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동문 시 연구 = A study on shin dong-mun’s poems

신기용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신동문 시 연구 = A study on shin dong-mun’s poem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『내 노동으로』
  • 『풍선과 제3포복』
  • 『행동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』
  • 반서정성
  • 서정성
  • 신동문
  • 앙가주망
  • 한국전쟁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883 0

0.0%

' 신동문 시 연구 = A study on shin dong-mun’s poems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자유문학자협회 편 『사화집 시론』
    일한도서출판사 [1959]
  • 한국신시60년기념사업회 편 『한국 시선』
    일조각 [1975]
  • 한국시인협회 편 『4월 혁명 희생학도 추도 시집 : 뿌린 피는 영원히』
    춘조사 [1960]
  • 한국브리태니커 편역. 『브리태니커 세계 백과대사전 제17권』
  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[1998]
  • 편( 『이상시전작집』
    이어령 갑연출판사 [1978]
  • 편 『전후문학의 새 물결』
    이어령 신구문화사 [1962]
  • 충청북도공보관실 편 『충북인의 시집』
    충청북도 [1993]
  • 창비50년사 편찬위원회 엮음, 『한결같되 날로 새롭게 : 창비 50년사』
    창비 [2016]
  • 이동주 편 『언제까지나 : 영원한 한국의 시』
    한림출판사 [1967]
  • 육군본부편 『군사용어사전』(교육참고 101-20-1)
    육군본부 [1999]
  • 신동문의 모더니즘 시 연구
    유정이 ” 『한국사상과 문화』 38: 103-132 [2007]
  • 신동문 시론 연구
    임승빈 『인문과학논집』 52: 131-161 [2015]
  • 신경림 편 『4월 혁명 기념 시전집』
    학민사 [1983]
  • 서강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편 『오뇌의 무도, 실향의 화원. 해외서정시집』
    서강 대학교 인문학연구소 [1986]
  • 박선욱 편 『한국민중문학선 1 : 노동시 묶음』
    형성사 [1985]
  • 모기윤 편 『시의 화원』
    일문서관 [1958]
  • 김용호 편 『한국시선』
    한국신시60년기념사업회 [1968]
  • 김용호 편 『사랑의 서정시』
    박영사 [1957]
  • 김영삼 편 『한국시대사전』
    을지출판공사 [1988]
  • 김복용 편 『신춘문예당선시집』
    신지성사 [1959]
  • 김규동 편 『한국의 명시 해설』
    혜원출판사 [1983]
  • 김규동 편 『나비와 광장』
    산호장 [1953]
  • 규문각 편집부 편 『한국의 명시』
    규문각 [1987]
  • 교육평론사 편 『학생혁명시집』
    효성문화사 [1960]
  • 『현실』
    창간호. 육민사. pp. 1-2. / pp. 22-23 [1963]
  • 『현대한국문학전집 18 : 52인 시집』
    신동문 신구문화사 [1967]
  • 『현대평론』
    창간호. 현대평론사. pp. 88-91 [1960]
  • 『현대시연구』
    백두성 청구문화사 [1969]
  • 『현대세계문학전집 12권』
    신동문 신구문화사 [1968]
  • 『현대사상교양전집 3』
    신동문 경지사 [1968]
  • 『현대문학』
    현대문학사. pp. 40-41 [1957]
  • 『현대문학』
    10월호. 현대문학사. pp. 40-41 [1958]
  • 『현대문학』
    2월호. 현대문학사. p. 38 [1959]
  • 『현대문학』
    12월호. 현대문학사. p. 256 [1967]
  • 『행동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』
    신동문 [2004]
  • 『한국현대시해설』
    한계전 관동출판사 [1994]
  • 『한국현대시사』
    오세영 민음사 [2007]
  • 『한국일보』
    p. 3 [1955]
  • 『한국수상록전집4 : 미지의 산책』
    이은상 진문출판사 [1976]
  • 『한국문학의 서정성』
    양혜경 문예운동사 [2015]
  • 『한국 현대시의 불안 의식 연구 : 박인환 김수영 전봉건을 중심으로』
    성은주 한 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박사논문 [2014]
  • 『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풍자성 연구 : 송욱, 전봉건, 신동문, 김지하을 중심으 로』
    이승하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박사논문 [1996]
  • 『한국 현대시문학사연구』
    김혜니 국학자료원 [2002]
  • 『한국 현대시 양식론』
    김영철 박이정 [2018]
  • 『한국 현대 리얼리즘 시의 두 양상 연구 : 설득의 수사와 자각의 수사를 중 심으로』
    오윤정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[2002]
  • 『한국 전후시의 현실인식과 상상력 연구』
    김지윤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[2010]
  • 『한국 전후시의 공간 인지 특성 연구 : 신동문, 김구용을 중심으로』
    김청우 전남대 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[2016]
  • 『한국 전후시에 나타난 현실 비판 의식 : 박봉우ㆍ신동문ㆍ신동엽을 중심으로』.
    이혜경 한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박사논문. [2015]
  • 『한국 전후 문학의 분석적 연구』
    박동규 월인 [1999]
  • 『한국 전후 문학 연구』
    구인환 삼지원 [1995]
  • 『한국 전후 문제시인 연구 : 김종삼, 박인환, 조향, 이동주, 전영 경, 신동문, 박봉우, 김상옥, 이영도 작가론』
    김학동 예림기획 [2005]
  • 『한국 전후 모더니즘 시 연구 : 신동문, 전봉건, 김구용 시를 중심으로』
    유정이 동 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[2008]
  • 『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탄생 : 이상과 그의 문학』
    권영민 세창출판사 [2017]
  • 『풍선과 제3포복』
    신동문 충북문화사 [1956]
  • 『출처의 윤리』
    신기용 세창미디어 [2015]
  • 『청록집』
    박두진 박목월 조지훈 을유문화사 [1946]
  • 『창작과비평』
    봄호. 창작과비평사. pp. 4-32 [1976]
  • 『창작과비평』
    12월호. 창작과비평사. pp. 177-190 [1993]
  • 『지성』
    12월호. 을유문학사. pp. 152-154 [1958]
  • 『전후 한국 모더니즘 문학론 연구』
    이진영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[2001]
  • 『전규태의 한국명시 감상』
    전규태 인간과문학사 [2016]
  • 『자유문학』
    2월호. 자유문학사. p. 135 [1958]
  • 『자유문학』
    2월호. 자유문학사. p. 135 [1960]
  • 『자유문학』
    6월호. 자유문학사. pp. 110-111 [1962]
  • 『자유문학』
    4월호. 자유문학사. pp. 15-17 [1963]
  • 『이상선집』(영인본)
    이상 42미디어콘텐츠 [2015]
  • 『이미지와 상징』. 이재실 옮김
  • 『우리 시대의 한국 문학16-현대시』
    김경린 계몽사 [1995]
  • 『영원회귀의 신화』. 심재중 옮김
  • 『염무웅 평론집』
    염무웅 창비 [2010]
  • 『여원』
    4월호. 신태양사. pp. 270-275 [1965]
  • 『여원』
    8월호. 신태양사. p. 161-163 [1969]
  • 『여상』
    12월호. 신태양사. pp. 134-140 [1962]
  • 『여상』
    11월호. 신태양사. pp. 266-272 [1963]
  • 『여상』
    2월호. 신태양사. pp. 92-94 [1964]
  • 『엘리어트 시집』. 이정기 역
  • 『신화와 현실』. 이은봉 옮김
  • 『신한국문학전집 37—시선집3』
    고 원 어문각 [1974]
  • 『신한국문학전집 37 : 시선집3』
    신동문 어문각 [1974]
  • 『신풍토 : 신풍토 시집Ⅰ』
    전봉건 백자사 [1959]
  • 『신태양』
    4월호. 신태양사. p. 255 [1959]
  • 『신태양』
    6월호. 신태양사. pp. 212-213 [1960]
  • 『신씨대종보』
    p. 7 [2012]
  • 『신사조』
    8월호. 신사조사. p. 361 [1962]
  • 『신동아』
    5월호. 동아일보사. p. 123 [1965]
  • 『신동문 시 연구』
    신동욱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[2009]
  • 『신동문 명랑 소설집 : 물총으로 쏘아 잡은 유괴범』
    신동문 삼덕출판사 [1992]
  • 『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』
    신경림 우리교육 [1998]
  • 『시작업』
    창간호. 우생출판사. p. 21 [1959]
  • 『시작업』
    2집. 우생출판사 [1960]
  • 『시인 신동문 평전』
    김판수 북스코스 [2011]
  • 『시와세계』
    3월호. 한국문연. p. 92 [2004]
  • 『시와세계』
    3월호. 한국문연. pp. 94-95 [2011]
  • 『시와 비평』
    2집. 시와비평사. pp. 181-182 [1956]
  • 『시와 비평』
    3집. 시와비평사. p. 321 [1957]
  • 『시론』
    김준오 삼지원 [2005]
  • 『시론』
    문덕수 시문학사 [1996]
  • 『시론』
    이승훈 고려원 [1993]
  • 『세대』
    10월호. 세대사. p. 201 [1963]
  • 『세대』
    5월호. 세대사. pp. 204-211 [1964]
  • 『세대』
    11월호. 세대사. pp. 245-251 [1965]
  • 『세계전후문학전집 9권』
    신동문 신구문화사 [1962]
  • 『세계전후문학전집 8권』
    신동문 신구문화사 [1961]
  • 『세계전후문학전집 7권』
    신동문 신구문화사 [1964]
  • 『세계전후문학전집 10권』
    신동문 신구문화사 [1962]
  • 『세계전기문학전집 : 세계의 인간상 4』
    신동문 신구문화사 [1962]
  • 『세계의 문학사상 9』
    신동문 문화공론사 [1976]
  • 『세계의 교양대전집 6』. 신인철 역
  • 『세계의 교양 대전집 4』
    신동문 경지사 [1974]
  • 『세계』
    7월호. 국제문화연구소. pp. 348-349 [1960]
  • 『세계 문학대전집 36 : 금각사』
    신동문 신영출판사 [1984]
  • 『성(聖)과 속(俗)』. 이은봉 옮김
  • 『서정주 전집 1 : 미당 시선집 1」
    서정주 민음사 [2009]
  • 『새벽』
    5월호. 새벽사. pp. 135-137 [1960]
  • 『삶으로 읽는 현대시』
    신배섭 홍익기획 [2008]
  • 『사상계』
    12월호. 사상계사. p. 301 [1957]
  • 『사상계』
    6월호. 사상계사. pp. 352-355 [1960]
  • 『사상계』
    12월호. 사상계사 [1961]
  • 『사상계』
    8월호. 사상계사. pp. 230-232 [1962]
  • 『사상계』
    5월호. 사상계사. pp. 62-67 [1963]
  • 『사상계』
    10월호. 사상계사. p. 311 [1964]
  • 『사상계 합본 2차 21권 5, 6월호』
    도서출판 사상. p. 287 [1985]
  • 『사상계 합본 2차 15권 5, 6월호』
    도서출판 사상. pp. 353-355 [1985]
  • 『사랑과 인식의 출발』
    신동문 문학사 [1962]
  • 『불의 정신분석』. 김병욱 옮김
    가스통 바슐라르 이학사 [2007]
  • 『부정변증법』. 홍승용 옮김
  • 『박맹호 자서전』
    박맹호 민음사 [2012]
  • 『바둑을 사랑하는 사람들』
    이승우 탐구원 [1994]
  • 『바둑』
    2월호. 한국기원. pp. 18-19 [1978]
  • 『미당 서정주의 시에 대하여』
    김화영 민음사 [1984]
  • 『물과 꿈』. 이가림 역
  • 『문학적 상상력과 성찰의 지평』
    이석우 양문각 [1998]
  • 『문학용어해설집』
    장영규 대구대학교출판부 [1985]
  • 『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』
    이선영 (제4판). 삼지사 [2001]
  • 『못난 놈들은 서로 얼굴만 봐도 흥겹다』
    신경림 문학의문학 [2009]
  • 『메피스토펠레스와 양성인』. 최건원 임왕준 옮김
  • 『동아춘추』
    4월호. 동아춘추. pp. 50-55 [1963]
  • 『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』. 정영란 옮김
    가스통 바슐라르 문학동네 [2002]
  • 『대세계사화 4 : 고대문명의 발견』
    신동문 청구출판사 [1974]
  • 『다리』
    4월호. 다리사. pp. 147-149 [1973]
  • 『늦은 불혹의 다릿돌』
    유상조 좋은땅 [2017]
  • 『내 노동으로』
    신동문 [2004]
  • 『공기와 꿈(L’Air et les Songes)』. 정영란 옮김
    가스통 바슐라르 이학사 [2003]
  • 『공간의 시학』. 곽광수 옮김
    가스통 바슐라르 동문선 [2003]
  • 『개념어사전』
    남경태 들녘 [2006]
  • 『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』
    신경림 글로세움 [2007]
  • 『1980년대 글동네의 그리운 풍경』
    정규웅 책이있는마을 [2018]
  • 『1950년대 한국 시정신 연구』
    윤종영 대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[2005]
  • 『195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근대성 연구 : <후반기>동인을 중심으로』
    권영아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[2011]
  • 『1950년대 전쟁 체험시 연구』
    김사홍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[2012]
  • 「현대문학과 패러디」
    신익호 제이앤씨 [2012]
  • “한일 프롤레타리아 시에 나타난 주제 의식 고찰.”
    정진용 『한중인문학연구』 10: 214-231 [2003]
  • “한국전쟁기 전쟁시의 국가주의의 시선.”
    한경희 『한국시학연구』 21: 201-228 [2008]
  • “한국전쟁기 시인들의 종군활동 연구.”
    신영덕 『국어국문학』 122: 375-397 [1998]
  • “한국 전후시의 핵담론 연구.”
    허혜정 『동서비교문학저널』 22: 199-225 [2010]
  • “한국 전후시의 일고찰.”
    김선학 『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논문집』 5: 23-38 [1986]
  • “한국 전후시에 나타난 몸에 대한 표상과 그 의미 :『韓國戰後問題詩集』 을 중심으로.”
    남진숙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 48: 75-95 [2010]
  • “한국 전쟁문학론 : 50년대의 작가를 중심으로.”
    남효순 『어문논집』 11: 101-118 [1976]
  • “한국 전쟁문학 연구 : 국가주의 시선과 그 극복양상을 중심으로.”
    손진은 『국제 언어문학』 25: 139-166 [2012]
  • “한국 신화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.”
    오세정 『한국고전연구』 26: 311-334 [2012]
  • “텍스트 <내 노동으로>를 읽는 세 가지 방법.”
    김승환 『제7회 신동문문학제』 (팸프릿). 딩아돌하문예원. pp. 20-30 [2019]
  • “침놓는 시인 신동문 씨 : 노래가 흐르는 시인의 침방.”
    오윤현 『월간 샘터』 22(12): 10-14 [1991]
  • “참여시의 존재론적 의미 : 신동문, 혹은 4 19 전후 현실참여시의 존재론.”
    임우기 『제5회 신동문문학제』(팸프릿). 딩아돌하문예원. pp. 14-31 [2017]
  • “죽음의 한 연구에 대한 신화비평적 고찰 : 죽음과 재생의 원형적 모티프 를 중심으로.”
    구수경 『한국문학이론과비평』 8(3): 121-144 [2004]
  • “전후시의 모더니즘적 특성과 그 가능성.”
    한계전 『한국전후문학의 형성과 전 개』. 태학사. pp. 99-118 [1993]
  • “전후 한국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의 정신사적 연구 : 허무주의의 변모과 정을 중심으로.”
    박윤유 『문학한글』 7: 143-164 [1993]
  • “전쟁문학론.”
    정봉래 『비평문학』 5: 351-357 [1991]
  • “전쟁기와 전후의 시.”
    김현자 『한국현대시사』. 민음사. pp. 245-335 [2007]
  • “전쟁 경험의 문학적 수용과 시적 형상화 재고.”
    장은영 『비평문학』 63: 143-173 [2017]
  • “전쟁 경험의 문학적 수용과 시적 형상화 양상 재고.”
    정은영 『비평문학』 63: 143-173 [2017]
  • “일본 시가의 7 5조는 한국의 율조이다.”
    홍윤기 『한국의 명시감상』. 한누리미디 어. pp. 361-371 [2005]
  • “윤리적 품격과 진정성의 시학 : 신동문 문학과 발굴 시편.”
    유성호 『제4회 신 동문문학제』(팸프릿). 딩아돌하문예원. pp. 32-42 [2016]
  • “신동문의 후기시 연구.”
    이석우 『한국문예비평연구』 2: 151-166 [1998]
  • “신동문의 전집 미수록 시편들 : 윤리적 품격과 진정성의 시학.”
    유성호 『서정 시학』26(1): 174-184 [2016]
  • “신동문의 시세계.”
    홍기삼 『신동문 추모문학제 자료집』. pp. 8-9 [2012]
  • “신동문의 시 전집에 누락된 시편 연구.”
    신기용 『한국시학연구』 61: 153-180 [2020]
  • “신동문의 삶과 시.”
    염무웅 『제3회 신동문문학제』(팸프릿). 딩아돌하문예원. pp. 22-33 [2015]
  • “신동문 전기시의 연작 형식 : 『풍선과 제삼포복』의 불연속적 시리즈성 을 중심으로.”
    노지영 『서강인문논총』 27: 5-39 [2010]
  • “신동문 연작시 ‘풍선기’에 나타난 공기 이미지 연구.”
    신기용 『한국시학연구』 56: 89-114(전자자료 87-112) [2018]
  • “신동문 시의 의미화 양상 연구 : 『풍선과 제3포복』을 중심으로.”
    김청우 『한 국지역문학연구』. 한국지역문학회. pp. 37-60 [2016]
  • “신동문 시의 어휘 사용 양상과 공기어 네트워크 분석.”
    전은진 『인문과학연구』 42: 175-200 [2014]
  • “신동문 시연구.”
    박지영 『덕성어문학』 9: 71-96 [1996]
  • “신동문 시 연구.”
    유성호 『1950년대 남북한 시인 연구』. 한국문학연구회. pp. 211-240 [1996]
  • “신동문 시 연구 : 생애의 전환점을 중심으로.”
    박순원 『비평문학』 44: 231-257 [2012]
  • “신동문 시 연구 : 그 서정성을 중심.”
    임승빈 『현대문학이론연구』 54: 265-289 [2013]
  • “시 쓰기 너머에서 그가 찾은 것 : 다시 신동문을 생각하며.”
    염무웅 『실천문 학』 5: 9-18 [2011]
  • “순수 참여와 다국화시대.”
    김준오 『한국현대문학사』. 현대문학. pp. 375-390 [2002]
  • “새바람 일으킨 4 19시인 신동문.”
    이근배 『동아일보』. 1991. 1. 11. p. 27 [1991]
  • “부정과 참여의 반시적 페이소스.”
    유성호 (시집 해설) 『내 노동으로』. 솔. pp. 110-122 [2004]
  • “병사, 전쟁 중에 반전반핵을 외치다.”
    김판수 『제2회 신동문문학제』(팸프릿). 딩아돌하문예원. pp. 14-26 [2014]
  • “문학에서의 전쟁 대응 양상.”
    이명재 『우리문학연구』 18: 3-21 [2005]
  • “김수영과 신동문 시의 계량 언어학적 분석.”
    전은진 『한국언어문화』 62: 295-328 [2017]
  • “거부와 부정의 육성.”
    유종호 『제1회 신동문문학제』(팸프릿). 딩아돌하문예원. pp. 15-27 [2013]
  • “『현대시』 동인 시의 서정성 연구.”
    박연희 『한국현대문학연구』 22: 281-238 [2014]
  • “‘오늘’의 상황 의식과 부정의 시학 : 신동문론.”
    염무웅 『한국 전후 문제시인 연 구 2』. 예림기획. pp. 329-357 [2005]
  • “‘오늘’의 공간성과 부정의 시학 : 신동문론.”
    염무웅 『제6회 신동문문학제』(팸프 릿). 딩아돌하문예원. pp. 18-28 [2018]
  • “1970년대 『창작과비평』의 민중시 담론.”
    박연희 『상허학보』 41: 501-544 [2014]
  • “1960년대 『세계전후문학전집』의 발간과 전위적 독서주체의 기획.”
    이종호 『한 국학연구』 41: 77-102 [2016]
  • “1950년대의 시적 흐름과 정신사적 의의.”
    최동호 『한국현대문학사』. 현대문학. pp. 311-331 [2002]
  • “1950년대 후반 시에서의 ‘참여’의 의미 : 박봉우 신동문 신동엽을 중심으로.”
    유성호 『민족문학사연구』 10: 170-197 [1997]
  • “1950년대 한국 전후 문학비평과 문화담론 : ‘육체’의 문화적 표상을 중심 으로.”
    최성실 『아시아문화연구』 17: 101-119 [2009]
  • “1950년대 한국 모더니즘시 연구.”
    이승훈 『한국학논집』 33: 71-96 [1996]
  • “1950년대 장형시와 내면화의 두 가지 방식 : 민재식, 신동문의 경우.”
    조영복 『한국현대문학연구』 7: 245-266 [1999]
  • “1950년대 시의 코스모폴리탄적 감각과 세계사적 개인주체.”
    임지연 『한국시학 연구』 34: 185-216 [2012]
  • 3 15의거기념사업회 편 『3 15 의거 시전집』
    3 15의거기념사업회 [2010]
  • 3 15의거기념사업회 편 『3 15 의거 기념 시선집 : 너는 보았는가 뿌린 핏방울 을』
    불휘 [2001]
  • (동방구) 『요가 : 신비한 건강의 요법』
    신동문 민음사 [1965]
  • (동방구) 『아름다워지는 요가』
    신동문 민음사 [196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