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민영의 작품 세계 연구 : 『금옥총부』에 나타난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World of Ahn Min-yeong’s Works

구충회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안민영의 작품 세계 연구 : 『금옥총부』에 나타난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World of Ahn Min-yeong’s Work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가객
  • 가곡
  • 가집
  • 금옥총부
  • 기녀
  • 시조문학
  • 안민영
  • 인간관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35 0

0.0%

' 안민영의 작품 세계 연구 : 『금옥총부』에 나타난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World of Ahn Min-yeong’s Works' 의 참고문헌

  • 황패강·소재영·진동혁 공편, 『한국문학작가론』
    형설출판사 [1982]
  • 황패강 외 편, 『한국문학연구입문』
    지식산업사 [1997]
  • 한국인명대사전편찬실 편, 『한국인명대사전』
    신구문화사 [1967]
  • 한국시조학회 편저, 『한국고시조작가론』, 시조학연구총서 Ⅰ
    백산출판사 [1986]
  • 한국시조학회 편저, 『속 한국고시조작가론』, 시조학연구총서 Ⅱ
    김동준 백산출판사 [1990]
  • 한국시조학회 편저, 『(속)고시조작가론』
    백산출판사 [1990]
  •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, 『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』
 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[1993]
  • 한국문학편찬위원회 편, 『한국문학개설』
    형설출판사 [1989]
  • 한국 시문학의 비평적 탐구
    박호영 이숭원 삼지원 [1989]
  • 편, 『한국고전문학전집』
    김기동 양우당 [1980]
  • 편, 『신편 고전시가론』
    권두환 김학성 새문사 [2005]
  • 김천택 『청구영언』(주해・영인편) 국립한글박물관 [2017]
  • 최염순 옮김, 『카네기 인간관계론』
    데일 카네기 씨앗을 뿌리는 사람 [2006]
  • 차주환 역, 『고려사악지』
    을유문화사 [1982]
  • 조선후기 가창문학의 존재양상
    김은희 보고사 [2005]
  • 정병욱 편저, 『국어국문학사전』
    신구문화사 [1979]
  • 장성민 옮김, 『지도력의 원칙』
    블레인 리 김영사 [1999]
  • 임철규 역, 『비평의 해부』
    노스럽 프라이 한길사 [2003]
  • 이홍직 편저, 『국사대사전』
    대영출판사 [1976]
  • 이성훈・이현석 역, 『예술의 사회적 생산』
    자네트 울프 한마당 [1986]
  • 우리어문학회 편, 『한국문학과 낭만성』
    국학자료원 [2002]
  • 우리문학연구회 편, 『한국문학론』
    일월서각 [1981]
  • 역, 『근세조선정감』
    박제형 이익성 탐구당, , 1981 [1975]
  • 양희찬 외 편, 『한국고전문학의 이해』
    국학자료원 [2015]
  • 시 『텍스트 분석: 시의 구조』
    Lotman,Yuri 도서출판 가나 [1987]
  • 서울대학교동아문화연구소 편, 『국어국문학사전』
    신구문화사 [1979]
  • 백영 정병욱선생 10주기 추모논문집간행위원회 편, 『한국고전시가 작품론: 백영 정병욱선생 10주기추 모논문집』
    집문당 [2002]
  • 백낙청・염무웅・반성완 공역, 『문학과 예술의 사회화』
    하우저 창작과비평사 [1999]
  • 박효관・안민영 엮음, 신경숙 옮김, 『가곡원류』
    지식을만드는지식 [2010]
  • 박을수 편저, 『한국시조대사전』 (상・하)
    아세아문화사 [1992]
  • 박거용 옮김, 『러시아형식주의』
    Erlich, Victor 문학과지성사 [1983]
  • 김흥규 외 편, 『고시조 대전』
  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[2012]
  • 김준 역, 『매천야록』, (원문 교주본)
    황현 문학과 지성사 [2005]
  • 김윤섭 역, 『언어예술 작품론』
    Kayser, Wolfgang 시인사 [1994]
  • 김원중 옮김, 『삼국유사』
    일연 을유문화사 [2002]
  • 김동리 외 편, 『한국문학대사전』
    광조출판사 [1980]
  • 권오운 편저, 『우리말 띄어쓰기 대사전』
    집사재 [2014]
  • 국제언어인문학회, 『인문언어』, 제21권1호
    월인 [2019]
  • 국어국문학회 편, 『시조문학연구』
    정음사 [1980]
  • 국어국문학회 편, 『국어국문학』, 제98호
    신흥인쇄주식회사 [1987]
  • 국어국문학회 편, 『국어국문학』, 제109호
    태학사 [1993]
  • 국어국문학회 편, 『고시조 연구』
    태학사 [1997]
  • 국사편찬위원회 편, 『한국사』 16
    근대 편 [1975]
  • 구비문학개설
    장덕순 일조각 [1971]
  • 교육출판공사 편지부편, 『웹스터 영한대사전』
    교육출판공사 [1980]
  • 교본 『역대시조전서』
    심재완 시조간행회 [2015]
  • 공저, 『한국문학강의』
    조동일 도서출판 길벗 [2011]
  • 공저, 『시조강해』
    김기현 서원섭 경북대출판부 [1987]
  • 고사성어사전간행회 편, 『고사성어사전』
    학원사 [1977]
  •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편, 『한국문화사대계』 (언어 문학사)
    고대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[1978]
  • 고려대학교 고전문학・한문학연구회 편, 『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』
    집문당 [1995]
  • 『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예술세계』
    김정숙 일지사 [2004]
  • 『호남가단연구』
    정익섭 진명문화사 [1975]
  • 『해동악장』
    황충기 푸른사상사 [2009]
  • 『한국회화사』
    안휘주 일지사, , 1982, 1993 [1980]
  • 『한국평민문학사』
    구자균 민족문화사 [1982]
  • 『한국전통무용연구』
    장사훈 일지사 [1977]
  • 『한국적 장르론과 장르보편성』
    김창현 지식산업사 [2005]
  • 『한국인의 字・號 연구』
    강헌규 신용호 계명문화사 [1990]
  • 『한국의 판소리』
    정병욱 집문당 [1981]
  • 『한국의 역사상』
    이우성 창작과 비평사 [1982]
  • 『한국음악통사』
    송방송 일조각 [1998]
  • 『한국음악사』
    장사훈 정음사 [1976]
  • 『한국음악사』
   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[1991]
  • 『한국음악 장단의 역사와 논리』
    전인평 중앙대학교 출판부 [2005]
  • 『한국여항시조연구』
    황충기 국학자료원 [1998]
  • 『한국시조문학전사』
    박을수 성문각 [1992]
  • 『한국시조 창작 원리론』
    신웅순 푸른사상사 [2000]
  • 『한국시의 전통 연구』
    김대행 개문사 [1983]
  • 『한국시의 의식구조: 시론집』
    이운룡 신아출판사 [1995]
  • 『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 전통』
    성기옥 소명출판사 [2004]
  • 『한국시의 구조와 배경』
    박철희 일조각 [1981]
  • 『한국시사연구: 한국시의 구조와 배경』
    박철희 일조각 [1980]
  • 『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』
    조동일 한길사 [1982]
  • 『한국시가의 유형과 양식연구』
    성호경 영남대학교 출판부 [1995]
  • 『한국시가의 역사의식』
    조동일 문예출판사 [1994]
  • 『한국시가율격의 이론』
    성기옥 새문사 [1986]
  • 『한국시가연구의 과거와 미래』
    성호경 새문사 [2009]
  • 『한국시가사강』
    조윤제 을유문화사 [1960]
  • 『한국시가문학연구』
    강전섭 대왕사 [1986]
  • 『한국시가문학사』
    박을수 아세아문화사 [1997]
  • 『한국시가 구조연구』
    김대행 삼영사 [1976]
  • 『한국사신론』
    이기백 일조각 [1967]
  • 『한국사』
    이이화 16, 한길사 [2004]
  • 『한국문헌학연구』
    유탁일 아세아문화사 [1989]
  • 『한국문학통사』 4판 1,2,3,4
    조동일 , 지식산업사 [2015]
  • 『한국문학작가론』
    황패강 형설출판사 [1985]
  • 『한국문학의 이해』
    김흥규 민음사 [2011]
  • 『한국문학의 시각』
    임영택 창작과비평사 [1993]
  • 『한국문학의 방법론과 장르론』
    사재동 중앙인문사 [2006]
  • 『한국문학신강』
    구본혁 개문사 [1978]
  • 『한국문학산고』
    이정탁 계명문화사 [1990]
  • 『한국문학사의 쟁점』
    장덕순 집문당 [2015]
  • 『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』
    임형택 창작과 비평사 [2003]
  • 『한국문학사상사시론』
    조동일 지식산업사 [2016]
  • 『한국문학사』
    김윤식 김현 민음사 [2008]
  • 『한국문학사』
    조윤제 탐구당 [1986]
  • 『한국문학개론』
    조규익 새문사 [2017]
  • 『한국문학 작가론』
    조규익 현대문학 [1991]
  • 『한국문학 강의』
    조동일 도서출판 길벗 [2003]
  • 『한국근대문학사의 쟁점』
    김학성 최원식 창작과 비평사 [1990]
  • 『한국고전시가의 종합적 고찰』
    양태순 민속원 [2005]
  • 『한국고전시가의 연구』
    김학성 원광대학교 출판부 [1980]
  • 『한국고전시가연구・속』
    이상보 태학사 [1984]
  • 『한국고전시가연구』
    강전섭 경인문화사 [1995]
  • 『한국고전시가론』
    정병욱 신구문화사 [1994]
  • 『한국고전문학의 시각』
    장효현 고려대출판부 [2010]
  • 『한국고전문학연구』
    강전섭 대왕사 [1982]
  • 『한국고전문학연구』
    최태호 역락 [2000]
  • 『한국고시가의 연구』
    이상보 형설출판사 [1982]
  • 『한국가요의 연구・속』
    김동욱 이우출판사 [1980]
  • 『한국가요문학론과 사』
    박성의 집문당 [1986]
  • 『한국 한시 속의 삶과 의식』
    정종대 새문사 [2005]
  • 『한국 시조 문학론』
    정재호 태학사 [2006]
  • 『한국 시가의 형식』
    성호경 새문사 [1999]
  • 『한국 시가의 담론과 미학』
    김학성 보고사 [2004]
  • 『한국 근대사』
    강만길 창작과 비평사 [1984]
  • 『한국 근대문학 양식논고』
    김윤식 김현 아세아 문화사 [1980]
  • 『한국 고전시가의 정체성』
    김학성 대동문화연구총서 21,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02]
  • 『한국 고전시가의 전통과 계승』
    김학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09]
  • 『한국 고전시가의 서정시적 탐구』
    고정희 도서출판 월인 [2009]
  • 『한국 고전시가의 내면미학』
    정혜원 신구문화사 [2001]
  • 『한국 고전시가 총론』
    성호경 태학사 [2016]
  • 『한국 고전시가 문학의 분석과 탐색』
    나정순 역락 [2002]
  • 『한국 고전문학의 이론과 방법』
    정병욱 신구문화사 [1999]
  • 『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』
    김병국 국어교육연구소연구총서 14, 서울대학교출판부 [2005]
  • 『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』
    김학성 집문당 [1997]
  • 『한국 가악통론』
    구본혁 개문사 [1978]
  • 『풍운의 한말 역사 산책』
    류시원 한국문원 [1996]
  • 『증보 한국음악사』
   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[1986]
  • 『주석 시조총람』
    진동혁 하우 [2000]
  • 『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』
    유봉학 신구문화사 [2001]
  • 『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』
    강명관 창작과 비평사 [1997]
  • 『조선후기 시조와 그 이해의 시각』
    조태흠 박이정 [2018]
  • 『조선후기 시조문학의 지평』
    김용찬 도서출판 월인 [2007]
  • 『조선후기 시경론과 시의식」
    김흥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[1982]
  • 『조선후기 시가의 현실인식』
    박노준 민족문화연구총서 87,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[1998]
  • 『조선후기 시가문학의 지형도』
    김용찬 도서출판 보고사 [2002]
  • 『조선후기 시가문학의 문화담론 탐색』
    성무경 보고사 [2004]
  • 『조선후기 문화운동사』
    정옥자 일조각 [1988]
  • 『조선후기 문학의 성격』
    성호경 서강대학교출판부 [2010]
  • 『조선후기 문학사상사』
    정옥자 서울대학교 출판부 [1990]
  • 『조선조 시조집 序・跋의 연구』
    조규익 숭실대학교 출판부 [1988]
  • 『조선정감』
    박제형 한길사 [1992]
  • 『조선위항문학사』
    허경진 태학사 [1977]
  • 『조선시대 시가의 역사적 이 해와 전망』
    최현재 소명출판사 [2012]
  • 『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 시각』
    이상원 보고사 [2004]
  • 『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 공간』
    강명관 소명출판 [2002]
  • 『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』
    김종수 민속원 [2001]
  • 『조선시가사강』
    조윤제 박문출판사 [1937]
  • 『조선 후기 시조한역과 시조사』
    조해숙 도서출판 보고사 [2005]
  • 『조선 후기 사회변동 연구』
    정석종 일조각 [1983]
  • 『정조대왕의 꿈: 개혁과 갈등의 시대』
    유봉학 신구문화사 [2001]
  • 『자연시조: 자연미의 실현 양상』
    권정은 도서출판 보고사 [2009]
  • 『자연속의 시조 시조속의 생활』
    신연우 이치 [2007]
  • 『일사유사』
    장지연 회동서관, 회동서관, , 태학사, 1979 [1918]
  • 『인간관계론』
    유기현 무역경영사 [2007]
  • 『인간관계론』
    이수도 형설출판사 [2006]
  • 『이조시조사』
    이능우 이문당 [1956]
  • 『이조시대 서사시』(하)
    임형택 창작과 비평사 [1992]
  • 『이세보 시조연구』
    진동혁 도서출판 하우 [2000]
  • 『음률 연구』
    황희영 형설출판사 [1962]
  • 『우리음악』
    전인평 현암사 [2007]
  • 『우리 전통시가의 위상과 현대화』
    김학성 보고사 [2016]
  • 『우리 시의 틀』
    김대행 문학과 비평사 [1989]
  • 『역주 금옥총부 주옹만영』
    김신중 안민영 도서출판 박이정 [2003]
  • 『여항인과 기녀의 시조』
    황충기 국학자료원 [1999]
  • 『여항시조사 연구』
    황충기 국학자료원 [2003]
  • 『심미적 이성의 탐구』
    김우창 [1992]
  • 『시조학의 좌표와 그 전망』
    김동준 백산출판사 [1992]
  • 『시조의 이론과 시조 창작론』
    김봉군 연암서가 [2019]
  • 『시조의 음악사적 연구』
    남경찬 고려문화사 [1974]
  • 『시조의 사적연구』
    이태극 이우출판사 [1981]
  • 『시조의 문헌적 연구』
    심재완 세종문화사 [1972]
  • 『시조의 문예적 탐색』
    송종관 중문출판사 [2000]
  • 『시조음악론』
    장사훈 서울대출판부 [1986]
  • 『시조유형론』
    김대행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[1998]
  • 『시조연구논총』
    이태극 을유문화사 [1965]
  • 『시조시학』
    안자산 교문사, ・1999 [1900]
  • 『시조속의 생활, 생활속의 시조』
    신연우 북스힐 [2000]
  • 『시조문학의 이념과 풍류』
    전재강 보고사 [2007]
  • 『시조문학원론』
    원용문 백산출판사 [1999]
  • 『시조문학연구』
    서원섭 형설출판사 [1991]
  • 『시조문학사전』
    정병욱 신구문화사 [1974]
  • 『시조론』
    박철희 일조각 [1978]
  • 『시조개론』
    이태극 새글사 [1978]
  • 『시어사전』
    김재홍 고려대학교출판부 [2013]
  • 『시론』
    김준오 삼지원 [2018]
  • 『시론』
    문덕수 시문학사 [1993]
  • 『시론』
    윤재근 둥지 [1990]
  • 『시가시학 연구』
    김대행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[1991]
  • 『승평곡』 (영인본)
    김신중 안민영 , 국악원논문집 14집, 국립국악원 [2002]
  • 『속 고시조작가론』
    김동준 일산출판사 [1990]
  • 『상해 한자대전』
    이가원 장삼식 박문출판사 [1974]
  • 『문학・음악상에 있어서의 시조 연구』
    신웅순 푸른사상사 [2006]
  • 『문학의 이해』
    권영민 민음사 [2012]
  • 『문학예술 작품론』, 이동승 옮김
    Ingarden, Roman 민음사 [1985]
  • 『문학연구방법』
    조동일 지식산업사 [1994]
  • 『문학과 역사적 인간』
    김흥규 창작과 비평사 [1980]
  • 『만횡청류』
    조규익 박이정 [1996]
  • 『리더와 보스』
    홍사중 사계절출판사 [1998]
  • 『대원군 집권기 부국강병책 연구』
    연갑수 서울대학교출판부 [2001]
  • 『금옥총부』
    (가람문고본 영인본)
  • 『금옥총부 해석 : 안민영이 읊은 가곡가사』
    윤영옥 문창사 [2007]
  • 『근대문학의 형성과정』
    김명호 문학과 지성사 [1983]
  • 『국어대사전』
    이희승 민중서관 [1975]
  • 『국어국문학 연구입문』
    민병수 이병근 도서출판 우석 [1998]
  • 『국악총론』
   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[1985]
  • 『국악총론』
    장사훈 정음사 [1983]
  • 『국악총론』
    장사훈 민속학술자료 총서 506, 국악총론 10 [2005]
  • 『국악사론』
    장사훈 대광문화사 [1983]
  • 『국악명인전』
   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[1989]
  • 『국악대사전』
   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[1984]
  • 『국악논고』
    장사훈 서울대학교 출판부 [1982]
  • 『국악감상』
    전인평 중앙대학교 출판부 [2003]
  • 『국악감상: 한국의 멋』
    전인평 중앙대학교 출판부 [1993]
  • 『국민문학과 시조문학』
    이태극 사상총서 4, 국립국민사상연구원 [1955]
  • 『국문해석법연구』
    이명선 선문사 [1949]
  • 『국문학통론』
    장덕순 신구문화사 [1960]
  • 『국문학전사』
    백철 이병기 신구문화사 [1991]
  • 『국문학의 탐구』
    김학성 성균관대출판부 [1987]
  • 『국문학사』
    김동욱 일신사 [1978]
  • 『국문학사』
    조윤제 동국문화사 [1959]
  • 『국문학개설』
    김동욱 민중서관 [1962]
  • 『국문학개론』
    김광순 새문사 [2011]
  • 『국문학개론』
    이병기 일지사 [1961]
  • 『국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』
    조동일 새문사 [1983]
  • 『국문하개론』
    김기동 정연사 [1969]
  • 『고전시가의 전통과 현재성』
    나정순 도서출판 보고사 [2008]
  • 『고전시가의 변이와 지속』
    조규익 학고방 [2006]
  • 『고전시가의 미학 탐구』
    김병국 월인 [2000]
  • 『고전시가와 문체의 시학』
    고정희 도서출판 월인 [2004]
  • 『고전시가와 가악의 전통』
    허남춘 월인 [1999]
  • 『고전시가론』
    김학성 새문사 [1990]
  • 『고전문학연구』 제5집
    한국고전문학연구회 한샘출판주식회사 [1990]
  • 『고전 작가작품의 이해』
    고경식 박이정 [1998]
  • 『고장시조선주』
    고정옥 정음사 [1949]
  • 『고시조천수선』
    심재완 형설출판사 [1974]
  • 『고시조연구』
    최동원 형설출판사 [1977]
  • 『고시조문헌해제』
    신경숙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[2012]
  • 『고시조문학론』
    진동혁 형설출판사 [1982]
  • 『고시조론』
    최동원 삼영사 [1991]
  • 『고시조논고』
    최동원 삼영사 [1980]
  • 『고시가연구』
    진동혁 하우 [2000]
  • 『개고국문학사』
    김사엽 정음사 [1954]
  • 『가곡창사의 국문학적 본질』
    조규익 집문당 [1994]
  • 『가곡원류에 대한 연구』
    황충기 국학자료원 [1997]
  • 『19세기 한국 전통사회의 변모와 민중의식』
    진덕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[1982]
  • 『19세기 시조의 예술사적 의미』
    고미숙 태학사 [1998]
  • 『19세기 시조예술론』
    이동연 도서출판 월인 [2000]
  • 『19세기 시조 대중화론』
    최규수 보고사 [2005]
  • 『19세기 가집의 전개』
    신경숙 계명문화사 [1994]
  • 『18세기의 시조문학과 예술사적 위상』
    김용찬 월인 [1999]
  • 『18세기에서 20세기 초 한국시가사의 구도』
    고미숙 소명 [1998]
  • 『(조동일 소장) 국문학연구자료』
    조동일 박이정 [1999]
  • 『 우리 문학과의 만남』
    조동일 홍성사 [1983]
  • 「흥선대원군의 영웅성과 예술성」
    김상진 『한국시가연구』 제31집, 한국시가학회 [2011]
  • 「흥선대원군의 개혁정치와 그 한계성」
    이민수 『동학연구』 11집, 한국동학학회 [2002]
  • 「흥선대원군에 대한 오해와 진실」
    연갑수 『내일을 여는 역사』, 23호, 내일을 여는 역사 [2006]
  • 「흥선대원군」
    유영익 『한국사 시민강좌』, 13, 일조각 [1993]
  • 「화자・청자・연행・구조」
    김대행 『시가시학연구』,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[1991]
  • 「한산도가의 작자에 대하여」
    강전섭 『어문학』 37집 [1978]
  • 「한국의 음악」
    이혜구 『한국사』 23. 국사편찬위원회 [1981]
  • 「한국시조에 나타난 忠사상 연구」
    김주곤 『논문집』 17집 1호, 경산대학교 [1999]
  • 「한국시의 기본구조 연구」
    김대행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[1980]
  • 「한국시가의 율격체계 연구」
    성기옥 『국문학 연구』, 48, 서울대학교 국문학연구회 [1980]
  • 「한국 시가운율 구성의 음운론적 분석연구」
    황희영 대전대학 부설 동서문화비교연구소 [1962]
  • 「한국 고전시가의 시형에 끼친 음악의 영향: 한국 고전시가와 음악의 관계에 대한 고찰(2)」
    성호경 『한국시가연구』 2, 한국시가학회 [1997]
  • 「한국 고전시가연구와 주제사적 탐구, 『한국시가연구』 15
    김흥규 한국시가학회 [2004]
  • 「한국 고전시 해석의 과제와 전망-안민영의 〈매화사〉 경우」
    성기옥 『진단학보』 제85집, 진단학회 [1998]
  • 「풍류방예술과 풍류 집단」
    신은경 한국고전문학회 편, 『문학과 사회집단』, 집문당 [1995]
  • 「평시조 종장의 율격・통사적 정형과 그 기능」, 『어문논총』 제19・20합집, 고려대국어국문학 연구회」
    김흥규 [1977]
  • 「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와 평조의 개념 수용에 관한 고찰」
    이보형 『국악원 논문집』 10권 [1998]
  • 「판소리 형성의 변화」
    정병헌 『판소리연구』 1, 판소리학회 [1989]
  • 「퇴계의 매화시」
    정석태 에 대하여, 『퇴계학연구』, 5집, 단국대 퇴계학연구소 [1991]
  • 「퇴계를 중심한 영남가단」
    조윤제 『청구대학논문집』 제8집 [1965]
  • 「퇴계 매화시첩에 대한 연구」
    홍우흠 『인문연구』, 제4호, 영남대 [1983]
  • 「청구영언(육당본)의 성격과 시가사적 위상」
    김용찬 『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』, 집문당 [1995]
  • 「주옹의 시조와 생활」
    진동혁 『고시조문학론』, 형설출판사 [1982]
  • 「주옹 안민영의 시조와 생활」
    진동혁 『군자어문학』 2집,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[1975]
  • 「주옹 안민영의 시조문학 연구」
    강전섭 『어문연구』, 제7집, 어문연구회 [1971]
  • 「주옹 안민영론」
    박을수 『한국문학론』, 우리문학연구회 편, 일월서각 [1981]
  • 「주옹 안민영 시조 연구」
    권택경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1998]
  • 「존재 위백규의 생활시에 관한 연구」
    김석희 서울대 박사논문 [1992]
  • 「조선후기의 유랑예능인들」
    김흥규 고대문화 20 [1981]
  • 「조선후기 평민가객의 문학적 지향과 작품세계의 변모양상」
    고미숙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[1986]
  • 「조선후기 위항시사 연구」, 단국대학교 박사논문」
    천병식 [1988]
  • 「조선후기 예술의 환경과 소통구조」
    김흥규 김창수 편, 『한국사회론』, 나남 [1995]
  • 「조선후기 예술가의 문학적 초상」
    박희병 『대동문화연구』 24집, 대동문화연구원 [1990]
  • 「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」
    강명관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1]
  • 「조선후기 여창가곡의 연구」
    신경숙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[1994]
  • 「조선후기 시조의 통속화 과정과 양상연구」
    박애경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[1998]
  • 「조선후기 시조의 전개와 변모양상-가객의 활동을 중심으로」
    송병상 전주우석대 박사논문 [1995]
  • 「조선후기 시조가단 연구」
    권두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1985]
  • 「조선후기 시의도 연구」
    조인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2013]
  • 「조선후기 시가의 전개와 미의식」
    허남춘 『고전시가와 가악의 전통』, 월인 [1999]
  • 「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」
    강명관 『민족문학사연구』 2호, 민족문학사연구소 [1992]
  • 「조선후기 문학사상의 전개와 천기론」
    장원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석사논문 [1983]
  • 「조선후기 문학사상과 문체의 변이」
    이동환 『한국문학연구입문』, 지식산업사 [1997]
  • 「조선후기 기녀제도의 변화와 경기(京妓)」
    강명관 『한국고전여성문화연구』 18집, 한국고전여성문학 회 [2009]
  • 「조선후기 가객의 유형과 그 문학사적 의의」
    조태흠 『한국문학논총』 제23집, 한국문학회 [1998]
  • 「조선후기 가객들의 시조에 나타난 자연-김천택, 김수장, 안민영의 시조를 중심으로」
    윤정화 부산대 학교 석사논문 [1995]
  • 「조선후기 「경아전사회의 변화와 여항문학」
    강명관 『대동문화연구』 25집,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 구원 [1990]
  • 「조선후기 18 19세기 경아전과 예술 활동의 양상」
    강명관 김학성 외, 『한국근대문학사의 쟁점』, 창 작과 비평사 [1990]
  • 「조선조 가객연구」
    정무룡 동아대 박사학위논문 [1992]
  • 「조선전기 중인층의 성립문제」
    이성무 『동양학』 제8집,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[1978]
  • 「조선시대 애정시조 연구」
    김형철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[2005]
  • 「조선말기의 음악」
    장사훈 『한국음악사』, 정음사 [1976]
  • 「조선가부장제의 성적 욕망과 기녀」
    강명관 『코기토』 (62),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[2007]
  • 「조선 후기 시조집의 편찬과 국문시가의 동향」
    김학성 『제22회 동양학학술회회의록』, 단국대 동양 학연구소 [1993]
  • 「조선 후기 시가의 양식과 유형」
    성호경 『민족문화논총』 13,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[1992]
  • 「조선 후기 도시의 발달과 시조의 변화」
    박애경 최태호 편, 『한국고전문학연구』, 역락 [2000]
  • 「조삼죽 시조의 연구-현실 비판류를 중심하여」
    정명세 『어문학』 48, 한국어문학회 [1986]
  • 「정철 시조의 문학적 특성 연구: 언어적 측면을 중심으로」
    김진욱 『고시가 연구』 제12집, 한국고시가 문학회 [2003]
  • 「정가가객 연구의 자료와 연구사 검토」
    신경숙 『한국학연구 8』,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[1996]
  • 「전통가악에 나타난 한국인의 미의식」
    서한범 『한국 전통예술 미의식』, 고려원 [1985]
  • 「장육당육가와 육가계시조」
    최재남 『어문교육논집』 7집, 부산대 사대 [1983]
  • 「장시조의 전성기재론」
    최동원 『고시조론』, 삼영사 [1991]
  • 「일기를 통해 본 이조시대 기녀의 입역과 운용」
    이성임 『대동한문학,』 30집, 대동한문학회 [2009]
  • 「이한진 편 《청구영언》 연구」
    김종화 『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』, 집문당 [1995]
  • 「이퇴계의 매화시」
    정석태 고려대 석사논문 [1987]
  • 「이조후기 시가의 변이과정 고」
    정병욱 『창작과 비평』 31집, 창작과 비평사 [1974]
  • 「이세보의 애정시조와 가집편찬 문제」
    박규홍 『한민족어문학』 제55집, 한민족어문학회 [2009]
  • 「이세보 애정시조의 성격과 의미」
    윤정화 『한국문학논총』, 제21집 [1997]
  • 「이세보 시조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」
    신연우 『한국문학연구』 제3집
  • 「이세보 시조의 창작 기반과 작품세계」
    고은지 『한국 시가연구』 5집 1호 [1999]
  • 「이세보 시조의 ‘分’ 의식과 정서표출의 두 국면, 『동양학』 20집
    박노준 단국대동양학연구소 [1990]
  • 「위항시사 결성 원인에 대하여」
    천병식 『국어교육』 63.64합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 [1988]
  • 「위항문학 성립의 요인에 관하여」
    천병식 『선청어문』 16,17 합집,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[1988]
  • 「운애 박효관 연구」
    이동복 『가객 박효관을 통해 본 조선시대 정가세계』, (박효관의 달 기념국악학 학술회의 자료집), 국립국악원 [2002]
  • 「영남가단연구」
    이동영 한국시조학회, 『시조학논총』 제3・4집 [1987]
  • 「연시조 〈매화사〉의 세 구조 연구」
    양희철 『한국언어문학』 제74집, 한국언어문학회 [2010]
  • 「역대가집 편찬의식에 대하여」
    조윤제 『진단학보』 제3권, 진단학회 [1935]
  • 「여항육인의 작품세세와 18세기 초 시조사의 일 국면」
    김용찬 『시조학논총』 제12집, 한국시조학회 [1996]
  • 「여항문학의 발생원인에 대한 일고찰」
    강명관 부산사대 『어문교육논총』 제7집 [1983]
  • 「여항문학과 서민문학」
    임형택 『한국문학사의 시각』, 창작과 비평사 [1984]
  • 「안민영의 작품세계와 금옥총부 연구」
    송원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9]
  • 「안민영의 작품세계와 그 예술사적 의미」
    고미숙 『한국학보』 62집, 일지사 [1991]
  • 「안민영의 영매가 8수 등 시조 182 수」
    박을수 『한국시조문학전사』, 성문각 [1978]
  • 「안민영의 시조창작을 통해서 본 19세기 가객시조의 성격」
    이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1993]
  • 「안민영의 시조와 애정 정감 표출 양상」
    이형대 『한국문학연구』 제3호,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, 한 국문학연구소 [2002]
  • 「안민영의 시조와 낭만적 상상력」
    이형대 우리어문학회 편, 『한국문학과 낭만성』, 국학자료원 [2002]
  • 「안민영의 시조연구」
    신동원 『청람어문교육』 6집-1호, 청람어문교육학회 [1991]
  • 「안민영의 시조연구」
    신동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2]
  • 「안민영의 시조연구: 주제의 변모양상을 중심으로」
    김기창 한남대학교 석사논문 [1993]
  • 「안민영의 시조문학 고」
    황순구 『무애양주동박사고희기념논문집』 [1972]
  • 「안민영의 시에 나타난 19세기 음악문화의 양상」
    송혜진 제2회 효산국악제 발표 원고 [1998]
  • 「안민영의 승평곡 연구」
    송원호 『어문논집』 제47권, 민족어문학회 [2003]
  • 「안민영의 삶과 시의 문제점」
    박노준 『조선후기 시가의 현실인식』,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[1998]
  • 「안민영의 문학세계-금옥총부를 중심으로」
    송병상 『우석어문』 8집, 전주 우석대학국어국문학회 [1993]
  • 「안민영의 노래」
    조규익 『가곡창사의 국문학적 본질』, 집문당 [1994]
  • 「안민영의 기녀대상 시조의 성격과 그 이해-찬기시조를 중심으로」
    조태흠 『한국민조문화』 46, 부산 대한국민족문화연구소 [2013]
  • 「안민영의 가집 편찬과 시조 문학 양상연구」
    김현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9]
  • 「안민영의 가곡연구: 기녀중심 작품을 대상으로」
    박은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99]
  • 「안민영의 〈매화사〉론」
    류준필 『한국고전시가작품론』 2. 백영 안병욱 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 간행위 원회 편, 집문당 [1992]
  • 「안민영론」
    박을수 황패강 소재영 진동혁 공편, 『한국문학작가론』, 형설출판사, ・1988 [1982]
  • 「안민영론」
    황순구 한국시조학회 편, 『고시조작가론』, 백산출판사 [1986]
  • 「안민영론」
    황충기 한국시조학회, 『시조학논총』 제5집 [1989]
  • 「안민영론-가곡사적 위상과 작품세계를 중심으로」
    조규익 『국어국문학』 제109호 [1993]
  • 「안민영과 흥선대원군-금옥총부를 중심으로」
    김용찬 『배달말』 43호, 한국배달말학회 [2008]
  • 「안민영과 연행 예인들-기악연주자들을 중심으로」
    신경숙 『어문논집』 41집, 안암어문학회 [2000]
  • 「안민영과 기녀」
    신경숙 『민족무용』 제4호, 세계민족문화연구소 [2003]
  • 「안민영과 기녀-사랑노래의 생산적 토대를 중심으로」
    신경숙 고려대학교 고한연 동계학술발표대회 발표문, , 2, 23 [1998]
  • 「안민영과 〈승평곡〉」
    김용찬 『시조학논총』 제26집, 한국시조학회 [2007]
  • 「안민영 예인집단의 좌상객 연구」
    신경숙 『한국시가연구』 10집, 한국시가학회 [2001]
  • 「안민영 애정시조의 성격과 그 이해의 시각」
    조태흠 『한국민족문화』 54,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 소 [2015]
  • 「안민영 시조의 연행양상과 그 의의」
    조태흠 『한국문학논총』, 제58집, 한국문학회, ; 제27회 한 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, 2011 [2011]
  • 「안민영 시조의 기본 ‘틀’과 지향세계」
    박노준 『고전문학연구』 제5집, 한국고전문학연구회 [1990]
  • 「안민영 시조연구(1)-생애를 중심으로」
    정무룡 『용연어문논집』 4집, 경성대학교 국문과 [1988]
  • 「안민영 시조를 둘러싼 국악원본 『가곡원류』와 『금옥총부』의 비교 고찰」
    김선기 『한국언어문학』 제 48집, 한국언어문학회 [2002]
  • 「안민영 서문의 ‘爰錄于曲譜之末’에 대한 석명」
    강전섭 『시조학논총』 제16집, 한국시조학회 [2000]
  • 「안민영 사랑 노래의 생산적 토대」
    신경숙 『한성어문학』 24권,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[2005]
  • 「안민영 매화사의 성격과 의미」
    손정인 『한민족어문학』 제62호, 한민족어문학회 [2012]
  • 「안민영 금옥총부의 담론특성 연구」
    이자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2000]
  • 「안민영 〈매화사〉의 짜임새에 대한 고찰」
    양희찬 『시조학논총』 제36집, 한국시조학회 [2012]
  • 「안민영 〈매화사〉의 연창환경과 작품 세계」
    김용찬 『어문논집』, 54권, 안암어문학회 [2006]
  • 「신헌조론」
    박을수 『속 고시조작가론』, 백산출판사 [1990]
  • 「신헌조론」
    최강현 『속 고시조작가론』, 백산출판사 [1990]
  • 「시조집의 편찬계열 연구」
    양희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[1994]
  • 「시조집의 편찬 성격고」
    양희찬 『시조학논총』 제10집 [1994]
  • 「시조종결의 발화상황과 화자의 태도」
    최재남 『고전문학연구』, 고전문학연구회 [1988]
  • 「시조작가 신분고」
    정기호 『인하대학교논문집』 제8집, 인하대 [1982]
  • 「시조의 형식실험과 현대성의 모색 양상 연구」
    홍성란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[2005]
  • 「시조의 형식과 미의식」
    이찬욱 『어문연구』 29권3호, 한국어문교육연구회 [2001]
  • 「시조의 전개」
    최진원 『한국문학연구입문』, ㈜지식산업사 [1997]
  • 「시조의 의미구조에 관한 분석」
    정혜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1971]
  • 「시조의 율격과 변형규칙」
    조동일 『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』, 한길사 [1982]
  • 「시조의 연행과 작품의 가집 수록 양상에 대한 고찰」
    김용찬 『고전문학연구』 제14집, 한국고전문학 회 [1998]
  • 「시조의 양식적 독자성과 현재적 가능성」
    김학성 『한국시가연구』 제19집, (524) [2005]
  • 「시조의 시학적 기반에 관한 연구」
    김학성 『고시조연구』, 국어국문학회 편저, 태학사 [1997]
  • 「시조의 발생시기에 대하여」
    김수업 『시조론』, 조규철・박철희 편, 일조각 [1978]
  • 「시조의 발생과 기원」
    권두환 『신편고전시가론』, 김학성・권두환 공저, 새문사 [2005]
  • 「시조의 발생과 가곡과의의 구분」
    이병기 『진단학보』 (1), 진단학회 [1934]
  • 「시조의 발생 시기」
    김병국 『한국문학사의 쟁점』, 장덕순 외, 집문당 [1986]
  • 「시조음율의 편제와 가곡의 특성」
    권순회 『한국언어문학』 제66집, 한국언어문학회 [2008]
  • 「시조에 있어서 문화 동질감의 표현」
    신연우 『이화어문논집』 13집, 이화어문학회 [1994]
  • 「시조에 나타난 병렬법의 시학」
    김수경 『한국시가연구』 제13집, 한국시가학회 [2003]
  • 「시조사의 정조 유동과 가곡적 5장 구조」
    김혜숙 『고전문학연구』 39집, 월인 [2011]
  • 「시조발생의 문학사적 의의」
    김병국 『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』, 서울대학교 출판부 [2005]
  • 「시조가단 고」
    이정탁 안동대학 『논문집』 제8집 [1986]
  • 「시조 장르의 시대적 변모와 그 의미」
    나정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89]
  • 「시조 유형론-서정적 주체의 내면화 방식」
    최경환 『어문학논총』 27권,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[2008]
  • 「승평곡 연구」
    김석배 『퇴계학과 한국문화』, 제36호,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[2005]
  • 「승평계 연구」
    김석배 『문학과 언어』 25집, 문학과언어학회 [2003]
  • 「숙종・영조조의 가단연구」
    최동원 『고시조론』, 삼영사 [1991]
  • 「송강 정철・노계 박인로 시조의 비교 연구』
    정재훈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[2002]
  • 「성공적 노화 관점에서 본 노인시조 주제연구」
    범효춘 가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2017]
  • 「삼죽 조황의 시조연구」
    정홍모 『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』, 집문당 [1995]
  • 「삼죽 조황의 시조 연구」
    조규익 『숭실어문』 5집, 숭실대 숭실어문연구회 [1988]
  • 「삼대가집과 병와가곡집의 대비고찰」
    황충기 국어국문학 제70호 [1976]
  • 「삼대 시조집의 편찬 전승체계 소고」
    정병욱 『시조연구』 제1집 [1953]
  • 「삼대 시조집의 편찬 고」
    정무룡 『용연어문학』 제3집, 경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[1986]
  • 「삭대엽의 변천과정 연구」
    최 헌 한국음악연구회, 『한국음악연구』 제34집 [2003]
  • 「사설시조의 창작향유 층에 대하여」
    강명관 『민족문학사연구』 4호, 창작과 비평사 [1993]
  • 「사설시조와 중간계층」
    강명관 한국고전문학연구회 발표요지, 년 겨울 [1993]
  • 「봉래악부소고」
    황순구 『국어국문학』 85 [1981]
  • 「박효관의 생애와 업적에 관한 연구」
    이동복 『국악원 논문집』 제14집, 국립국악원 [2002]
  • 「박효관 론」
    윤영옥 『속 고시조작가론』, 김동준・한국시조학회 편저, 백산출판사 [1990]
  • 「매화와 국화의 시조」
    윤영옥 『시조의 이해』, 영남대학교 출판부 [1986]
  • 「만락헌(晩樂軒) 장석인의 한시에 나타난 선비정신」
    문복희 『어문논집』 제71집 별쇄본 [2017]
  • 「도남 국문학 연구의 계승과 발전」
    성기옥 『한국고전시 해석의 과제와 전망』, 월인 [2007]
  • 「대은 변안렬과 불굴가」
    황패강 『단국대논문집』 2집 [1968]
  • 「대원군의 통치체제 확립과 통치정책」
    김병우 『대구사학』, 80호, 대구사학회 [2005]
  • 「대원군의 사회적 기반과 지지세력」
    안외순 『동방학』 6집,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[2000]
  • 「대원군의 국가경영과 이념적 재검토」
    김혜승 『정치사상연구』12권 2호, 한국정치사상학회 [2006]
  • 「대원군생애에 나타난 영웅 모티브」
    김상진 『설화와 역사』, 집문당 [2000]
  • 「대원군 집정의 성격과 권력구조의 변화」
    연갑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1991]
  • 「대원군 정권의 정책」
    성대경 『대동문화연구』 18집,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[1984]
  • 「대원군 정권 성격 연구」
    성대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84]
  • 「대원국 초기 집정기의 권력구조」
    성대경 『대동문화연구』 15집, 서윤관대 대동문화연구원 [1982]
  • 「단심가와 하여가의 소원적 연구」
    강전섭 『동방학지』 35집 [1983]
  • 「단가의 사적 전개와 문학적 특성 연구」
    권순회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1992]
  • 「남훈태평가 해제」
    조윤제 『조선어학회보 제7호 [1933]
  • 「김천택의 시조 연구」
    이신성 『국어국문학』 2권,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[1978]
  • 「김천택과 김수장의 시조 비교 연구」
    한소연 한양대학교 석사학의 논문 [2014]
  • 「김천택과 김수장의 대비연구」
    박용식 『청람어문교육』 9권 1호, 청람어문학회 [1993]
  • 「김천택과 김수장의 관계」
    성범중 장덕순 외, 『한국문학사의 쟁점』, 집문당 [1986]
  • 「김수장 시가 연구」
    정상균 『국어교육』 59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 [1987]
  • 「기녀시조의 애정표출 양상 연구」
    오 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[2014]
  • 「기녀시조의 미의식과 여성주의적 성격」
    김용찬 『남도문화연구』 제25집, 순천대 지리산권문화연구 소 [2013]
  • 「기녀시조의 고찰」
    윤영옥 『여성문제연구』 12집, 효성여자대학교 한국여성문제연구소 [1983]
  • 「기녀시조의 감성특성과 시조사」
    성기옥 『한국 고전 여성문학의 세계(Ⅱ)』,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 문학연구소 [1999]
  • 「기녀시조 연구」
    신은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[2004]
  • 「금옥총부의 연행 교본적 성격과 가곡사적 위상」
    허왕욱 『청람어문교육』, 29집, 청람어문교육학회 [2004]
  • 「금옥총부의 문헌적 고찰」
    김신중 『동아인문학』 3집, 동아인문학회 [2003]
  • 「금옥총부에 대하여」
    강전섭 『어문연구』, 제7집, 충남대어문연구회 [1971]
  • 「금옥총부를 통해 본 운애산방의 풍류세계」
    성무경 『반교어문연구』 제13집, 반교어문연구회 [2001]
  • 「금옥총부를 통해 본 안민영의 가악활동과 가곡 연창의 방식」
    김용찬 『시조학논총』 제24집, 한국시 조학회 [2006]
  • 「금옥총부(주옹만필) 연구-문헌적 고찰 및 안민영 작품 고찰」
    심재완 『청구대학논문집』 제4집 [1961]
  • 「금옥총부(주옹만영)의 작품 후기에 관한 연구」
    김선기 『어문연구』 제37집, 어문연구학회 [2001]
  • 「금옥총부 작품 후기의 성격 고찰」
    송병상 『고시가연구』 제4집, 한국고시가문학회 [1997]
  • 「금옥총부 시조의 현실향유와 이상지향의 양면성 연구」
    김선애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[2002]
  • 「근대문학론의 기본쟁점」
    김명호 『근대문학의 형성과정』, 문학과 지성사 [1983]
  • 「국어국문학의 정체성과 유연성」
    김흥규 『국어국문학』 127호 [2000]
  • 「고전시가 연구방법론의 비판적 검토」
    고미숙 『민족문학사연구』 창간호, 창작과비평사 [1991]
  • 「고전문학 연구사 총론」
    김흥규 『국어국문학회 50년』, 국어국문학회 [2001]
  • 「고시조에 나타난 내면의식 연구」
    정혜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1986]
  • 「고시조시화연구」
    정무룡 『부산한문학연구』 제3집, 부산한문학회 [1988]
  • 「고시조 주제분류 방법론」
    양희찬 『시조학논총』 12집, 한국시조학회 [1996]
  • 「고시가 연구의 ‘현재적’ 위상과 ‘미래적’ 전망」
    최규수 『한민족어문학』 제38집, 한민족어문학회 [2001]
  • 「계명대학교 도서관 소장 국문시가 자료의 가치」
    권순회 『한국학논집』 37,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 원 [2008]
  • 「경정산가단과 노가재가단에 대하여」
    최동원 『고시조론』, 삼영사 [1991]
  • 「경정산가단 연구」
    윤해옥 『국어국문학』 제77・78 합본 제18호 국어국문학회 [1978]
  • 「경암(敬菴) 곽한소의 매화시 연구」
    문복희 『어문논집』 제68집 별쇄본 [2016]
  • 「개화기 시조의 형태적 변이」
    김영철 『한국시가문학연구』, 신구문화사 [1982]
  • 「강호자연과 정치현실」
    김흥규 김학성 권두환 편, 『고전시가론』, 새문사 [1984]
  • 「강호자연과 정치현실」
    김흥규 세계의 문학, 봄, 민음사 [1991]
  • 「강호연군가와 시조사 전개의 한 단서」
    조규익 『시조학논총』 32집, 한국시조학회 [2010]
  • 「가집 해동악장의 작품 수록 양상과 편찬 특성」
    강경호 『어문연구』 35권 4호 [2007]
  • 「가곡원류해제」
    김근수 『한국의 명저』, 현암사 [1969]
  • 「가곡원류에 관한 연구-편자에 대한 이견을 중심으로」
    황충기 『박효관론』, 국학자료원 [1997]
  • 「가곡원류고」
    김근수 『명지대논문집』 제1집, 인문과학편 [1968]
  • 「가곡원류계 가집의 편찬 특성과 전개 양상 연구」
    강경호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[2011]
  • 「가곡원류계 가집연구」
    심재완 『논문집』 제1집 제2호, 영남대학교 [1967]
  • 「가곡원류계 가집연구」
    안외순 『영남대학논문집』 제1집, 청구대 『논문집』 10집 [1967]
  • 「가곡원류 해제」
    조윤제 『조선어문학회보』 제5호 [1932]
  • 「가곡원류 편자에 관한 이견」
    황충기 『어문연구』 14권 2호, 한국어문교육연구회 [1986]
  • 「가곡원류 시조의 서정시적 특징」
    고정희 『한국고전시가의 서정시적 탐구』, 도서출판 월인 [2009]
  • 「가곡원류 소고」
    황순구 『시조생활』 제10호 [1991]
  • 「가곡과 시조의 음악사적 전개」
    김영운 『한국음악사학보』 31, 한국음악사학회 [2003]
  • 「가곡 한바탕의 연행효과에 대한 일고찰-교방가요의 남녀창 시조사설을 살펴」
    송원호 『우리문학연 구』 12, 우리문학연구회 [1999]
  • 「가곡 한바탕의 연행효과에 대한 일고찰(2)」-안민영의 우조 한바탕을 중심으로」
    송원호 『어문논집』 제42집, 안암어문학회 [2000]
  • 「가객들의 시조의식」
    정무룡 파전 김무조 박사 『회갑기념논총』 [1988]
  • 「가객 음악예인론 시고」
    이동연 시조학논총 제12집 [1996]
  • 「〈남훈ᄐᆞ평가〉를 통해본 19세기 시조의 변모양상」
    최규수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989]
  • 「21세기 고전 시가 연구의 이념과 방법」
    김학성 『고전문학연구』 18호, 한국고전문학회 [2000]
  • 「20세기 기생의 음악사회사적 연구」
    권도희 『한국음악연구』 제29집, 한국국악학회 [2001]
  • 「19후반기 20세기 초 판소리 변모양상 연구」
    김종철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[1993]
  • 「19세기 중・후반 시조창 가집과 가곡창 가집의 상호소통 양상 연구」
    송안나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[2007]
  • 「19세기 전반기 위항시사활동과 위항문학의 한 특징」
    성범중 『울산어문논집』 제4집, 울산대 국어국 문학과 [1988]
  • 「19세기 전기 판소리의 연행환경과 사회적 기반」
    김흥규 『어문논집』, 30집,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 회 [1991]
  • 「19세기 일급 예기의 삶과 섹슈얼리티」
    신경숙 『사회와 역사』, 65집, 한국사회사학회 [2004]
  • 「19세기 예술사의 시각」
    임형택 『우전 신호열선생고희기념논총』, 창작과 비평사 [1983]
  • 「19세기 연행예술의 유통구조」
    신경숙 『어문논집』 제43집, 고려대학교 안암어문학회 [2001]
  • 「19세기 여창가곡의 작품세계」
    신경숙 『19세기 시가문학 탐구』, 고대 고전문학・한문학연구회편, 집 문당 [1995]
  • 「19세기 시조의 전개 양상과 그 작품세계 연구: 그 예술사적 흐름과 관련하여」
    고미숙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1993]
  • 「19세기 시조의 양상과 의미」
    나정순 『고전시가의 전통과 현재성』, 한국시가문학연구총서 12, 도서 출판 보고사 [2009]
  • 「19세기 시조의 시대적 성격」
    최동원 『고시조론』, 삼영사 [1991]
  • 「19세기 시조의 성격과 그 의미」
    나정순 『이화어문논집』 10, 이화여자대학교 [1989]
  • 「19세기 시조의 변모양상」
    이동연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1995]
  • 「19세기 시조의 대중화 양상에 대한 연구」
    고미숙 『시조학논총』 제10집, 한국시조학회 [1994]
  • 「19세기 시론 연구」
    정우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2]
  • 「19세기 시가사의 시각」
    고미숙 고려대학교 고전문학 한문학연구회 편, 『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』, 집문당 [1995]
  • 「19세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, 가곡원류」
    신경숙 『고전문학연구』 제35집, 한국고전문학회 [2009]
  • 「19세기 사대부 시조 연구-주요 작가의 의식지향을 중심으로」
    정홍모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[1994]
  • 「19세기 문학의 성격, 그 인식상의 문제점」
    임형택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분과 발표요지 [1990]
  • 「19세기 가곡사 어떻게 볼 것인가?」
    신경숙 『한국문학연구』 1집, 한국문학연구회 [2000]
  • 「19세기 가객과 가곡의 추이」
    신경숙 『한국시가연구』 제2집, 한국시가학회 [1997]
  • 「19세기 가객 안민영의 예인상」
    이동연 『이화어문논집』 제13집,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[1994]
  • 「18・19세기 예술사의 구도와 시가의 미학적 전환」
    김학성 『한국시가의 담론과 미학』, 보고사 [2004]
  • 「18세기 이후 내연의 악 가무 차비 고찰」
    김종수 『한국음악사학보』, 20집, 한국음악사학회 [1998]
  • 「18세기 서울의 도시적 양상」
    이우성 『향토서울』 17호 [1963]
  • 「18세기 사대부 시조연구」
    남정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[1994]
  • 「18세기 가집편찬과 청구영언 《정문연본》의 위상」
    이상원 『한국시가연구』 14권, 한국시가학회 [2003]
  • 「18・19세기 국문학의 장르체계」
    조동일 『고전문학연구』 1, 한국고전문학연구회 [1971]
  • 「18~19세기의 시조에 나타난 사랑의 태도 유형 분석」
    이도흠 『한국문학이론과 비평』, 41,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학회 [2008]
  • 「18.19세기 가집편찬과 시조문학의 전개 양상」
    김용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1996]
  • 「18,9세기 시 가사에 있어서 리얼리즘적 발전의 한 경로」
    고미숙 『민족문학사연구』 3집 [1993]
  • 「17세기 시조 연구」
    이상원 고려대학교 박사논문, (국회복사) [1998]
  • 「16-19세기 양반층 시조와 그 심상공간의 변모」
    김흥규 『한국시가 연구』 26집, 이회 [2009]
  • 「16 7세기 강호시가의 변모와 전가시조의 형성」
    김흥규 『어문논집』 35, 고려대 국어국문학회 [1996]
  • 19세기 말의 최고수와 세악수
    우에무라 유키오 한국음악사학회, 『한국음악사학보』 제20집 [1998]
  • (육당본)『청구영언』
    황충기 푸른사상사 [2013]
  • (교주) 『해동가요』
    황충기 태화출판사 [198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