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대 한국어의 공존형 연구

박보연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현대 한국어의 공존형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동양3국 문학
  • coexisting forms
  • creation mechanisms
  • optionality
  • phonological word
  • phonologicalcondition
  • speech style
  • syntacticcondition
  • variation
  • 공존형
  • 문법론적 조건
  • 발화 스타일
  • 변이
  • 생성기제
  • 수의성
  • 음운론적 단어
  • 음운론적조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510 0

0.0%

' 현대 한국어의 공존형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「한국어의 말소리」
    신지영 지식과 교양 [2011]
  • 「서울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」
    유필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1]
  • 「국어 모음충돌 회피현상에 관한 연구: 최적성 이론을 중심으로」
    하세경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0]
  • 후음 /ㅎ/의 변이와 음운현상 고찰
    강지수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2]
  • 활음 첨가와 활음 탈락, 《인문논총》11
    김경아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, 49-65 [2003]
  • 활음 첨가 재론, 《우리말글》53
    임석규 우리말글학회, 65-83 [2011]
  • 활용형의 변화에 대한 생성문법적 접근: 김현(2006)에 대하여, 《형태론 》14-1
    임석규 박이정, 73-90 [2012]
  • 활용의 적형성과 심리적 실재성, 《형태론》18-2
    송원용 형태론학회, 163-182 [2016]
  • 활용의 문법적 기능과 심리적 실재성, 《인문학연구》21
    송원용 인천대학교 인 문학연구소, 65-90 [2019]
  • 활용에 있어서의 화석형, 《주시경학보》3
    김성규 주시경연구소, 159-165 [1989]
  • 화순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, 《국어연구》134
    정인호 서울대 국어연구회 [1995]
  • 형태소 발음변이를 고려한 음성인식 단위의 성능, 《말소 리와 음성과학》10-4
    권오욱 김상훈 방정욱 한국음성학회, 111-119 [2018]
  • 형태소 교체의 규칙성에 대하여, 《국어학》69
    이진호 국어학회, 3-30 [2014]
  • 형태론적 현안의 음운론적 극복을 위하여, 《동아문화》11
    김완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동아문화연구소, 271-299 [1972]
  • 형태론과 음운론, 《국어학》35, 국어학회, 287-311
    송철의 [송철의(2008)에 재 수록] [2000]
  • 현대국어의 형태소분석과 음운현상 : 활용, 곡용에서의 '으∼ '를 중심 으로
    강창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82]
  • 현대국어의 수의적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, 《국제어문》60
    엄태수 국제어문학 회, 155-184 [2014]
  • 현대국어의 모음충돌 회피현상에 대하여, 《한글》189
    유재원 한글학회, 3-24 [1985]
  • 현대국어의 ‘르-말음’ 용언의 형태사, 《어문연구》30-2
    장윤희 한국어문교육 연구회, 61-83 [2002]
  • 현대국어 해라체 의문형 어미 -느냐/으냐, -니의 변화, 《어학연구》 54-1
    유필재 서울대언어교육원, 79-96 [2018]
  • 현대국어 음절축소형에 대한 연구
    박보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현대국어 반말체 종결어미 연구
    박재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8]
  • 현대국어 르 불규칙 용언의 수의적 ㄹ첨가 현상 연구
    이재호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[2015]
  • 현대국어 ㄴ-ㄹ 연쇄의 변이 현상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
    권순미 경북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[2008]
  • 현대국어 ‘르’불규칙 활용에 대한 고찰, 《한말연구》10
    박선우 한말연구학회, 23-41 [2002]
  • 현대국어 '-으' 모음 연구사
    배주채 《주시경학보》11, 73-106 [1993]
  • 현대 한국어의 자음군단순화에 대한 대조방언학적 연구, 《세계속의 조 선어(한국어 대비연구)》
    최명옥 료녕민족출판사, 110-132 [2001]
  • 현대 한국어의 어두 경음화 연구
    장소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현대 서울말의 모음조화: 부동사형 어미 ‘-아/어’의 교체를 중심으로, 《우리말글》26
    강희숙 우리말글학회, 1-28 [2002]
  • 현대 서울말 어미의 모음 상승에 대한 연구
    권윤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9]
  • 현대 국어의 형태음운론적 변이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
    오새내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허 웅/1985), 《국어 음운학》
    서울: 정음사 [《국어 음운학》 서울: 샘문화사. 1985] [1965]
  • 허 웅, 《언어학: 그 대상과 방법》
    서울: 샘문화사 [1981]
  • 한글에 대한 편집 거리 문제, 《정보과학회 논문지》37-2
    김은상 김진욱 노강호 박근수 조환규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, 103-109 [2010]
  • 한글 음운 변동 규칙 적용한 편집 거리 계산법, 《한국정 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》38(2)
    강승식 박일남 배병걸 한국정보과학회, 221-222 [2011]
  • 한국어의 재구조화 2
    임홍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[2018]
  • 한국어의 음운현상과 음운론적 복잡도, 《한국어학》59
    박선우 한국어학회, 203-225 [2013]
  • 한국어의 음운적 단어는 운율 단위인가, 《한말연구》34
    안병섭 한말연구학회, 139-162 [2014]
  • 한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 연구
    한명숙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1]
  • 한국어 조음 위치 동화의 수의적 실현 양상 연구
    박민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2017]
  • 한국어 음운규칙의 적용한계와 그 대체기제, 《인문논총》53
    최명옥 서울대 인 문학연구원, 285-311 [2005]
  • 한국어 위치동화의 실험음성학적 분석, 《언어연구》25-2
    박선우 경희대 언어 연구소, 45-65 [2008]
  • 한국어 운율구조와 관련한 모음 및 음절 길이, 《음성언어 연구의 어제 와 오늘》
    이숙향 태학사, 95-110 [2002]
  • 한국어 억양 단위 연구
    전영옥 담화와 인지 10 [2003]
  • 한국어 모음충돌 회피 현상에 대한 연구
    박나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
    서상규 한국문화사 [2013]
  • 한국어 구어 연구, 한국문화사
    박동근 이석재 (확인할 것) [2005]
  • 한국어 /ㅓ/의 음성 실현 양상 연구: 서울코퍼스를 중심으로
    신우봉 《겨레어 문학》60, 233-258 [2018]
  • 한국사회언어학회, 사회언어학 사전
    서울: 소통 [2012]
  • 학교 문법의 ‘축약(縮約)’ 및 관련 어문 규정에 대하여, 《국어국문학》 153
    이상신 국어국문학회, 417-439 [2009]
  • 표준국어문법론
   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[1985]
  • 편, 《음운 I》 (국어학강좌 4)
    송철의 이병근 태학사 [1998]
  • 패러다임 간의 유추에 따른 어간재구조화, 《어문연구》36-4
    김경아 한국어문 교육연구회, 103-129 [2008]
  • 통시 음운론과 음성학, 《국어학》85
    신승용 국어학회, 399-428 [2018]
  •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 구조, 『국어연구』 123
    박진호 서울대 국어연구회 [1994]
  • 충북방언의 음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
    박경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3]
  • 체언말 자음의 교체현상에 대한 연구
    오재혁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6]
  • 체언말 자음의 교체 현상과 동음 충돌, 《한국어학》34
    신지영 오재혁 한국어 학회, 209-232 [2007]
  • 체언 어간말 설단자음의 마찰음화에 대하여
    곽충구 《국어국문학》91 [1984]
  • 체언 어간말 (ㅊ), (ㄷ)의 실현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, 《사회언어 학》 11-1
    홍미주 한국사회언어학회, 215-240 [2003]
  • 중부 방언의 ‘-(으)려(고)’와 남부 방언의 ‘-(으)ㄹ라(고)’
    서정목 《이정 정연찬 선생 회갑 기념 논총》, 712-718 [1989]
  • 준말에 대한 형태음운론적 고찰, 《동양학》23, 25-49
    송철의 [송철의(2008)에 재수록] [1993]
  • 재분석에 의한 재구조화와 활용 패러다임, 《형태론》6-1
    임석규 형태론학회, 1-23 [2004]
  • 자음군단순화 연구
    최은영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자유발화 자료에 나타난 {-어가지고}의 문법 범주와 의미 기능. 《한국어학》55
    신지영 하영우 한국어학회, 397-430 [2012]
  • 이형태 교체와 관련한 몇 문제, 《국어학》58
    박재연 국어학회, 129-155 [2010]
  • 음운현상의 수의성과 음장, 《어문학》92
    김종규 한국어문학회, 19-48 [2006]
  • 음운탈락과 관련된 몇 문제, 《국어학》40
    임석규 국어학회, 113-140 [2002]
  • 음운변화와 패러다임의 상관관계, 《동양학》49
    김경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 소, 171-189 [2001]
  • 음운변화와 어휘부의 재구조화, 《관악어문논집》10-1
    한영균 서울대 국어국문 학과, 375-401 [1985]
  • 음운변이와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: 전남 장흥 방언을 중심으 로
    강희숙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4]
  • 음운문법의 수의성과 전이 양상에 대한 최적성 이론적 분석: 한국어 화 자의 영어와 한국어 비음-유음 연쇄 발음을 중심으로, 《영어영문학연 구》 53-11
    박창범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, 199-220 [2011]
  • 음운론적 유인에 의한 형태소 중가에 대하여, 《국어학》3
    김완진 국어학회, 7-16 [1975]
  • 음운론적 변이와 변화에 대한 종합적 검토, 《한국어학》79
    소신애 한국어학회, 1-34 [2018]
  • 음운론적 발화실수의 유형화 시도, 《언어학연구》36
    안병섭 한국중원언어학회, 161-182 [2015]
  • 음운론적 단어와 음절화, 언어학 24
    곽동기 한국언어학회, 4-23 [1999]
  • 음운론 용어의 정확한 사용을 위한 제언, 인문과학연구 3
    정인호 대구대학교, 1-19 [2007]
  • 음운규칙과 비음운론적 제약, 《국어학》3
    이병근 국어학회, 17-44 [1975]
  • 음운 규칙의 변화와 공시성
    박창원 《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: 김완진 선생 회갑기념논총》, 297-322 [1991]
  • 음운 규칙의 공시성과 통시성: 진행 중인 음운 변화의 기술문제를 중심 으로, 《한글》285
    이문규 한글학회, 71-96 [2009]
  • 음소의 분류 체계를 이용한 한글 편집 거리 알고리 즘
    노강호 박근수 장소원 조환규 《정보과학회논문지: 시스템 및 이론》37-6, 323-329 [2010]
  • 음소의 1차원 배열을 이용한 한글 유사도 및 편집 거리 알고리즘
    노강호 박근수 장소원 조환규 《정보과학회논문지: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》17-10, 519-526 [2011]
  • 음성 코퍼스를 활용한 국어 연구, 《한국어학》23
    신지영 한국어학회, 23-47 [2004]
  • 유의어 정도성 측정을 위한 집합론적 유형화, 문학과 언어 24
    이광호 문학과언 어학회, 57-78 [2002]
  • 운율적 단위와 단모음화 현상,《한국어학》32
    김종규 한국어학회, 53-89 [2006]
  • 우리말 어휘빈도 정보와 분절음 탈락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, 《말소리》 47
    차재은 대한음성학회, 1-13 [2003]
  • 우리말 ‘ㅟ+ㅓ’의 준말에 대하여, 《한글》249
    조규태 한글학회, 197-207 [2000]
  • 용언 굴절과 동음이의어 회피 제약: ‘ㄹ’발음어간 용언과 ‘르’ 및 ‘러’불 규칙용언을 중심으로, 《언어학》62
    하세경 한국언어학회, 67-98 [2012]
  • 용례 기반 이론에서의 어휘 지식 표상, 《형태론》11-2
    채현식 형태론학회, 269-286 [2009]
  • 역사 자료 어휘 분석기를 위한 어휘부 개발 방법
    조은경 한영균 《한국사전 학》27, 49-74 [2016]
  • 언어학연구사
    김방한 서울대학교출판부 [1991]
  • 언어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: 경기도 화성 방언을 중심으로
    이미재 서 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88]
  • 언어 규범과 언어 변이의 문제: 표준 화법을 중심으로,《사회언어학》 18-2
    조태린 사회언어학회, 189-214 [2010]
  • 어휘소 설정과 음운현상, 《국어연구》77
    김성규 국어연구회 [1987]
  • 어휘부와 형태론, 《국어학》66
    최형용 국어학회, 361-413 [2013]
  • 어휘부란 무엇인가, 《국어학》66
    채현식 국어학회, 307-333 [2013]
  • 어두경음화 현상의 사회언어학적 고찰
    장승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어간의 재구조화와 교체형의 단일화 방향, 《성곡논총》 24
    최명옥 성곡학술문 화재단, 1500-1642 [1993]
  • 어간 음절수에 따른 음운규칙 적용의 차이, 《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 념 국어학논총》
    임석규 태학사, 609-629 [2010]
  • 쌍형어에 대하여, 《비교문화연구》50
    이은경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, 425-452 [2018]
  • 쌍형 용언의 형성과 활용형 제약, 《한국어학》66
    한수정 한국어학회, 309-349 [2015]
  • 수의적 활음 탈락에 대한 음성, 음운론적 고찰, 우리어문연구 23
    안병섭 차재은 우리어문학회, 279-304 [2003]
  • 수의적 음운 현상의 종류와 그 특성
    신승용 《국어국문학》142, 137-161 [2006]
  • 수의적 w탈락의 양상과 해석, 《음성 음운 형태론 연구》 24-1
    하영우 한국음 운론학회, 69-91 [2018]
  • 수의성의 범위 설정 및 유형화, 《언어학연구》31
    안병섭 한국중원언어학회, 135-158 [2014]
  • 성인 자유 발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의 음소 및 음절관련 빈도, 《언어청각장애연구》13-2
    신지영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, 193-215 [2008]
  • 서울코퍼스의 성별 연령 집단별 말 어절 모음에 나타난 음운변동,《말소 리와 음성과학》9-2
    양병곤 한국음성학회, 23-29 [2017]
  • 서울지역어 '(X)i-' 어간 모음어미 활용형의 공존 양상, 《방언학》16
    박보연 한국방언학회, 155-185 [2012]
  • 서울방언의 국어학적 연구, 《서울학연구》15
    송철의 유필재 서울시립대학교 서 울학연구소, 5-53 [2000]
  • 서울방언 용언 자음어간의 형태음운론, 《국어학》35
    유필재 국어학회, 35-65 [2000]
  • 서울말의 모음상승과 2인칭 대명사의 새 형태 니, 《사회언어학》 5
    채서영 한국사회언어학회, 621-644 [1997]
  • 서울말과 표준발음법, 《서울말 연구》1
    이호영 박이정 [2000]
  • 서울말과 표준말의 음성학적 비교연구, 《언어학》2
    이현복 한국언어학회, 167-185 [1977]
  • 서울말 어간말 자음의 음성 실현,《말소리》49
    강은지 김주원 이호영 대한음성 학회, 1-30 [2004]
  • 서울 토박이들의 경음화 선호도, 《말소리와 음성과학》 1-2
    이호영 한국음성 학회, 151-162 [2009]
  • 서울 지역의 체언 말음 변화에 관한 연구, 《국제어문》4
    김태경 국제어문학회, 47-74 [2008]
  • 서울 지역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: 모음을 중심으로
    박선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5]
  • 서울 지역 화자를 대상으로 한 단모음 음장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분석
    한준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4]
  •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수의적 음운변동 현상 연구
    윤경희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[2009]
  • 빠른 발화, 평상발화, 재구조화
    김영기 《서울말연구》, 91-122 [2000]
  • 비음절화 규칙의 통시적 변화와 그 의미
    한영균 《울산어문논집》4, 1-26 [1988]
  • 불규칙활용에 대한 몇 가지 논의, 《형태론》2-1
    김성규 형태론학회, 121-128 [2000]
  • 불규칙활용, 《새국어생활》 10-2
    배주채 국립국어연구원, 163-169 [2000]
  • 불규칙용언의 활용형 연구
    한수정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변칙동사의 음운현상에 대하여 : p-,s-,t-변칙동사를 중심으로, 《국어 학》14, 국어학회, 149-188
    최명옥 [최명옥(1998: 55-97)에 재수록] [1985]
  • 변칙동사의 음운현상에 대하여 : lɨ, lə, ɛ(jə), h 변칙동사를 중심으로, 《어학연구》24-1
    최명옥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, 41-68 [1988]
  • 변이의 음운론적 해석, 《언어와 언어학》4
    전상범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 소, 59-77 [1976]
  • 방언연구회, 《방언학 사전》
    태학사 [2001]
  • 방언 연구사, 《국어국문학회 50년》 (국어국문학회 엮음)
    곽충구 태학사 [2002]
  • 발화의 음운론적 분석에 대한 연구
    유필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[1994]
  • 발화 분석의 음운론적 단위, 《음운Ⅰ》
    유필재 태학사, 353-387 [1998]
  • 반모음 у의 음절 구조적 지위와 음절화에 의한 방언분화
    이상신 《관악어문연 구》27, 385-407 [2002]
  • 박대아, 현대국어의 음운론적 변이 연구
  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박 선, 한국어 /h / 탈락의 음운 변이: 확률적 최적성 이론 분석
  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문종결의 논리와 수행-억양, 《말》9
    임홍빈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, 147-182 [1984]
  • 무주 영동 김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
    이혁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5]
  • 모음충돌, 《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》
    최윤현 동아출판사, 77-83 [1990]
  • 모음축약의 제약성, 《순천대학논문집》3
    기세관 순천대학, 411-431 [1984]
  • 모음체계의 재정립과 현대국어의 비음절화, 《진단학보》71-72
    한영균 진단학 회, 249-264 [1991]
  • 모음조화 현상에 대한 언어지리학적 연구: 부사형 어미 ‘-아/어X’ 교체 를 중심으로
    김원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6]
  • 모음연쇄의 음변화에 대한 시론, 《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》
    정인호 태학사, 111-132 [2006]
  •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음운론 연구
    박선우 홍성훈 《한국어학》63, 1-36 [2014]
  • 대구 지역어의 음운변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
    홍미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1]
  • 달성지역어의 음운론적 변이와 변화 연구
    배혜진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4]
  • 남길임, 텍스트 장르와 억양단위 통사 구조의 상관성 연구
    텍스트언어학 27, 163~187 [2009]
  • 나), 현대국어 음성・음운 현상에 대한 사용 기반적 연구
    이봉원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2002]
  • 나), 잠재적 휴지의 실현, 《선청어문》27
    김성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국문 학회, 831-859 [1999]
  • 나), 음성 언어 층위와 문자 언어 층위의 위상에 대한 연구, 《언어학》30
    김성규 한국언어학회, 65-88 [2001]
  • 나), 국어의 활음화와 관련된 몇 문제, 《단국어문논집》1, 269-292
    송철의 [송철 의(2008)에 재수록] [1995]
  • 나), 15세기 국어와 표준어의 음운대응 정도에 대한 연구, 《어문연구》43
    김성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, 65-98 [2015]
  • 김 현, 활용상에 보이는 형태음운론적 변화의 요인과 유형
  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3]
  • 김 현, 자유 변이의 공시론과 통시론: 소신애(2009)를 중심으로,《형태론》 14-1
    형태론학회, 53-72 [2012]
  • 김 현, 어휘부와 국어음운론, 《국어학》66
    국어학회, 335-360 [2013]
  • 김 현, 모음간 W 탈락과 W 삽입
    《애산학보》23, 195-254 [1999]
  • 김 현, 공시 음운론과 음성학, 《국어학》85
    국어학회, 369-398 [2018]
  • 글말과 입말의 문체 분석, 《국어국문학》102
    임성규 국어국문학회, 313-333 [1989]
  • 국어적 통용과 문어적 오용
    민현식 《문법교육》6, 53-111 [2007]
  • 국어의 자음동화와 수의성에 대한 제약 기반적 접근, 《한글》264
    김영선 한글 학회, 95-122 [2004]
  • 국어의 음절구조와 음운현상,《국어학》13
    강창석 국어학회, 199-228 [1984]
  • 국어의 음운표시와 음운과정, 《국어학총서》38
    김경아 태학사 [2000]
  • 국어의 유추적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
    박선우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국어의 단어형성원리
    시정곤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3]
  • 국어의 '-으'모음과 용언의 축약형 분석과 생성, 《국어학》29
    이기용 국어학회 [1997]
  • 국어사전에서의 구어 어휘 선정과 기술 방안 연구,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. 양명희(2007)
    안의정 국어사전의 유의어에 대하여) [2007]
  • 국어 활음화에 따른 운소 변동의 통시적 고찰, 《국어학》60
    이진호 국어학회, 99-122 [2011]
  • 국어 활용형에 적용되는 모음 축약, 《어학연구》40-1
    이진호 순천대학교어학 연구소, 177-194 [2004]
  • 국어 종결 억양의 문법적 기능과 음성적 특징에 대한 지각적 연구
    오재혁 고려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1]
  • 국어 자음의 음운론적 강도에 대하여, 《애산학보》23
    이혁화 애산학회, 165-194 [1999]
  • 국어 자음군 단순화에 대한 종합적 고찰, 《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념 국어학논총》
    이진호 태학사, 561-584 [2010]
  • 국어 음운현상의 성격과 범위: 음운부와 어휘부의 구조에 관련하여 , 《한국어학》17
    김무림 한국언어학회, 181-199 [2002]
  • 국어 음운론에 있어서 체언과 용언, 《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: 김완진선생 회갑기념논총》, 민음사, 278-296
    송철의 [송철의(2008)에 재수록] [1991]
  •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: 중사전을 중심으로, 《어 문론총》 48
    안의정 이종희 한국문학언어학회, 27-60 [2008]
  • 국어 반모음 ‘ч’의 음성학과 음운론, 《어학연구》38-1
    이혁화 서울대학교 언 어교육원, 339-364 [2002]
  • 국어 UMLAUT의 연구사적 검토: 공시성과 통시성의 문제를 중심으로, 《진단학보》65
    최명옥 진단학회, 63-80 [1988]
  • 국어 Glide화의 제약성, 《재효 이용주박사 회갑기념논문집》
    기세관 도서출판 한샘, 132-148 [1989]
  • 국립국어연구원 편, 《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2》
    국립국어연구원 [2005]
  • 국립국어연구원 편, 《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》
    국립국어연구원 [2000]
  • 국립국어연구원 편, 《서울 토박이말 자료집》Ⅳ
    국립국어연구원 [2001]
  • 국립국어연구원 편, 《서울 토박이말 자료집》Ⅱ
    국립국어연구원 [1998]
  • 국립국어연구원 편, 《서울 토박이말 자료집》Ⅰ
    국립국어연구원 [1997]
  • 구어와 문어의 접속부사 실현 양상 비교 연구, 《텍스트언어학》22
    전영옥 한 국텍스트언어학회, 223-247 [2007]
  • 구어에서의 첨가 현상 연구
    김지현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구어에서의 용언활용 변이 양상
    조희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07]
  • 구어 주석 코퍼스 구축을 위한 발화 단위 연구
    김정선 김태경 최용석 《한국언 어문화》28, 5-25 [2005]
  • 구어 자료에 나타난 접속부사의 기능ㆍ형태ㆍ운율에 관한 연구
    하영우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5]
  • 고흥방언의 용언어간의 축소, 《국어학연구의 새지평》
    배주채 태학사, 499-523 [1997]
  • 고모음 탈락 현상과 관련된 몇 문제, 《국어학》43
    김봉국 국어학회, 37-61 [2004]
  • 계합 내에서의 단일화에 의한 어간재구조화, 《국어학연구: 남천박갑수 선생 회갑기념논문집》
    곽충구 태학사, 549-586 [1994]
  • 경북북부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
    임석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7]
  • 경기도의 말: 천년 역사를 지닌 표준방언, 한국의 발견(경기도)
    이병근 뿌리깊 은나무사 [1983]
  • 경기도 방언의 음운론적 연구, 《어문연구》51
    김봉국 어문연구학회, 253-278 [2006]
  •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
    김봉국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2]
  • 가), 빠른 발화에서 음절수 줄이기, 《애산학보》23
    김성규 애산학회, 109-137 [1999]
  • 가), 곡용과 활용의 불규칙에 대하여, 《진단학보》80, 진단학회, 273-290
    송철의 [송철의(2008)에 재수록] [1995]
  • 가), 15세기 국어와 표준어의 음운론적 유사도 측정 시론. 《국어학》75
    김성규 국어학회, 3-37 [2015]
  • 가), '이-'의 음운론적 특성, 《국어학》37
    김성규 국어학회, 285-307 [2001]
  • ㅂ불규칙 용언 어간의 변화에 대하여: 서남 방언을 중심으로, 《애산학 보》20
    정인호 애산학회, 157-175 [1997]
  • ㄷ불규칙동사의 내적 재구, 《어학연구》41-3
    유필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, 635-654 [2005]
  • 『인지심리학』
    이정모 서울: 학지사 [2003]
  • 『우리말 문법론』
    고영근 구본관 집문당 [2008]
  • 『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』
    최형용 태학사 [2003]
  • 《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》
    남윤진 태학사 [2000]
  • 《현대 한국어의 공시 형태론》
    최명옥 서울대 출판부 [2008]
  • 《현대 국어의 음장》
    김수형 역락 [2001]
  • 《한국의 방언과 방언학》
    정승철 태학사 [2013]
  • 《한국언어지도》
  • 《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현실발음》
    이진호 아카넷 [2012]
  • 《한국어의 입말과 글말》
    노대규 국학자료원 [1996]
  • 《한국어 형태음운론적 연구》
    송철의 태학사 [2008]
  • 《한국어 방언연구의 실제》
    최명옥 태학사 [1998]
  • 《한국어 구어 연구 2》
    구현정 서상규 한국문화사 [2005]
  • 《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 2: 가나다순》
    서상규 한국문화사 [2015]
  • 《표준 발음 실태 조사 3》
    최혜원 국립국어연구원 [2004]
  • 《표준 발음 실태 조사 2》
    김선철 국립국어연구원 [2003]
  • 《표준 발음 실태 조사 1》
    최혜원 국립국어연구원 [2002]
  • 《통시적 음운 변화의 공시적 기술》
    이진호 삼경문화사 [2008]
  • 《중앙어의 음운론적 변이양상》
    김선철 서울: 경진문화사 [2006]
  • 《인천토박이말연구》
    한성우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[2009]
  • 《이중모음: 국어연구 집담회 총서 1》
    정승철 정인호 태학사 [2010]
  • 《음운현상에 있어서의 제약》
    이병근 탑출판사 [1979]
  • 《음운론적 변이와 변화의 상관성》, 국어학총서 64
    소신애 태학사 [2009]
  • 《음운론의 계량적 방법론》
    홍성훈 한국문화사 [2014]
  • 《우리말 소리의 체계 :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초를 위하여》
    신지영 차재은 한국문화사 [2003]
  • 《사전식 텍스트 분석적 국어 어미의 연구》
    이종희 이희자 한국문화사 [1999]
  • 《국어의미론》
    임지룡 탑출판사 [1993]
  • 《국어음운론과 자료》
    최명옥 태학사 [1998]
  • 《국어 자음의 음운 현상에 대한 원리와 제약》
    조성문 한국문화사 [2000]
  • 《국어 음운론》
    최명옥 태학사 [2008]
  • 《국어 음운론 용어 사전》
    이진호 역락 [2017]
  • 《국어 음운론 강의》
    이진호 삼경문화사 [2005]
  • 《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》
    구본관 태학사 [1998]
  • 〈현대 한국어의 수의적 /ㄱ/ 탈락 현상 연구〉
    현미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〈국어 쌍형어 연구〉
    김소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“한국어 음소 결합 제약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”
    유재원 《한글》238, 67-118 [1997]
  • ‘잡숫다’류 동사의 사전 기술, 《서울말연구》1
    유필재 박이정, 231-241 [2000]
  • ‘애, 에’의 반모음화, 《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념 국어학논총》
    정인호 태학 사, 658-677 [2010]
  • ‘뵙다’류 동사의 형태음운론, 《한국문화》29
    유필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 소, 43-63 [2002]
  • ‘ㅎ’불규칙과 ‘어’불규칙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, 《조선어연구》2, 조선 어연구회, 213-236
    송철의 [송철의(2008)에 재수록] [2004]
  • ‘Xl]Vst 어Y’의 음운론, 《진단학보》79
    최명옥 진단학회, 167-190 [1995]
  • ‘Xi+əY'의 방언권별 형태음운과정, 《우리말글》40
    임석규 우리말글학회, 175-199 [2007]
  • ‘-냐’계 어미의 결합 분포에 대하여: 구어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
    이동석 《민족문화연구》64, 247-281 [2014]
  • W. Labov and M.I . HerzogEmpirical Foundation for a Theory of Language Change
    [1968]
  • Variation in Linguistic Systems
    [2010]
  • Variation in Korean stem-final obstruents
    [2007]
  • Variation and optionality , The Cambridge Handbook of Phonology
    [2007]
  • Variation and opacity .
    24 ( 4 ) , 893-944 [2006]
  • Variation and Phonological Theory , In Jack Chambers , Peter Trudgill and Natalie Schilling-Estes ” ( eds . ) The Handbook of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
    [2002]
  • Variabel Rules : Performance as a statistical reflection of Competence
    50 , 333-355 [1974]
  • Usage-based Phonology , ” Functionalism and formalism in linguistics 1
    [1999]
  • Understanding Language Change
    [1994]
  • Trask 's historical linguistics ( 3rd ed
  •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, Ph.D disserattion
    [1993]
  • The identification of bases in morphological paradigms
    [2002]
  • The Role of the Listener in the Historical Phonology of Spanish and Portuguese : An Optimality-Theoretic Account .
    [1997]
  • The Place of Variation in Phonological Theory . In J. Goldsmith , J. Riggle and A. C. L. Yu , eds . Handbook of Phonological Theory ( 2nd edn )
    [2011]
  • The Listener as a Source of Sound Change . In C. S. Masek , R. A. Hendrick and M. F. Miller , eds . Papers from the Parasession on Language and Behavior
    [1981]
  • The Intonation of American English.
    [1945]
  •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: an Introduction to Natural Language Processing ,Computational Linguistics , and Speech Recognition
    [2000]
  • Sociolinguistic Patterns in British EnglishThe KoreanCorpus of Spontaneous Speech. ”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.2
    [1978]
  • Social and Stylistic Variation in Spoken French : AComparative Approach
    [2001]
  • Principles of linguisticChange ,
    [1994]
  • Principles of LinguisticChange Volume Ⅱ , Social Factors
    [2001]
  • Principles of Historical Linguistics
    [1991]
  • Principles and Methods for Historical Linguistics
    [1979]
  • Place assimilation , In Bruce Hayes , Robert Kirchner and Donca Steriade ( des . ) , Phonetically Based Phonology
    [2004]
  • Phonology: theory and analysis, Holt, Rinehart and Winston. Jackendoff, Ray(2002)/김종복 외 역(2005), 《레이 제켄도프의 언어의 본질》 (Foundations of Language)
    Hyman, L.M. 박이정 [1975]
  • Phonology and Language Use
    [2001]
  • Phonology
    [1984]
  • Phonological variation
    [2000]
  • Patterns of Variation including ChangeHandbook of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( 2nd edn )
    [2013]
  • Optionality : Trend or error
    4 , 301-307 [2010]
  • On the Definition of Word
    [1987]
  • Multiple stem-final variants in Korean native nouns and loanwords
    [2007]
  • Morpheme-dependent Variation as Optional Lexical Indexation ,
    13 , 31-47 [2008]
  • Measuring Dialect Pronunciation Differences using Levenshtein Distance
    [2004]
  • Linguistic and Stylistic Variation in
  • Levenshtein, Vladimir I., "Binary codes capable of correcting deletions, insertions, and reversals". Soviet Physics Doklady. 10 (8): 707–710. [원문을 영어로 번역한 논문임 Влади́мир И. Левенштей н(1965). Двоичные коды с исправлением вы падений, вставок и замещений символо в
    Доклады Академий Наук СCCP (in Russian). 163 (4): 845–848.] [1966]
  • Lee, Minkyung, “Optionality and Variation in English: a case of n/ŋ alternation,” 음성음운형태론연구 9-1
    한국음운론학회, 149-166 [2003]
  • Language as social semiotic
    [1978]
  • Korean intonational phonology and prosodic transcription .
    [2005]
  • K-ToBI Labelling Conventions ; version 3.1. ,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
    99 [2000]
  • Jun, Jong-ho, “Phonological variation and n-insertion in Seoul Korean
    ”현대 문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요지문 [2014]
  • Johnsom, Keith: 59-78), Acoustic & Auditory Phonetics, Cambridge, Mass. :Blackwell Publishers.[박한상 역(2006), 음향 및 청취 음성학의 이해
    한 빛문화] [1997]
  • Inducing a measure of phonetic similarity from pronunciation variation
    vol . 40 , Issue 2 , 307-314 [2012]
  • How We Learn Variation , Optionality , and Probability
    21 , 43-58 [1997]
  • Hong, Sung-Hoon, Variation and frequency in word-medial /t/ -flapping in American English
    음성음운형태론연구, 15(2), 375-396 [2009]
  • Grundzuge der Phonologie . English translation by C. A. M. Baltaxe
    [1969]
  • Gradient well-formedness in Optimality Theory . In Joost Dekkers ( ed. Optimality Theory : Phonology , Syntax , and Acquisition
    [2000]
  • Gradient phonological acceptability as a grammatical effect
    [2007]
  • Functional Phonology : Formalizing the interactions between articulatory and perceptual drives
    [1998]
  • Frequency effects in variable lexical phonology , ” In Boberg C , Meyerehoff M & strassel S ( eds . ) Penn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4-1
    [1997]
  • Form , function , and frequency in phonology : ( t/d ) -deletion in Toronto English
    [2008]
  • Explaining universal tendencies and language particulars in analogical change
    [2005]
  • Empirical foundations for a theory of language changeDirections for Historical Linguistics
    [1968]
  • Distance Measures for Speech Recognition Vocabulary and Grammar Optimization , 3rd congress of the Alps Adria Acoustics Association
    [2007]
  • Directions for historical Linguistics , A Symposium
    [1968]
  • Contraction , Deletion , and Inherent Variability of the English Copula
    45 , 715-762 . [1969]
  • Computational dialectology in Irish Gaelic ,
    [1995]
  • Changing context and shifting paradigms in pronunciation teaching
    [2005]
  • British English pronunciation preferences : a changing scene
    [1999]
  • An Introduction to Sciolinguistics
    [1992]
  • Albina A. Bilyalova1 & Tatyana V. Lyubova(2014), Optionality in Linguistics, Asian Social Science; Vol. 10, No. 20, Canadian Center of Science and Education, 148-154.
  • A survey of American pronunciation preferences
    [1993]
  •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
    [1980]
  • A View of phonology from a cognitive and functionalist perspective
    5 , 285-305 [1994]
  • A Manual of Phonology
    [1955]
  • A Dictionary of Phonetics and Phonology
    [1996]
  • A Course in Modern Linguistics
    [1958]
  • ?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?
    신승용 태학사 [2003]
  • ?문법기술에 있어서의 문어체 연구?, ?국어연구? 72
    장소원 국어연구회 [1986]
  • ?구어체 텍스트에서의 한국어 연결 어미의 기능?, ?국어학? 34
    이은경 국어학회 [1999]
  • ?교체의 개념과 조건?, ?국어학 81?
    배주채 국어학회, 295-324 [2017]
  • 6인, 《표준어 규범 영향 평가》
    한성우 국립국어원 [2011]
  • 6인, 《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》, 국립국어원 연구보고서
    김성규 국립국어원 [2012]
  • 6인, 《언어변이와 변화》
    정영인 태학사 [1998]
  • 20세기 서울지역어 형성의 사회언어학적 변인, 《한국학연구》21
    오새내 고려 대학교 한국학연구소, 155-176 [2004]
  • 11명, 《언어심리학》
    조명한 학지사 [2003]
  • 10인, 《방언의 조사, 활용을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》
    정승철 국립국어원 [2014]
  • /ㄴㄹ/ 연쇄의 자유변이현상에 대한 인지적 접근
    임현열 《어문논집》47 [2011]
  • /2003), 《한국어의 발음》
    배주채 삼경문화사 [2013]
  • /1994), 《사회언어학》
    이익섭 민음사 [2000]
  • (201), 《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》
    이선웅 월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