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정의례에서 사용되는 시각이미지에 대한 연구

한지연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가정의례에서 사용되는 시각이미지에 대한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장식미술
  • Family rites
  • Tangible medium
  • ceremony
  • ritual
  • 가정의례
  • 관혼상제
  • 유형적 매개물
  • 의례
  • 통과의례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96 0

0.0%

' 가정의례에서 사용되는 시각이미지에 대한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헬렌 암스트롱, 『그래픽 디자인 이론 그 사상과 흐름』 이지원 옮김
    비즈앤비즈 [2009]
  • 캐서린 벨, 『의례의 이해』 류성민 옮김
    오산 [1989]
  • 종교학사전편찬위원회
    『종교학대사전』 한국사전연구사 [1998]
  • 이지은, 김명희
    홍장선 「돌잔치 테이블에 나타난 플라워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 유형 연구」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, vol.55 [2016]
  • 우리역사넷(http://contents
    history.go.kr/)
  • 서울시설공단, ‘빼앗긴 길
    한국상 장례 문화의 식민지성’ 전 - [2018]
  • 디딤돌장례토탈 (http://디딤돌장례토탈
    com/)
  • 단국대학교 석주 선기념박물관
    『한국전통 어린이 복식』 단국대학교 출판부 [2000]
  •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(http://www
    alio.go.kr/)
  • 국립민속박물관
    『한국일생의례사전』 국립민속박물관 편 [2014]
  • 『한국의 풍속, 잔치』
    윤서석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[2008]
  • 『한국문화사; 01권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』
  • 『한국 의례문화 연구사 및 연구방법』
    이은봉 한국종교문화연구소 [1997]
  • 『조선의 잡지, 18~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』
    진경환 소소의책 [2018]
  • 『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53가지』
    이창일 예담 [2008]
  • 『장례의 역사』
    박태호 서해문집 [2006]
  • 『우리는 왜 선물을 주고받는가 - 선물의 문화사회학』
    김정주 삼성경제연구소 [2006]
  • 『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규방 문화』
    허동화 현암사 [1998]
  • 『실천가정의례』
    김득중 중화서원 [2013]
  • 『선비와 피어싱』
    조희진 도서출판 동아시아 [2003]
  • 『문학비평용어사전』
    이상섭 민음사 [2006]
  • 『덕혜옹주 : 그의 애환과 복식』
    김영숙 박윤미 이담 Book [2016]
  • 『500년 조선왕조복식』
    한국의상협회 [2003]
  • 「혼선」
    박대순 『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』 한국학중앙연구원 [1995]
  • 「현대사회에서의 떡의 의미와 기능 - 종로구 낙원동 떡 골목을 중심으로」
    옥정원 중앙민속학 , vol.16, p.147 [2011]
  • 「현대 한국인의 일생의례: 가정 제례의 변용을 통해 본 현대 한국인의 가족관계와 젠더」
    문옥표 한국문화인류학, , vol.40 no.2, p.287 [2007]
  • 「현대 한국 장례의 변화와 그 사회적 의미」
    송현동 종교연구, 32, 289-314 [2003]
  • 「한국장례 꽃장식의 소비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」
    이윤희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28집 252-279 [2013]
  • 「한국농촌주민의 의례와 종교생활의 변화 : 경기도 평택시 S마을을 중심으로」
    김주희 비교문화연구, vol. 20 no. 1, pp. 191-225 [2014]
  • 「포털사이트 아트로고의 문화콘텐츠 표현 연구 - 한국의 명절을 중심으로-」
    정유경 브랜드디자인학연구, , vol.15 no.1, 109-118 [2017]
  • 「평생도」
    박정혜 『한국일생의례사전』 국립민속박물관 [2013]
  • 「첫돌 의례와 복식의 변천과정」
    조희진 복식문화연구 vol.7 no.4, 38-51 [1999]
  • 「유교가례의 변용과 창조적 계승」
    이희재 유교사상문화연구 , vol.31, p.35 [2008]
  • 「어머니 세대와 할머니 세대의 출생의례 및 아기행사에 대한 비교연구」
    민아영 유안진 아동 학회지, vol.24 no.3, 45-56 [2003]
  • 「세시풍속과 데이 시리즈 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비교」
    주영애 유학연구 , vol.32 [2015]
  • 「상포계(喪布契)」
    박경하 한국일생의례사전, 국립민속박물관
  • 「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」
    박종천 국학연구, , vol.17, pp.363-396 [2010]
  • 「상례서식의 현대적 모형」
    박찬옥 조희진 한국여성교양학회지 vol. 4 , 245 - 275 [1997]
  • 「삼칠일」
    구미래 한국민속신앙사전: 가정신앙 편
  • 「민속에 나타난 꽃의 기호적 의미와 변화」
    표인주 호남문화연구 , vol 62, 144 [2017]
  • 「돌잔치전문점 이용객의 소비가치유형에 따른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」
    손영아 이형룡 관광레저연구 , vol.30 no.2 [2018]
  • 「건전가정의례의 정착 및 지원에 관한 법률」
    김용하 국가정보기록원 [2006]
  • 「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관 혼 상 제례의 지속과 변용」
    송재용 동아시아고대학 제30집 pp.155-191 [2013]
  • 「A Study on Changes in Sound Family Rite Standards」
    김종희 차문화학, , vol.25 [2014]
  • 「 돌 의례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지식, 돌 의례 상품 선택에 관한 연구」
    주영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, , vol. 18 no.1, 1-28 [2014]
  • “한민족 한국인은 누구인가”
    이종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[2005]
  • “한국기독교의 첫 결혼식, 언제 열렸을까?”
    노종해 당당뉴스 [2016]
  • “전국 묘지면적 서울의1.6배 규모”
    김영섭 중앙일보 [1995]
  • “일본의 사토리 세대, 한국의 N포 세대”
    최한결 투데이코리아 [2019]
  • “웬만하면 챙기는 기념일 1위 ‘밸런타인데이’ 2위 ‘빼빼로데이’, 데이 문화에 대한 생각은?”
    권연수 디지틀조선일보 [2019]
  • “영정 꽃장식, 삼베 수의, 검은 완장 모두 일제의 흔적”
    곽재민 이철재 중앙일보 [2016]
  • “삼베 수의, 유족 완장…일제 잔재입니다”
    배성재 한국일보 [2019]
  • “‘가문’ 과시하던 청첩장, 신랑 신부가 주인공으로 - 청첩장 문구로 본 결혼문화 변천사”
    김미향 한겨레 [2019]
  • “6월 인구 겨우 1000명 늘어…출산 혼인 또 역대최소”
    한재준 뉴스1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