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포츠계 성주류화의 실현 및 정착을 위한 방안 고찰 = A Study on the Solutions to Achieve and Establish Gender Mainstreaming in Sports

민솔비 2020년
논문상세정보
' 스포츠계 성주류화의 실현 및 정착을 위한 방안 고찰 = A Study on the Solutions to Achieve and Establish Gender Mainstreaming in Sports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운동경기와 실외경기와 경기
  • 성 주류화
  • 성 차별
  • 성평등
  • 스포츠계
  • 양성평등
  • 젠더
  • 젠더 불평등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824 0

0.0%

' 스포츠계 성주류화의 실현 및 정착을 위한 방안 고찰 = A Study on the Solutions to Achieve and Establish Gender Mainstreaming in Sports' 의 참고문헌

  • 女선수 223명에 女코치 ‘0명’…이유 있는 체육계 ‘미투’
    조문희 시사저널. https://www.sisajournal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80003 [2019]
  • 헤게모니 이론으로 본 한국 스포츠 폭력문화의 재생산
    박보현 한국융합과학회 지, 7(1), 28-38 [2018]
  • 할당제의 합헌성에 관한 연구
    김영희 박현미 한국여성개발원 [1997]
  • 한국의 사회동향 연구 보고서. 통계청
    장미혜 장윤창 [2019]
  •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년 한국의 성평등보고서
    여성가족부 [2018]
  • 한국 스포츠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로컬 거버넌스 구축 방안. 미간행 박사학위논문
    전원재 경북대학교 대학원 [2017]
  • 한국 성주류화의 틀짜기에 대한 분석: 성별영향분석평가와 성인지예산을 초점으로. 미간행 박사학위논문
    이은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[2014]
  • 학교체육현장에서의 스포츠 성폭력에 대한 예방과 대책
    강구민 한국스포츠학회 지, 16(2), 415-425 [2018]
  • 페미니즘 관점에서 분석한 여성체육지도자의 젠더 불평등 경험
    오정수 한국여 성체육학회지, 31(2), 1-22 [2017]
  • 충청남도 시군의 양성평등 기본 조례분석
    정여주 인문사회21, 10(3), 809-824 [2019]
  • 초중등 성평등교육의 현황과 과제
    최윤정 젠더리뷰 [2018]
  • 초(超)남성적 학교체육 문화 내 여자체육교사의 젠더 수행 이론 화
    남상우 이해령 한국스포츠사회학회, 32(1), 1-19 [2019]
  • 체육행정조직 내 성차별 양상 개념화
    남상우 한국체육학회, 58(2), 65-75 [2019]
  • 체육지도자에 의한 학교 내 성폭력에 관한 형사적 책임
    강구민 한국스포츠엔터 테인먼트법학회, 21(2), 53-76 [2018]
  • 체육전공대학생의 양성평등 의식에 관한 연구
    권구명 김옥주 한국체육과학회 지, 28(1), 215-222 [2019]
  • 체육관련 기관 여성 관리자의 유리천장 경험
    이원미 한국융합과학회지, 9(2), 20-33 [2020]
  • 체육계 성폭력 가해자 징계 강화에 초점 맞춘 대책… 실효성은?
    안병수 세계일보. https://news.v.daum.net/v/20190109195852554?rcmd=rn&f=m [2019]
  • 청소년의 주관적 운동능력 인식과 사회적 걱정 및 체육수업에서 의 소외와의 관계
    남상우 이창섭 한국체육교육학회지, 16(2), 91-104 [2011]
  • 청소년의 정서적, 성적학대 경험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: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검증
    곽연희 정원철 학교사회복지, 44, 51-73 [2018]
  • 질적연구방법의 이해
    유기웅 서울: 박영사 [2012]
  • 지역 성주류화와 성주류화 거버넌스 운영방안
    손문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 보고서, 2017(9), 46-68 [2017]
  • 지방정부의 성별영향분석평가 실행 추진동력에 대한 연구
    이기순 한국지방자치 학회지, 27(4), 133-154 [2015]
  • 지방자치단체의 여성정책과 수혜자 인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
    우양호 홍미영 여성연구, 67(2), 81-119 [2004]
  • 지방자치단체 성주류화확산을 위한 연구-전라북도 여성정책담당기구를 중심으로
    김경주 한국자치행정확보, 31(4), 45-68 [2017]
  • 지방자치단체 성별영향평가의 제도화와 정책과제
    김경희 김둘순 지방정부연구, 14(2), 55-81 [2010]
  • 젠더형평성과 사회정의 실현 측면에서 바라본 여성의 신체활동
    이경준 이은영 한국여성체육학회지, 30(4), 19-37 [2016]
  • 젠더거버넌스 실현의 정책적 시사점과 과제: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
    김도희 지 방정부연구, 23(2), 1-24 [2019]
  • 젠더 전환적 전략을 위한 ‘적극적 조치’의 재개념화
    허라금 한국여성학, 26(2), 99-125 [2010]
  • 젠더 관점과 여성정책 패러다임: 해방 이후 한국 여성정책의 역사에 대 한 이론적 검토
    배은경 한국여성학, 32(1), 1-45 [2016]
  • 젠더 거버넌스 실행과정에서 공무원들의 젠더 감수성 변화과정 연구.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
    배화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[2018]
  • 제 3주제: 정부 예산에 젠더 관점 통합을 위한 시론: 성인지 예 산 (Gender Budget)
    김경희 차인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, 71-97 [2005]
  • 제 2판: 질적연구방법론. Ⅰ
    김영천 파주: 아카데미프레스 [2011]
  • 정부입법지원센터
    http://www.lawmaking.go.kr
  • 정보화 투자사업의 평가기준 설정 및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 구
    김성언 송의근 정보시스템연구, 16(3), 91-1 [2007]
  • 일가정양립제도의 성주류화 실현을 위한 노동관계법의 입법과제. 미간행 박사학위논문
    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[2010]
  • 인문, 사회과학편: 스포츠 양성평등법 제정에 대한 소고
    이윤경 조미혜 한국체 육학회지, 53(4), 481-494 [2014]
  • 이은아 성주류화와 성평등 사회구조로의 ‘전환가능성’
    사회과학연구, 27(4), 265-288 [2016]
  • 이미란 직장조직 내 여성의 주체화 양식: 젠더 정체성과 실천전략을 중심으로. 미간행 박사학위논문
  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[2008]
  • 여자월드컵 결승전 “동일 임금” 외친 5만 관중
    이승엽 한국일보 [2019]
  • 여성친화도시 관점의 시민참여 모니터링 지표에 관한 탐색적 연구: 부산 광역시를 중심으로
    홍선영 여성학연구, 25(1), 93-122 [2015]
  • 여성주의적으로 철학 다시 하기
    허라금 한국여성철학, 7, 163-187 [2007]
  • 여성주의 정책 패러다임 모색과 ‘성평등’
    김경희 이재경 한국여성학, 28(3), 1-33 [2012]
  • 여성주의 성평등 개념을 통해 본 성주류화
    허라금 여성학논집, 25(2), 45-79 [2008]
  •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한국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연구.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
    배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[2015]
  • 여성정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수요자의 요구도 분석
    홍미영 한국정책학회 하 계학술발표논문집, 2006, 1-16 [2006]
  • 여성 스포츠리더 교육이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
    김양례 한국여성체육학회지, 33(4), 1-14 [2019]
  • 여성 스포츠 선수의 성폭력예방 및 대책에 대한 정책 제안
    곽정현 이선희 한 국체육과학회지, 28(4), 123-132 [2019]
  • 엘리트 스포츠 내 성폭력 발생 기저와 경험체계 탐색
    김성하 임수원 전원재 한국체육학회지, 54(6), 81-94 [2015]
  • 엘리트 남녀선수의 성폭력 피해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
    허현미 여성학논집, 28(2), 75-107 [2011]
  • 양성평등을 위한 여성스포츠의 방향
    곽정현 이선희 한국체육과학회지, 23(6), 299-311 [2014]
  • 양성평등 체육교육의 한계, 현실 및 도전
    김윤희 유정애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지, 9(2), 1-25 [2002]
  • 안정선 성주류화 실행의 거버넌스 구축 방안
    이갑숙 디저털융복합연구, 11(5), 23-30 [2013]
  • 신경아 여성정책에서 성평등정책으로?: 젠더정책의 오해와 이해
    한국여성학, 32(4), 1-36 [2016]
  • 스포츠인권의 사각지대: 태권도선수 인권문제와 사회적 책임
    김보정 한국체육 철학회, 27(2), 35-44 [2019]
  • 스포츠인권의 사각지대: 태권도선수 인권문제와 사회적 책임
    김보정 김지혁 한 국체육철학회지, 27(2), 35-44 [2019]
  • 스포츠성폭력 예방 및 대처의 인식개선 조사
    이금희 한국체육과학회지, 26(2), 157-174 [2017]
  • 스포츠산업, 경영: 스포츠산업 진흥을 위한 투자우선순 위에 관한 연구
    김형주 이용식 임태성 한국체육학회지, 42(4), 483-496 [2003]
  • 스포츠는 인권인가?. 움직임의 철학
    김현수 한국체육철학회지, 26(1), 19-34 [2018]
  • 스포츠교육학: 성평등체육수업전략의 적용을 통한 중학교 남녀학생들의 성평등 인식과 행동변화
    이표상 한국체육학회지, 40(1), 576-588 [2001]
  • 송문이 성주류화 정책을 위한 젠더거버넌스 형성가능성 -서울지역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 모니터링 과정 분석
    배화정 오나경 황은정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소, 31(2), 183-206 [2015]
  • 성평등을 위한 장(場)으로서의 스포츠변화. 한국체육학회지, 42(4), 247 -257. 조성혜(2017). 양성평등정책과 성평등한 노동시장을 위한 법제-일 가정 양립 지원 제도 를 중심으로
    조성식 한국사회법학회, 32, 189-225 [2003]
  • 성평등 패러다임 강화를 위한 현행 여성관련 법제의 정 비방안 연구보고서
    구미영 박선영 이준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[2012]
  • 성주류화와 ‘젠더’문제. 국가와 젠더: 성주류화의 이론과 실천
    유정미 파주: 한 울아카데미 [2010]
  • 성주류화 기반 정책 평가제도의 성평 등 효과 제고를 위한 연구
    김경희 남궁윤영 동제연 이은경 주경미 한국여성정책연구보고서 [2015]
  • 성주류화 관점에서 본 한국 ODA사업의 실행
    김양희 한국정책학회, 26(1), 95- 121 [2017]
  •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러시아 이주여성의 문제와 정책과제
    서승현 슬라브학보, 30(2), 157-203 [2015]
  • 성인지 예산사업의 집행효과에 관한 연구: 에너지 분야 연구개발 고급인력 지원사업을 중심으로
    김민호 김정부 최성주 한국정부학회, 30(2), 335-361 [2018]
  • 성별영향평가제도의 효과적 정착을 위한 주요사업의 결과분석 및 개선 방안
    김양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[2006]
  • 성별영향분석평가에서의 젠더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
    이선민 이화젠더법학, 2( 8), 65-111 [2016]
  • 성별영향분석평가 실행을 통해서 본 지방자치단체의 성주류화정책 추진 동력에 대한 연구. 미간행 박사학위논문
    이기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[2016]
  • 성(性)주류화 전략에서 본 지역 여성정책 연구: 울산광역시 여성정책 분 석을 중심으로. 미간행 석사학위논문
    강혜련 울산대학교 대학원 [2002]
  • 성 주류화 정책 패러다임의 모색:‘발전’에서 ‘보살핌’으로
    허라금 한국여성학, 21(1), 199-231 [2005]
  • 성 인지적 관점에서 본 [사회비전 2030]-2030 년 여성의 미래, 장밋빛 비전은 없다
    김영옥 마경희 젠더리뷰, 3, 61-68 [2006]
  • 성 인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평등 실현에 관한 연구.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
    김용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[2006]
  • 사회 정의와 성주류화: 낸시 프레이저 논의를 분석하며
    이은경 정부학연구, 24(2), 303-331 [2018]
  • 불평등대우의 헌법적 정당화심사기준으로서 일반적 평등원칙-독일의 경 우를 참조해서
    박진완 세계헌법연구, 15(3), 201-228 [2009]
  • 박은미, 이경숙 경상북도 성주류화 확산을 위한 모니터링 방안
    경북여성정책개 발원 [2013]
  • 델파이 방법
    이종성 서울: 교육과학사 [2001]
  • 델파이 기술예측방법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. 미간행 박사학위논문
    이성웅 전북 대학교 대학원 [1987]
  • 대한체육회
    https://www.sports.or.kr/index.do
  • 노인일자리정책의 성주류화 실행모델에 관한 연구: 대전광역시를 중심으 로. 미간행 박사학위논문
    김경희 대전대학교 대학원 [2010]
  • 남성의 성평등 의식 예언을 위한 모형 통합
    김금미 안상수 한국심리학회지, 22(4), 133-155 [2008]
  • 국가법령정보센터
    https://www.sports.or.kr/index.do
  •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: 방법과 적용
    이용숙 서울: 교육과학사 [1998]
  • 광주지역 성별영향분석평가 성인지예산 정책개선 모니터 링
    강현아 나현정 손주리 광주여성재단 [2016]
  • 과학기술예측조사의 방법론과 활용방안
    김형수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[1996]
  • “한국의 성주류화 제도와 과제.”
    김양희 국제사회의 성주류화 동향과 한국의 여 성정책 전략.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개원 25주년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업 자료집 [2008]
  • “성평등 전략으로서 성주류화의 딜레마와 위험들”
    마경희 이재경 편. ≪국가 와 젠더: 성주류화의 이론과 실천≫. 파주: 한울아카데미 [2010]
  • ‘성주류화’전략에 비춰본 ‘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’: 생물학적 환원주의에 대한 이론적 비판을 중심으로
    최일성 정치사상연구, 23(2), 35-56 [2017]
  • ‘성주류화(gender mainstreaming)에 대한 비판적 성찰’
    마경희 한국여성학회, 23(1), 54 [2007]
  • Understanding gender mainstreaming in terms of power
    3 , 20-21 [2004]
  • Transnational networks and policy diffusion : The case of gender mainstreaming
    45 ( 1 ) , 27-57 [2001]
  • The Theory of Ratio Scale Estimation : Saaty 's Analytic Hierarchy Process
    33 ( 11 ) , 1383-1403 . [1987]
  • The Delphi method in futures research methodology
    [1994]
  • The Delphi method :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. ” ( No . RM-5888-PR )
    [1969]
  •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
    [1995]
  •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-What it is and how it is used
    9 ( 3-5 ) , 161-176 [1987]
  • The Analytic Hierarchy P rocess : A new approach to deal with fuzziness in architecture .
    25 ( 3 ) , 64-69 . [1982]
  • The Analytic Hierarchy P rocess
    [1980]
  • Studies in Synthetic Validity . I .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clerical jobs
    8 ( 3 ) , 291-301 . [1955]
  • Strategies for the empowerment of women : Capacity building for gender mainstreaming . In Paper for Item 5 ( d ) ( i ) of the agenda for ESCAP High Level Inter-governmental meeting to review regional implementation of the Beijing Platform for Action
    [1999]
  • Research design : Qualitative , quantitative , and mixed methods approaches
    [2013]
  • Reflections on the uneven development of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
    7 ( 4 ) , 555-574 . [2005]
  • Reflections on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Gender Mainstreaming in Europe
    [2005]
  • Rating of electric powerCables : ampacityComputations for transmission
    [1997]
  • Qualitative research and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. revised and e xpanded from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
    [1998]
  •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
    [2002]
  • Methods for analyzing data from Delphi panels : Some evidence from a forecasting study
    31 ( 1 ) , 79-85 . [1987]
  • Mainstreaming politics : Gendering practices and feminist theory ( p. 368 )
    [2010]
  • Mainstreaming gender into the policies and the programmes of the institution of the European Union and EU Member States-Good practices in gender mainstreaming
    [2013]
  • Mainstreaming gender in the European Union : Getting the incentives right
    7 ( 1 ) , 114-138 . [2009]
  • Mainstreaming gender in global public policy
    5 ( 3 ) , 368-396 [2003]
  • Integrating or setting the agenda ? Gender mainstreaming in the European constitution-making process
    12 ( 3 ) , 412-432 [2005]
  • Global strategies for gender equality : The United Nations before and after Beijing
    [2008]
  • Gender mainstreaming vs positive action : An ongoing conflict in EU gender equality policy
    12 ( 2 ) , 165-186 [2005]
  • Gender mainstreaming in theory and practice
    12 ( 3 ) , 433-450 [2005]
  • Gender mainstreaming in the European Union : towards a new conception and practice of equal opportunities ?
    9 ( 4 ) , 430-446 . [2002]
  • Gender mainstreaming in the EU : Incorporating a feminist reading ?
    13 ( 2 ) , 151-166 . [2006]
  • Gender mainstreaming : Productive tensions in theory and practice
    12 ( 3 ) , 321-343 [2005]
  •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: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. In Principles of forecasting
    pp . 125-144 [2001]
  • Ethnographic and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d why it does n't work
    30 ( 1 ) , 42-57 . [1986]
  • EU Gender Policy : Trapped in theWollstonecraft Dilemma ' ?
    10 ( 2 ) , 159-180 . [2003]
  • Denzin, N. K. (1989). Interpretive biography (Vol. 17). Sage.
  • Decision making for leaders :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decisions in a complex world
    [1990]
  • After the family wage : Gender equity and the welfare state
    22 ( 4 ) , 591-618 [1994]
  •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
    28 ( 4 ) , 563-575 [1975]
  • 2010년도 성인지 예산서의 성과와 향후 과제
    마경희 젠더리뷰, 15, 11-21 [2009]