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어교육에서의 연극 활용 연구 =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Pla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

신영선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한국어교육에서의 연극 활용 연구 =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Pla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과정중심연극
  • 교수학습모형
  • 교육연극
  • 수업 사례
  • 수업 효과
  • 역할극
  • 연극
  • 한국어교육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664 0

0.0%

' 한국어교육에서의 연극 활용 연구 =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Pla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' 의 참고문헌

  • 한류 영상물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-역할극(role play)을 중심으로,『제20회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』352-361, 한중인문학회 김 병주(2008). 연극을 통한 교육, 문화, 그리고 사회적 변화 -참여와 소통의 교육연극 방법론 T.I.E.(Theatre in Education)를 중심으로,『영미문 화』 8권(1) 29-56
    김근호 한국영미문화학회 [2008]
  • 한국어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기법,『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』15(11), 672-679
    박희정 한국콘텐츠학회 [2015]
  • 한국어 표현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연극기법 활용 방안 연구, 『국어교육연구』제25권, 335-363
    이묘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[2010]
  •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극(process drama) 활용에 대한 고찰- ‘세종한국어 회화 중급’ 교재의 과제 단원 개발을 중심으로-,『한국어교육』 29(1), 199-222
    박혜옥 이정희 국제한국어육학회 [2018]
  • 편『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』
    민병욱 심상교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01]
  • 편「교육연극의 현황과 전망」,『교육연극의 현장』
    민병욱 한귀은 서 울 : 연극과 인간 [2004]
  • 총체적 언어교육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연극의 이해. 『한국초등 국어교육』15, 51-67
    황정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[1999]
  • 초 중등학교 영어연극놀이 지도 - 수업계획과 지도방안.『신영 어영문학』16집, 81-99
    곽종태 신영어영문학회 [2000]
  • 초 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영어연극 대본 각색 지도 방안. 『영 어영문학연구』33(1), 279-303
    곽종태 영어영문학회 [2007]
  • 종합교육으로서의 연극교육과 교육연극,『한국어문교육』15권0 호,145-171
    심상교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[2014]
  • 이슈중심 교육연극 드라마의 가능성 고찰-유아교육과의 연계성 을 중심으로,『교육연극학』9(1), 57-76
    김병주 한국교육연극학회 [2017]
  • 의사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방법 및 학습 자료 연구 : 독일어 수업을 중심으로, 『교과교육학연구』3(1), 227-243
    배은하 이난희 이 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[1999]
  •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 과.『유아교육연구』37(4), 501-531
    김낙흥 백인경 한국유아교육학회 [2017]
  •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 방안 연구-연극기법을 중심으 로,『語文論集』63, 219-248
    오문경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[2005]
  • 영어연극놀이와 즉흥극-교육연구론8.『솔뫼논총』12집, 27-50
    곽종태 안동대학교 어학연구소 [2000]
  • 영어연극, 대본선정 어떻게 할까?-교육 연극론(2).『안동대학논 문집』11, 157-165
    곽종태 안동대학 [1989]
  • 영어-과학 교육연극 활동을 통한 초등영어 통합수업 모 형개발에 대한 연구」,『외국어교육』15(3), 169-201
    김혜리 전은정 한국외국어교육 학회 [2008]
  • 연극의 교육적 활용-그 가능성과 방향, 『연극교육연구』 2권0 호, 217-244
    조병진 한국연극교육학회 [1998]
  • 연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- 수업 운용 방안을 중심으 로.『외국어교육연구』32(4), 349-372
    노채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 연구소 [2018]
  • 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,『한국어문교육』 16권0 호, 109-127
    이강록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[2014]
  • 연극을 통한 교육, 문화, 그리고 사회적 변화 -참여와 소통의 교 육연극 방법론 T.I.E.(Theatre in Education)를 중심으로,영미문화 8권 1호29-56
    김병주 한국영미문화학회 [2008]
  • 연극교육에 있어 교과계획, 교수법 및 평가 과정에 대한 교육 론적 고찰,『淸大學術論集』제2집, 689-716
    조병진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[2004]
  • 연극교과 지도 가이드 -연극수업에서의 교과계획, 교수, 평가 과 정 운영 방안,『한국연극학』27권0호, 251-299
    조병진 한국연극학회 [2005]
  •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-『이화 한국어』 을 중심으로-, 『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』4(1), 333-338
    이민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[2012]
  •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교수-학습 방안 연구,『한국언어 문화학』11(1), 91-112
    엄나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[2014]
  • 소설교육의 카니발적 방법과 실제 적용 방안,『문학교육학』 2, 413-437
    한귀은 한국문학교육학회 [1998]
  • 비언어적 행위 관련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연구,『한국어 교 육』14(1), 279-297
    조현용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[2003]
  • 민담을 활용한 한국어 융합교육의 사례 연구 -K대 연극수업을 중심으로-,『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』, 41-57
    김지혜 한국문화융합 학회 [2016]
  • 독일학교 연극교육의 정착화와 연극수업의 특징-중등학교 연극 수업을 중심으로,『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』16(6), 14-122
    이원현 한국콘텐츠학 회 [2016]
  • 단막극 창작의 교수-학습 방법 연구 : ‘쓰기 전' 활동을 중심으 로,『교과교육학연구』11(2), 451-484
    조영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[2007]
  • 다문화시대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육연극,『한국연극학』40 권0호, 451-502
    한규용 한국연극학회 [2010]
  • 다문화교실에서의 한국문화교육 방안,『語文論集』67, 319-348
    안미영 중앙어문학회 [2015]
  • 다문화교실에서의 역할극을 통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,『한국언어 문화학』14(1), 110-142
    박성 한국언어문화학회 [2017]
  •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교육 방안 - 전통놀이를 활용한 교 육연극을 중심으로,『한국언어문화』47권, 123-145
    안미영 한국언어문화학회 (구 한양어문학회) [2012]
  •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-학습 방법 연구–교육연극을 중심으 로.『새국어교육』.96, 103-137
    전두리 한국국어교육학회 [2013]
  •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중학교 생활 한국어 교육 방안-중 급 학습자를 위한 역할극 교수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, 『영주어문』 39, 165-185
    권화숙 영주어문학회 [2018]
  • 교육연극의 학습 단계에 대한 고찰,『한국초등국어교육』 제25 집, 111-138
    심상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[2004]
  •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연구.『한국(조선)어교육연 구』14, 187-208
    호신양 중국한국(조선)어교육연구학회 [2019]
  •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모형과 수업.『국어 문학』68
    손세모돌 신영선 189-233 국어문학회 [2018]
  •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-다문화 가정 아 동을 대상으로,『인문사회21』6(4), 1149-1166
    나은영 나은주 (사)아시아문화학술원 [2015]
  •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- <처용가(處容歌)>를 중심으로.『국어교과교육연구』30, 325-352
    호신양 국어교과교육학회 [2017]
  • 교육연극을 활용한 초등다문화교육 4E(사이)프로그램 개발.『한국초등교육』26(3), 301-320
    박순철 유지원 서울敎育大學校 等敎育硏初究 所 [2015]
  •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실 액션 리서치 : 또래관계 개선을 중심으로,『열린교육연구』23(3), 25-44
    장연주 한국열린교육학회 [2015]
  •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 대안학교의 한국어교육 프로 그램 실행연구,『교육과학연구』44(3), 241-269
    김영순 김창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과학연구소 [2013]
  • 교육연극에 의한 영어교과 교수설계방법 연구,『영어영문학2 1』 Vol.23(4), 189-211
    한규용 21세기영어영문학회 [2010]
  • 교육연극과 스토리텔링에 기초한 독일어수업 모형,『독일어문 학』56권0호, 75-95
    김옥선 한국독일어문학회 [2012]
  • 교육연극 활동에 참여한 다문화대안학교 초등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.『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』14(4.), 177-205
    김영순 김창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[2014]
  •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방안 연구, 『한국 어문화교육』4(1), 171-192
    이묘영 한국어문화교육학회 [2010]
  •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법교육 방안 연구,『법교육연구』8(2), 1-22
    곽한영 한국법교육학회 [2013]
  • 교육연극 기법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- 학기별 수 업 사례 및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, 『우리말연구』 49집 , 235-259
    이혜원 우리말학회 [2017]
  • 교육연극 기반 국어과 통합 수업 모형 개발, 『교과교 육학연구』18(3), 541-560
    이성은 이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[2014]
  • 교수학습방법으로써의 교육연극 활용 사례연구,『열린 교육연구』22(1), 21-40
    신나민 장연주 한국열린교육학회 [2014]
  • 과정 중심 연극 만들기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 과,『교육연극학』제7집, 9-41
    김수연 한국교육연극학회 [2015]
  • 결혼이주여성의 공연중심 연극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: 변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.『다문화교육연구』10(3), 14-177
    부향숙 유지원 한국 다문화교육학회 [2017]
  • 『효과적인 영어쓰기 지도를 위한 피드백 유형과 효과에 대한 문헌연구』, 석사학위논문
    조은아 충남대학교 [2018]
  • 『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불안 감소를 위한 교육연극 활용 수 업 모형 개발 연구 :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』
    화영남 석사학위논 문,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[2015]
  • 『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연 구』
    신미경 석사학위논문,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[2016]
  • 『한국어 말하기교수․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연구-중국어 권 학습자를 대상으로』
    박해연 서울 : 한국문화사 [2014]
  • 『한국어 말하기 교재 속 ‘역할극’활동의 구성방안』
    이정민 석사학위 논문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1]
  • 『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 연극 활용 방안 연구 : 연극적 기법 활동을 중심으로』
    안선욱 석사학위논문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1]
  • 『초등학교 영어 쓰기에서 교사의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학습 효 과』
    이혜정 석사학위논문, 한국교원대학교 [2004]
  • 『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연극 프로젝트 활용에 대한 사례 연 구』, 석사학위논문
    강정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2]
  • 『초등영어교육에서 과제중심 역할극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』, 석사학위논문
    이강선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1]
  • 『초등영어 과정중심 연극활동의 효과 분석』
    이은주 석사학위논문,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4]
  • 『초등 영어교육에서의 청화식 교수법과 전신반응 교수법의 뇌 과학적 비교』
    이은정 석사학위논문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6]
  • 『창의적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불안 감소 효과 연구 :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』
    두무헌 석사학위논문, 한양대학교 [2019]
  • 『중학교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』
    김은혜 석사학위논문, 경기대학교 [2012]
  • 『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연극 지도 사례 연구 : 구약 성경 '요셉 이야기' 를 중심으로』
    이지원 석사학위논문, 안양대학교 교육대 학원 [2016]
  • 『중국의 한국어문학교육에서의 교육연극 활용 연구 : 처용설화 를 중심으로』
    호신양 박사학위논문, 전남대학교 [2019]
  • 『중국어회화 수업으로의 역할극 도입에 관한 몇 가지 소고』
    박찬욱 인문논총 25, 49-66,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[2012]
  • 『전래동화 기반의 교육연극 활용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』
    이수진 석 사학위논문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8]
  • 『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』
    백인경 박사학위논문, 중앙대학교 [2017]
  • 『원격 화상교육을 활용한 역할극이 초등 학습자의 정의적 영영 에 미치는 영향』
    강나은 석사학위논문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8]
  • 『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역할극 분석 연 구』
    김효정 석사학위논문,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[2020]
  • 『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에 적용된 연극 요소 와 극화 원리에 대한 분석』
    한규용 박사학위논문, 단국대학교 [2008]
  • 『외국어 교육론』
    서재석 서울 : 시간의 물레 [2019]
  • 『옛 이야기를 활용한 청소년 연극 만들기 연구』
    이미연 석사학위논 문, 부산대학교 [2009]
  • 『옛 이야기를 활용한 연극 만들기 연구 -<나무꾼과 선녀>의 실행사례를 중심으로』
    이미연 박사학위논문,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[2012]
  • 『영어연극이 학습자의 말하기-쓰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 치는 효과』
    이상직 석사학위논문,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5]
  • 『영어연극이 통합적 언어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』
    임동연 석사학위 논문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6]
  • 『영어연극을 통한 의사소통능력』
    이성윤 석사학위논문,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3]
  • 『영어연극공연이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』
    오영숙 석사학위논 문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7]
  • 『영어연극 공연이 영어교육에 미치는 효과 연구』
    정시욱 석사학위논 문, 성균관대학교 [1992]
  • 『영어로 하는 과학 교육연극 활동을 통한 학생중심의 초등영어 수업모형 개발』
    전은정 석사학위논문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8]
  • 『연극을 통한 한국어 학습 지도 방법 연구 :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』
    정윤희 석사학위논문, 건양대학교 [2010]
  • 『연극으로 놀자』
    문상원 서울시 교육청 [2017]
  • 『연극놀이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』
    진취매 석사학위논문, 공주대학교 [2017]
  • 『연극놀이를 통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 적용과 효과성 연구 :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』
    정은숙 석사학위논문, 경기대학교 [2011]
  • 『연극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신장 방안』
    차준희 석사학위논문, 서경대학교 [2014]
  • 『연극과 영어 교육』
    이노경 서울 : 상상박물관 [2016]
  • 『연극 놀이의 교육적 효용성 연구』
    최윤정 석사학위논문, 경성대학 교 [1995]
  • 『역할놀이 비디오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 말하기 학습효과』
    이정일 석사학위논문,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7]
  • 『역할극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영어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』
    유정숙 석사학위논문,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7]
  • 『역할극을 활용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:중국인 호텔 근무자를 중심으로, 』
    홍성훈 석사학위논문, 충북대학교 [2018]
  • 『역할극을 활용한 관광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-중국인 초급 학 습자를 대상으로』
    김혜원 석사학위논문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6]
  • 『역할극을 통한 초등영어 말하기 듣기 지도방안』
    강진숙 석사학위논 문,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5]
  • 『역할극 수행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』
    김지수 석사학위논문,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[2015]
  • 『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육연극 활용 방 안』
    이연수 석사학위논문,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1]
  • 『어떻게 연극은 학습인가』
    김경애 서울 : 학이시습 [2014]
  • 『상황극 활용 영어 수업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』
    권은주 석사 학위논문, 경인교육대학교 [2009]
  • 『무대 연기를 통한 한국어 발음훈련에 관한 연구 :중국어권 학습 자를 대상으로』, 석사학위논문
    시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1]
  • 『듣기 말하기 능력을 중심으로 한 청화식 교수법과 전신반응교 수법의 비교연구』
    최세연 석사학위논문,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[1999]
  • 『드라마 스페셜 리스트가 되자』
    최지영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17]
  • 『드라마 사전』
    김광요 박정헌 황성근 서울 : 문예림 [2010]
  • 『동화교육 방법론 : 교육 연극(Drama in Education)방법 중심 으로』
    황정현 서울 : 열린교육 [2001]
  • 『동화 각색을 통한 영어 연극이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』
    김웅 석사학위 논문,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6]
  • 『교육용 SNS기반 협력 학습환경에서 피드백 유형과 학 습양식이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』
    박영란 임걸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9(3), 317-330,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[2014]
  • 『교육연극적 기법을 활용한 말하기 능력 향상 방안』
    상명식 석사학 위논문,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1]
  • 『교육연극이 KSL 학습자의 문화 간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연 구』
    김소현 석사학위논문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7]
  • 『교육연극의 이해』
    정성희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17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: 재외동포 청소년 을 대상으로』, 석사학위논문
    박진아 한국외국어대학교 [2009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』
    오연미 석사학위논문,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5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』
    진잉란 석사학위논문, 전남대학교 [2018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』
    정헌주 석 사학위논문,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3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』
    조미자 석사학위논문, 진주교 육대학교 [2018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: 다문화 배경 아 동 학습자를 대상으로』
    전유진 석사학위논문, 계명대학교 [2018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초등 다문화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탐 색』
    김소연 석사학위논문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3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외국어로서 독일어 학습 방안』
    정도영 석사학위 논문, 서울대학교 [2002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음악 지도방안 연구』, 석사학위논 문
    이한나 충남대학교 [2011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: 존중감 향상을 중심으로』
    전지영 석사학위논문, 한국외국어대학교 [2017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실 액션 리서치 : 또래관계 개선 을 중심으로』
    김창아 박사학위논문, 인하대학교 [2015]
  • 『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실 액션 리서치 : 또래관계 개선 을 중심으로』
    장연주 박사학위논문, 동국대학교 [2015]
  • 『교육연극을 통한 한국어 사용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』
    노태권 석사 학위논문,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5]
  • 『교육연극을 통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연구-중급수준 학습자를 대상으로』
    형연희 석사학위논문, 중앙대학교 [2011]
  • 『교육연극과 연극의 실제』, 서울 : GoldenBell 임수연 이영아 안경자 황필아(2020).『영어수업-이론과 실제가 만날 때』
    서하경 이승호 조영희 서 울 : 한국문화사 [2018]
  • 『교육연극과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』
    김정임 석사학위논문, 경인교육대학교 [2015]
  • 『교육연극 활동을 통한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 교육 방안』, 석사학위논문
    LIU LANWEI 세종대학교 [2018]
  • 『교육연극 수업이 언어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』
    김연실 석사 학위 논문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3]
  • 『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통합 지도 방안』
    하이디 석사학위 논문, 세종대학교 [2017]
  • 『교육 연극이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태도에 미 치는 영향 연구』
    김서현 석사학위논문, 이화여자대학교 [2011]
  • 『교육 연극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실행연 구』
    배혜영 석사학위논문, 경인교육대학교 [2015]
  • 『교실 영어연극 만들기』
    곽종태 서울 : 브레인 하우스 [2012]
  • 『교사 피드백의 유형이 영어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 향』
    이가형 석사학위논문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1]
  • 『과정중심접근법 및 결과중심접근법이 학습자의 쓰기능력에 미 치는 효과 연구』
    김가영 석사학위논문, 강원대학교 [2014]
  • 『과정중심연극으로서의 교육연극』
    최지영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18]
  • 『과정극(Process Drama)을 활용한 영어 교재 개발 모형』
    박혜옥 석 사학위논문,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[2006]
  • 『과정 중심의 아동극 연출 방법 연구』
    이명분 석사학위논문, 경인교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7]
  • 『과정 중심 창작 공연 만들기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』
    최보희 석사학위논문, 공주대학교 [2017]
  • 『과정 중심 연극 만들기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 과』
    김수연 석사학위논문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4]
  • 『고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 연극 활용 한국어 교육』
    신지민 석사학 위논문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[2011]
  • 『映像媒體를 活用한 意思疏通能力 伸長方案 硏究 : 역할극과 캠 코더를 中心으로』
    이종민 석사학위논문,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1]
  • 「한국어교수법의 일반원리」
    김정숙 『한국어와 한국어 교육』, 서울 : 한국문화사 [2008]
  • 「교육연극이란 무엇인가」,『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』
    박은희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01]
  • 「교육연극의 연출원리와 기법」
    정봉석 『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』,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01]
  • 「교육연극의 기본원리」
    민병욱 『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』,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01]
  • 「Applied Theater와 교육연극의 한국적 적용과 전망」
    김병주 『시민 연극-연극을 통한 공동체, 참여 그리고 변화』, 경기 파주 : 청동거울 [2009]
  • Taylor저, 이희숙 외2 역『전래동화와 언어교육, 원제: Using folktales』
    Eric K. 서울 : 한국문화사 [2007]
  • Richard Courtney 저, 황정현 역『교육연극 교육과정론, 원제: The Dramatic Curriculum』
    서울 : 박이정 [2010]
  • Richard Courtney 저, 김주연・오판진 역『교육연극 입문』
    서울 : 연 극과 인간 [2017]
  • Philip Taylor & Christine Warner편저, 감수 김숙희 , 번역 한국교육연극학 회 편『시실리 오닐의 교육연극, 원제: Structure and spontaneity : the process drama of Cecily O’Neill』
   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13]
  • Nigel Toye & Francis Prendiville저, 김유미 이경미 역『전래동화를 활용한 드라마 만들기, 원제: Drama and traditional story for the early years』
   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06]
  • Michel Saint-Denis저, 윤광진 역『연기훈련, 원제: Training for the theater : premises & promises』
    서울 : 예니 [1994]
  • Landy(edited by Philip Taylor), 백령 홍연주 성진희 김병주 옮김 『문화예술 교육의 도약을 위한 평가-쟁점과 원리. 원제: Assessment in Arts Education』
    Robert J. 서울 : 커뮤니케이션북스 [2012]
  • Krashen 저, 김윤경 옮김『외국어교육 이론과 실제-학습인가, 습득인 가, 원제: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』
    서울 : 한국문화사 [2004]
  • John Dewey 저, 박철옹 역『경험으로서 예술』
    경기 파주 : 나남 [2018]
  • J. Warren Stewig・Carol Buege 저, 황정현 역『총체적 언어교육을 위한 교육연극』
    서울 : 평민사 [2004]
  • Helen Nicholson저, 김현정 이소희 역『응용드라마-연극의 선물, 원제: Applied Drama-The Gift of Theatre』
   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19]
  • H. Douglas Brown, 이흥수 박주경 외 공역『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 리』
    서울 :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[2015]
  • H. Douglas Brown, 권오량 김영숙 공역『원리에 의한 교수-언어 교육 에의 상호작용적 접근법』
    서울 :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[2012]
  • Charlyn Wessels저, 최용훈 역『EFL수업에서의 연극 활용 영어교수 법, 원제: Drama (Resources Books for Teachers)』
    서울 : 종합출 판 EnG [2008]
  • Cecile O'Neill & Alan Lambert & Rosemary Linnell 외 1인 저, 양윤석 역 『런던교육청 교육연극수업 가이드라인, 원제: Drama guideline』
    서울 : 달라진 책 [2007]
  • Cecile O'Neill 저, 송혜숙 조경향 공역『드라마 세계-과정드라마를 위한 체계, 원제: Drama Worlds』
    서울 : 연극과 인간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