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후기 정감록 예언의 역사적 변천 : 기억에서 기록으로

김신회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조선후기 정감록 예언의 역사적 변천 : 기억에서 기록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한국역사
  • Chŏnggamnok( 鄭鑑錄 )
  • Namhanilgi(南漢日記)
  • Namsago(南師古)
  • Neo-Confucian Cosmology
  • Nongajip(聾啞集)
  • Pyŏngja horan(丙子胡亂)
  • Sipsŭngji(十勝地)
  • memory
  • text
  • ‘정감록’
  • 『정감록』
  • 기록
  • 기억
  • 플롯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145 0

0.0%

' 조선후기 정감록 예언의 역사적 변천 : 기억에서 기록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劉鳳榮
    「外寇와 鑑訣所謂 十勝之地」 『白山學報』 第8號 [1970]
  • 히로시 지음, , 『나의 한국사 공부』
    미야지마 너머북스 [2013]
  • 히로시 지음 노영구 옮김
    미야지마 『양반』, 강 [1996]
  • 한국역사연구회 지음, , 『1894년 농민전쟁연구』 2
    역사비평사 [1992]
  • 지음, 허영란 옮김, , 『민중과 유토피아』, 역사비평사 (趙景 達, 『朝鮮民衆運動の展開 士の論理と救済思想』
    조경달 岩波書店, 2002) [2009]
  • 지음, 박맹수 옮김, , 『이단의 민중반란』, 역사비평사 (趙景 達, 『異端の民衆反乱 東学と甲午農民戦争』
    조경달 岩波書店, 1998) [2008]
  • 지음, , 『조선을 사로잡은 꾼들』
    안대회 한겨레출판 [2010]
  • 지음, , 『민란의 시대』
    고성훈 가람기획 [2000]
  • 주해, , 『동학경전』
    윤석산 동학사 [2009]
  • 윌리엄 H. 맥닐 지음, 허정 옮김, (再版), 『전염병과 인류의 역사』, 한울 (McNeil, William H., Plagues and Peoples
    Anchor Books, 1976) [1998]
  • 옮김, , 『박태보전』
    서신혜 문학동네 [2012]
  • 옮김, , 『기억의 장소1-공화국』, 나남 (Nora, Pierre, Les Lieux de M moire
    김인중 노라 피에르 Gallimard, 1984) [2010]
  • 샤를르 달레 原著, 安應烈‧崔奭祐 譯註, , 『韓國天主敎會史』 上 中下
    한국교회사연구소 [1981]
  • 번역・주해, , 『정감록:민족종교의 모태』
    양태진 예나루 [2013]
  • 박해선, , 「식민지 조선과 정감록」 『日本近代學硏究』 第59輯
    한국 일본근대학회 [2018]
  • 로버트 단턴 지음, 조한욱 옮김, , 『고양이 대학살』, 문학과지성사 (Darnton. Robert., The Great Cat Massacre
    Basic Books, 1984) [1996]
  • 다니엘 J. 부어스틴, 李成範 옮김, , 『發見者들』 Ⅱ, 범양사출판부 (Boorstin, Daniel J., The Discovers
    Random House, 1983) [1987]
  • 金水山 李東民 共編著, , 『鄭鑑錄』, 明文堂(1968, 1970, 1975
    1981년 인쇄본 모두 동일 내용) [1968]
  • 金榦 , 『韓國文集叢刊』 156 )
  • 金昌翕 , 『韓國文集叢刊』 165 )
  • 鄭道傳 , 『韓國文集叢刊』 5 )
  • 鄭必達 , 『韓國文集叢刊』 續32 )
  • 趙東一, , 「진인(眞人)출현설의 구비문학적 이해」 『韓國古典散文硏 究』
    同和文化史 [1981]
  • 趙允旋
    「18세기 淸州지역의 謀反‧掛書 사건」 『湖西史學』 第50輯 [2008]
  • 裵惠淑, , 『朝鮮後期 社會抵抗集團과 社會變動 硏究』
    東國大學校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[1994]
  • 芮庚熙 金在漢
    「鄭鑑錄과 擇里志의 可居地 比較 硏究」 『淸大學 術論集』 第10輯 [2007]
  • 申欽 , 『韓國文集叢刊』 72 )
  • 洪柱元 , 『韓國文集叢刊』 續30 )
  • 權榘 , 『韓國文集叢刊』 188 )
  • 李穀 , 『韓國文集叢刊』 3 )
  • 未詳 , 『韓國文集叢刊』 續5 )
  • 張維 , 『韓國文集叢刊』 92 )
  • 張會翼
    「조선후기 초 지식계층의 자연관-張顯光을 「宇宙說」을 중심으로-」 『韓國文化』 11집 [1990]
  • 廖名春 康學偉 梁韋弦 저, 심경호 번역, , 『주역철학사』
    예문서원 [1994]
  • 崔英成
    「鄭汝立의 생애와 사상-반주자학적 성향을 중심으로」 『東洋古典硏究』 第37輯 [2009]
  • 崔昌祚
    「永春勝地에 대한 地理學的 解釋」 『湖西文化論叢』 2 [1983]
  • 崔承熙, , 『韓國古文書硏究』
    지식산업사 [2003]
  • 宋時烈 , 『韓國文集叢刊』 114 )
  • 城南文化院, , 「이 혜 묘표」 『城南金石文大觀』
    高麗金石院 [2003]
  • 吳洙彰, , 『朝鮮後期 平安道 社會發展 연구』
    一潮閣 [2002]
  • 吳世炫, , 『조선중기의 ‘斯文’과 文章 四大家』
    서울대학교 국사학 과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具萬玉, , 『朝鮮後期 科學思想史 硏究Ⅰ: 朱子學的 宇宙論의 變 動』
    혜안 [2004]
  • 『聾啞集』
    (장서각 소장본 K3-744)
  • 『聾啞集 抄』
    (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, BA3648-62-1135)
  • 『한국의 예언문화사』
    백승종 푸른역사 [2006]
  • 『한국사 36,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』
    배항섭 국사편찬위 원회 [2003]
  • 『한국구비문학대계』
    (한국학중앙연구원편, https://gubi.aks.ac.kr/)
  • 『춘향전, 역사학자의 토론과 해석』
    오수창 그물 [2020]
  • 『증보 해동이적』
    (편집 홍만종, 증보 황윤석, 역주 신해진 김석태 [2011]
  • 『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』
    정석종 한길사 [1994]
  • 『조선후기 향촌사회 지배구조의 변동』
    김인걸 경인문화사 [2017]
  • 『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』
    정옥자 일지사 [1998]
  • 『조선후기 변란의 종교사 연구: 추국 자료로 본 반란과 혁세 종교』
    한승훈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『조선후기 과학사상사: 서구 우주론과 조선 천지관의 만 남』
    문중양 들녘 [2017]
  • 『조선중기 국가와 사족』
    김성우 역사비평사 [2001]
  • 『조선의 예언사상』
    김탁 上, 북코리아 [2016]
  • 『정감록』
    김탁 살림 [2005]
  • 『정감록 미스터리』
    백승종 푸른역사 [2012]
  • 『영조의 정통성을 묻다-무신란과 모반 사건』
    고성훈 한국학중앙 연구원출판부 [2013]
  • 『영조 대의 무신란-탕평의 길을 열다』
    장필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[2014]
  • 『열하일기』
    (박지원 저, 이가원 역, , 민족문화추진회) [1968]
  • 『역사가 기억을 말하다』
    전진성 휴머니스트 [2005]
  • 『어우야담』
    (玄惠卿 외 譯註, 李忠九 監修, , 전통문화연구회) [2000]
  • 『서사문학과 현실 그리고 꿈』
    신동흔 소명출판 [2009]
  • 『동학의 테오프락시』
    최종성 민속원 [2009]
  • 『고대 중국인이 바라본 하늘의 세계』
    이문규 문학과 지성사 [2000]
  • 『강도일기』
    (魚漢明 원저, 申海鎭 역주, , 역락) [2012]
  • 『韓國의 風水思想』
    최창조 民音社 [1984]
  • 『野乘』
    (장서각 소장본, K2-238)
  • 『鄭鑑錄集成』 ( 細井肇 , 1923 , 『鄭鑑錄』 )
    [1981]
  • 『鄭鑑錄』 弘新文化社
    [1985]
  • 『見睫錄』
    (장서각 소장본, K2-162)
  • 『菊堂俳語』
    (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, 古朝56-나151)
  • 『皇城新聞』
    (‘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’ 홈페이지 원문)
  • 『申在孝 판소리사설集(全)』
    姜漢永 [1978]
  • 『燕巖一派 北學思想 硏究』
    유봉학 一志社 [1995]
  • 『江北日記』
    (최종범 원저, 최강현 역주, , 신성출판사) [2004]
  • 『民族宗敎의 開闢思想과 韓國의 未來』
    황선명 윤일 문화 [2004]
  • 『每日申報』
    (‘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’ 홈페이지 원문)
  • 『格菴遺稿』
    (景仁文化社 간행, , 韓國歷代文集叢書 2287) [1997]
  • 『東史約』 (李源益, 『韓國史料叢書』
    제33집, 국사편찬위원회 영인본)
  • 『朴泰輔傳硏究』 , 韓南大學校 出版部
    [1997]
  • 『朝鮮日報』
    (‘조선 뉴스 라이브러리 100’ 홈페이지 원문)
  • 『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』
    [1983]
  • 『朝鮮後期 變亂硏究』
    [1993]
  • 『日省錄』
  • 『擇里志』
    (李重煥 著, 李翼成 譯, , 을유문화사) [1993]
  • 『推案及鞫案』
    (亞細亞文化社 영인본)
  • 『承政院日記』
  • 『南漢日記』
    (장서각 소장본, K2-186)
  • 『南漢日記』
    (南礏 원저 申海鎭 역주, , 보고사) [2012]
  • 『南漢山城日記』
    (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, 古-29-165) [2154]
  • 『南征錄』
    (‘유교넷’ 홈페이지 제공)
  • 『南師古秘訣』
    (규장각 소장본, 奎12375)
  • 『千歲歷』
    (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, 古734-140)
  • 『備邊司謄錄』,
  • 『五洲衍文長箋散稿』
    (‘한국고전종합DB’ 홈페이지 제공)
  • 『『鄭鑑錄』 연구』
    최낙기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『19세기 민중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』
    배항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[2015]
  • 「평양의 생사당(生祠堂) 구장(舊藏) 이원익 영정」
    윤진영 『문헌과 해석』 33호, 태학사 [2005]
  • 「충청지역 신종교와 그 문화적 특징-계룡산 도읍설을 중심 으로」
    김탁 『충청문화연구』 제18집 [2017]
  • 「최제우의 후천개벽 사상」
    차남희 『한국정치학회보』 제41집 제1호 [2009]
  • 「조선후기 체제인식과 민중운동 試論」
    오수창 『한국문화』 60 [2012]
  • 「조선후기 십승지론의 전개와 ‘살 곳 찾기’의 향방」
    양승목 『韓國漢文學硏究』 第63輯 [2016]
  • 「조선후기 서양과학의 수용과 상수학의 발전: 17세기 말 천문학 지식에 대한 상수학적 해석의 시작」
    박권수 『한국과학사학회지』 제28권 제1호 [2006]
  • 「조선후기 변란에서의 鄭氏 眞人 수용 과정-『鄭鑑錄』 탄 생의 역사적 배경-」
    김우철 『조선시대사학보』 60 [2012]
  • 「조선후기 당쟁과 기록의 정치성-‘기축옥사’ 희생자의 가 해자 공방과 관련하여-」
    정호훈 『韓國史學史學報』 33 [2016]
  • 「조선후기 變亂과 민중의식의 성장」
    하원호 『史學硏究』 第75號 [2004]
  • 「조선시대 사군(四郡) 관련 산문 기록에 나타난 도교 문 화적 공간인식의 양상과 의미」
    이태희 『코키토』 81 [2017]
  • 「조선말기 상수학과 지구-지축 이론의 새로운 관계맺기: 상층부의 지배 이론에서 하층민의 구원 이론으로」
    문중양 제7회 한일과학사세미 나 발표문 [2017]
  • 「조선 후기의 해상진인과 정경 부자」
    정응수 『日本文化學報』 第58輯 [2013]
  • 「조선 후기 유언비어 사건의 추이와 성격-정감록(鄭鑑錄) 관련 사건을 중심으로」
    고성훈 『정신문화연구』 제35권 제4호 [2012]
  • 「조선 후기 민중사상과 鄭鑑錄의 기능」
    고성훈 『역사민속학』 제47호 [2015]
  • 「조선 후기 象數易學의 발전과 변동-『易學啓蒙』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-」
    박권수 『韓國思想史學』 第22輯 [2004]
  • 「조선 후기 ‘예언가 남사고’의 탄생과 그에 대한 인식의 변화」
    박상현 『지방사와 지방문화』 20권 2호 [2017]
  • 「정도령이 된 정성공-「연평초령의모도」를 중심으로」
    정응수 『日本文化學報』 第71輯 [2016]
  • 「전근대 한국의 메시아니즘: 조선후기 진인출현설(眞人出 現說)의 형태들과 그 공간적 전략」
    한승훈 『종교와 문화』 제27호 [2014]
  • 「일제강점기의 의례 매뉴얼과 민속종교」
    최종성 『역사민속학』 제52호 [2017]
  • 「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들의 조선 문헌수집과 연구 활동」
    최혜주 『대동한문학회 2016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』 [2016]
  • 「아기장수 설화와 진인출현설의 관계」
    신동흔 『고전문학 연구』 5 [1990]
  • 「십승지 고(考)」
    황선명 『종교와 문화』 5권 [1999]
  • 「시대의 기둥을 잡다 오리 이원익」
    오항녕 『인물과 사상』 제228호 [2017]
  • 「생불과 무당-무당의 생불신앙과 의례화-」
    최종성 『종교연구』 제68집 [2012]
  • 「병자호란 시기 『승정원일기』의 전거 자료 『南漢日記』 연구-개수본 『승정원일기』와 『남한일기』 이도장의 『승정원일기』의 비교-」
    김남일 『韓國史學史學報』 32 [2015]
  • 「미륵 용 성인-조선후기 종교적 반란 사례 연구-」
    한승훈 『역사 민속학』 제33호 [2010]
  • 「기축옥사의 비극적 사건과 기억들」
    오항녕 『韓國人物史硏究』 제23호 [2015]
  • 「규장각 소장 『秘訣輯錄』(奎7568) 수록 「三韓山林秘記」 분석」
    장지연 『人文科學論文集』 第50輯 [2013]
  • 「계룡산의 문화사적 의미」
    윤용혁 『역사민속학』 20 [2005]
  • 「朝鮮朝 己丑獄死와 宣祖의 對應」
    이상혁 『歷史敎育論集』 43 [2009]
  • 「朝鮮中期 儒學者의 天體와 宇宙에 대한 이해-旅軒 張顯 光의 ‘易學圖說’과 ‘宇宙說’」
    전용훈 『한국과학사학회지』 제18권 제2호 [1996]
  • 「日帝時期의 文盲率 推移」
    노영택 『國史館論叢』 第51輯 [1994]
  • 「徐命膺(1716-1787)의 易學的 天文觀」
    박권수 『한국과학사학회지』 제20권 제1호 [1998]
  • 「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‘金塘谷’의 사회적 상징성」
    권경록 『한국문학논총』 제72집 [2016]
  • 「『정감록』의 원천으로서의 정성공 일가-『도선비결』을 중 심으로」
    정응수 『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』 [2018]
  • 「『동소만록(桐巢漫錄)』에 반영된 남하정(南夏正)의 정국인 식」
    원재린 『역사와 현실』 85 [2012]
  • 「‘정감록’ 기억의 형성과 예언서 출현-1739년 李濱 사건 을 중심으로-」
    김신회 『한국문화』 84 [2018]
  • 「19세기 변란 참가층의 사회적 관계망과 존재양태」
    윤대원 『한 국문화』 60 [2012]
  • 「19세기 민중운동과 민중사상-후천개벽, 정감록, 미륵신앙 을 중심으로-」
    우윤 『역사비평』 [1988]
  • 「18세기 조선 실학자의 자연지식의 성격-象數學的 우주 론을 중심으로-」
    문중양 『한국과학사학회지』 제21권 제1호 [1999]
  • 「18세기 ‘해도진인설’의 변화 양상과 의미」
    박상현 『역사와 현 실』 96 [2015]
  • 「1821년 콜레라 창궐과 조선 정부 및 민간의 대응 양상」
    김신회 『韓國史論』 60 [2014]
  • 「17세기 어느 무당의 공부-『車忠傑推案』을 중심으로-」
    최종성 『종교와 문화』 제24호 [2013]
  • 「16세기 후반~17세기 전반 서울 枕流臺學士의 활동과 그 의의」
    고영진 『서울학연구』 Ⅲ [1994]
  • 「1601년 제주도 역모 사건의 추이와 성격」
    고성훈 『사학연구』 96 [2009]
  • 「16 17세기 조선 우주론의 상수학적 성격」
    문중양 『역사와 현실』 34집 [1999]
  • 「15세기 후반 理學的 宇宙論의 擡頭-梅月堂 金時習 (1435-1493)의 天觀을 중심으로-」
    구만옥 『朝鮮時代史學報』 7집 [1998]
  • ≪朝鮮王朝實錄≫
  • ·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, 1973, 『韓國圖書解題』, 景仁文化社
  • · 細井肇(編著者), 1936, 『朝鮮叢書;鄭鑑錄』 第三卷, 朝鮮問題硏究所
  • · 柳田文治郞(編輯兼發行者), 1923, 『眞本鄭鑑錄』, 以文堂
  • · 『順菴集』 (安鼎福, 『韓國文集叢刊』 229)
  • · 『隱峯全書』 「己丑記事」(『韓國文集叢刊』 80)
  • · 『苔泉集』 (閔仁伯, 『韓國文集叢刊』 59)
  • · 『硏經齋全集』 (『韓國文集叢刊』 275)
  • · 『白凡逸志』 (金九 著, 1983, 敎文社)
  • · 『炊沙先生文集』 (李汝馪, 『韓國文集叢刊』 9)
  • · 『澤堂集』 (李植, 『韓國文集叢刊』 88)
  • · 『朝鮮常識問答 朝鮮常識』 (六堂全集編纂委員會編, 1974再版, 玄岩社)
  • · 『朝鮮基督敎及外交史(全)』 (李能和, 1968, 新韓書林)
  • · 『明齋遺稿』 (尹拯, 『韓國文集叢刊』 136)
  • · 『存齋集』 (魏伯珪, 『韓國文集叢刊』 243)
  • The Foresight of Dark Knowing : Chŏng Kam nok and insurrectionary prognostication in pre-modern Korea
    [2018]
  • (b), 「최초의 정감록 영역본
    한승훈 그리고 한국 예언서 연구의 난 제들」 『한국문화』 84 [2018]
  • (a)
    한승훈 「開闢과 改闢」 『종교와 문화』 제34호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