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이 중증 통증과 고통이 있는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= Research of Effect of Logotherapy Program to Patients in Severe Pain and Suffering

박영옥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이 중증 통증과 고통이 있는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= Research of Effect of Logotherapy Program to Patients in Severe Pain and Suffering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Holistic Healing
  • Logotherapy Program
  • Mixed Research Method
  • Pain
  • Suffering
  • logotherapy
  • 고통
  • 로고테라피
  • 로고테라피 프로그램
  • 총체적 치유
  • 통증
  • 혼합 연구 방법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589 0

0.0%

'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이 중증 통증과 고통이 있는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= Research of Effect of Logotherapy Program to Patients in Severe Pain and Suffering' 의 참고문헌

  • 표준국어대사전
    (서울: 국립국어원) [1999]
  • 정태기 역, 『기독교 상담과 의미요법』
    Welter, Paul R 서울: 두란노 [1995]
  • 정지훈 역,『(크리스천 정신과 의사가 처방하는) 내면적 행복이 이끄는 삶』
    프랭크 미너스 서울: 예찬사 [2005]
  • 정동섭, 정지훈 역,『폴 투르니에의 치유』
    폴 투르니에 서울: CUP [2007]
  • 이혜성 역, 『성장 심리학』
    Schultz, D. 서울: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[1992]
  • 이종태 역, 『고통의 문제』
    C. S. Lewis 서울: 홍성사 [2002]
  • 이은 역,『환자의 마음』
    파브리치오 베네데티 서울: 청년의사 [2013]
  • 이시형 역, 『삶의 의미를 찾아서』
    Frankl, V.E, 서울: 청아출판사 [2005]
  • 이봉우 역, 『심리요법과 현대인』
    Frankl, V.E, 왜관: 분도출판사 [2000]
  • 이봉우 역, 『로고테라피의 이론과 실제』
    Frankl, V.E, 왜관: 분도 출판사 [1980]
  • 의학전문사이트 https://www.eurekalert.org/pub_releases/2012-07/nu-wcp062812.php
    [2012]
  • 윤종석 역, 『뇌, 하나님 설계의 비밀 : 하나님을 어떻게 믿느냐에 따라 뇌가 변하고 삶이 변했다』
    Timothy R. Jennings 서울: CUP [2015]
  • 유형심 역, 『프랭클 심리분석과 정신치료』
    Frankl, V.E, 서울: 한국크리스천문학가협회 [1992]
  • 운동을 병행한 의미요법이 노인의 생의 의미,자아통합감 및 일상 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
    이춘희 『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』제36권 [2006]
  • 오수미 역, 『고통보다 깊은』
    폴 투르니에 서울: IVP [2004]
  • 송종은, 손기철,「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가 중년여성의 삶의 목적과 자아정체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」
    이영애 황현정 『원예과학기술지』제25권 [2007]
  • 배경아 역,『중론』
    가츠라 쇼류 고시마 기요타카 서울: 불광출판사 [2018]
  • 류시화 역, 『인생수업』
    Elisabeth Kubler-Ross 서울: 이레 [2014]
  • 동아사이언스 http://dongascience.donga.com/news/view/7625
  • 도문갑 역, 『고통과 은혜』
    찰스 쉐퍼 프로케 쉐퍼 서울: 디모데 [2016]
  • 김천배 역,『나와 너』
    마르틴 부버 서울: 대한기독교서회 [2020]
  • 김영주 역,『온전한 치유를 위하여』
    조안 세콥스키 폴라 쉴즈 서울: 서로사랑 [2006]
  • 고병헌 역,『의미치료』
    요셉 B. 파브리 서울: 하나의학사 [1985]
  • 강경아, 박선정, 이명남, 김영희, 「의미요법 교육 프로그램이 사춘기 초기 암환아의 삶의 의미발견에 미치는 효과」
    김신정 『Asian Oncology Nursing』제13권 [2013]
  • 『호스피스 총론』
    강영우 한국호스피스협회 [2016]
  • 『하나님의 치유』
    손영규 서울: 예영커뮤니케이션 [2018]
  • 『치유선교론』
    이명수 서울: 나임 [1993]
  • 『의미있게 살 것인가 의미없게 살것인가』
    이남균 서울: 학지사 [1998]
  • 『의미요법』
    이남표 서울: 학지사 [1998]
  • 『심리학의 이해』
    윤가현 서울: 학지사 [2006]
  • 『목회자와 평신도 리더를 위한 성경통독』
    조병호 서울: 통독원 [2009]
  • 『로고테라피 중급 B과정 매뉴얼: Franklian Psychology & Attitudinal Change』
    김미라 빅터프랭클 로고테라피 협회: 텍사스, 미국. 프랭클리언 심리학과 [2016]
  • 『기도와 치유사』
    전용복 서울: 서로사랑 [2002]
  • 『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』
    박영우 서울: 병원간호사회 [2019]
  • 『A Note of Lectures on Holistic Healing』
    이명수 건양대학교 [2002]
  • 『A Note of Lectures on Healing Anthropology』
    이명수 건양대학교 [2002]
  • 「통증 약리학」
    김경훈 『가정의학회지』제3권 [2003]
  • 「카르마의 실재와 인과응보 메커니즘의 객관화 연구」
    오재형 정동명 황근창 『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』 [2016]
  • 「총체적 치유사역」
    손영규 『치유와 선교』, 서울: 한들출판사 [2017]
  • 「총체적 존재로서의 인간」
    전재규 『치유와 선교 창간호』, 서울: 한들출판사 [2010]
  • 「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교육목회 :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를 중심으로」
    전명근 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 [2019]
  • 「중년기 위기와 로고데라피의 적용」
    권용근 『신학과 목회』제14권 [2000]
  • 「중년기 남성 실존적 공허 극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: 융(Carl G. Jung)의 중년기 남성 '실존적 공허'와 프랭클(Viktor E. Frankl)의 '의미요법'을 중심으로」
    김한태 박사학위논문, 계명대학교 [2016]
  • 「전인치유, 현대과학, 그리고 성경」
    이명복 전재규 경기: 이레서원 [2015]
  • 「일보 이명수 박사의 '치유선교학”소개」
    김찬기 『치유와 선교』, 서울: 한들출판사 [2010]
  • 「의미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삶의 목적수준,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」
    남명희 박응임 『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』제5권 [2016]
  • 「의미요법이 청소년 후기 말기 암환자의 생의 의미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」
    강경아 고명숙 심정숙 전대근 『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』제39권 [2009]
  • 「의미요법이 성인 및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: 체계적 문헌고찰」
    조선희 『정신간호학회지』제28권 [2019]
  • 「의미요법에 기반한 극복력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입원한 부인암 여성을 대상으로」
    구본진 박사학위논문, 고려대학교 [2008]
  • 「의미요법에 기반으로 한 집단음악치료가 일 노인복지관 노인의 우울과 고독감, 죽음불안, 삶의 의미와 질에 미치는 영향」
    김윤희 박사학위논문, 원광대학교 [2016]
  • 「예수의 치유」
    김지철 『교회와 신학』제28권 [1996]
  • 「예수 병자치유 사역의 사회-문화적 배경」
    김광수 『복음과 실천』 제27권 [2001]
  • 「어거스틴(Augustine)의 회개에 대한 사유와 기독교윤리」
    유경동 『선교와 신학』, 제40권 [2016]
  • 「암환자의 고통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」
    강경아 고명숙 심정숙 전대근 『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』제29권 [1999]
  • 「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적 대처의 매개역할과 의미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」
    최명심 박사학위논문, 전북대학교 [2008]
  • 「사회적실존의 가능성-야스퍼스 실존개념의 재해석」
    박은미 이화여자대학교, 박사학위논문 [2006]
  • 「빅터 프랭클(V. E. Frankl)의 로고테라피 이론에 기초한 노인자살의 문제와 해결방안 : 심리치료적 관점에서」
    김란희 석사학위논문,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[2014]
  • 「불안․우울․자살에 대한 실존 의미 치료 -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 중심으로」
    박정희 『哲學論叢』제63권, - 149 - [2001]
  • 「명상은 사회적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가」
    박병기 『불교평론』 제55권 [2013]
  • 「마음치유의 원리 : 불교의 업설(業說)을 중심으로」
    정진영 『철학연구』제116권 [2017]
  • 「로고테라피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삶의 목적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」
    이수연 이종호 『청소년행동연구』제21권 [2016]
  • 「대학생들의 자아 중심적 행복관에 대한 로고테라피적 접근」
    최정화 『인문학연구』제51권 [2016]
  • 「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소시오드라마로서 롤란트 시멜페니히의 『황금 용』연구: 빅토르 프랑클의 로고테라피와 자유 의지 개념을 원용하여」
    조고운 석사학위논문, 한양대학교 [2019]
  • 「기독교적 인간이해」
    손영규 『치유와 선교』, 서울: 한들출판사 [2010]
  • 「고통의 철학과 심리학」
    석봉래 『인간・환경・미래』제15권 [2015]
  • 「고통의 의미-빅터 에밀 프랑클의 로고테라피를 중심으로」
    김인석 『인문학연구』제22권 [2012]
  • 「고통에 관하여」
    엄정식 『철학과 현실』, 서울: 철학문화연구소 [2011]
  • 「고통(suffering)과 영적 간호」
    김명자 양남영 『가정간호학회지』 제16권 [2009]
  • 「고통(Suffering) 개념분석과 개발」
    강경아 『대한간호학회지』제26권 제2호 [1996]
  • 「고위험 허약 독거 여성노인을 위한 의미요법 기반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」
    이경은 연세대학교,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「간호사를 위한 일의 의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: 로고테라피 기반으로」
    한슬기 박사학위논문, 서울대학교 [2019]
  • 「가십의 수용을 통한 삶의 의미의 회복 - 의미요법과 도날드 캡스의 목회상담적 관점에 근거하여」
    김태형 『신학과 실천』제62권 [2018]
  • “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: 자아존중감, 가족 및 사회관계의 매개를 중심으로”
    문형란 중앙대학교, 박사학위논문 [2016]
  • The will to meaning
    [1967]
  • The unconscious God, 정태현 역, 『무의식의 신』
    Frankl, V. E. 왜관: 분도출판사 [1979]
  •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: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
    53 ( 1 ) [2006]
  • The doctor and the soul ; From psychotherapy to logotherapy
    [1986]
  • The Unheard cry for Meaning
    [1978]
  • The Pursuit of Meaning : Viktor Frankl , Logotherapy , and Life
    [1988]
  • T. E. and J. T. Watkins , The use of psychotherapy with dying patients : An exploratory study
    31 ( 4 ) , [1975]
  • R. G. and S. A . Lack , SymptomControl for advancedCancer : Pain relief
    [1983]
  • Psychotherapy and Existentialism
    [1967]
  • Pain and Suffering as viewed by the Hindu Religion
    Vol , No 8 [2007]
  • On Death and Dying
    [1974]
  • N. and D. H. Roren , Existential meaning ’ s role in the enhancement of hope and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
    73 ( 4 ) [2005]
  • Logotherapy for the helping professional
    [1996]
  • J. C. and R. D , Rassmussen , Purpose in life as related to specific values
    31 [1975]
  • Group logotherapy as an adjunct in the treatment of alcoholism
    [1992]
  • E, 임헌만 역, 『심리치료학과 신학의 만남』
    Frankl, V. 서울: 그리심 [1986]
  • E, 이시형 역, 『죽음의 수용소에서』
    Frankl, V. 서울: 청아출판사 [2005]
  • D. and E. W. Wright , Religious orientation and meaning in life
    33 [1977]
  • Conscience in Logotherapeutic Counselling ,
    8 ( 2 ) [1985]
  • Connecting with a Friend
    [1985]
  • Best practices for mixed methods research in the health sciences
   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