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철 시조의 담화 특성과 전승 의식

박영민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정철 시조의 담화 특성과 전승 의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동양3국 문학
  • Discourse
  • Lyric
  • Lyric Subject
  • acceptance
  • jeong cheol
  • sijo
  • songgang
  • 담화
  • 서정 주체
  • 서정시
  • 송강
  • 시조
  • 전승
  • 정철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581 0

0.0%

' 정철 시조의 담화 특성과 전승 의식' 의 참고문헌

  • 「호남가단연구 - 면앙정가단과 성산가단을 중심으로 -」
    정익섭 동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[1974]
  • 「해동악부체 연구」
    심경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81]
  • 「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(diglossia)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」, 한국학연구 38
    정소연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[2011]
  • 「한국문학과 도교사상(11)_송강시가에 나타난 학의 표상」, 선청어문 17
    박삼서 서울 대학교 국어교육과 [1988]
  • 「한국근세 삼대시가인의 작품대비론(완) - 송강 노계 고산의 문학 -」, 아세 아연구 5-2
    박성의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[1962]
  • 「학의 이미지를 통해 본 송강 문학의 주제적 특성」, 선청어문 24
    김석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[1996]
  • 「하서 김인후의 생애와 시문학적 성향」, 한문고전연구 16
    김성진 한국한문고전 학회 [2008]
  • 「충신연주지사에서의 주체와 타자」, 국문학연구 18
    최미정 국문학회 [2008]
  • 「체험시의 전통과 시조의 서정미학」, 한국시가연구 15
    최재남 한국시가학회 [2004]
  • 「조선후기 주자학 근본주의자 정호의 생애와 현실인식」, 중앙사론 26
    김경수 중앙 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[2007]
  • 「조선후기 시조가단 연구」
    권두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85]
  • 「조선후기 노론의 학맥과 송강시가의 전승」, 우암논총 7
    하윤섭 충북대학교 우암 연구소 [2013]
  • 「조선전기 가사의 장르적 성격연구 - 시적 담화의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-」
    김광조 서 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87]
  • 「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정몽주상」, 포은학연구 6
    김호동 포은학회 [2010]
  • 「정철과 윤선도의 대비적 고찰-시조에 나타난 실존적 사고를 중심으로」, 한국 시가연구 4
    이화형 한국시가학회 [1998]
  • 「정철과 박인로의 문학의식 대비연구」, 한국문화 13
    김용직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[1992]
  • 「정철 시조의 성격 연구 - 이기론적 접근 -」
    신용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0]
  • 「정철 시조의 비판적 현실인식」, 인문학지 5
    신용대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[1990]
  • 「정철 시조의 문학적 특성 연구」, 한국고시가문화연구 12
    김진욱 한국고시가문 학회 [2003]
  • 「정철 시조의 감성 표현 양상」, 한국시가연구 27
    이형대 한국시가학회 [2009]
  • 「정철 시조에 나타난 현실 지향과 풍류의 성격」, 시조학논총 21
    전재강 한국시조 학회 [2004]
  • 「정철 문학 연구 - 시대적 상황과 개인적 체험을 중심으로 -」
    김석회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81]
  • 「정송강 문학 연구」
    최태호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85]
  • 「자기 표현으로서의 시조 - 송강시조에서 아니마의 문제를 중심으로 -」, 시조 학논총 33
    김상진 한국시조학회 [2010]
  • 「이조시대의 가요 연구: 초 중기 가요의 형식을 주로」
    김사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1956]
  • 「윤선도와 정철 시가의 문체시학적 연구」
    고정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1]
  • 「연시조 성격의 대비적 고찰」, 시조학논총 22
    김상진 한국시조학회 [2005]
  • 「심광세 해동악부의 사료출처와 형식에 대한 연구」
    노요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2014]
  • 「신흠 시조의 해석 기반」, 진단학보 81
    성기옥 진단학회 [1996]
  • 「신상촌의 「시여」에 대하야」, 문장 1-2
    조윤제 문장사 [1939]
  • 「시조의 화자와 청자」, 이화어문논집 8
    김대행 이화어문학회 [1986]
  • 「시조의 세계관적 구조와 그 시학적 의미」, 한국시가연구 20
    박상영 한국시가학 회 [2006]
  • 「시조에 나타난 시간의식과 시적 자아의 관련 양상 연구 - 《청구영언》과 《가곡원류》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-」
    조해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9]
  • 「시조 종결의 발화상황과 화자의 태도」, 고전문학연구 4
    최재남 한국고전문학 회 [1988]
  • 「시조 독자와의 소통을 위한 대화적 서정시」, 코기토 67
    인성기 부산대학교 인문 학연구소 [2010]
  • 「시 연구를 위한 시적 주체(들)의 개념 고찰」, 국제어문 39
    윤지영 국제어문학 회 [2007]
  • 「송순의 면앙정단가 연구」, 한국시가문화연구 1
    김성기 한국고시가문학회 [1993]
  • 「송강의 「훈민가」에 대하여」, 진단학보 42
    권두환 진단학회 [1976]
  • 「송강의 연시조 작품에 대하여」, 새국어교육 50
    최태호 한국국어교육학회 [1993]
  • 「송강의 연군시가 연구」, 새국어교육 62
    문홍구 한국국어교육학회 [2001]
  • 「송강의 역사성과 텍스트」, 한국시가문화연구 3
    김열규 한국시가문화학회 [1995]
  • 「송강의 시조에 나타난 정치철학의 특성」, 시조학논총 11
    이화형 한국시조학회 [1995]
  • 「송강의 시세계 - 그의 한시와 시조작품을 통해 본 -」, 한국언어문학 30
    김선자 한국 언어문학회 [1992]
  • 「송강의 생애」, 한국시가문화연구 3
    김주한 한국시가문화학회 [1995]
  • 「송강의 문학사상 연구」, 동악어문논집 10
    김갑기 동악어문학회 [1977]
  • 「송강의 국한문시가 대비」, 동악어문논집 17
    김갑기 동악어문학회 [1983]
  • 「송강의 국어국문학사상 위상 재조명」, 새국어교육 50
    진태하 한국국어교육학 회 [1993]
  • 「송강의 경민문학」, 인문학연구 11
    유예근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[1984]
  • 「송강시에 나타난 자연관 연구」, 국어문학 20
    박준규 국어문학회 [1979]
  • 「송강가사의 연구(3)」, 진단학보 7
    이병기 진단학회 [1937]
  • 「송강가사의 수용론적 연구」
    김진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2009]
  • 「송강가사의 선본 재고」, 열상고전연구 61
    김진희 열상고전연구회 [2018]
  • 「송강가사의 대화전개방식 연구」
    조세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0]
  • 「송강가사 전승사실의 맥락」, 열상고전연구 26
    윤덕진 열상고전연구회 [2007]
  • 「송강가사 신고 - 새로 발견된 문헌을 중심으로 해서 -」
    김사엽 논문집 2, 경북 대학교 [1958]
  • 「송강 정철의 단가 - 장르적 관점과 의식세계를 중심으로 -」, 고시가연구 2 3
    조규익 한 국고시가문학회 [1995]
  • 「송강 정철의 누정제영고」, 한국시가문화연구 2 3
    박준규 한국고시가문학회 [1995]
  • 「송강 정철론」, 청람어문교육 20
    원용문 청람어문교육학회 [1998]
  • 「송강 정철 시조의 연구」, 인문학지 4
    신용대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[1989]
  • 「송강 정철 시가의 미적 특질 연구 : 작품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」
    최규수 이화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6]
  • 「송강 정철 문학의 특질」, 인문논총 30
    권두환 서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[1993]
  • 「송강 정철 문학연구 - 한시문을 중심으로 -」
    유예근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85]
  • 「송강 시조의 우의적 관습」, 인문학지 9
    임주탁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[1993]
  • 「송강 시조에 나타난 화자의 모습과 차별 양상」, 온지논총 8
    김상진 온지학회 [2002]
  • 「송강 시가의 풍류와 그 표상」, 대동문화연구 22
    최진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 연구원 [1988]
  • 「송강 시가에서 자의식의 비유적 형상화와 여성 화자의 의미」, 한국고전 여성문학연구 5
    최규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[2002]
  • 「송강 문학의 국문학사적 위상 - 국문 노래를 중심으로 -」, 송강문학연구
    조규익 국학 자료원 [1993]
  • 「송강 문학에 나타난 출처관」, 반교어문연구 11
    박영주 반교어문학회 [2000]
  • 「송강 만년의 생애와 작품」, 어문학연구 7
    최태호 목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[1998]
  • 「송강 단가의 풍격」, 한국시가문화연구 3
    최진원 한국시가문화학회 [1995]
  • 「송강 단가의 풍격」, 새국어교육 50
    최진원 한국국어교육학회 [1993]
  • 「송강 노계 고산의 가집 판본 및 책판 연구」, 국어교육연구 21
    김문기 국어교육 학회 [1989]
  • 「송강 고산 시조의 용사고」, 교육과학연구 5
    김갑기 청주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[1991]
  • 「성주본 송강가사 소재 시조의 특징과 의미」, 시조학논총 16
    최규수 한국시조 학회 [2000]
  • 「성산가단 연구」, 호남문화연구 7
    정익섭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[1975]
  • 「서정시의 목소리는 누구/무엇의 것인가?-누구/무엇의 목소리인가-」, 현대 문학의 연구 39
    조강석 한국문학연구학회 [2009]
  • 「박인로 시가의 현실적 기반과 문학적 지향 연구」
    최현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[2004]
  • 「문학소통이론 연구」
    권오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2]
  • 「단가상으로 본 송강」, 새국어교육 11
    김태준 한국국어교육학회 [1968]
  • 「단가 정형의 발생기 재고」, 한민족어문학 15
    박규홍 한민족어문학회 [1988]
  • 「김천택의 교유와 청구영언의 편찬 과정 검토」, 한국시가문화연구 26
    강혜정 한국 시가문화학회 [2010]
  • 「김수장 연구」
    권두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73]
  • 「관습시론 : 그 구조와 배경」
    김우창 서울대학교 논문집 10, 서울대학교 [1964]
  • 「고전시가에서 “江南”이라는 공간의 상징성과 역사성에 대하여」, 한국고전 연구 28
    김창원 한국고전연구학회 [2013]
  • 「고시조에 나타난 ‘기러기’의 이미지」, 성심어문논집 6
    김선기 성심어문학회 [1982]
  • 「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국문시가 자료의 가치」, 한국학논집 37
    권순회 계명 대학교 한국학연구원 [2008]
  • 「경산 이한진의 생애와 문예 활동」, 대동문화연구 71
    조지형 성균관대학교 대동 문화연구원 [2010]
  • 「경민편과 훈민가」, 한국언어문학 3
    정익섭 한국언어문학회 [1965]
  • 「가면 혹은 진실 - 송강가사 관동별곡 평설 -」, 국어교육 18
    김병국 한국국어 교육연구회 [1972]
  • 「‘노래’로서의 <陶山十二曲> 연구」, 한국시가연구 42
    박연호 한국시가학회 [2017]
  • 「<훈민가> 보급의 경과와 그 의미」, 한국시가문화연구 21
    최재남 한국고시가문 학회 [2008]
  • 「<단심가>와 <하여가>의 소원적 연구」, 동방학지 35
    강전섭 연세대학교 국학 연구원 [1983]
  • 「<경민편>과 <훈민가> 소고」, 어문논집 10
    박성의 안암어문학회 [1967]
  • 「18세기 가집 편찬과 시조문학의 전개 양상」
    김용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6]
  • 「18 19세기 가집, 그 중앙의 산물」, 한국시가연구 11
    신경숙 한국시가학회 [2002]
  • 「17세기 송강 시가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」, 민족문학사연구 37
    하윤섭 민족문학 사학회 [2008]
  • 「16세기 강호시조의 연구 - 정치적 철학적 성격을 중심으로 -」
    신영명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0]
  • 李漢鎭
    靑丘永言(한국어문학회 영인 [1961]
  • 한국문학통사 2(제4판)
    조동일 지식산업사 [2005]
  • 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
    이종묵 태학사 [2002]
  • 한국 고전시가의 서정시적 탐구
    고정희 월인 [2009]
  • 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
    김병국 서울대학교 출판부 [1995]
  • 한국 고전문학과 비평의 성찰
    김흥규 고려대학교 출판부 [2002]
  • 철학사와 문학사 둘인가 하나인가
    조동일 지식산업사 [2000]
  • 차이와 타자
    서동욱 문학과지성사 [2000]
  • 조선후기 시가사와 가곡 연행
    신경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[2011]
  • 조선의 집, 동궐에 들다
    한영우 열화당 효형출판 [2006]
  • 조선시가사강
    조윤제 동광당서점 [1937]
  • 정송강연구 - 생애와 예술 -
    김사엽 계몽사 [1950]
  • 이야기와 담론, 한용환 역
    시모어 채트먼 푸른사상사 [2008]
  • 은유와 환유
    김욱동 민음사 [1999]
  • 유성룡인가 정철인가 – 기축옥사의 기억과 당쟁론
    오항녕 너머북스 [2015]
  • 역대시조전서
    심재완 세종문화사 [1972]
  • 시조 유형론
    김대행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[1986]
  • 시론
    권혁웅 문학동네 [2010]
  • 시론(제4판)
    김준오 삼지원 [2002]
  • 시가 시학 연구
    김대행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[1991]
  • 사설시조의 시학적 연구
    신은경 개문사 [1992]
  • 담원국학산고
    정인보 문교사 [1995]
  • 노래와 시의 울림과 그 내면
    최재남 보고사 [2015]
  • 고시조 문헌 해제
    신경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[2012]
  • (현토완역) 서경집전 (상)
   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[1998]
  • (역주) 고문진보 (전집)
   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[2001]
  • 송강가사 장정수 정재호 신구문화사 [2006]
  • 폴 리쾨르, 해석 이론, 김윤성 조현범 역
    서광사 [1998]
  • 폴 드 만, 독서의 알레고리, 이창남 역
    문학과 지성사 [2010]
  • 편저, 시조문학사전
    정병욱 신구문화사 [1966]
  • 캐테 함부르거, 문학의 논리, 장영태 역
    홍익대학교 출판부 [2001]
  • 주해, (金天澤編) 靑丘永言
    신경숙 국립한글박물관 [2017]
  • 월터 J. 옹, 구술문화와 문자문화, 이기우 임명진 역
    문예출판사 [1995]
  • 에밀 벵베니스트, 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 2, 김현권 역
    지식을 만드는 지식 [2013]
  • 로버트 숄즈, 기호학과 해석, 유재천 역
    현대문학 [1988]
  • 디이터 람핑, 서정시: 이론과 역사 – 현대 독일시를 중심으로, 장영태 역
    문학 과지성사 [1994]
  • 노계 고산의 시가문학
    박성의 송강 현암사 [1966]
  • 권정은, 「훈민시조의 창작기반과 다원적 진술양상」, 국문학연구 9
    국문학회 [2003]
  • 괴 테, 잠언과 성찰, 장영태 역
    유로서적 [2014]
  • 고양시사편찬위원회 편, 고양시사 3
    고양시사편찬위원회 [2005]
  • 고려대학교 고전문학 한문학연구회 편, 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
    집문당 [1995]
  • 金麟厚
    河西全集續編(규장각 소장)
  • 金天澤
    靑丘永言(국립한글박물관 영인 [2017]
  • 金壽長
    (周氏本) 海東歌謠(홍문각 영인 [2002]
  • 金壽恒
    文谷集(한국문집총간 133)
  • 鄭 澔
    丈巖先生集(한국문집총간 157)
  • 鄭 澈
    松江別集(한국문집총간 46)
  • 鄭 澈
    星州本 松江歌辭(통문관 영인 [1954]
  • 鄭 澈
    松江別集追錄(송강유적보존회 영인 [1988]
  • 沈光世
    海東樂府(국립중앙도서관 소장)
  • 權 韠
    石洲集(한국문집총간 75)
  • 林億齡
    石川詩集(한국문집총간 27)
  • 李喜朝
    芝村先生文集(한국문집총간 170)
  • 李厚源
    警民編諺解(규장각 소장)
  • 李 縡
    陶菴先生集(한국문집총간 195)
  • 朴良左
    東國明賢歌詞集錄(계명대학교 출판부 영인 [2009]
  • 朴仁老
    蘆溪先生文集(한국문집총간 65)
  • 宋 純
    俛仰集(국립중앙도서관 소장)
  • 姜 銑, 燕行錄(이종묵 역
    국립중앙도서관 [2009]
  • e-book ) Poetry as Discourse
    [2003]
  • The Rhetoric of Fiction
    [1961]
  • Princeton
    [1993]
  • Linguistics and Poetics ” , in Krystyna Pomorska and Stephen Rudy ed. , Language in Literature
    [1987]
  • C. 호제크 P. 파커 편, 서정시의 이론과 비평, 윤호병 역
    현대미학사 [2003]
  • Alex Preminger and T.V.F. Brogan eds., The New Princeton Encyclopedia of
  • (외) 편저, 고시조대전
    김흥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