듀이의 교육사상에 담긴 노작활동의 영유아기 적용방안 = A Way of the Application of Occupations in J. Deweys Educational Ideas to Infant and Early Childhood

한경희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듀이의 교육사상에 담긴 노작활동의 영유아기 적용방안 = A Way of the Application of Occupations in J. Deweys Educational Ideas to Infant and Early Childhood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노작활동
  • 듀이
  • 푸드오감놀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38 0

0.0%

' 듀이의 교육사상에 담긴 노작활동의 영유아기 적용방안 = A Way of the Application of Occupations in J. Deweys Educational Ideas to Infant and Early Childhood' 의 참고문헌

  • 勞作敎育의 性格과 價値. 서울대학교
    김기민 박사학위논문 [1992]
  • 한중아, 권연희 보육과정
    김상림 파주: 양서원 [2017]
  • 한국보육진흥원 2020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(어린이집용)
    서울 [2020]
  • 코메니우스의 敎育思想
    이숙종 서울: 교육과학사 [1996]
  • 케르셴슈타이너와 듀이의 勞作敎育論 比較 硏究. 고려대학교
    전일균 박사학위논문 [1995]
  • 직업교육학 원리
    이무근 서울: 교육과학사 [2006]
  • 유아교사론
    김성숙 송진영 임부연 파주: 양서원 [2015]
  • 영아발달
    정옥분 서울: 학지사 [2012]
  • 아동 중심적 유아교육론
    김규수 서울: 학지사 [2002]
  • 아동 중심교육과 존 듀이
    최한수 서울: 문음사 [2000]
  • 송도선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
    서울: 문음사 [2009]
  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, 『교육학용어사전』
    서울: 하우 [1994]
  • 발달심리학
    송길연 이지연 서울: 파와이메이트 [2017]
  •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자학과 발도르프학교
    정윤경 인천: 내일을 여는책 [2000]
  • 듀이의 경험이론과 교육인식론
    박천환 서울: 학지사 [2012]
  • 듀이- 경험과 자연
    김동식 울산: 울산대학교 출판부 [2005]
  • 노작교육론
    전일균 인천: 내일을 여는 책 [2004]
  • 내러티브 사고와 표현 중심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. 건국대학교
    안정민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(3편)
    권대훈 서울: 학지사 [2017]
  • 교육사상사
    신득렬 서울: 학지사 [2012]
  • 감각을 깨우는 후각훈련
    류건 파주: 바람 [2016]
  • “코메니우스 유아교육론의 현대적 의의”
    김숙이 한국교육사상학회, 교육사상연구, 제18집, 55-79 [2006]
  • “인간교육을 지향한 새로운 교육과정의 탐색”
    이돈희 인간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수업의 탐구, 서울: 교육과학사, 169-199 [1991]
  • “루돌프 슈타이너의 노작교육론”
    전일균 한국교육학회, 敎育學硏究, 34권, 제5호, 43-62 [1996]
  • “노작교육의 원리와 교육적 가치”
    정모근 초등교육연구, 제6집, 205-230 [1995]
  • “노작교육의 실천을 통하여 조명한 교양교육으로서의 가치”
    박완성 교양교육연구, 제6권, 407-437 [2012]
  • Theorie der Bildung .
    [1926]
  • The Education of the Child in Light of Anthroposophy
    [1965]
  • The Child and the Curriculum
    Vol . 7 [1982]
  • The Anatomy of the Developing EarAuditory Development in Infancy
    [1985]
  • Taste and OlfactionHandbook of Infant PerceptionFrom Sensation to Perception
    Vol . 1 [1987]
  • Rousseau, Jean Jacques(1761), 김중현 역 에밀
    파주: 한길사 [2017]
  • Reconstruction in Philosophy
    [1982]
  • My Pedagogic CreedIn John Dewey : The Early Works
    Vol . 5 [1972]
  • Moorman, Chick & Weber, Nancy, 윤미나 역(2019).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
    서울: 한문화멀티미디어 [1989]
  • Montessori 감각교구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. 대구가톨릭대학교
    정동희 박사학위논문 [2011]
  • Learning and Memory ” . In J. D. Osofsky ( Ed ) ,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( 2nd )
    [1987]
  • Kerschensteiner, Georg M., 정기섭 역(2004). 노작학교의 이론과 실천
    서울: 문음사 [1961]
  • John Dewey 實驗學校의 敎育理論과 實際에 關한 硏究. 성균관대학교
    박영만 박사학위논문 [1992]
  • Infant Recognition Memory : The Effects of Length of Familiarization and Type of Discrimination Task
    45 , 351-356 [1974]
  • From Absolutism to Experimentalism ” . In John Dewey : The Later Works
    Vol , 5 [1984]
  • Experience and Education . In John Dewey : The Later Works
    Vol . 13 [1988]
  • Differential Facial Responses to Four Basic Tastes in Newborns
    59 , 1555-1568 [1988]
  • Dewey, John, 송도선 역(2016). 학교와 사회
    파주: 교육과학사 [1976]
  • Democracy and Education
    [1982]
  • Comenius. J. A.(1657), 정확실 역 대교수학
    서울: 교육과학사 [2007]
  • Art as Experience . In John Dewey : The Later Works
    Vol . 10 [1988]
  • A Modern Art . ( Revised Trans . ) Darrel Jesse
    [1972]
  • 5명 유아발달
    이기숙 장영희 파주: 양서원 [2015]
  • 5명 영아발달
    이기숙 장영희 파주: 양서원 [2015]
  • 4명 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 바로 알기
    김은경 정혜욱 서울: 창지사 [2019]
  • 2명 영유아발달
    곽노이 김경철 파주: 양서원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