창암 이삼만 서예의 문화재적 가치 연구 = A Study on the Value of Changam Lee Sammans Calligraphy as Cultural Heritage

송수현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창암 이삼만 서예의 문화재적 가치 연구 = A Study on the Value of Changam Lee Sammans Calligraphy as Cultural Heritage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한국역사
  • 동국진체
  • 문화재
  • 문화재적 가치
  • 문화재지정가치
  • 서예
  • 서예 문화재
  • 서예미학
  • 서예술
  • 원교
  • 이광사
  • 이삼만
  • 창암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14 0

0.0%

' 창암 이삼만 서예의 문화재적 가치 연구 = A Study on the Value of Changam Lee Sammans Calligraphy as Cultural Heritage' 의 참고문헌

  • 李完雨, 「白下 尹淳과 中國書法」, 『美術史學硏究』
    韓國美術史學會 [1995]
  • 李匡師, 『斗南集』 , 筆寫本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古 3428-347-v.1-4)
  • 李匡師, 『圓嶠書訣』, 筆寫本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가람古754-Y55w)
  • 李匡師, 「書訣」, 『圓嶠集』卷第十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奎15551)
  • 李匡師 李三晩, 『口諷帖』
    옥과미술관 소장
  • 李三晩, 『蒼巖書訣』, 影印本
    개인소장
  • 李三晩, 『華東書法』,正祖 24(1800)
    전주 은송리 장판
  • 李三晩, 『書訣』, 影印本
    개인소장
  • 李三晩(李奎桓),『華東書法』, 正祖 24(1800),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奎古831, 奎古832
    奎古833)
  • 李?, 「栗園晩興」, 『弘道先生遺稿』卷之三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성호古 3648-文62-923)
  • 李?, 「雜著」,『弘道先生遺稿』卷之十下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성호古3648 -文62-923)
  • 李?, 「美陰」, 『弘道先生遺稿』卷之一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성호古3648 -文62-923)
  • 李?, 「筆訣」 , 『弘道先生遺稿』卷之十二下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성호古 3648-文62-923)
  • 李?, 「歷代歌」,『弘道先生遺稿』卷之一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성호古 3648-文62-923)
  • 李?, 「武夷九曲圖跋」,『星湖全集』卷之五十六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奎 15699)
  • 李?, 「杏林春景」,『弘道先生遺稿』卷之三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성호古 3648-文62-923)
  • 李?, 「寄恭齋」, 『弘道先生遺稿』卷之四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성호古 3648-文62-923)
  • 李?, 「上息山(萬敷書)」, 『星湖先生全集』 卷之六十七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 番號:奎 15699-v.1-36)
  • 李?, 〈習書〉,『退溪先生文集』卷之三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古 3428-482)
  • 李? 外, 『서예비평』, 金南馨 譯註
    한국서예협회 [2002]
  • 劉明鐘, 『韓國의 陽明學』
    同和출판공사 [1983]
  • 헹크만 로커, 『미학사전』, 김진수
    도서출판 예경 [1998]
  • 해제 탈초 번역, 『華東書法』
    김남기 서울대학교 奎章閣 [2002]
  • 한국학중앙연구원,『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』, 한국학중앙연구원
    참조 [1991]
  •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,『유형문화재 국보 보물 법령체계 개선방안 연구』
    문화재청 [2018]
  •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,『문화재 분류체계 구체화 연구방안』
    문화재청 [2017]
  • 프라임전략 연구원,『동산문화재 국보 보물 지정기준 및 일괄공모제 실행계획 연구』
    문 화재청 [2016]
  • 중문대사전편찬위원회, 『中文大辭典』第三冊, 臺北:中國文化大學出版部
    (중화민 국 62년) [1973]
  • 전주국립중앙박물관, 『조선의 명필 전북의 인물 蒼巖 이삼만』
    국립중앙박물관 [2010]
  • 이정선, 「조선후기 문화변동과 조선풍의 위상」, 『한국언어문화』 제34집
    한국언어문 화학회 [2007]
  • 예술의 전당 外, 『蒼巖 李三晩 물처럼 바람처럼』
   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[2010]
  • 리쩌허우, 『미의 역정』, 이유진
    글항아리 [2014]
  • 국어국문학회, 『밀레니엄 새로만든 국어대사전』
    민중서관 [2001]
  • 趙龜命, 「題從氏家藏遺敎經帖」,『東溪集』卷之六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古 3428-307)
  • 趙炳喜, 「蒼巖 李三晩 書道와 生涯」, 『蒼巖 李三晩 遺墨帖』
    全州文化放送 [1998]
  • 許傳, 「弘道先生玉洞李公行狀」, 『性齋先生文集』卷之二十九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 (圖書番號:奎 1-v.1-6) [2009]
  • 蔡齊恭, 「嘉善大夫慶州府尹甁窩李公行狀」, 『樊巖集』卷之四十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 本(圖書番號:奎5373)
  • 熊秉明, 『중국서예이론체계』, 槨魯鳳 譯
    東文選 [2002]
  • 洪良浩, 『耳溪集』 卷16,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一?古 819
    54-H759ig-v.1-17)
  • 洪善杓, ?高麗時代 一般繪畵의 發展?, 朝鮮時代繪畵史論
    문예출판사 [2008]
  • 李象靖, 「甁窩先生文集跋」, 『甁窩集』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奎7220)
  • 李是? 撰,「行狀草」, 『弘道先生遺稿』 附錄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성호古 3648-文62-923)
  • 李應雨, 『名門의 故鄕』
    전북 매일 신문사 [1970]
  • 李奎報, 「雜著-贊」, 『東國李相國全集』卷第十九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 (圖書番號:奎 5270)
  • 朴連洙, 『陽明學의 理解-陽明學과 韓國陽明學-』
    集文堂 [1999]
  • 朴趾源, 「?處稿序」, 『燕巖集』卷之七○別集
    國立中央圖書館藏本(圖書番號:한46- 가 1145)
  • 曺首鉉, 「蒼巖 李三晩의 書藝觀」
    『동양예술논총 창간호』剛菴書藝學術財團 [1994]
  • 於錄-變化章」 第三章 , , 『中國歷代美學文庫』淸代卷 ( 上 ) , 高等 ? 育出版社
    [2003]
  • 徐居正, 『四佳詩集』卷之八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 (圖書番號:奎7027)
  • 尹載煥, 「玉洞 李?의 詩에 나타난 精神世界」
    『韓國漢詩硏究』Vol.0 No.13 [2005]
  • 尹淳, 『白下集』 卷10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(圖書番號:經古819.5-Y98b)
  • 尹南漢, 『朝鮮時代의 陽明學 硏究』
    集文堂 [1982]
  • 宋錫準, 「韓國 陽明學의 實學的 展開樣相」, 『유학연구』 제3집
  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 소 [1995]
  • 宋河璟, 『서예미학과 신서예정신』
    도서출판 다운샘 [2003]
  • 孫起陽, 『澗松集 續集』 卷一
    서울大學校 奎章閣(圖書番號:奎1641)
  • 天津 ? 育出版社
    [2002]
  • 吳世昌, 『국역 근역서화징』 하권
    시공사 [1998]
  • 全州府 , 昭和18
  • 『李? 李匡師 書藝美學의 比較 硏究 : 「筆訣」과「書訣」을 中心으로』
    설경희 성균 관대학교 박사논문 [2015]
  • 『論語』
    한국고전종합DB
  • 『老莊의 美學思想에 관한 연구』
    조민환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[1990]
  • 『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』
    한국학중앙연구원, http://people.aks.ac.kr/index.aks
  • 『한국서예, 先人에게 길을 묻다』
    문정자 도서출판 다운샘 [2013]
  • 『창암 이삼만 서예술철학 연구』
    조인숙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[2009]
  • 『중국회화이론사』
    갈로 강관식, 돌베개 [2010]
  • 『중국의 명문장 감상』
    김창환 한국학술정보(주) [2011]
  • 『조선 명필 창암 이삼만』
    김익두 문예원 [2019]
  • 『제6회 전라금석문연구회 탁본전시회』
    전라금석문연구회 [2010]
  • 『원교와 창암 글씨에 미치다 - 원교창암유묵』
    최준호 한얼미디어 [2005]
  • 『원교 이광사의 학술사상과 예술』
    하정숙 동방문화대학원 박사논문 [2018]
  • 『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-1.사상과 문화』
    최완수 돌베개 [1998]
  • 『왕양명과 양명학』
    유명종 청계 [2002]
  • 『양명학 정신』
    정인재 세창출판사 [2014]
  • 『문화재학 개론』
    장호수 백산자료원 [2008]
  • 『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』
    http://www.heritage.go.kr
  • 『문화재의 새로운 방향과 의제』
    문화재청 [2018]
  • 『디지털김제문화대전』
    http://gimje.grandculture.net/
  • 『두피디아(두산백과)』
    http://www.doopedia.co.kr
  • 『동양한문학연구』
    김남형 제26호, 동양한문학회 [2006]
  • 『년도 문화재위원회 제5차 동산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』
    문화재청, 2010 [2010]
  • 『공재 윤두서』
    이내옥 시공사 [2003]
  • 『강물따라 조롱조롱 풀어내는 전주천 이야기』
    진동규 온가람문화연구원 [2008]
  • 『高句麗 廣開土大王碑의 書藝文化史的意義와 書體美 硏究』
    이주형 성균관대학교 박 사학위 논문 [2010]
  • 『說文解字段注』附索引藝文印書館人行
    [1966]
  • 『詩經』
  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[2008]
  • 『英祖實錄』 14권. 『英祖實錄』
    83권
  • 『肅宗實錄補闕正誤』
    31권
  • 『肅宗實錄』
    9권
  • 『王陽明全集』卷三十五,上海古籍出版社
    [1992]
  • 『歷代書法論文選』上 , 華正書局
    [1984]
  • 『槿域書畵徵』李三晩
    [1928]
  • 『朝鮮朝後期 書藝美學思想 硏究』
    장지훈 성균관대학교 박사 [2007]
  • 『朝鮮時代繪 ? 史論』
    [1999]
  • 『朝鮮後期 文藝思潮의 雅俗兼備的 審美意識 硏究』
    박진경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[2019]
  • 『書藝作品의 儒 道 美學的 風格 硏究 : 金學智의 『新二十四書品』을 중심으 로』
    신현애 성균관대 박사논문 [2019]
  • 『孟子』
    한국고전종합DB
  • 『圓嶠 李匡師 書藝의 朝鮮風的 傾向에 관한 硏究』
    한윤숙 성균관대 박사논문 [2018]
  • 『員嶠 李匡師 書藝美學의 陽明心學的 硏究』
    김춘자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, 朴榮基, 「蒼巖 李三晩의 獨自性과 土俗的 自然美에 관한 硏究」, 성균관대학교 석사논 문, 2005 [2012]
  • 『全州市史』
    전주시사편찬위원회 [1986]
  • 『中國歷代美學文庫』魏晉南北朝卷 ( 上 ) , 高等 ? 育出版社
    [2003]
  • 『中國歷代美學文庫』隋唐五代卷 ( 上 ) , 高等 ? 育出版社
    [2003]
  • 『中國歷代美學文庫』宋遼金卷 ( 上 ) , 高等 ? 育出版社
    [2003]
  • 『中國書法美學』南京 : 江蘇文藝出版社
    [1994]
  • 『18세기 향촌사족 가사 연구』
    안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[2005]
  • 『18세기 조선시대의 예술론』
    나종면 한국학술정보(주) [2009]
  • 「李三晩의 元氣自然的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」
    장지훈 『동양예술』제15호, 한국동양 예술학회 [2010]
  • 「화동서법(완판본)을 교재로 사용한 창암 이삼만」
    김진돈 『전라금석문연구』제9호, 전라금석문연구회 [2007]
  • 「한국유학 심미사상의 전개」
    송하경 『韓國儒學思想大系』 제11권, 한국국학진흥원 [2009]
  • 「한국에서 대중국관념의 변화: 중화주의, 소중화주의, 탈중화주의」
    장현근 『아태연 구』 제18권 제2호 [2011]
  • 「한국 서예의 문화재적 가치 연구」
    송수현 동양예술 제44호, 한국동양예술학회 [2019]
  • 「철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서예정신- 蒼巖 李三晩의‘愚拙’을 중심으로」
    조민환 『서예 학연구』 제13호, 한국서예학회 [2008]
  • 「창암의 출생설과 교유활동」
    김진돈 『서예비평』제8호, 한국서예비평학회 [2011]
  • 「창암 이삼만, 工拙을 벗어난 서예」
    이성배 『서예학연구』제11호, 한국서예학회 [2007]
  • 「창암 낙관의 독창성과 그 유형분류 - 예술의 전당 『蒼巖 李三晩 물처럼 바 람처럼』의 전시도록을 중심으로」
    박재복 『서예학연구』제24호, 한국서예학회 [2014]
  • 「조선후기 양명학적 포스트모던 서예미학과 그 현대적 의의」
    장지훈 『양명학회 학술 대회 논문집 』, 한국양명학회, 2009 [2009]
  • 「조선후기 서예미학과 自得의 서예정신」
    장지훈 『문화와예술연구』제2집, 동방문화 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[2013]
  • 「조선후기 문인들의 서신을 통한 성운 인식 고찰 -최석정과 정제두의 서신을 중심으로-」
    심소희 『중국언어연구』 38권0호, 한국중국언어학회 [2012]
  • 「조선후기 문인들의 向藝的 서예미학」
    장지훈 『유교문화연구소 20주년 기념 학술회 의 ‘百家爭嗚’』,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, 2019 [2019]
  • 「조선후기 陽明心學的 서예미학 연구」
    장지훈 『서예학연구』제18호, 한국서예학회 [2011]
  • 「조선후기 書論의 一局面 - 李?와 李三晩의 서론이 지닌 서예사적 의의 검토 를 중심으로 -」
    김남형 『서예학연구』제28호, 한국서예학회 [2016]
  • 「조선중기의 서예」
    김응학 『한국서예사』, 미진사 [2017]
  • 「조선 중기 유가서예사상」
    김응학 『韓國儒學思想大系』 제11권, 한국국학진흥원 [2009]
  • 「작품소재로 살펴본 蒼巖 李三晩의 학문세계」
    박재복 『서예학연구』제18호, 한국서 예학회 [2011]
  • 「석정 이정직 서화의 문화재적 가치 연구」
    김도영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[2014]
  • 「서장: 한국유학의 심미사상의 전개」
    송하경 『韓國儒學思想大系 6 藝術思想編』, 한 국국학진흥원 [2009]
  • 「백하 윤순의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-時體를 중심으로」, 『韓國思想과 文化』 Vol.36, , 「조선조 서예에 나타난 狂?書風에 관한 연구」
    조민환 『서예학연구』제35호, 2019 [2007]
  • 「문화재청 보도자료」
    문화재청 [2009]
  • 「문화재청 보도자료」
    문화재청 [2010]
  • 「문화재보호법」
  • 「문화재보호법 시행령」
  • 「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」
  • 「문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서예의 독창성」
    김병기 『서예학연구』제13호, 한국서예학 회 [2008]
  • 「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」
  • 「동국진체의 호남 서맥 형성과 전개? 남도서맥을 중심으로 ?」
    이승연 『한국사상과 문화』 Vol.87, 한국사상문화학회 [2017]
  • 「金昌翕, 李秉淵의 山水詩와 鄭敾의 山水畵 비교 고찰」
    고연희 『한국한문학연구』 제20권 [1997]
  • 「退溪 書藝의 儒家美學的 性格 考察 -退筆의 形成科程과 特質을 中心으로」
    이동국 『退溪學報』Vol.126, 退溪學硏究院 [2009]
  • 「蒼巖李三晩의 書藝美學的인식과 ‘蒼巖體’와의 상관성」
    문정자 『문화와예술연구』 vol.3,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, , 『‘東國眞體’ 書家의 개혁정신과 ‘眞體’ 의 含意』, 『서예학연구』제4호, 한국서 예학회, 2004 [2014]
  • 「蒼巖書論의 예술사적 의의」
    김남형 『서예학연구』제22호, 한국서예학회 [2013]
  • 「蒼巖 李三晩의『書訣』에 대한 고찰 - 歷代 書論과의 비교를 중심으로」
    박재복 『東洋古典硏究』vol.38, 동양고전학회 [2010]
  • 「蒼巖 李三晩의 書風에 나타난 복고적 성향 고찰」
    박재복 『東洋古典硏究』vol.49, 동 양고전학회 [2012]
  • 「蒼巖 李三晩의 書論―順自然의 양상을 중심으로」
  • 「蒼巖 李三晩의 學書淵源과 學古精神」
    이은혁 『退溪學論叢』제30호, 사단법인 퇴계 학부산연구원 [2017]
  • 「蒼巖 李三晩 書藝作品의 道家美學的 考察」
    조민환 『서예학연구』제19호, 한국서예 학회 [2011]
  • 「草書의 興起와 書‘藝’化의 相關關係 硏究」
    김병기 『동양예술』제17호, 한국동양예 술학회 [2011]
  • 「秋史의 圓嶠 ?書訣?批評에 대한 批評],『서예비평』2
    송하경 한국서예비평학회 [2008]
  • 「秋史 金正喜의 東國眞體 書家 批判 ― 王羲之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―」
    조민환 『한국사상과 문화』 제62호 [2012]
  • 「石濤 『?語錄』의 書藝論的 轉繹- 一?章 了法章 變化章을 中心으로」
    송하경 『자연 정신(道 氣 太極 陰陽思想)과 서예의 상관성』,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국제학술대 회 [2019]
  • 「白下 尹淳의 경세론에 나타난 양명학적 사유」
    한정길 『東古典硏究』,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[2013]
  • 「畵評」『記拙』 . 海南尹氏綠雨堂所藏
  • 「王陽明 心學의 精神世界」
    송하경 『강화 하곡파, 그리고 미래; 지성, 인성, 영성』 , 한국양명학회 [2015]
  • 「玄坡先生遺集序」 , 『棠岳文獻』6冊 , 海南尹氏綠雨堂所藏
  • 「狂?美學의 관점에서 본 蒼巖 李三晩의 書藝美學」
    조민환 『東洋哲學硏究』제72호, 동양철학연구회 [2012]
  • 「狂?美學의 관점에서 본 蒼巖 李三晩의 書藝美學」
    조민환 『동양철학연구』 제72 집, 동양철학연구회 [2012]
  • 「東國眞體 서가의 독창적 自家體 창출에 관한 실증적 고찰」
    문정자 『서예학연구』제 27호, 한국서예학회 [2015]
  • 「朝鮮朝 17 8C 東國眞體에 대한 一考察-玉洞 圓嶠 秋史의 書論을 중심으로-」
    문정자 『동양예술』제6호, 한국동양예술학회 [2002]
  • 「書格(品)의 一貫性과 突然性 試論-예술의전당〈창암 이삼만展〉작품선정의 문 제점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-〉, 『서예비평』8
    김병기 한국서예비평학회 [2011]
  • 「恭齋公家狀」 , 『海南尹氏文獻』 , 海南尹氏綠雨堂所藏
  • 「恭齋 尹斗緖의 國內外 地理認識과 地圖作成」
    차미애 『역사민속학』제37호, 한국역 사민속학회 [2011]
  • 「恭齋 尹斗緖 一家의 繪畵 硏究」
    차미애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[2010]
  • 「大學問」『王陽明全集』卷之二十六 , 上海古籍出版社
    [1992]
  • 「圓嶠에 대한 秋史의 批評과 東國眞體 개념논쟁」
    윤기성 『인문학연구』Vol.57, 조선 대학교 인문학연구원 [2019]
  • 「圓嶠 李匡師의 美學思想」
    송하경 『陽明學』 제13호, 韓國陽明學會 [2005]
  • 「傳習錄」下『王陽明全集』下 , 上海古籍出版社
    [1992]
  • 「傳習錄」 上
    [1992]
  • 「‘東園眞體’에 대한 所見 : 李?와 李匡師를 중심으로」
    문정자 『서예학연구』제1호, 한국서예학회 [2000]
  • 「‘東國眞體’ 정신의 계승과 그 永久的 명칭의 摸索」
    문정자 『서예학연구』제30호, 한 국서예학회 [2016]
  • 「21世紀 新書藝文化精神과 新俗美主義書藝의 追求」
    송하경 『동양예술논총』 제12 집, 재) 강암서예학술재단 [2008]
  • ?歷代歌?를 통해 본 玉洞 李?의 歷史認識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제57집
    윤재성 동양고 전학회 [2014]
  • ? 류경호, 『蒼巖 李三晩 선생 遺墨帖』, 정읍시 ?
    김익두 전북대학교인문학연구소 [2005]
  • 7. 硏究報告書 · 會議錄
  • 6. 學術論文
  • 5. 學位論文
  • 4. 著·編著
  • 3. 原典
  • 2. 史書
  • 10. 圖錄
  • 1. 經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