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중 문화예술 활동이 한국사회의 변화에 미친 영향 : 5·18 민주화운동의 민중문화운동과 민중예술활동을 중심으로 = The Effects of People’s Art & Cultural Activities on Changes in Korean Society

윤만식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민중 문화예술 활동이 한국사회의 변화에 미친 영향 : 5·18 민주화운동의 민중문화운동과 민중예술활동을 중심으로 = The Effects of People’s Art & Cultural Activities on Changes in Korean Society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5·18 광주민주화운동
  • 문예운동
  • 사회변혁 운동
  • 사회참여
  • 오월
  • 진보적 문화예술 운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36 0

0.0%

' 민중 문화예술 활동이 한국사회의 변화에 미친 영향 : 5·18 민주화운동의 민중문화운동과 민중예술활동을 중심으로 = The Effects of People’s Art & Cultural Activities on Changes in Korean Society' 의 참고문헌

  • 충북대학교 신문
    [1995]
  •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
    이재의 전용호 황석영 창비 증보판 [2017]
  • 제2선언문 - 신명을 위하여
    광 주자유미술인협의회 [1981]
  • 제1선언문 - 미술의 건강성 회복을 위하여
    광 주자유미술인협의회 [1980]
  • 유리, 이경희 옮김 『민중만들기』
    이남희 470쪽~471쪽 휴마니스타 [2015]
  •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
    (https://archives.kdemo.or.kr/main)
  • 다시는 절망을 노래할 수 없다
    도서출판 청사 [1984]
  • 김정환, 백원담 역, 『민중문화실천론』
    루카치 화다출판사 [1984]
  • 『홍성담, 「민중문화연구회 선언-광주 5월은 민족통일의 큰 흐름 속에 있다.」
    홍성담 『민중미술과 함께 보는 80년대 민중, 민주운동자료집(Ⅱ)』 [1980]
  • 『홍성담 오월판화전 도록』
    홍성담 5․18기념재단, , 5 [2006]
  • 『호남문화연구』
    임종영 제57권 ‘년대 광주지역 걸개그림이 대한 연구’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, 2015 [1980]
  • 『학살』
    김남주 한마당 시선 2 [1990]
  • 『오월에서 통일로』
    김준태 홍성담 빛고을출판사 [1989]
  • 『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』
    황지우 문학과 지성사 [1983]
  • 『가슴마다 꽃으로 피어 있어라』
    박주관 도서출판 한마당 [1983]
  • 『5월의 사회과학』
    최정운 5월의 봄 출판 168~169쪽
  • 『5월의 문화예술 - 기원에서 5․18기념사업까지』
    김선출 도서출판 샘물 [2001]
  • 『5․18성명서』
    5․18민주희생자유족회 편 [2011]
  • 『5․18민중항쟁증언록 - 무등산 깃발』
    5․18민중항쟁청년동지회 도서풀판 남풍 [1987]
  • 『5․18민중항쟁증언록 - 무등산 깃발』
    이금희 5․18민중항쟁청년동지회, 도서 풀판 남풍 [1987]
  • 『5․18광주민중항쟁 증언록 - 무등산 깃발』
    김현채 도서출판 광주 [1987]
  • 「직설의 노래로 타살의 시대를 넘었던 그대」
    허연식 광주인 칼럼 [2013]
  • 「정치적 담론기제로서의 민중문화운동」
    김광억 『한국문화인류학 21집』, 한 국문화인류학회 [1989]
  • 「오월정신 계승과 통일의지의 결집, 광주통일미술제」
    광주미술문화연구소 『남도미술의 역사
  • 「오월문학포럼-통일을 대비하는 오월문학:오월문학사 정립을 위한 문 학포럼」
    이승철 [2018]
  • 「민중문화의 새로운 마당을 위하여」
    민중문화운동협의회 『민중문화』 창간 호 [1984]
  • 「민중 예술 한마당, 이야기 마당」
    민중문화 운동연합 [1987]
  • 「문화운동 시론Ⅰ」
    문호연 『문화운동론』, 도서출판공동체 [1985]
  • 「문화 운동의 반성과 전망」
    황석영 『민중문화 운동협의회 창립총회 보고서』, 민중문화 운동협의회 [1984]
  • 「마당굿의 과제와 전망」
    채희완 『문예운동의 현단계와 전망』, 도서출판 한 마당 [1991]
  • 「루복의 예술체계」
    이형숙 『러시아 연구』 제13권 제2호, 서울대학교 러시아 연구소 [2003]
  • 「대문예인 5차세미나 발제문」
    왕치선 [2016]
  • 「그해 오월 민주주의를 쓴 사람들」
    한겨레신문 [2018]
  • 「광주항쟁과 80년대의 사회운동문화」
    조대협 『5․18민중항쟁과 정치 역사 사 회』 5․18기념재단 [2007]
  • 「광주의 문화담론과 5․18」
    정미라 전남대 학교 5․18연구소, 『민주주의와 인권, 제6권 1호』 [2005]
  • 「광주의 5월문화운동」
    정명중 『아시아 문화』 년 5월호, ㈜아시아문화커 뮤니티 2015 [2015]
  • 「85문화선언 – 참 민중 해방과 참 민족통일을 위한 새로운 차원의 문화 운동을 향한 대열을 가다듬자」
    민중문화 운동협의회, 1985. 4 [1985]
  • 「5월미술과 광주전남미술인공동체」
    배종민 『민주주의와 인권 제5권 2호』, 전남대학교5․18연구소 [2005]
  • 「5월 미술운동의 회고와 반성」
    이태호 『민주주의와 인권 년 3권 2호』, 전남대학교 5․18연구소, 2003 [2003]
  • 「5․18민주화운동 진압의 사전계획설에 관한 검토」
    허연식 『국방부 5․18민 주화운동 타임라인과 관련한 선행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서』, 5․18민 주화운동부상자회, 국방부 [2019]
  • 「5․18과 음악운동」
    노동은 전남대 학교 5․18연구소, 『민주주의와 인권』 년 제3권 제2호 [2003]
  • 「5․18, 6월항쟁, 그리고 정치적 민주화」
    김동춘 『5․18민중항쟁과 정치 역사 사회』, 5․18기념재단 학술논문집, 5․18기념재단 [2007]
  • 「1989 홍성담 오월판화전 도록』
    민중문화 운동협의회 5․18기념재단 [2006]
  • ‘6월 항쟁과 한국의 민주주의’
    정해구 민주화운 동기념사업회 ‘민주화운동 연구 총서①’ [2006]
  • https://www.neolook.com/archives/20180905c
  • https://fishes1272.blog.me/221305687237
  • http://www.gwangjuart.com/index.php?code=0205&lcode=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