 –효령대군 내외 혈통을 중심으로- , 장서각소장 왕실 보첩자료와 왕실 구성원
    김학수 조선조 민속원 [2010]
  • 역주, 한중록
    정병설 문학동네 [2010]
  • 순조의 장녀 明溫公主의 喪葬 의례-明溫公主房喪葬禮謄錄을 중심으로-
    이현진 조선시대사학보 56 [2011]
  • 숙종대의 재인식 , 숙종대왕자료집 1
    정만조 한국학중앙연구원 [2014]
  • 숙종대 왕실여성들의 정치적 행보와 역할
    이미선 조선시대사학보 93 [2020]
  • 숙종〜영조 연간 景宗妃 宣懿王后의 지위와 입장
    임혜련 한국사학보 64 [2016]
  • 세조의 집권과 권력 변동
    김경수 백산학보 99 [2014]
  • 세조대 단종복위운동과 정치세력의 재편
    김경수 사학연구 83 [2006]
  • 세조 집권과정에서의 내종친의 정치성향
    지두환 백산학보 99 [2014]
  • 생애와 교유인물
    강문식 권근의 한국학보 27 [2001]
  •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
    최성환 조선시대사학보 60 [2012]
  • 박광용, 朝鮮後期 ‘蕩平’ 硏究 , 서울대 박사학위논문, 1994.
    박광용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[1994]
  • 문인 그룹에 대한 연구 , 조선시대 문화사 하
    김종직 송웅섭 일지사 [2007]
  • 문인 그룹 형성 무대로서의 ‘서울’
    김종직 송웅섭 서울학연구 31 [2008]
  • 루이 14세와 절대군주정 : 프랑스 고유의 근대적 경로
    이영림 역사학보 208 [2010]
  • 김현일 역, 절대주의 국가의 계보
    Perry Anderson 현실문화 [2014]
  • 고려후기 固城李氏 家系와 婚姻關係를 통한 人的 관계망 , 麗․元代의農政과 農桑輯要
    홍영의 동강 [2017]
  • 高麗 中期의 駙馬
    김은영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金孝元, 省菴遺稿
  • 鄭萬祚, 숙종조 良役變通論의 전개와 양역대책
    국사관논총 17 [1990]
  • 鄭萬祚, 陰崖 李耔와 기묘사림 , 음애 이자와 기묘사림
    지식산업사 [2004]
  • 鄭萬祚, 英祖代 初半의 蕩平策과 蕩平派의 活動
    진단학보 56 [1983]
  • 鄭萬祚, 英祖代 中半의 政局과 蕩平策의 再定立
    역사학보 111 [1986]
  • 鄭萬祚, 澹窩 洪啓禧의 정치적 생애
    인하사학 10 [2003]
  • 鄭萬祚, 朝鮮時代의 士林政治-文人政權의 한 類型 , 反亂인가? 革命인가
    韓ㆍ日歷史家會議 組織委員會 [2008]
  • 鄭萬祚, 朝鮮時代의 士林政治 -17세기의 政治形態- , 韓國史上의 政治形態
    일조각 [1993]
  • 鄭萬祚, 朝鮮時代 정승의 역임관직에 대한 분석–엘리트 코-스 추적의 일단- , 한국역사상관료제 운영시스템에 관한 연구
    국민대학교 출판부 [2010]
  • 鄭萬祚, 朝鮮後期 延安李氏 三陟公派의 근거지 확산과 坡州 정착
    한국학논총 35 [2011]
  • 鄭萬祚, 朝鮮中期 政治史 연구에 대한 재검토
    한국학논총 25 [2003]
  • 鄭萬祚, 17세기 중반 漢黨의 정치활동과 國政運營論
    韓國文化23 [1999]
  • 鄭萬祚, 17世紀 中葉山林勢力(山黨)의 國政運營論 , 韓國史學論叢
    일조각 [1992]
  • 鄭萬祚 외, 경기북부지역 集姓村과 士族
    국민대학교 출판부 [2004]
  • 鄭摠, 復齋集
  • 鄭太和, 陽坡遺稿
  • 趙絅, 龍洲遺稿
  • 許筠, 惺所覆瓿稿
  • 許穆, 記言
  • 許曄, 草堂集
  • 總史 , 古德面誌
    최완수 고덕면지편찬위원회 [2006]
  • 綏嬪朴氏 한글 冊文의 제작 배경과 특성
    김봉좌 진단학보 129 [2017]
  • 申翊聖의 瀋陽 체험 기록 北征錄
    김은정 동양학 56 [2014]
  • 申翊聖의 東淮 別墅
    김은정 고전문학연구 36 [2009]
  • 申翊聖, 樂全堂集
  • 申欽, 象村稿
  • 玄齋沈師正評傳
    최완수 澗松文華 73 [2007]
  • 玄洲 尹新之의 생애와 시문학 연구
    김은정 한국한시연구17 [2009]
  • 正祖의 抄啟文臣敎育과 文體定策
    정옥자 규장각 6 [1982]
  • 正祖代 蕩平政局의 君臣義理 연구
    최성환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正祖, 弘齋全書
  • 權訪, 鶴林集
  • 東陽尉 申翊聖의 의빈으로서의 삶과 문학 활동
    김은정 열상고전연구 26 [2007]
  • 李裕京, 朝鮮初期의 駙馬
   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[1984]
  • 李珥, 石潭日記
  • 李玄錫, 游齋集
  • 李瀷, 星湖僿說
  • 李恒福, 白沙集
  • 朴趾源, 熱河日記
  • 朴瀰, 汾西集
  • 朴世堂, 西溪集
  • 朝鮮時代 朝貢體制와 對衆國 使行
    김경록 明淸史硏究 30 [2000]
  • 朝鮮後期 外交文書의 종류와 성격
    김경록 한국문화 35 [2005]
  • 朝鮮前期 坡平尹氏 勳戚勢力 硏究
    강태규 석사학위논문, 국민대 석사학위논문, 2008. [2008]
  • 朝鮮初期 王室婚과 王室後裔 硏究-璿源錄을 중심으로
    정재훈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[1994]
  • 朝鮮初期 對明外交와 外交節次
    김경록 한국사론 44 [2000]
  • 朝鮮初期 儀賓의 再婚 문제와 그 자손에 대한 처우
    박 진 역사와실학 62 [2017]
  • 朝鮮初期 儀賓硏究
    한충희 조선사연구 5 [1996]
  • 朝鮮 肅宗~英祖代 近畿地域 老論學脈 硏究
    조준호 국민대 박사학위논문, 2003. [2003]
  • 朝鮮 成宗 9年 “戊戌之獄”의 정치적 성격
    정두희 서강인문논총 29 [2010]
  • 朝鮮 孝宗代 政局의 變動과 그 性格
    오항녕 태동고전연구 9 [1993]
  • 朝鮮 孝宗代 北伐政策과 山林
    우인수 역사교육논집15 [1990]
  • 朝鮮 太祖의 王權과 政治運營
    최승희 진단학보 64 [1987]
  • 文定王后의 政治活動 硏究
    손현지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[2004]
  • 成宗 초기 貞熹王后(세조 비)의 政治 聽斷과 勳戚政治
    한춘순 조선시대사학보 22 [2002]
  • 忠宣王의 復位敎書에 보이는 ‘宰相之宗’에 대하여
    김당택 역사학보 131 [1991]
  • 徐渻, 藥峯遺稿
  • 徐浩修, 燕行紀(燕行錄選集)
  • 徐命膺, 保晚齋集
  • 宣祖와 駙馬의 시문수창 연구
    김은정 열상고전연구 28 [2008]
  • 宣祖 初年의 新舊葛藤과 政局動向
    김항수 국사관논총 34 [1992]
  • 宗親府考
    김성준 사학연구 18 [1964]
  • 宋浚吉, 同春堂集
  • 宋寅, 頤庵遺稿
  • 孝宗代 執權西人의 賦稅制度變通論 - 政局의 推移와 關聯하여
    이근호 북악사론 3 [1993]
  • 奎章閣 抄啟文臣 연구
    정옥자 규장각 4 [1981]
  • 大院君의 政治的 地位와 國政運營
    김병우 대구사학 70 [2003]
  • 大院君의 宗親府 강화와 ‘大院位分付’
    김병우 진단학보 96 [2003]
  • 全海宗, 韓中關係史 硏究
    일조각 [1970]
  • 世祖代 王位의 취약성과 王權强化策
    최승희 조선시대사학보 1 [1997]
  • The Literati Purges : Political Conflict in Early Yi Korea
    W. Wagner Cambridge , MA : East Asian Research Center , Harvard University [1974]
  • Duncan, 김범 역, 조선왕조의 기원
    John B 너머북스 [2013]
  • 19세기 宗室의 단절위기와 宗親府 개편
    연갑수 조선시대사학보 51 [2010]
  • 19세기 垂簾聽政 硏究
    임혜련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[2008]
  • 19世紀 勢道政治勢力의 형성 배경(下)
    권기석 진단학보 91 [2001]
  • 19世紀 勢道政治勢力의 형성 배경(上)
    권기석 진단학보 90 [2000]
  •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
    김문식 조선시대사학보 56 [2011]
  • 1749년(영조25) 和緩翁主와 의빈 鄭致達의 가례
    이미선 한국사학보 58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