불안 심리의 회화 표현에 대한 연구 :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

이주형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불안 심리의 회화 표현에 대한 연구 :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그림작품과 그리기
  • Anxiety
  • abject
  • hair
  • humidity
  • metaphor
  • painting
  • psychological expression
  • rumination
  • 반추
  • 불안
  • 습도
  • 심리표현
  • 애브젝트
  • 은유
  • 회화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,028 0

0.0%

' 불안 심리의 회화 표현에 대한 연구 :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핑크(Bruce Fink), 『라캉과 정신의학』, 맹정현 역
    서울: 민음사 [2002]
  • 푸코(Michel Foucault), 『말과 사물』, 이규현 역
    서울: 민음사 [2012]
  • 포스터(Hal Foster), 『욕망, 죽음 그리고 아름다움 : 포스트모던 시각 으로 본 초현실주의와 프로이트』, 전영백과 현대미술연구팀 역
    파주: 아트북스 [2005]
  • 포스터(Hal Foster), 『실재의 귀환』, 조주연 역
    부산: 경성대학교출 판부 [2010]
  • 포스터(Hal Foster), 『강박적 아름다움 : 언캐니로 다시읽는 초현실주 의』, 조주연 역
    파주: 아트북스 [2018]
  • 키에르케고르(S ren Kierkegaard), 『죽음에 이르는 병』, 박환덕 역
    서울: 범우사 [1995]
  • 키에르케고르(S ren Kierkegaard), 『불안의 개념』, 임규정 역
    서울: 한길사 [1999]
  • 키에르케고르(S ren Kierkegaard), 『불안의 개념/죽음에 이르는 병』, 강성위 역
    서울: 동서문화사 [2016]
  • 캐롤(Noel Caroll) 『비평철학』, 이해완 역
    성남: 북코리아 [2015]
  • 부아(Yve-Alain Bois)?크라우스(Rosalind E. Krauss), 『비정형:사용 자 안내서』, 정연심?김정현?안구 역
    파주: 미진사 [2013]
  • 베이비붐 세대 : 그들은 누구인가?
    방하남 「노동리뷰 71」, 한국노 동연구원 [2011]
  • 베넷(Maxwell R. Bennett) 外, 『신경 과학의 철학』, 이을상?박만준 공역
    서울: 사이언스북스 [2013]
  • 모라나(Cyril Morana)?우댕(Eric Oudin), 『예술철학』, 한의정 역
    서울: 미술문화 [2013]
  • 리만(Fritz Riemann), 『불안의 심리』, 전영애 역
    서울: 문예출판사 [2007]
  • 르두(Joseph E. LeDoux), 『시냅스와 자아 : 신경세포의 연결 방식이 어떻게 자아를 결정하는가?』, 강봉균 역
    파주: 동녘사이언스 [2005]
  • 르두(Joseph E. LeDoux), 『불안 : 불안과 공포의 뇌 과학』, 임지원 역
    서울: 인벤션 [2017]
  • 다윈(Charles Darwin), 『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』, 김홍표 역
    서 울: 지식을만드는지식 [2014]
  • “회화에 복귀된 몸”
    이선영 「33 Korean artists by 33 best critics」, 김달진미술연구소 [2012]
  • “현대인의 마음 문제로서 불안의 진단과 치유에 관한 소고”
    최정화 「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64」,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[2015]
  • “한국의 환타지 미술연구: 자화상을 중심으로”
    이선영 「미술사학보 50」, 미술사학연구회 [2018]
  • “털과 털 뭉치, 인식할 수 없는 것들의 알레고리”
    고충환 「양주시립 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비평집」,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, 2014 [2014]
  • “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불안 및 불안장애”
    오강섭 「생물정신의학 24」, 대한생물정신의학회 [2017]
  • “존재의 알레고리, 질문하는 돌과 의심스런 털뭉치”
    고충환 ‘단어의 이름’, 갤러리아트링크 [2019]
  • “정신분석적 관점에서의 불안”
    박용천 「대한불안의학회지 1」, 대한 불안의학회 [2005]
  • “인공지능 시대의 종교적 텍스트의 의미와 기능-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과 종교적 해석학의 관점에서”
    김영원 「문학과종교 24」, 한 국문학과종교학회 [2019]
  • “여성 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의 ‘육체적 징후’와 예술적 승 화 :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중심으로”
    이문정 「현대미술사연구 3 2」, 현대미술사학회 [2012]
  • “에바 헤세(Eva Hesse)의 미술에 나타난 실재의 귀환”
    윤희경 「미 술사와 시각문화 20」,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[2017]
  • “세기 전환기 근대적 불안의 치유로서 독일 표현주의 예술의 대안적 영성”
    최정화 「종교연구 76」, 한국종교학회 [2016]
  • “세계와 만나는 몸”
    이선영 「이심일심 갤러리박영 평론집」, 갤러리 박영 [2010]
  • “불안과 그 대상에 관한 연구-프로이트 라캉 정신분석학과 키에르케고르의 비교를 중심으로”
    홍준기 「현상학과 현대철학 17」 [2001]
  • “불안”
    이병국 「황해문화 79」, 새얼문화재단 [2013]
  • “보험회사의 광고 속성과 소비자 신뢰에 관한 실증연구”
    남상욱 「보 험학회지 93」, 한국보험학회 [2012]
  • “베이비붐 세대, 무엇이 특별한가?”
    방하남 「노동리뷰 91」, 한국노 동연구원 [2012]
  • “베이비부머의 소비패턴과 우울에 관한 연구-은퇴집단과 비 은퇴집단 비교”
    박서영 연세대학교 [2016]
  • “바타이유의 비정형(formless) : 비형상에 대한 현대미술이론 의 고찰과 한계”
    진휘연 「미술사학보 34」, 미술사학연구회 [2010]
  • “멜랑콜리 사례연구-크리스테바의 후기 구조주의 정신분석관 점에서”
    조현숙 「목회와상담 23」, 한국목회상담학회 [2014]
  • “루돌프 오토의 두려운 신비(mysterium tremendum)에 대 한 자연주의적 접근”
    최정화 「종교연구 78」, 한국종교학회 [2018]
  • “두발(頭髮)의 은유적 묘사를 통한 두려움의 심리표현”
    이주형 서울 대학교 [2011]
  • “공리적 풍경”
    김진섭 ‘공리적 풍경’, 성곡미술관 [2010]
  • “공리적 풍경”
    이선영 ‘아트인컬쳐 5월호’ [2010]
  • between two death
    [2007]
  • Martin Creed : works
    [2010]
  • Le principe de perversion
    [1999]
  • Bellmer-Das Graphische Werk
    [1973]
  • Angst in der Kunst
    [2019]
  • Alexandrian, Sarane, Hans Bellmer , Berlin: Rembrandt Verlag Berlin, 1972.
    [1972]
  • ?한기석, “GABA와 Benzodiazephine 수용체 및 그 기능”, 「신경정신의학 30」
    정영조 신경정신학회 [1991]
  • ?최은영, “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분석- 가계자산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”, 「학술대회 발표논문집」
    강소랑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[2016]
  • ?전순영, “에드바르드 뭉크의 작품에 나타난 불안과 죽음의 상징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”, 「미술치료연구 8」
    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 회 [2001]
  • ?송관재?박수애?이혜진?이재창, “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 에 관한 연구”, 「한국심리학회지:문화 및 사회문제 12」
    홍영오 한국심리 학회 [2006]
  • ?서인균, “베이비붐 세대의 스트레스, 우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: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-1차2차 베이비붐 세대의 비교 연구”, 「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」
    이연실 한국콘텐츠학회 [2016]
  • ?김세주?김찬형, “불안의 생물학적 근원”, 「대한불안의학회지 1」
    석정호 대한불안의학회 [2005]
  • ?구서정, “우울한 청년, 불안한 장년의 나라: 연결망 접근을 통해 본 세대별 마음의 형상”, 「한국사회학 53」
    구혜란 한국사회학회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