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을의 다섯 가지 얼굴 : 마을아카이브, 사랑과 환대의 기록 = Five Features of the Communities : Community archive, a record of love and hospitality

주현미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마을의 다섯 가지 얼굴 : 마을아카이브, 사랑과 환대의 기록 = Five Features of the Communities : Community archive, a record of love and hospitality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기록
  • 기록읽기
  • 들뢰즈
  • 레비나스
  • 마을
  • 마을아카이브
  • 아카이브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952 0

0.0%

' 마을의 다섯 가지 얼굴 : 마을아카이브, 사랑과 환대의 기록 = Five Features of the Communities : Community archive, a record of love and hospitality' 의 참고문헌

  • 행성인 블로그 https://lgbtpride
    tistory.com/997
  •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기술에 관한 연구. 한신대 일반대학원
    기록학의 조은성 석사논문 [#REF!]
  • 타자를 발견하다.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(15-47)
    변광배 사르트르 파주 : 동녘 [#REF!]
  • 차이의 공간을 꿈꾸며: '공간의 생산'과 실천" 공간과 사회
    김남주 14, 63-78 [2000]
  • 질 들뢰즈?펠리스 가타리 김재인(역). 천 개의 고원
    서울 : 새물결 [2003]
  • 질 들뢰즈. 권영숙?조형근(역) 푸코
    서울 : 새길아카데미 [1995]
  • 지역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시 아카이빙에 관한 연구.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
    손원태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지역문화자원 아카이빙 모형 설계와 적용.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
    이희숙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한 로컬리티 기록화 전략의 적용.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
    나진희 석사학위논문 [2013]
  •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
    설문원 기록학연구. 26, 103-149 [2010]
  • 지속가능한 마을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: 대천마을아카이브를 중심으로. 부산대학교 대학원
    조은새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지구단위 계획상의 경관계획요소 특성연구. 충남대학교
    정태일 박사학위논문 [2004]
  • 중년여성들의 일상적 대화의 의미 : 아줌마들의 '목욕탕 수다'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
    김정영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주민참여 지향 마을 아카이빙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
    김덕묵 비교민속학. 43, 265-297 [2012]
  • 정석, 조준범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 1 , 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
    서울 : 서울시정개발연구원(서울연구원) [1999]
  • 전시 기반의 마을 기록화 방안 연구. 한신대학교 대학원
    임광섭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장소성과 장소구축
    김덕현 사회과학연구, 14(1), 61-83 [1996]
  • 장소기록과 기억 그리고 로컬리티 - 대구 '달성'의 장소 아카이브와 재현을 중심으로
    정유진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. 2018, 99-121 [2018]
  • 일상의 지리학 :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묻다
    박승규 서울 : 책세상 [2009]
  •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제2차 도시경관기록화사업 기획보고서
    인천발전연구원 [2018]
  •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제1차 도시경관기록화사업 기획보고서
    인천발전연구원 [2010]
  • 인간의 감정표현을 시각화한 장신구디자인 연구 ?
    김현주 얼굴 표정을 중심으로 - 홍익대학교 금속조형디자인학과 석사논문 [2008]
  • 이투뉴스 http://www.e2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03052
  • 이웃랄랄라 페이스북 https://www
    facebook.com/groups/ecolalala/
  • 이웃랄랄라 농사기록 https://issuu
    com/rheejeong-ihn/docs/ecolalala/25
  • 이로운넷 http://www.eroun.net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839
  • 이경란 도시 속 협동적 연대를 통한 마을경제관계망 만들기 ? 서울 마포구 성미산마을의 사례
    한국협동조합연구. 28(2), 143-171 [2010]
  • 은평타임즈 http://www
    eptimes.co.kr/news/articlePrint.html?idxno=2657
  • 으랏차차!
    은평상상 은평 [2014]
  • 윤대선. 레비나스의 타자물음과 현대철학
    서울 [2018]
  • 울산저널 http://www
    usjournal.kr/news
  •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도시경관 기록 보고서-경관 카테고리별
    울산발전연구원 [2015]
  • 오마이뉴스 http://www
    ohmynews.com [2017]
  •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 마을만들기.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
    배기택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여성-되기
    김은주 성남 : 에디투스 [2019]
  • 엠마뉘엘 레비나스, 향유에서 욕망으로.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( 83-118)
    김상록 파주 : 동녘 [2013]
  • 엠마누엘 레비나스. 서동욱(역) 존재에서 존재자로
    서울 : 민음사 [2005]
  • 엠마누엘 레비나스. 김도형?문성원?손영창(역) 전체성과 무한
    서울 : 그린비 [2018]
  • 엠마누엘 레비나스, 강영안 역, 『시간과 타자』
    서울 : 문예출판사 [1996]
  • 에른스트 슈마허. 이상호 (역). 작은 것이 아름답다
    서울 : 문예 [2002]
  • 에드워드 랄프. 김덕현?김현주?심승희(역) 장소와 장소상실
    서울 : 논형 [2008]
  • 앙리 르페브르, 양영란 역, ?공간의 생산?
    서울 : 에코리브르 [2011]
  • 안녕
    둔촌주공아파트 페이스북 https://www.facebook.com/hibyeDCAPT/
  • 성소수자 가족구성권 보상을 위한네트워크 http://gagoonet
    org/?p=5110
  • 성북문화재단 구립청수도서관 정릉 마을 스토리 북 ? 정릉
    기억하다 [2019]
  • 성북마을무지개 페이스북 https://www
    facebook.com/SB.rainbow/
  • 서울특별시 서울 2014/2015 도시형태와 경관
    2015 SEOUL [2015]
  • 서울특별시 서울 1999/2000 도시형태와 경관
    2000 SEOUL [2000]
  •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(http://data
    si.re.kr/
  • 서울시복지재단 블로그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List.nhn?
    blogId=swf1004
  •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
    http://www.seoulmaeul.org/
  • 서울마을주간 http://maeulweek
    org/
  •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 전공
    부모됨 송준규 시민됨 이웃됨 석사학위논문 [#REF!]
  • 서울기록원 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콘텐츠 개발사업 아카이빙북 ?
    서울을 이야기로 기록하다 [2019]
  • 서울구민신문 http://www
    9min.co.kr/
  • 서울 도심 타자 공간의 문화 정치
    남수정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미디어문화연구 전공 석사학위 논문 [2019]
  • 서사의 이론 : 이야기와 서술
    한일섭 서울: 한국문화사 [2009]
  • 서사 이론과 그 쟁점들
    한용환 서울 : 문예 [2002]
  • 서대문구 서대문, 숨은이야기. 희망도레미
    서대문 시민기록서포터즈 [2019]
  • 서대문구 사진으로 남긴 서대문 숨은이야기. 희망도레미
    서대문 시민기록서포터즈 [2019]
  • 생활문화 월간지 살림이야기 http://www
    한살림 salimstory.net/
  • 사진기록을 활용한 지역 아카이빙 모델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,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
    최혜인 석사학위 논문 [2011]
  • 비누두레 페이스북 https://www
    facebook.com/slslbi/
  • 북부신문 http://bukbu
    kr/news/
  • 부산광역시 사진으로 보는 부산, 부산도시기록
    부산국제건축문화제 조직위원회 [2010]
  • 밴드 https://band
    정말넷 us/band/59871731
  • 박지은 마을아카이브의 사례 분석을 통한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.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
   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박은영 전통시장 장소성의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. 경북대학교
   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민간분야 공동체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
    손동유 실천민속학연구. 34, 39-63 [2019]
  • 마포마을활력소 페이스북 https://www
    facebook.com/mapocommunitycenter/
  • 마포공동체경제 페이스북 https://www
    facebook.com/groups/3362786/ [1989]
  • 마을의 재발견: 작은 정치?경제?복지로 더 나은 세상 만들기
    김기홍 서울 : 올림 [2014]
  • 마을아카이빙 시론
    김익한 기록학연구. 26, 158-182 [2010]
  • 마을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
    김화경 한국기록관리학회지. 12(2), 143-161 [2012]
  • 마을아카이브 거버넌스 모델 연구
    이경래 기록학연구. 45, 51-82 [2015]
  • 마을만들기가 주민의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. 동국대학교
    심화섭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. 안양대학교 대학원
    문종화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마을만들기 활동가들은 누구인가?
    김홍주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[2014]
  • 마을만들기 전국네트워크 마을만들기지원센터의 전국적 현황과 전망;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
    국토연구원 [2013]
  • 마을만들기 사업의 추진주체별 역할 중요도 분석을 통한 수법 개발. 동의대학교 대학원
    최우혁 박사학위논문 [2017]
  •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‘마을학교’의 평생교육적 의미 : 서울시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
    양병찬 지자체 한국평생교육 [#REF!]
  • 마을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
    이현주 사회적기업과 정책연구 4(2), 61-89 [2015]
  • 마을공동체지원센터 http://goldmaeul
    금천구 net/index.php
  •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는 어떻게 만날까
    주수원 한겨레 칼럼 [2017]
  • 마을공동체네트워크 밴드 https://band
    금천구 us/band/5610016
  • 마을공동체 구성과 차이공존의 장소 정치. 전남대학교 대학원
    주문희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마을 만들기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분석. 광운대학교 대학원
    최종환 박사학위논문 [2018]
  • 로컬 내러티브와 주체화: ‘감천문화마을’과 밀양송전탑할매‘의 담론적 실천을 중심으로
    문재원 열린정신 인문학연구. 17(1), 209-238 [2016]
  • 레비나스, 그는 누구인가
    박남희 서울 : 세창출판사 [2019]
  •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
    설문원 한국기록관리학회지. 11(1), 207-230 [2011]
  • 둔촌주공아파트 아카이브 https://seojae
    com/dunchonapt/
  • 동아일보 httpp://www
    donga.com [2016]
  •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의 사진기록물에 관한 연구.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
    문희수 석사학위논문 [2016]
  •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에 대한 연구,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
    임성규 석사학위논문 [2017]
  • 도시경관 기록화사업 체계 및 기록방법 연구. 충남대학교
    하승용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도시경관 기록을 위한 사진 촬영 접근방식에 관한 연구. 상명대학교 문화 예술대학원
    최병현 석사학위논문 [2011]
  • 도시개발지역 기록화 방안연구. 한신대학교
    백승혜 석사학위논문 [2010]
  • 도시 주거지역 커뮤니티 빌딩 모델 개발 연구. 건국대학교 대학원
    이은희 박사학위논문 [2012]
  • 도스토리연구소 마을기록학교 우리마을 환경 제안지도 ?
    개봉초등학교 [2017]
  • 도스토리연구소 마을기록학교 우리마을 기록학교 지도 ?
    고척동 일대 [2017]
  • 도스토리연구소 마을기록학교 우리들의 마을기록 ?
    오류중학교 [2017]
  • 도스토리연구소 마을기록학교 우리동네 안전지도 ?
    오류2동 일대 [2017]
  • 도스토리연구소 마을기록학교 우리동네 보물찾기 지도 ?
    흥부네 작은 도서관 [2018]
  • 도봉구마을사회적경제지원센터 http://blog
    naver.com/dbmasecenter
  • 대전광역시 도시경관기록화사업 2011
   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[2012]
  • 대구의 도시정체성 보존을 위한 도시경관 사진기록화 방안. 경북대학교 대학원
    전유정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대 초반 여성들의 소모임 수다를 통한 학습. 숙명여자대학교
    이승화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누구나 마을아카이브
    이영남 수원 : 더페이퍼 [2018]
  • 농촌 중심지 공유 공간과 커뮤니티의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. 서울대학교 대학원
    황바람 박사학위논문 [2019]
  • 노동과 마을의 합체 https://m
    blog.naver.com/cafebombomi/2 [2074]
  • 내러티브 구조를 활용한 철도 기록화 방안. 한신대 일반대학원
    조병근 석사논문 [2017]
  • 글로벌시대에 왜 마을경제인가
    최인수 월간 주민자치. 40, 17-22 [2015]
  • 구술 스토리텔링 기반의 마을만들기 활성화 연구. 건국대학교 대학원
    김정웅 석사학위논문 [2015]
  • 광진구 마을자치센터 https://blog
    naver.com/gjmaza
  • 공원 사수 대작전
    황두진 서울 : 반비 [2019]
  • 공동체주의 정의론의 관점에서 본 마을만들기 사례 비교분석.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
    김진아 박사학위논문 [2013]
  • 공동체에게 다가가기 : 공동체 아카이브, 복수의 주체의 가능성 ? 동탄 신도시 원주민 구술기록 수집을 사례로
    최정은 구술사연구. 8(1), 55-91 [2017]
  • 공동체아카이브, 몇 가지 단상
    이영남 기록학연구. 31, 3-42 [2012]
  • 공간 중심의 연계형 기록화의 실행 방안 ? 부산지역 동해남부선을 사례로
    김정현 설문원 기록학연구 36, 233-269 [2013]
  •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
    설문원 한국비블리아학회. 23(4), 437-455 [2012]
  • 골목의 장소성 재현을 위한 기록화 방안. 경북대학교
    이보옥 석사학위논문 [2012]
  • 고원: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
    이정우 천하나의 서울 : 돌베개 [#REF!]
  • 걷기 아카이브
    김하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박사논문 [2018]
  • 거리의 장소성 기록화 방향에 관한 연구
    강병욱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2019]
  • 간디. 김태언(역)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
    마하트마 대구 : 녹색평론사 [2006]
  • 가족친화 마을환경 개념 및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
    박소현 여성가족부 [2006]
  • 『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』
    마정미 서울 : 커뮤니케이션북스 [2014]
  • 『타인의 얼굴 : 레비나스의 철학』
    강영안 서울 : 문학과지성사 [2005]
  • 『도시 아카이브: 창조적 도시재생을 위한 장소의 기록과 기억의 재 구성』
    권상구 안양 : 국토연구원 [2014]
  • 「사람, 장소, 환대」
    김현경 서울 : 문학과지성사 [2015]
  • ‘도꼬마리’ 아카이브 운동과 서울시 마을공동체 정책.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
    박기웅 이문동 석사학위논문 [#REF!]
  • t-broad 지역채널 뉴스 https://ch1
    skbroadband.com/
  • Archive Fever : A Freudian Impressionj .
    [1996]
  • ?장우권 도시아카이브의 방향과 파사주프로젝트 적용에 관한 연구
    여진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. 44(2), 293-313 [2013]
  • ?이승휘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 방안 연구
    권순명 기록학연구. 21, 41-84 [2009]
  • ?김혜영?명현?김용 민간공동체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
    엄소영 한국문헌정보학회지. 51(2), 179-205 [2017]
  • ?김이준수 마을을 상상하는 20가지 방법
    박재동 서울특별시 : 샨티 [2016]
  • ?김유승.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-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
    신동희 한국기록관리학회지. 16(1), 41-59 [2016]
  • : 우정과 환대의 마을살이
    자공공 조한혜정 서울 : 또하나의문화 [#REF!]
  • +은평시민협력 플랫폼 http://cafe
    은평상상 daum.net/eunjinet
  • (역) 나와 너
    김천배 마르틴 부버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