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극구조기본춤의 훈련체계와 교육철학적 가치 연구

김영은 2021년
논문상세정보
' 태극구조기본춤의 훈련체계와 교육철학적 가치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수신(修身)
  • 태극구조기본춤
  • 학이시습(學而時習)
  • 호흡분석표
  • 훈련체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2 0

0.0%

' 태극구조기본춤의 훈련체계와 교육철학적 가치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테마가 있는 한국춤 시리즈 제1테마, “기본춤으로 보는 한국춤의 흐 름”, 「댄스포럼」
    박자은 2012 3월호 [2012]
  • 입춤의 생성배경과 류파에 따른 전승맥락 연구
    성기숙 한국무용연구회 14 [1996]
  • 임학선, 정선해, 안의수,「호흡생리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무용 호흡표기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」
    김유진 김향선 한국무용과학회지 [2009]
  • 네이버 지식백과, 한국민족문화대백과
    ‘조선미인보감’ [2021]
  • 네이버 지식백과, 문학비평용어사전
    ‘문질빈빈(文質彬彬)’ [2020]
  • 네이버 지식백과
    (https://terms.naver.com/list.nhn?categoryId=62841) [2020]
  • 樂記
  • 『禮記』
  • 『論語』
  • 『한국춤의 특성과 현대적 변모』
    김태원 서울 : 한국무용평론가회 [1996]
  • 『한국전통무용연구』
    장사훈 서울: 일지사 [1977]
  • 『한국유교지성론』, 유교문화연구총서
    서경요 성균관대학교 [2003]
  • 『한국 한국인 한국음악 : 한국전통음악에 내재한 의식』
    이성천 서울 : 풍남 [1997]
  • 『주역강설』
    이기동 서울: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10]
  • 『임학선 춤평론』
    임학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17]
  • 『임학선 작가론』
    임학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17]
  • 『임학선 안무론』
    임학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17]
  • 『인생을 위한 고전 논어』
    김원중 서울: 휴머니스트 츨판 그룹 [2019]
  • 『음양이 뭐지』
    어윤형 전찬성 서울: 세기 [2005]
  • 『역사의 흐름을 통한 한국무용사』
    이영란 스포츠 북스 [2011]
  • 『여유와 극복의 춤 새김질』
    임학선 서울: 성균관대학교 출판사 [1999]
  • 『아이콘과 코드』
    임태승 미술문화 [2006]
  • 『상징과 인상』
    임태승 학고방 [2007]
  • 『문묘일무의 이해』
    임학선 서울: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11]
  • 『문묘일무의 예악사상』
    임학선 서울: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11]
  • 『문묘일무의 역사적 원형과 왜곡』
    임학선 서울 :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19]
  • 『문묘일무보 도해』
    임학선 서울 :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05]
  • 『동양예술미학산책』
    조민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18]
  • 『동양미학 개념사전』
    임태승 도서출판 비투 [2020]
  • 『題衛夫人筆陣圖後』
  • 『頖宮禮樂全書』
  • 『樂論』
  • 『樂律全書』
  • 『弘齋全書』,
  • 『大學』
  • 『周易』
  • 『中庸』
  • 『世宗實錄』
  • 「호흡표기법을 이용한 한국춤 구조분석 : <태극구조의 기본춤> 중 “숨고르기”를 중심으로」
    임학선 한국무용학회 [2002]
  • 「호흡표기법을 이용한 <태극구조기본춤> 분석」
    김영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4]
  • 「호흡분석을 통한 한국무용 호흡표기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」
    김유진 성균관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호흡구조 분석을 통한 태평무 호흡표기법 연구 : 한성준 류 강선영의 태 평무를 중심으로」
    임현선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호흠표기법을 이용한 한국춤 분석 : 분석사례 1 <태극구조의 기본춤>」
    임학선 한국무용연구회 [2000]
  • 「한성준류 태평무의 호흡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 연구」
    정경화 성균관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한성준류 태평무의 태극사상 연구」
    김경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「한성준류 태평무의 춤사위 유형분석 : 한삼춤을 중심으로」
    송영미 성균관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한성준류 태평무 터벌림 과장의 호흡유형과 특성 연구」
    정경화 한국무용연구 회 [2006]
  • 「한국춤의 자연성과 즉흥성에 나타난 표현 특성 연구」
    신상미 대한무용학회 24 [1998]
  • 「한국춤동작의 기본구조와 원리」
    임학선 한국미래춤학회 제11회 [2006]
  • 「한국춤 동작의 기본구조와 원리」
    임학선 한국무용연구 16 [1998]
  • 「한국춤 동작의 기본구조와 원리 : 한성준류 춤에 근거한 태극구조의 기본춤 고안」
    임학선 한국무용연구회 [1998]
  • 「한국창작춤 무대의상디자인 분석 - 무용가 임학선의 ‘<태극구조기본 춤>’을 중심으로」
    박선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한국전통무용 양식화에 대한 미학적 연구 - 이동안류 살풀이춤을 중심으 로」
    김기화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한국민속춤의 구조에 관한 연구」
    임학선 한국무용연구회 [1997]
  • 「한국무용의 호흡패턴에 관한 연구 : 태극구조의 기본춤의 필체 학체 궁 체를 중심으로」
    김미영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3]
  • 「한국무용의 기본 틀 연구를 위한 시론」
    이미영 한국무용예술학회 9권 [2002]
  • 「한국무용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? - 기능의 차원과 정신의 차원」
    박혜연 무용 역사기록학회 24 [2012]
  • 「한국무용에서 인성을 어떻게 가르치는가? ; 무용인성지도의 두 가지 방 식 탐색」
    박혜연 한국체육학회지 54(4) [2015]
  • 「한국무용 춤사위의 미학적 의미 고찰; 존 듀이의 경험주의 예술론을 중 심으로」
    김지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한국무용 <태극구조기본춤>의 운동학적 3차원 분석 : 체간 동작 중심으 로」
    심현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8]
  • 「한국 창작춤을 위한 몸풀기와 몸만들기의 실제」
    윤덕경 한국무용연구학회 18 권 [2000]
  • 「한국 전통춤에 내재된 사상과 의미」
    황경숙 한국체육철학회 10권 1호 [2002]
  • 「한국 전통무용 기본 모듈의 구축전략 및 활용방안 」
    김기화 김용복 백현순 유지영 이미영 한국무용연구 34권 2호 [2016]
  • 「한국 문묘일무의 연원과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」
    이보름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2015]
  • 「필체 학체 궁체’의 호흡유형 및 특성연구 : <태극구조의 기본춤>을 중심 으로」
    김현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3]
  • 「태극구조의 기본춤 분석」
    전민정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「춤 표기법에 관한 연구1-호흡 표기법을 중심으로」
    임학선 대한무용학회 제21 호 [1998]
  • 「최현 춤 기본 틀 연구」
    이미영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3 [2007]
  • 「최승희의 조선민족무용기본에 관한 연구」
    김자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3]
  • 「최승희의 예술세계가 한국 신무용에 미친 영향」
    주나연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[2001]
  • 「천이두의 한(恨)의 구조로 본 「Soul, 해바라기」분석 연구」
    허채민 성균관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[2020]
  • 「전인교육을 위한 교과교육의 모형 연구」
    홍은숙 신진교수과제 [1999]
  • 「전인교육으로서의 인문학: 독일 신인문주의의 '교양(Bildung)'사상」
    안성찬 인 문논총 62(62) [2009]
  • 「임학선의 <태극구조기본춤>의 동작선연구 -공간분석을 중심으로-」
    김미영 한국무용학회지 [2016]
  • 「임학선의 <태극구조기본춤> 호흡 분석 -2단계 끌어올리고 내리기를 중 심으로-」
    김영은 한국무용학회지 [2016]
  • 「임학선 춤 세계관을 조명하다」
    성기숙 ‘제의적 서사에서 동양적 인문정신까지 –임학선 창작춤의 공연미학적 변이-’ [2014]
  • 「유가의 예악사상에 관한 연구」
    이상은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1]
  • 「예악사상의 형성과 본질적 이념」
    이상은 한국유교학회 vol.34 [2008]
  • 「아이콘과 코드 - 동양미학의 범주」
    임태승 강의, http://www.artnstudy.com/
  • 「사료를 통해 본 문묘일무」
    임학선 한국석전학회 춘계학술회의 [2008]
  • 「박병천류 진도북춤의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적 특성 연구」
    홍은주 성균관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「박금슬의 춤사위와 그 기본동작에 대한 용어 및 특징에 관한 연구」
    주은하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1]
  • 「박금슬의 입춤 연구」
    허순선 한국무용연구학회지 19 no.1 [2008]
  • 「밀양검무의 춤사위 분석에 따른 미학적 성격 연구」
    노한나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2015]
  • 「문묘일무의 춤사위 구조 및 의미성과 상징성」
    임학선 대한무용학회 43 [2003]
  • 「문묘일무의 춤사위 ‘진퇴’에 담긴 교육철학적 가치」
    김기화 임학선 우리춤과 과학기술 15 [2011]
  • 「문묘일무의 실천철학적 성격과 미학적 특징 연구」
    박지선, 성균관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[2016]
  • 「문묘일무 춤사위의 역학적 구조」
    임학선 유교문화연구 16 [2010]
  • 「문묘석전 일무의 위치 연구」
    임학선 한국무용연구 27 no.2 [2009]
  • 「명무 한성준의 춤 구조 연구」
    임학선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7]
  • 「라반움직임분석을 통한 한국춤 메소드 연구: 배정혜의 ‘바기본’을 중심으 로」
    이민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동양예술(東洋藝術)에서의 도(道)와 예(藝)의 관계성(關係性)」
    조민환 동양철학 연구회 Vol.77 [2014]
  • 「김영희 춤에 나타난 예술성향 연구」
    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4]
  • 「김백봉의 기본무 조형분석- 굿거리.살풀이.자진모리를 중심으로」
    안귀호 동덕여 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「고대 중국 육예의 교육학적 함의」
    류 밍위에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개인 무용가의 춤 기법 전승을 위한 언어적 춤 묘사에 대한 연구: 최현기 본무를 중심으로」
    남수정 무용역사기록학 36 [2015]
  • 「韓國 춤에 內在된 太極思想의 硏究」
    김선영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5]
  • 「文廟佾舞의 교육적 가치와 구현방안연구」
    정향숙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「意在筆先의 體用不二的 硏究」
    한옥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8]
  • 「中和개념의 형성과 그 미학적 의의」
    이상은 동양문화연구 [2010]
  • 「<태극구조기본춤>의 12단계별 생리학적 변인 분석」
    전현진 서강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<태극구조기본춤> 리듬호흡의 양상」
    김영은 한국무용연구회 [2020]
  • 「<태극구조기본춤> 舞蹈공간의 기호체계와 철학성에 관한연구」
    김미영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<조선민족무용기본>과 <태극구조의 기본춤>의 성격과 훈련체계 연구」
    김해금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「21세기 한 중 기본무용에 내재된 태극특성」
    근평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“한국무용에서 심성 가르치기: 한국무용 교수학습과정의 심성교육적 차원 탐색”
    박혜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“한국무용 동작에서 호흡기본 훈련이 하지 관절에 미치는 영향”
    김은정 단국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4]
  • ??춤동작??
    박금슬 일지사 [1982]
  • ??논어의 형식미학??
    임태승 서울 : 도서출판 B2 [2017]
  • "한국춤 동작의 기본구조와 원리”
    임학선 공연과 리뷰 19 [1988]
  • "「일무」를 통해 춤의 인문학적 가치를 재발견했다.”
    임학선 공연과 리뷰 106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